KR200321675Y1 -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675Y1
KR200321675Y1 KR20-2003-0014646U KR20030014646U KR200321675Y1 KR 200321675 Y1 KR200321675 Y1 KR 200321675Y1 KR 20030014646 U KR20030014646 U KR 20030014646U KR 200321675 Y1 KR200321675 Y1 KR 200321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section
plate
air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천복
Original Assignee
정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천복 filed Critical 정천복
Priority to KR20-2003-0014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0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4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wells
    • E03B5/06Special equipment, e.g. well seals and connections for well cas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수를 구간별로 취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굴착된 굴착공의 하측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굴착공을 폐쇄하는 제1차단부재와, 이 제1차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굴착공을 폐쇄하는 제2차단부재와, 상기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를 관통하는 제1취수관과, 이 제1취수관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수중펌프와, 상기 제2차단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에 공기(空氣)를 공급하는 제1에어호스와, 상기 제2차단부재를 관통하는 제2취수관과, 이 제2취수관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2수중펌프, 및 상기 제2차단부재(50)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에어호스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에어호스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제1차단부재가 팽창하고, 제2에어호스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제2차단부재가 팽창되어서 상기 굴착공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수중펌프와 상기 제2수중펌프에 의하여 구간별로 취수(取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그 작동에 따라, 굴착공의 깊이에 따른 구간별로 지하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됨으로서, 오염된 지하수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하구간별 취수장치{Underground Sectional Water-pumping Equipment}
본 고안은 지표층을 굴착하여서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착된 굴착공에 대하여 깊이 별로 구간을 정하고, 정하여진 구간별로 취수를 할 수 있게 하는 지하구간별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인접한 토사층과 상기 토사층의 하측에 있는 암반층을 관통하는 굴착공을 굴착하고, 상기 암반층 하부에 있는 지하수를 취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굴착공을 이용하여서 지하수를 취수하는 경우에 취수되는 지하수의 양과 오염여부를 검사하여야 한다. 그러나 굴착이 진행되면서 상층부위에서 유입되는 지하수가 서로 혼합되므로,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 구간별로 취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취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구간별 취수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고, 또한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지하수를 채취하기 위하여 굴착공을 천공하면서, 유입되는 지하수를 각 구간별로 취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구간별 취수장치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a와 도2b는 도1의 제1차단부재의 팽창되기 전후(前後)의 사시도.
도3는 도1의 제1차단부재가 팽창된 상태에서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4a와 도4b는 도1의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의 단면도.
도5와 도6은 도1의 제2차단부재의 부분절단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취수장치, 30:제1차단부재, 50:제2차단부재,
71:제1취수관, 73:제1수중펌프, 75:제1에어호스,
81:제2취수관, 83:제2수중펌프, 85:제2에어호스,
310:제1상측판, 320:제1하측판, 330:제1외측팽창판,
350:제1팽창관, 510:제2상측판, 520:제2하측판,
530:제2외측팽창판, 550a,550b,550c:제2팽창관,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하여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지하구간별 취수장치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굴착된 굴착공의 하측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굴착공을 폐쇄하는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1차단부재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굴착공을 폐쇄하는 제2차단부재;와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2차단부재를 관통하는 제1취수관;과 상기 제1취수관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수중펌프;와 상기 제2차단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에어호스;와 상기 제2차단부재를 관통하는 제2취수관;과 상기 제2취수관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2수중펌프; 및 상기 제2차단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에어호스;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에어호스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제1차단부재가 팽창하고, 상기 제2에어호스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제2차단부재가 팽창되어서 상기 굴착공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수중펌프와 상기 제2수중펌프에 의하여 구간별로 취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측부위에 위치한 제1상측판;과 하부에 장착되는 제1하측판;과 상기 제1상측판과 상기 제1하측판의 외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1외측팽창판;과 상기 제1상측판과 상기 제1하측판의 내측에서 상하로 연결하는 제1팽창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상측판과 상기 제1하측판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외측팽창판과 상기 제1팽창관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측부위에 위치한 제2상측판;과 하부에 장착되는 제2하측판;과 상기 제2상측판과 상기 제2하측판의 외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2외측팽창판;과 상기 제2상측판과 상기 제2하측판의 내측에서 상하로 연결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팽창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상측판과 상기 제2하측판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외측팽창판과 상기 제2팽창관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구간별 취수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부재의 사시도이고, 도2a와 도2b는 도1의 차단부재의 팽창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취수장치는 제1차단부재(30), 제2차단부재(50), 제1취수관(71), 제1수중펌프(73), 제2취수관(81) 및 제2수중펌프(8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차단부재(30)는 지하수를 취수(取水)하기 위하여 굴착한 굴착공(900)에서 지하수가 서로 혼합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상기 굴착공(900)의 최하층에 위치하며, 제1상측판(310), 제1하측판(320), 제1외측팽창판(330) 및 제1팽창관(350) 등으로 구성된다.(도4a 참조)
상기 제1상층판(310)과 상기 제1하측판(320)에는 상기 제1취수관(71)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상층판(310)에는 상기 제1차단부재(30)의 내부공간에 공기유입 통로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통로에는 상기 제1에어호스(7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측판(310)과 제1하측판(320)은 서로 연결되는데 외측으로는 상기 제1외측팽창판(330)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제1취수관(71)이 관통할 수 있는 제1팽창관(35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팽창판(330)과 상기 제1팽창관(350)은 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풍선과 같이 팽창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에 의하여 팽창되는 상기 제1외측팽창판(330)에 의하여 상기 굴착공(900)이 폐쇄된다.(도1 참조) 또한 상기 제1팽창관(350)도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취수관(71)이 관통하는 방향으로 팽창되어서 밀착하게 되고, 기밀이 유지됨으로서 상부에 있는 지하수가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부재(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하수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상기 제2차단부재(50)는 상기 제1차단부재(30)와 유사한 구성이나, 상기 제2차단부재(50)의 하부로 상기 제1취수관(71)과 제1에어호스(75)가 관통하여서 안착할 수 있도록 제2팽창관(550a,550b,550c)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외측팽창판(330)과 복수의 상기 제2팽창관(550a,550b,550c)도 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팽창이 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재(30)에서와 같이 공기에 의하여 팽창되면 상하로 지하수의 이동이 억제되게 되며, 공기의 팽창이 없는 경우에는 도2a에 도시된 상태로 축소가 되어서 상하로 지하수가 이동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굴착공(900) 내부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30)와 상기 제2차단부재(50)의 이동도 자유롭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부재(30)의 하측에는 상기 제1취수관(71)의 단부에 제1수중펌프(73)가 장착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50)의 하측에는 제2취수관(81)의 단부에 제2수중펌프(83)가 장착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굴착기에 의하여 굴착공(900)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공(900)에 상기 제1차단부재(30)와 제2차단부재(50)가 연결된 상기 지하구간별 취수장치(10)를 투입하게 된다. 취수하고자 하는 구간에 상기 제1차단부재(30)가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1에어호스(75)를 통하여 상기 제1차단부재(30)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제1차단부재(30)가 팽창되면서 상기 굴착공(900)이 폐쇄하게 되어서 B구간에서 흘러나오는 지하수는 A구간으로 흘러가지 못한다. 따라서 A구간에 있는 상기 제1수중펌프를 작동하여서 A구간에 있는 지하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B구간에서 흘러나오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차단부재(50)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에어호스(85)를 통하여 상기 제2차단부재(50)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제2차단부재(50)가 팽창되면서 상기 굴착공(900)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B구간에는 상하로 유입되는 지하수가 차단되고, 상기 제2취수관(81)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제2수중펌프(83)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B구간의 지하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그 작동에 따라, 굴착공의 깊이에 따른 구간별로 지하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됨으로서, 오염된 지하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되며,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구간별 취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구간별 취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지하수를 구간별로 취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굴착된 굴착공의 하측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굴착공을 폐쇄하는 제1차단부재(30);와 상기 제1차단부재(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굴착공을 폐쇄하는 제2차단부재(50);와 상기 제1차단부재(30)와 상기 제2차단부재(50)를 관통하는 제1취수관(71);과 상기 제1취수관(71)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수중펌프(73);와 상기 제2차단부재(50)를 관통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30)에 공기(空氣)를 공급하는 제1에어호스(75);와 상기 제2차단부재(50)를 관통하는 제2취수관(81);과 상기 제2취수관(81)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2수중펌프(83); 및 상기 제2차단부재(50)에 공기(空氣)를 공급하는 제2에어호스(85);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에어호스(75)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제1차단부재(30)가 팽창하고, 상기 제2에어호스(85)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제2차단부재(50)가 팽창되어서 상기 굴착공을 폐쇄시키고, 상기 제1수중펌프(73)와 상기 제2수중펌프(83)에 의하여 구간별로 취수(取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측부위에 위치한 제1상측판;과 하부에 장착되는 제1하측판;과 상기 제1상측판과 상기 제1하측판의 외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1외측팽창판;과 상기 제1상측판과 상기 제1하측판의 내측에서 상하로 연결하는 제1팽창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측판과 상기 제1하측판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외측팽창판과 상기 제1팽창관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측부위에 위치한 제2상측판;과 하부에 장착되는 제2하측판;과 상기 제2상측판과 상기 제2하측판의 외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2외측팽창판;과 상기 제2상측판과 상기 제2하측판의 내측에서 상하로 연결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팽창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측판과 상기 제2하측판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외측팽창판과 상기 제2팽창관은 공기압에 의하여 팽창이 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KR20-2003-0014646U 2003-05-13 2003-05-13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KR200321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46U KR200321675Y1 (ko) 2003-05-13 2003-05-13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46U KR200321675Y1 (ko) 2003-05-13 2003-05-13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675Y1 true KR200321675Y1 (ko) 2003-07-31

Family

ID=4941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46U KR200321675Y1 (ko) 2003-05-13 2003-05-13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6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8239B2 (en) 2008-11-26 2011-02-01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Fluid collecting apparatus
KR20190029886A (ko) * 2017-09-13 2019-03-21 심군섭 모터 손상방지용 수중펌프 완충 체결장치
WO2024039258A1 (en) * 2022-08-16 2024-02-22 Boban Stojanovic Rubber balloon for the suction hose of the water pum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8239B2 (en) 2008-11-26 2011-02-01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Fluid collecting apparatus
KR20190029886A (ko) * 2017-09-13 2019-03-21 심군섭 모터 손상방지용 수중펌프 완충 체결장치
KR101974031B1 (ko) * 2017-09-13 2019-04-30 심군섭 모터 손상방지용 수중펌프 완충 체결장치
WO2024039258A1 (en) * 2022-08-16 2024-02-22 Boban Stojanovic Rubber balloon for the suction hose of the water pu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4851B2 (ja) 地下水揚水装置
JP5212070B2 (ja) 常用井戸及び常用井戸の構築方法
CN112879050B (zh) 一种泄水式隧道初期支护系统的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JPH0630750B2 (ja) 漏れ水の迷走流出に対してごみ捨て場を保護する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321675Y1 (ko) 지하구간별 취수장치
JP5780855B2 (ja) 地下水揚水装置
JP2007285090A (ja) 根切り地盤の地下水位低下方法および同方法に使用する注入・揚水併用井戸
JP2007100416A (ja) 通水用鋼矢板、および通水土留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80114528A (ko) 지하수 관정개발 시공 방법
KR20220084868A (ko) 그라우트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0806938B1 (ko) 그라우팅액을 하향주입하여 충진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심정의 그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100828710B1 (ko) 연약지반천공장치
KR100373927B1 (ko) 굴착공의 지표수 유입차단장치 및 공법
JP3672638B2 (ja) 掘削用ビット
JP2005120738A (ja) 取水装置
JPS5948518A (ja) 地盤注入工法
JP2002242240A (ja) 井戸の揚水方法及び井戸の揚水ポンプ装置
JPH0429808B2 (ko)
KR200371275Y1 (ko) 팽창튜브를 장착한 지하수 심정용 굴착비트 유도 장치
CN219870459U (zh) 一种水文地质勘测取样装置
JP6480745B2 (ja) 注水井戸の設置方法
JP3895241B2 (ja) 地中連続壁の通水路形成パイプ部材、通水路を有する地中連続壁および地中連続壁の通水路形成方法
JPH1171983A (ja) 深井戸の掘削方法
KR100706130B1 (ko) 집수정의 취수공법
JP4555983B2 (ja) 消防用集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