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171Y1 - 조립식 건축용 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171Y1
KR200321171Y1 KR20-2003-0013639U KR20030013639U KR200321171Y1 KR 200321171 Y1 KR200321171 Y1 KR 200321171Y1 KR 20030013639 U KR20030013639 U KR 20030013639U KR 200321171 Y1 KR200321171 Y1 KR 200321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aming agent
lightweight
water
build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20-2003-0013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부재로 경량기포모르터를 사용하여 내화성이 우수하고,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며, 흡수율이 낮고, 침하를 방지하는 조립식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단열부재가 내설된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슬러리와 기포 혼합제인 경량기포모르터로 성형되어지되,
상기 슬러리는 시멘트와 광미분과, 발수제와, 유동화제와, 분말발포제와, 물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포제는 기포제와 물을 기포발생기에 의해 혼합되도록하여, 상기 경량기포모르터를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용 판넬{Prefabricated construction panel}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부재로 경량기포모르터를 사용하여 내화성이 우수하고,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며, 흡수율이 낮고, 침하를 방지하는 조립식 건축용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과 건설현장에 건축물을 건설할 때는 조립식 건축용 판넬(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립식 건축용 판넬은 지붕용과 벽체용으로 구분된다.
상기된 조립식 건축용 판넬은 용도에 따라 형상의 차이가 있으나, 그 구조는 동일하며, 상기 구조를 살펴보면, 철판 또는 강판 사이에 단열부재로 스치로폴를 내설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치로폴은 EPS는 화학명으로 Expandable Polystyrene(발포폴리스티렌)이라 하며 폴리스티렌수지에 펜탄(Pantane : C5H12)이나 부탄과 같은 발포제를 첨가시켜 가열 경화시킴과 동시에 기포를 발생시켜 발포수지로 만든 것으로서 스티렌모노머(Styrene Monomer : C8H8)을 중합시켜 제조한다.
또한, 상기 스치로폴은 발포제를 함유하고 있는 스티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 종류에 따라 직경 0.2m~0.3m 의 조그만 비이드(Bead)나 길이 약 2.5m, 직경 약 0.6m 인 원주형 펠레트(pellets) 상태로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된 스치로폴은 보온, 단열 효과는 우수하나, 내화성(耐火性) 낮아 화재 발생률이 높아지고, 또한 화재시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를 발생되어 인명피해가 증가되며, 흡수율이 높아 스치로폴과 철판 또는 강판 사이에 충진된 스치로폴이 이탈되어 판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온과 단열효과가 우수한 것은 물론이고, 내화성이 높아 화재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화재시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흡수율이 낮아 판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판넬를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단열부재가 내설된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슬러리와 기포 혼합제인 경량기포모르터로 성형되어지되,
상기 슬러리는 시멘트와 광미분과, 발수제와, 유동화제와, 분말발포제와, 물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포제는 기포제와 물을 기포발생기에 의해 혼합되도록하여, 상기 경량기포모르터를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의 사시도.
도 2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립식 건축용 판넬 10 : 전면판
20 : 후면판 30 : 경량기포모르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건축용 판넬은 전면판과 후면판과 단열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은 조립식 건물의 외장이 되는 것으로, 이는 철판 또는 강판으로 구성되고, 시각적 미감을 수려하도록 하기 위해 칼라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판은 조립식 건물의 내장이 되는 것으로, 이는 철판 또는 강판으로구성되고, 실내에서는 외관이 수려하도록 도장 또는 도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부재는 슬러리와 기포를 혼합하여 성형한 경량기포모르터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슬러리는 시멘트와 광미분과 유동화제와 분말발포제와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이다.
여기서, 상기 슬러리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시멘트와 광미분과 발수제와 유동화제와 분말발포제와 물을 전동믹서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으로, 상기 재료의 혼합비율을 시멘트59.5 중량%와 광미분 17중량%와 발수제 2.4중량%와 유동화제0.09중량%와 분말발포제 0.01중량%와 물 21중량%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포는 기포제와 물을 혼합하여 기포발생기를 이용하여 기포를 제조하는 것으로, 기포제와 물을 1 : 30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기포제는 동물성, 식물성, 고분자계의 기포제가 있으며, 사용되는 기포제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물과 혼합하여 기포발생기에 의해 기포를 제조하여 제근물의 경량화를 도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러리와 기포의 혼합비율은 부피비율로 슬러리 1 : 기포 1.4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물을 성형할 때에는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타설한 후, 상기 성형틀에 타설된 경량기포 슬러리를 180℃에서 증기압 10㎏/㎠로 18시간 양생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양생이라 함은 온도 ·하중 ·충격 ·오손 ·파손 등의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충분히 보호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양생은 보양(保養)이라고도 하며, 콘크리트는 경화를 계속하여 28일이 지나면 거의 최종압축강도에 도달하며, 이때까지는 시멘트의 화학작용이 계속되므로 일광의 직사, 한기(寒氣), 풍우(風雨)를 피하고 콘크리트의 수화작용(水和作用)을 촉진하기 위하여 거적이나 포장 등을 덮어 씌워 하절기에는 7일 이상, 보통은 5일 이상 살수(撒水)하여 습윤(濕潤)을 유지하고, 한랭기에는 5일간은 2 ℃ 이하가 되지 않도록 보온을 하여야 한다. 타설(打設) 후, 파손되기 쉬우므로 충격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이때, 단시일 내에 소요강도를 내기 위하여 고온 또는 고온고압증기로 양생하는 증기압을 이용한 증기양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증기압으로 양생된 혼합제를 성형틀에서 제거한 후, 충분한 시간동안 자연양생시켜 경량기포모르터의 강도를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경량기포모르터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내설하게 되는데, 이는 경량기포모르터를 일정 규적의 두께로 절단하여 전면판과 후면판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량기포모르터의 두께는 사용분야에 따라 다양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식 건축용 판넬의 종류(지붕용, 벽체용 등등)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것 역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이라 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보온과 단열효과가 우수한 것은 물론이고, 내화성이 높아 화재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화재시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아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흡수율이 낮아 판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판넬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단열부재가 내설된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슬러리와 기포 혼합제인 경량기포모르터로 성형되어지되,
    상기 슬러리는 시멘트와 광미분과, 발수제와, 유동화제와, 분말발포제와, 물의 혼합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포제는 기포제와 물을 기포발생기에 의해 혼합되도록하여, 상기 경량기포모르터를 성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모르터는 비중을 0.2 ~ 0.7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판넬.
KR20-2003-0013639U 2003-05-01 2003-05-01 조립식 건축용 판넬 KR200321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39U KR200321171Y1 (ko) 2003-05-01 2003-05-01 조립식 건축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39U KR200321171Y1 (ko) 2003-05-01 2003-05-01 조립식 건축용 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852A Division KR20040093964A (ko) 2003-04-30 2003-04-30 조립식 건축용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171Y1 true KR200321171Y1 (ko) 2003-07-22

Family

ID=4941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639U KR200321171Y1 (ko) 2003-05-01 2003-05-01 조립식 건축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1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301A1 (ko) * 2014-04-30 2015-11-05 김광영 설 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방지를 위한 기능성 지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301A1 (ko) * 2014-04-30 2015-11-05 김광영 설 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방지를 위한 기능성 지붕구조
KR101592519B1 (ko) * 2014-04-30 2016-02-05 김광영 설 하중에 의한 건축물 붕괴방지를 위한 기능성 지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8362B (zh) 泡沫混凝土自保温砌块及制作工艺和安装方法
CN102285778B (zh) 超轻质水泥基复合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265965A (zh) 一种气凝胶泡沫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CN103193419A (zh) 一种新型多功能发泡水泥板
CN104311108A (zh) 一种憎水型无机纳米保温板及其制备方法
CN103113064B (zh) 一种环保防火保温板及生产方法
CN207499193U (zh) 一种装配式建筑的绿色墙体保温结构
CN102807386A (zh) 一种仿钢纤维增强蜂窝水泥自保温填充墙体及其施工方法
KR200321171Y1 (ko) 조립식 건축용 판넬
US20170204655A1 (en) Prefabricated window sill
CN102828597A (zh) 节能石材、仿花岗岩一体装饰板及其生产方法
CN202831494U (zh) 节能石材、仿花岗岩一体装饰板
KR20040093964A (ko) 조립식 건축용 판넬
CN103306396A (zh) 一种墙体智能保温围护结构
KR20070011021A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콘크리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102797335B (zh) 节能石材、仿砂岩一体装饰板制作方法
CN102807352B (zh) 一种抗紫外线防火节能保温板的制备工艺
CN206154815U (zh) 保温免拆外模板
CN202214855U (zh) 一种新型的墙体
CN202831495U (zh) 节能石材、仿砂岩一体装饰板
CN206128364U (zh) 一种钢结构民用房屋建筑的剪力墙
CN107021720A (zh) 一种高强度保温防火泡沫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7265998A (zh) 一种节能环保的地板及其制备方法
CN2420359Y (zh) 整体式钢丝网架轻质发泡墙板
ES2277776B1 (es) Mezclas de yeso o escayola aligeradas con granulos de plastico expandi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