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904Y1 -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 Google Patents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904Y1
KR200320904Y1 KR20-2003-0002697U KR20030002697U KR200320904Y1 KR 200320904 Y1 KR200320904 Y1 KR 200320904Y1 KR 20030002697 U KR20030002697 U KR 20030002697U KR 200320904 Y1 KR200320904 Y1 KR 200320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valve
reservoir
spr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언
Original Assignee
한상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언 filed Critical 한상언
Priority to KR20-2003-0002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67D7/0294Combined with valves

Abstract

본 고안은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조에 공급되는 액체를 조절된 양만큼 정량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저장조에 정해진 액체가 공급된 경우에는 저장조 내의 액체를 전부 유출하기까지는 더이상의 액체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TANK USING FIXED QUANTITY SUPPLY DEVICE AND SUPPLY SUSPENSION DEVICE}
본 고안은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조에 공급되는 액체를 조절된 양만큼 정량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저장조에 정해진 액체가 공급된 경우에는 저장조 내의 액체를 전부 유출하기까지는 더이상의 액체 공급을 중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저장조는 밸브를 통해 일정한 양의 액체를 공급받고 이를 필요에 따라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액체 유입을 위한 밸브 또는 기타의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음이 통상적이며, 필요에 따라 정량 공급장치 또는 일정량의 액체가 유출된 경우 저장조에 자동으로 유출된 액체를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일정량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센서 등을 채택한 고가의 정량공급장치가 채택되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일회적으로 정량의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고가의 자동화된 정량 공급장치를 사용한다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을 요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저장조의 모든 액체를 유출한 후에야 다시 보충을 요하는 경우도 있다. 즉 적절한 농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의 혼합 액체 등에 있어서는 수시로 저장조에 액체를 보충하는 것은 부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에 의하면,
첫째, 저장조에 일정량의 액체를 공급하되 정해진 공급량에 도달하면 액체의 공급을 중단하되, 저장조의 모든 액체가 유출되기까지 중단상태를 유지하는 공급 중단장치를 제공하며,
둘째, 저장조에 정량의 액체를 투입해야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그 투입량을 조절하여 정량의 액체를 저장조에 투입하되, 기계식 작동에 의해 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량 투입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에 있어서, 상기 정량 투입장치는 제1 유입구(311), 체크밸브(312) 및 제1 유출구(313)를 포함하는 헤드부재(310)와 하부에 수나사부(321)를 형성하되, 하부고정부(513) 이동로(322)를 구비하여 구성된 원통체(300); 제2 유입구(411), 체크밸브(412), 제2 유출구(413) 및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된 유출관(420)을 포함하는 피스톤 부재(400); 상부고정부(511), 코일 스프링(512), 하부고정부(513),하부고정부 지지부재(514) 및 스프링 지지대(515)를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부(500); 및 암나사부(612)가 형성된 조절너트(611)를 구비하는 조절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 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급 중단장치는, 부표(113), 제1 연결부재(111) 및 부표 체결구(112)를 포함하는 유량 감지부(110); 제2 연결부재(121), 밸브 지지대(122), 밸브(123) 및 제3 연결부재(124)를 포함하는 밸브부(120); 및 제4 연결부재(131)와 손잡이(132)를 포함하는 개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급 중단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공급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 중단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 중단장치의 밸브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10 : 유량 감지부 111 : 제1 연결부재
112 : 부표 체결구 113 : 부표
120 : 밸브부 121 : 제2 연결부재
122 : 밸브 지지대 123 : 밸브
124 : 제3 연결부재 130 : 개방부
131 : 제4 연결부재 132 : 개방 손잡이
300 : 원통체 310 : 헤드부재
311 : 제1 유입구 312 : 체크밸브
313 : 제1 유출구 321 : 수나사부
322 : 하부고정부 이동로 400 : 피스톤 부재
411 : 제2 유입구 412 : 체크밸브
413 : 제2 유출구 420 : 유출관
500 : 스프링 구동부 511 : 상부고정부
512 : 코일 스프링 513 : 하부고정부
515 : 스프링 지지대 516 : 관통공
517 : 스프일 고정용 단턱 518 : 관통관
600 : 조절부 611 : 조절너트
612 : 암나사부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 중단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 중단장치의 밸브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중단장치는, 부표(113), 제1 연결부재(111) 및 부표 체결구(112)를 포함하는 유량 감지부(110); 제2 연결부재(121), 밸브 지지대(122), 밸브(123) 및 제3 연결부재(124)를 포함하는 밸브부(120); 및 제4 연결부재(131)와 손잡이(132)를 포함하는 개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량감지부(110)에 있어서 부표(113)는 저장조에 유입된 유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상기 부표 체결구(112)를 통해 상기한 제1 연결부재(111)에 연결된다. 상기 부표 체결구는 유량에 따라 부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절한체결구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는 그 끝단에 걸쇠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121)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부(120)에 있어서 제2 연결부재(121)는 그 끌단에 턱을 형성하여 전술한 제1 연결부재(110)와 연결되며, 상기한 제3 연결부재(124)는 그 끝단에 턱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4 연결부재(131)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밸브(123)는 유입관을 통해 액체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의 것을 채택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밸브 지지대(122)에 의해 유입관 내벽의 일정부위(150)에 지지되어 진다.
상기 개방부(130)에 있어서, 제4 연결부재(131)는 그 끝단에 걸쇠를 형성하여 전술한 제3 연결부재(124)와 연결되되, 이는 개방 손잡이(13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공급 중단장치의 밸브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는 4개의 날개로 된 밸브 지지대(122)를 가지며, 이는 유입관 내에 형성된 홈(150)에 걸쳐지는 구조로 하여 밸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밸브 지지대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날개의 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홈(150)에 전체적으로 걸쳐질 수 있는 디스크의 형상 등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 고안의 공급 중단장치의 작용을 일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조 내에 액체가 유입되면 상기한 부표(113)는 부력에 의해 투입된 액체면의 높이 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제1 연결부재(111)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부재(121)가 연동하며, 또한 상기 제2 연결부재에 밸브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상기 제3 연결부재가 연동되며, 상기 제3 연결부재는 개방 손잡이에 연결된 제4 연결부재(131)를 연동시킨다. 따라서 부표가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하면 이에 따라 각 연동된 연결부재간의 연동에 의해 밸브(123)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입관로를 폐쇄하여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한편 일정량의 액체가 유출됨에 따라 부표는 아래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111)는 윗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제1 연결부재의 이동이 제2 내지 제4 연결부재의 이동과는 무관하므로 밸브는 유입관을 폐쇄하여 공급중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조의 모든 액체가 유출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개방 손잡이(132)를 당겨 줌으로써 제4 연결부재가 윗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제3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가 연동하여 밸브가 열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액체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며, 도4a는 본 고안의 정량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4b는 본 고안의 정량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 공급장치는, 제1 유입구(311), 체크밸브(312) 및 제1 유출구(313)를 포함하는 헤드부재(310)와 하부에 수나사부(321)를 형성하되, 후술하는 하부고정부(513) 이동로(322)를 구비하여 구성된 원통체(300); 제2 유입구(411), 체크밸브(412), 제2 유출구(413) 및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된유출관(420)을 포함하는 피스톤 부재(400); 상부고정부(511), 코일 스프링(512), 하부고정부(513), 하부고정부 지지부재(514) 및 스프링 지지대(515)를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부(500); 및 암나사부(612)가 형성된 조절너트(611)를 구비하는 조절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체(300)에 있어서 헤드부재(310)는 적절한 유입관에 연결되어져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와, 일정량의 액체가 유입된 후에는 헤드부재의 내부에 적절하게 형성된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제1 유입구를 폐쇄하는 체크밸브(312)로 구성되고, 하부고정부의 이동로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조절너트(611)의 암나사부(612)와 결합하는 수나사부(321)가 형성되어진 원통의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부재(400)는 상기 제1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유출구(313)를 통해 유출되어 원통체 내부에 모여진 액체를 유입하는 제2 유입구(411)와,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일정량의 액체를 제2 유출구(413)를 통해 유출시키되, 일정량의 액체가 유출된 후에는 피스톤부재의 내부에 적절하게 형성된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 유입구(411)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41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유출구(413)는 피스톤부재(400)의 내부를 통해 유출관(420)에 연통된다. 상기 유출관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재료와 형상을 갖는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400)는 상기 원통체(300)의 내면에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착된다.
상기 스프링 구동부(500)는 원통체에 연결되어 코일스프링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511)와, 피스톤부재(400) 내부에 형성되고, 디스크 형상 또는 기타 적절한형상을 가지되, 코일 스프링 하부고정부(513)와 연결되어 상기 원통체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하부고정부 지지부재(514)를 포함한다. 한편 코일 스프링(512)은 상기 상부고정부(511)와 상기 하부고정부(513)간에 적절한 인장력을 갖는 것으로 채택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경우에 따라 1이상의 코일 스프링을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와 하부고정부 및 스프링 지지대를 포함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시된 바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스프링 구동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 지지대(515)에 의해 지지되되, 하부고정부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 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516)과 상부고정부의 스프링 지지대 관통관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517)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대는 하부고정부에 연결되어 상부고정부에 형성된 관통관(518)을 통해 상하 이동하며 이는 조절너트를 맨아래 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하여도 상부고정부의 관통관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일 스프링은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복원력을 갖는 소재 등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절부(600)는 상기한 원통체(300)의 수나사부(321)와 결합하는 암나사부(612)가 형성된 조절너트(611)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피스톤부재 이동한계 및 코일스프링의 이동한계를 정해줌으로서 결과적으로 유입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도3, 도4a 및 도4b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정량 공급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먼저 조절부(600)의 조절너트(61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조절너트를 우회전시키면 상향 이동하고, 좌회전시키면 하향 이동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 너트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코일스프링(512)이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길이는 조절너트(611)가 고정된 위치로 한정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400)의 내부에 형성되고, 디스크 형상 또는 기타 적절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코일 스프링 하부고정부(513)와 연결되어 상기 원통체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되는 하부고정부 지지부재(514)를 갖는 피스톤부재(400)의 최대로 하향 이동할 수 있는 길이도 상기 조절너트(611)가 고정된 위치에 한정된다.
상기한 조절너트의 위치는 액체의 양을 정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원통체에 눈금 등의 표시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미리 계산되어진 액체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액체의 정량을 상기한 조절너트의 위치를 통해 조절한 후에는 상기 피스톤부재(400)를 조절너트가 고정된 위치까지 잡아당기게 되며, 이 경우 피스톤부재가 하향 이동한 공간은 진공의 상태로 되어 상기 헤드부재(310)의 체크밸브(312)를 개방시키고 이에 따라 제1 유입구(311)에 연결된 유입관을 통해 조절너트(611)로 조절된 만큼의 정량의 액체가 유입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부재를 조절너트의 위치에서 놓아주면 상기 스프링 구동부(500)의 코일스프링(512)의 힘에 의해 피스톤부재(400)가 원위치(즉,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 복귀되는 위치)로 복귀하면서, 피스톤부재의 제2유입구(411)를 막고 있는 체크밸브(412)를 개방시켜 유입된 액체를 상기 제2 유출구(413)를 통해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유출된 액체는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된 유출관(420)을 통해 저장조에 공급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공급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저장조의 적절한 위치에 본 고안의 정량 공급장치 또는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장치를 모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1이상의 정량 공급장치 또는/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할 경우, 1이상의 정량 공급장치를 통해 적절한 양의 액체를 저장조에 공급하되, 기계적 장치에 의함으로써 저비용에 의한 경제적 이점을 살리고, 전자식 부품을 배제함으로써 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이상의 공급 중단장치를 통해 사용자는 일정량의 액체가 공급된 이후에는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가 모두 유출될 때까지 그 공급을 중단시켜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액체의 농도 등을 균일하게 유지시키되, 재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개방손잡이를 당겨 액체의 재공급을 가능케 하는 저가의 안정된 공급 중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정량 투입장치를 장착한 저장조에 있어서,
    상기 정량 투입장치는,
    유입관에 연결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유입구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에 따라 유입된 액체를 원통체 내부로 유출하는 제1 유출구를 포함하는 헤드부재와 하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되, 하부고정부가 원통체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구비하여 구성된 원통체;
    원통체 내부에 유입된 액체를 피스톤부재로 유입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를 개폐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에 따라 유입된 액체를 제2 유출구를 통해 유출시키되, 상기 제2 유출구에 연통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피스톤 부재;
    피스톤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이 고정되고 스프링 지지대가 관통하는 관통관을 구비한 상부고정부와, 스프링 지지대가 체결된 하부고정부와,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고 그 하단에는 스프링 고정용 관통공이 형성된 스프링 지지대를 구비하고, 하부고정부와 연결되어 형성된 피스톤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고정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부; 및
    상기 수나사부와 결합하여 좌,우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 투입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저장조에 유입된 유량을 감지하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체결구를 통해 연결되어 제2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유량 감지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되, 밸브 지지대에 의해 유입관 내의 홈에 지지되며 유입관을 통한 액체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연동되는 제4 연결부재와,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4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개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급 중단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3. 삭제
KR20-2003-0002697U 2003-01-28 2003-01-28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KR200320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97U KR200320904Y1 (ko) 2003-01-28 2003-01-28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97U KR200320904Y1 (ko) 2003-01-28 2003-01-28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253U Division KR200325220Y1 (ko) 2003-06-18 2003-06-18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904Y1 true KR200320904Y1 (ko) 2003-07-22

Family

ID=4933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697U KR200320904Y1 (ko) 2003-01-28 2003-01-28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31B1 (ko) 2007-05-30 2008-05-28 옥수산업 주식회사 무동력 약품 투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31B1 (ko) 2007-05-30 2008-05-28 옥수산업 주식회사 무동력 약품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97417A1 (en) Self-filling refrigerator water pitcher
US7832599B2 (en) Dispensing and/or dosing system
EP3434820A1 (en) Powdered and liquid chemical dispensing and distribution system
US20040035466A1 (en) Float valve
US8185976B2 (en) Flush valve mechanism
US6913035B2 (en) Water filler for water tank
KR200447871Y1 (ko) 물공급조절장치가 구성된 가습기
JPH04253693A (ja) 送液システム
JP3134917U (ja) 液体媒体を測定して輸送するための装置
US20020153044A1 (en)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ler with plural outlet float valve
KR200320904Y1 (ko) 정량 투입장치 및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EP0182663A2 (en) Flushing cistern
CN101784730B (zh) 用于在抽水马桶桶体中回注流体的双冲洗阀设备、抽水马桶桶体系统以及在抽水马桶中注入流体的方法
JP3700158B2 (ja) 液体供給装置
KR200325220Y1 (ko) 공급 중단장치를 장착한 저장조
US7007319B2 (en) Overflow device for bathtub
US6240573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etergent
WO2007141704B1 (en)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dosing liquid into a toilet cistern
US6826787B2 (en) Controller
IL145927A (en) Fluid dispensing device
US10942532B2 (en) Float valve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iquid level in vessels
JP2005308321A (ja) 給水装置および冷蔵庫
KR0127491Y1 (ko) 자판기의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190020918A (ko)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GB2130108A (en) Mixing and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