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507Y1 -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507Y1
KR200321507Y1 KR20-2003-0012883U KR20030012883U KR200321507Y1 KR 200321507 Y1 KR200321507 Y1 KR 200321507Y1 KR 20030012883 U KR20030012883 U KR 20030012883U KR 200321507 Y1 KR200321507 Y1 KR 200321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fire extinguisher
solenoid
automatic fir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오성
시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텍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텍,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텍
Priority to KR20-2003-0012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자동식 소화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 중 제어기 회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후 소화기용기와 작동장치의 분리없이 소화액을 충전시킬 수 있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소화기용기에 결합되어 소화액의 분출의 통제하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용기에 체결되며 소화기용기 내에 저장된 소화액을 분출하는 제 1,2 분출통로 및 호스연결부가 구비된 저장용기 연결부와, 상기 저장용기 연결부의 상부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 및 상기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과 나사결합되고 상단부에 소화액이 충전되는 충전구멍이 형성되며 내부 소정위치에 잠금키홈이 형성된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연결내관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외부에 감겨진 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에 삽입되어 제 2 분출통로를 차단하며 코일에 전류 인가 시 상승하여 제 2 분출통로를 개방하는 이동막대와, 상기 이동막대의 상부로 삽입·고정된 주 스프링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충전구멍에 삽입되어 주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충전구멍을 차단하는 충전밸브와, 상기 이동막대의 측면부에 삽입·설치되어 이동막대의 상승 시 잠금키홈에 삽입되는 잠금키로 구성된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Mechanical operation device of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액이 분출되는 분출통로를 개폐하는 이동막대를 솔레노이드 방식에 의해 구동토록 하는 한편, 지속적인 전기공급 없이 분출통로의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고층 아파트 또는 영업장의 주방 등과 같은 화기 사용 지역에 의무적으로 자동식 소화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식 소화기는 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소화기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이렇게 화재 신호를 감지한 제어부는 소화액의 분출을 통제하는 작동로드를 작동시킴으로서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5를 통해 살펴보면,모터(101)의 구동력을 다수의 기어(102,103)와 테이퍼형 래크(104)를 통해 누름핀(105)으로 전달하여 누름핀이 상하로 움직이며 소화액의 분출을 통제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평상 시 스프링(107)의 반발력과 내부 압력으로 연결통로(108)는 누름핀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화재발생시 센서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가 발생되어 모터 전원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가 회전하여 모터 축에 부착된 기어(102)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기어 및 여러개의 피니언 기어(103)를 통해 감속하여 테이퍼형 래크(104)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테이퍼형 래크(104)는 래크레일(106)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테이퍼형 래크에 의해 누름핀이 하강하여 연결통로가 개방됨으로써 소화기용기(109) 안에 있는 소화액이 분출되어 방출 연결관(110)을 따라 노즐로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자동식 소화기는 소화액 충전 시 소화기용기와 작동장치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소화기용기 내부에 소화액을 충전시킨 다음, 헤드목형(111)이 소화기용기에 조립되고, 별도의 치공구를 이용하여 누름핀을 눌러준 후, 방출 할 때의 역으로 방출 연결관 앞에 있는 방출구로 일정한 압력만큼 충전하고, 치공구를 제거해 압력이 빠지지 않게 하며, 작동장치를 초기화 상태로 한 다음 소화기 헤드부에 개폐장치인 작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소화액 충전을 완료할 수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자동식 소화기는 헤드목형과 작동장치가 따로 분리해 있어 소화액 충전시도 복잡하고 부피도 크고 조립과 설치 상에 불편함이 있으며 공수도 많고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주방의 습한 환경으로 인해 동작상에도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작동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소화액의 분출이 시작되면 기계적인 분출통로 열림유지장치가 작동되어 지속적인 전기 공급으로 인해 제어기 부분이 과열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식 소화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 중 제어기 회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후 소화기용기와 작동장치의 분리없이 소화액을 충전시킬 수 있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 는 종래의 자동식 소화기 작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용기 연결부 (11) : 체결부
(12) : 제 1 분출통로 (13) : 제 2 분출통로
(14) : 호스연결부 (15) : 지시압력계 부착홈
(16) : 압력검지장치 부착홈 (20) : 솔레노이드 연결내관
(21) :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 (22) :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
(23) : 충전구멍 (24) : 충전어댑터
(25) : 잠금키홈 (30) : 이동막대
(31) : 잠금키 (32) : 스프링
(33) : 주 스프링 (40) : 충전밸브
(41) : 삽입부 (42) : 차단부
(50) : 코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소화기용기에 결합되어 소화액의 분출의 통제하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용기에 체결되며 소화기용기 내에 저장된 소화액을 분출하는 제 1,2 분출통로 및 호스연결부가 구비된 저장용기 연결부와, 상기 저장용기 연결부의 상부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 및 상기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과 나사결합되고 상단부에 소화액이 충전되는 충전구멍이 형성되며 내부 소정위치에 잠금키홈이 형성된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연결내관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외부에 감겨진코일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에 삽입되어 제 2 분출통로를 차단하며 코일에 전류 인가 시 상승하여 제 2 분출통로를 개방하는 이동막대와, 상기 이동막대의 상부로 삽입·고정된 주 스프링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충전구멍에 삽입되어 주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충전구멍을 차단하는 충전밸브와, 상기 이동막대의 측면부에 삽입·설치되어 이동막대의 상승 시 잠금키홈에 삽입되는 잠금키로 구성되어 센서에 의해 화재신호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외부에 감겨진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코일의 자화에 의해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막대가 상부로 이동하며 소화액을 분출시킴으로서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된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를, 도 2 는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 3 은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 4 는 본 고안의 솔레노이드 연결내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는 종래의 헤드목형에 해당되는 저장용기 연결부(10)와 소화액의 분출을 통제하는 작동기구가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용기 연결부(10)와 소화기용기가 체결되어 센서에 의한 화재신호 감지시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출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저장용기 연결부(10)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11)가 저면에 구비되어소화기용기와 체결되는 한편, 양측면에 지시압력계와 압력검지장치가 설치되는 지시압력계 부착홈(16)과 압력검지장치 부착홈(16)이 각각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체결부(11)의 상부로는 소화기용기의 소화액을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으로 전달하는 제 1 분출통로(12)가 형성되는 한편,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소화액을 외부 분출하기 위한 제 2 분출통로(13)가 저장용기 연결부(10)에 구비되며, 소화기용기의 측면에는 제 2 분출통로(13)와 연통되며 별도의 호스가 연결되는 호스연결부(14)가 형성되었다.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은 저장용기 연결부(10)의 상부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1)과, 상단부에 소화액이 충전되는 충전구멍(23)이 형성되며 내부 소정위치에 잠금키홈(25)이 형성된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2)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1)의 상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2)의 하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구멍(23)에는 미도시된 충전구가 나사결합되는 충전어댑터(24)가 구비되는 한편, 충전밸브(40)가 설치되며, 이 충전밸브(40)는 충전구멍(23)에 삽입되는 삽입부(41)와, 충전구멍(23)을 차단하는 차단부(4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충전구멍(23)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외측에는 코일(50)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코일(50)은 미도시된 센서 및 전원공급부를 통해 화재신호감지 시 전류를 공급 받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일(5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외측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내부에는 코일(50)의 자화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제 2 분출통로(13)를 개방하는 이동막대(30)가 설치되고, 이 이동막대(30)의 측면부에 스프링(32)에 의해 탄설된 잠금키(31)가 구비되어 이동막대(30)의 상승 후 잠금키홈(25)에 잠금키(31)가 삽입됨으로써 제 2 분출통로(13)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상기 이동막대(30)의 상단부에는 주 스프링(33)이 설치되고, 이 주 스프링(33)은 일측이 이동막대(3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타측이 충전밸브(40)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충전밸브(40)를 바깥쪽을 밀어냄으로써 충전구멍(23)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내부에는 제 1 분출통로(12)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이 가득 차 있게 되고, 이때 충전밸브(40) 및 이동막대(30)는 주 스프링(33) 및 소화액의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충전구멍(23)과 제 2 분출통로(13)를 각각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미도시된 센서에 의해 화재신호가 감지되면, 센서는 화재신호를 전원공급부로 전달하고, 전원공급부는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외부에 감겨진 코일(50)로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코일(5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코일(50)이 자화되면서 이동막대(30)가 순간적으로 상승하여 제 2 분출통로(13)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이동막대(30)의 측면부에 설치된 잠금키(31)는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에 형성된 잠금키홈(25)에 삽입됨으로써 잠금현상이 발생되어 공급전류를 차단하여도 제 2 분출통로(13)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소화기용기내의 소화액이 전액 외부로 분출될 때까지 개방상태를 유지하여 안전하게 소화작업이 지속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 2 분출통로(13)의 개방에 의해 소화기용기내의 소화액은 제 1 분출통로(12)→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제 2 분출통로(13)→호스연결부(14)→호스를 통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소화기의 재사용을 위해 소화액을 충전할 경우,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2)을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1)으로부터 분리하여 잠금키홈(25)에 삽입된 잠금키(31)를 빼내어 초기상태로 세팅한 후 다시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2)을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1)에 조립한 다음, 충전구멍(23)을 통해 고압의 충전액을 공급하게 되면, 충전밸브(40)를 지탱하는 주 스프링(33)은 충전액의 공급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충전구멍(23)이 개방됨으로써 소화기용기에 소화액을 충전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코일의 자화에 의해 이동막대가 상승하여 소화액을 분출토록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제 2 분출구를 통해 소화액이 분출되는 동안 토출구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기구적인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기존의 기어방식에서 발생되는 제어부의 회로 가열을 방지하여 소화기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소화액 재충전이 용이하여 자동식 소화기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소화기용기에 결합되어 소화액의 분출의 통제하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용기에 체결되며 소화기용기 내에 저장된 소화액을 분출하는 제 1,2 분출통로 및 호스연결부(14)가 구비된 저장용기 연결부(10)와,
    상기 저장용기 연결부(10)의 상부 중앙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1) 및 상기 하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1)과 나사결합되고 상단부에 소화액이 충전되는 충전구멍(23)이 형성되며 내부 소정위치에 잠금키홈(25)이 형성된 상부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2)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외부에 감겨진 코일(50)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에 삽입되어 제 2 분출통로(13)를 차단하며 코일(50)에 전류 인가 시 상승하여 제 2 분출통로(13)를 개방하는 이동막대(30)와,
    상기 이동막대(30)의 상단부에 삽입·고정된 주 스프링(33)과,
    상기 솔레노이드 연결내관(20)의 충전구멍(23)에 삽입되어 주 스프링(33)의 반발력에 의해 충전구멍(23)을 차단하는 충전밸브(40)와,
    상기 이동막대(30)의 측면부에 삽입·설치되어 이동막대(30)의 상승 시 잠금키홈(25)에 삽입되는 잠금키(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KR20-2003-0012883U 2003-04-25 2003-04-25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KR200321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83U KR200321507Y1 (ko) 2003-04-25 2003-04-25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83U KR200321507Y1 (ko) 2003-04-25 2003-04-25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507Y1 true KR200321507Y1 (ko) 2003-07-31

Family

ID=4941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883U KR200321507Y1 (ko) 2003-04-25 2003-04-25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5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3659A (zh) * 2011-08-02 2013-02-06 基德科技公司 抑制剂致动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3659A (zh) * 2011-08-02 2013-02-06 基德科技公司 抑制剂致动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UD20000012A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e miscelazione dell&#39;acqua
EP2686267B1 (en) Dispensing system
KR100937601B1 (ko) 호스형 소화기
KR200321507Y1 (ko)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KR101460707B1 (ko)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장치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WO2000007706A1 (en) Apparatus for a soda machine
US7523768B2 (en) Installation for the filling of a receptacle, in particular an aerosol receptacle
KR200448047Y1 (ko) 소공간용 자동 및 수동밸브 소화시스템
JP2011050581A (ja) 簡易自動消火装置
KR200321508Y1 (ko) 기폭식 작동장치가 구비된 자동식 소화기
DK174171B1 (da) Ventil til brandslukningsinstallationer
KR200335469Y1 (ko) 수변전 설비용 자동 소화 장치
CN107634372A (zh) 一种供电插座
KR100646768B1 (ko) 가스소화기용 자동개방밸브
KR200187081Y1 (ko)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KR200360580Y1 (ko) 가스소화기용 자동개방밸브
KR20230082972A (ko) 수동 겸용 자동소화기
KR200226897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KR102043164B1 (ko) 화재진압 기동시스템
KR102423982B1 (ko) 슬로싱이 감소된 dc 모터 타입 철도차량 화재진압 장치
KR100399600B1 (ko) 자동 화재방지장치
KR100701616B1 (ko) 소화설비용 밸브 작동장치 및 소화설비 시스템
CN209500607U (zh) 一种柜式灭火装置
KR20040092138A (ko) 기폭식 작동장치가 구비된 자동식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