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401Y1 -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401Y1
KR200321401Y1 KR20-2003-0012320U KR20030012320U KR200321401Y1 KR 200321401 Y1 KR200321401 Y1 KR 200321401Y1 KR 20030012320 U KR20030012320 U KR 20030012320U KR 200321401 Y1 KR200321401 Y1 KR 200321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nnel
main body
softener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테크
Priority to KR20-2003-0012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는 금속을 사용하여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와, 수로들을 별도로 성형해야 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수돗물이 공급되는 제1수로와, 연수처리된 수돗물을 수전으로 공급하는 제2수로를 내측에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수로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연수기로 공급할 수 있는 제1연결관과, 상기 본체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수기에서 연수처리된 수돗물을 본체의 제2수로에 공급할 수 있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되며, 그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하여 보다 가볍고, 가격을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전 연결장치 내부의 수로의 직경을 종래에 비하여 보다 확대시킴으로써, 수압의 증가를 방지하여 연수를 공급할 때 또는 차단할 때 연수기의 물통에 걸리는 수압을 줄여 연수기의 안정성과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CONNECTOR FOR WATER FAUCET OF SOFTNER}
본 고안은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하여 그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 등에 사용하는 수전 연결장치는 공급되는 수돗물을 연수기에 공급하며, 수전을 통해 사용자가 연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연결장치이다.
종래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는 금속 재질이며, 연수기 측으로 물의 공급과, 연수기의 물을 수전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 1은 종래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수기로 물을 공급하는 제1연결관(10)과, 연수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전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연결관(20)이 본체(3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연결관(10,20)은 각기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그 본체(30)에 돌려 삽입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하기 위한 구조이며, 이는 연결관과 본체를 각각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상기 본체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30)의 내측 중앙부에는 격벽(40)이 위치한다.
상기 격벽(40)에 의해 두개의 분리된 수로(11, 21)가 형성되며, 그 수로(11, 21)에는 각각 제1연결관(10)과 제2연결관(2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최초 수돗물은 수로(11)를 통해 공급되며, 이는 제1연결관(10)을 통해 연수기로 공급되어진다.
이처럼 공급된 수돗물은 연수기 내에서 연수처리되며, 사용자가 수전을 열어 연수된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연수처리된 물은 제2연결관(20)을 통해 본체(30)의 수로(21)을 통해 배출되며, 이는 수전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본체(30)는 실내의 상수도 파이프에 연결되며, 실제로 연수기 또는 수전에 공급되는 물은 직경이 보다 작은 수로(11,21)를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수압이 증가하게 된다.
즉, 수돗물이 공급되는 압력과, 물을 사용한 후 수전을 닫을 때 발생하는 백압(BACK PRESSURE}이 모두 강해지며, 이는 연수기 내부의 물통 등에 더 큰 압력을 주기 때문에 물통이 터지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30)와 제1 및 제2연결관(10,20)은 일체형으로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있으며, 이는 단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부품수의 증가에 의해 결함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체(30)의 구조를 형성한 후에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0,20)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해야 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0,20)을 형성한 후에는 그 삽입구에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을 나사형태로 가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가공공정으로 인해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결합된 것이므로, 그 결합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본체와 연결관이 일체화된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다 가볍고, 제품의 가격이 낮으며, 설치가 용이한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돗물이 공급되는 제1수로와, 연수처리된 수돗물을 수전으로 공급하는 제2수로를 내측에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수로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연수기로 공급할 수 있는 제1연결관과, 상기 본체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수기에서 연수처리된 수돗물을 본체의 제2수로에 공급할 수 있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본체의 횡방향 중앙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본체의 횡방향 중앙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본체의 종방향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연결관 11 : 수로
20 : 제2연결관 21 : 수로
30 : 본체 40 : 격벽
50 : 연결부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는 플라스틱 재질이며, 본체(30)와 제1 및 제2연결관(10,20)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본체(30)의 양단 각각은 내측 또는 외측에 나사산을 가지며 이는 실내의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50)로 작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0,20)은 본체(3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0,20)의 표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은 연수기를 연결함에 있어, 튜브 또는 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언급한 튜브 또는 관의 내측에는 금속편이 다수 내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0,20)에 삽입할 때에는 용이하게 삽입되나, 이를 제거할 때는 그 금속편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0,20)의 홈에 걸리게 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30)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를 가지며, 상기 본체(30)가 가지는 소정부분의 두께를 제외한 전면에 위치하는 수로(11,21)와, 그 수로(11,21)를 구분하는 본체 중앙의 내측에 위치하는 격벽(40)과, 상기 수로(11,21)에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관(10,20)이 제공하는 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의 격벽은 그 연결장치의 재질이 금속인 것에 기인하여, 속이 채워진 본체를 성형한 후, 그 본체에 수로를 형성하여 수로의 횡방향을 따라 위치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는 수로의 면적을 줄이는 요인이 되며, 이로 인해 수압의 증가가 불가피 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는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의 격벽(40)은 수로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위치하여, 수로의 관경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는 실내로 연결되는 상수도관의 관경과 동일한 것으로 수압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체(30) 내의 수로(11,21)의 직경을 증가시키면 연수를 사용하거나, 사용을 중단할 때 연수기 내의 물통에 걸리는 수압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연수기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그 연수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로(11)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은 제1연결관(10)을 통해 연수기로 공급되며, 연수기에서 연수 처리된 물은 제2연결관(20), 수로(21)를 통해 수전으로 공급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는 그 재질이 플라스틱이면서도 수압에 견디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것이어야 하며, 착색이 용이하도록 하여, 금속의 광택을 가지는 도색을 할 수 있는 ABS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연결관(10,20)과 본체(30)가 일체화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본체(30)에 격벽(4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가 가지는 또 다른 특징으로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가볍고, 저가이며, 제조공정이 간단한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금속을 이용하여 본체와 제1 및 제2연결관을 별도로 제작하고, 본체에는 수로와 상기 연결관들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형성해야 하는 과정을 거치며, 그 연결관들의 일측에도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나사산 형성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이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며,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도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는 플라스틱 수지의 사출성형으로 전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생산 소요 시간이 단축되며,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종방향 중앙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관(10,20)은 본체(30)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수로(11,21)는 그 직경이 본체(30)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의 직경을 가진다.
상기 수로(11,21)의 사이에는 격벽(40)이 위치한다.
이처럼 격벽(40)의 구조에 의해 수로(11,21)의 직경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설명한 연수기 물통에 가해지는 수압을 줄이는 요인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각 구성요소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보다 가볍고, 제품 가격을 낮추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전 연결장치 내부의 수로의 직경을 종래에 비하여 보다 확대시킴으로써, 수압의 증가를 방지하여 연수를 공급할 때 또는 차단할 때 연수기의 물통에 걸리는 수압을 줄여 연수기의 안정성과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돗물이 공급되는 제1수로와, 연수처리된 수돗물을 수전으로 공급하는 제2수로를 내측에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수로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연수기로 공급할 수 있는 제1연결관과,
    상기 본체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수기에서 연수처리된 수돗물을 본체의 제2수로에 공급할 수 있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로 및 제2수로는 그 수로의 종단면이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그 제1수로 및 제2수로는 본체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은 외주면을 따라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1연결관, 제2연결관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KR20-2003-0012320U 2003-04-22 2003-04-22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KR200321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20U KR200321401Y1 (ko) 2003-04-22 2003-04-22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320U KR200321401Y1 (ko) 2003-04-22 2003-04-22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401Y1 true KR200321401Y1 (ko) 2003-07-31

Family

ID=4941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320U KR200321401Y1 (ko) 2003-04-22 2003-04-22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4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204B2 (en) Pipe fitting for connecting between a metal piece of plumbing and a polymer piece of plumbing
US6435568B1 (en) Tube joint having tightening member for accommodating tubes of varying wall thickness
US8172275B2 (en) Composite polymeric transition pipe fitting for joining polymeric and metallic pipes
US20090078325A1 (en) Water outlet device for a plastic faucet
CN104563224B (zh) 卫生用水龙头
US20170328042A1 (en) Wall faucet
MX2013009452A (es) Elemento conector.
KR100878840B1 (ko)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KR200321401Y1 (ko) 연수기의 수전 연결장치
US6712094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aucet water discharge tube and faucet body
CN112128431A (zh) 单向阀及应用有该单向阀的燃气热水器
JP2006328793A (ja) 配管構造
CN100441927C (zh) 水龙头出水管的连接结构
CN210397810U (zh) 一种龙头出水构件
CN107002924A (zh) 管接头及淋浴软管连接结构
CN101430020B (zh) 柱式水龙头
CN110454600A (zh) 抽取式龙头的阀芯座固定结构以及抽取式龙头
TWI810779B (zh) 閥座及其加工方法以及水龍頭
KR20210046307A (ko) 피팅용 페럴 조립체
TWI723672B (zh) 管接頭及卡固構件
US5275190A (en) Faucet having an easily installable spout
KR200171944Y1 (ko) 세탁기의급수밸브
CN221683681U (zh) 一种分体式淋浴龙头
KR102417758B1 (ko) 스크류 결합구조를 갖는 호스 커넥팅 어셈블리
CN219472816U (zh) 一种净水龙头的塑胶集成水路的耐压冲击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