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623Y1 -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623Y1
KR200321623Y1 KR20030012101U KR20030012101U KR200321623Y1 KR 200321623 Y1 KR200321623 Y1 KR 200321623Y1 KR 20030012101 U KR20030012101 U KR 20030012101U KR 20030012101 U KR20030012101 U KR 20030012101U KR 200321623 Y1 KR200321623 Y1 KR 200321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ransmission window
light
bulb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2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동
Original Assignee
오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동 filed Critical 오영동
Priority to KR20030012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6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623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체로 이루어진 투과창을 마련한 후, 이 투과창이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생산원가는 절감되고 조립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접속단자에 형성된 장홈을 통하여 전구는 간편하게 접속단자에 결합 분리되게 하며, 전구에서 발생된 열은 냉각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Interior lamp structure for container cars}
본 고안은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체로 이루어진 투과창을 마련한 후, 이 투과창이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생산원가는 절감되고 조립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접속단자에 형성된 장홈을 통하여 전구는 간편하게 접속단자에 결합 분리되게 하며, 전구에서 발생된 열은 냉각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은 주로 컨테이너의 화물적재공간의 내부 천정면이나 측벽면에 결합되어 어두운 차량의 내부에 빛을 조명하여 각종 물품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컨테이너에 설치 사용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종래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4에서와 같이 천정면이나 벽면등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결합되어 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소켓)(5)와, 상기 하우징(1) 전면에 결합되어 불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창(2)과, 상기 투과창(2)을 하우징(1)에 결합시키는 커버(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실내등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 즉, 차량의 내부에 빛을 조명하여 각종 물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투과창(2)이 별도의 커버(3)에 의해 하우징(1)에 결합되고, 이 커버(3)는 체결부재(6)를 통하여 하우징(1)에 설치 고정되기 때문에 부품수 증가에 따른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될뿐 아니라, 전구(4) 교환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부재(6)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고 전구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또한, 전구 교환시 접속단자(5) 즉 소켓에서 전구(4)를 나사식으로 돌려 교환하거나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전구 교환작업이 불편할 뿐 아니라, 종래 실내등에는 별도의 냉각홈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전구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실내등이 타거나 녹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 수명이 단축되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일체로 투과창을 형성하고, 이 투과창은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생산원가는 절감되고 조립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홈을 통하여 전구가 접속단자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조립시나 전구 교환시 간편하게 접속단자에서 전구가 접속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구에서 발생된 열은 냉각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장시간 사용시 전구열에 의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4는 종래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투과창 30 ; 전구
40 ; 걸림턱 50 ; 접속단자 51 ; 접속홈
60 ; 장홈 70 ; 냉각홈 80 ; 삽입홈
81 ; 안내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하우징의 좌우측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삽입홈 및 안내홈과, 투과창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의해 투과창이 하우징에 결합되게 하는 것과,
전구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의 접속홈에 장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전구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홈이 하우징 상단에 다수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이며, 도3은 도1의 B-B선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의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도 컨테이너 차량의 천정면이나 벽면등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전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50)와, 상기 하우징(10) 전면에 결합되어 불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창(20)으로 이루어지며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실내등의 구조를 변경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실내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의 좌우측에 삽입홈 (80)및 안내홈(81)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는 투과창(20)은 단일체로 사출 성형되는데, 투과창(20)의 좌우측에는 상기 삽입홈(80) 및 안내홈(81)에 삽입 안내되어 투과창(20)을 하우징(10)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게 하는 걸림턱(40)이 형성된다.
전구(30)의 양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50)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며, 접속홈(51)에 전구(30)가 간편하게 안착 접속될 수 있도록 장홈(6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0) 상단에는 전구(3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냉각홈(70)이 형성되고, 이러한 냉각홈(70)의 형상은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구(3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면 원형, 타원형, 사각형등과 같은 여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전구 빛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의 내부 천정면에 공지의 반사판(도시하지 않음)등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설명 부호 90은 하우징을 차량의 실내 천정면이나 벽면등에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구(30)의 양단부를 접속단자(50)에 각각 위치시킨 후 약간 강압적으로 밀면 접속단자(50)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이때 장홈(60)을 따라 접속단자의 접속홈(51)에 전구(30)가 삽입 안착되어 접속단자(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부재(90)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 천정면이나 벽면에 하우징(10)을 체결 고정시킨 다음 투과창(20)의 걸림턱(40)을 하우징(10)의 삽입홈(80)에 삽입시킨다. 이후 투과창(20)을 안내홈(81)쪽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턱(40)이 안내홈(81)을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투과창(20)은 하우징(10)에 간편하게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에 투과창(20)이 조립된 상태에서 전구(30)를 교환하고자 할때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투과창(20)을 회전시켜 하우징(10)에서 분리하고 전구(30)를 간편하게 교환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일체로 투과창이 형성되어 있고, 이투과창은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생산원가는 절감되고 조립작업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접속단자에 형성된 장홈을 통하여 전구가 접속단자에 접속 불리 가능하기 때문에 전구 교환시나 조립시 간편하게 접속단자에서 전구가 접속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구에서 발생된 열은 하우징에 형성된 냉각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등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되고, 이에따라 전체적인 실내등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컨테이너 차량의 천정면이나 벽면등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전구(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50)와, 상기 하우징(10) 전면에 결합되어 불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창(20)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좌우측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삽입홈(80) 및 안내홈(81)과, 투과창(20)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걸림턱(40)에 의해 투과창(20)이 하우징(10)에 결합되게 하는 것과, 전구(30)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50)의 접속홈(51)에 장홈(6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전구(3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홈(70)이 하우징(10) 상단에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KR20030012101U 2003-04-19 2003-04-19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KR200321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2101U KR200321623Y1 (ko) 2003-04-19 2003-04-19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2101U KR200321623Y1 (ko) 2003-04-19 2003-04-19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623Y1 true KR200321623Y1 (ko) 2003-07-31

Family

ID=4933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2101U KR200321623Y1 (ko) 2003-04-19 2003-04-19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6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5372B (zh) 灯管固定结构
US11041608B2 (en) Luminaire
EP0863586B1 (en) Support for fluorescent lamp
KR200321623Y1 (ko) 컨테이너 차량용 실내등 구조
JP4738928B2 (ja) 車両用室内灯の防熱構造
US7090381B2 (en) Fluorescent utility light
CN211649874U (zh) 一种可拆卸的发光模组及应用其的灯具
KR200414480Y1 (ko) 차량 램프용 엘이디 모듈
CN211289977U (zh) 一种组装式灯具
CN211574917U (zh) 一种简易拆装驱动盒的灯具
CN213630135U (zh) 吸顶灯
KR200168931Y1 (ko) 냉장고용 램프소켓
CN213810135U (zh) 红外感应led灯具
CN210179425U (zh) 一种照射角度大的支架灯
CN216243698U (zh) 一种球泡灯
CN217928412U (zh) 一种便于装配的台灯
CN218626589U (zh) 灯具组件和具有其的车辆
KR200261304Y1 (ko) 형광램프
CN216243704U (zh) 一种带滑动开关的t8堵头构件及灯具
KR200282574Y1 (ko) 형광등기구의 소켓커버 조립구조
KR0133322Y1 (ko) 자동차룸램프용 전구소켓
KR200310765Y1 (ko) 끼움조립이 가능한 형광등기구
KR200358926Y1 (ko) 소켓 커버형 형광등 조립체
US7014334B2 (en) Coupling mechanism of flashlight components
JPS5832161Y2 (ja) ランタン付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