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817Y1 - 묶음구 - Google Patents

묶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817Y1
KR200320817Y1 KR20-2003-0011592U KR20030011592U KR200320817Y1 KR 200320817 Y1 KR200320817 Y1 KR 200320817Y1 KR 20030011592 U KR20030011592 U KR 20030011592U KR 200320817 Y1 KR200320817 Y1 KR 200320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elastic member
present
detachabl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종
Original Assignee
김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종 filed Critical 김호종
Priority to KR20-2003-0011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권취부를 이루는 신축성의 탄성부재 양단이 서로 접탈되는 묶음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묶음구는 고무줄이나 기타 신축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권취부를 이루는 탄성부재(12)와, 이 탄성부재(12)의 일단에는 암접탈부재(12)가, 타단에는 수접탈부재(16)가 각각 형성되어 권취부가 묶음상태로 유지되도록 양단을 연결고정 하는 접탈부재(12)(16)를 포함한다.
이 묶음구는 신축성을 갖고 권취되고, 그 양단이 연결될 수 있어 크기가 작은 부품들 혹은 부분들의 묶음이 쉽게 이루어지고, 묶음된 부분을 견고하게 연결유지하였다가 쉽게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묶음구{Binding utensil}
본 고안은 양단이 서로 접탈되는 끈(이하에서는 끈은 물론 신축성의 밴드등을 총칭하여 묶음구라함)에 관한 것이다.
끈이나, 신축성의 밴드등의 묶음구가 이용되는 경우는 대량의 물품을 차량이나 인력거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때 그 적재외부가 쓰러지지 않도록 묶어 지지하는 경우,다수의 물품을 구매한 뒤 이를 이동하기 편하도록 여러개를 겹쳐 쌓은 뒤 끈으로 묶는 경우, 혹은 서류다발을 묶거나 머리를 묶거나 하는 등의 간단한 신변도구등으로서 신축성의 끈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같은 끈,밴드등의 경우 대부분 묶음 처리후 고리나 끈의 양단을 묶게 되며, 알려진 고무밴드등의 경우와 같이 양단이 연결되어 서류철이나 작은 물품을 간단히 묶음처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양단이 분리되어 있는 끈의 경우 그 끝을 일일이 고리등에 걸거나 양단을 마주쳐 묶음을 주어야 비로소 묶음이 이루어지나 끈이 가늘거나 작은 물품을 묶기 위한 수단으로는 그 묶음처리가 불편하다.
또한, 고무밴드와 같이 신축성을 갖고 서류등을 밴딩하는 경우에도 때때로 줄을 늘여 감기위한 과정에서 끊어지거나 그 크기가 제한됨으로 인해 크기가 큰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단점도 있다.
따라서 묶음처리시 양단을 간단히 접탈하여 일일이 양단에 고리를 쳐서 지지고리등에 걸거나 사람의 손으로 잡아당겨 묶음을 주게 되는 불편함을 개선한 묶음구가 필요로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끈들의 사용구조가 갖는 단점을 개선하여 끈이나 신축성의 밴등의 양단을 묶지 않고도 간단히 접탈할 수 있는 묶음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묶음구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묶음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5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6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묶음구의 제 7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묶음구, 12:탄성부재, 14,16;접탈(接脫)부재, 15:구멍.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묶음구는 일정길이를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서로 접착될 수 있는 접탈부재를 포함하여서 된다.
본 고안 상기 묶음구의 탄성부재는 고무줄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상기 묶음구의 접탈부재는 매직테이프(벨크로화스너)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묶음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 묶음구(10)는 탄성부재(12)와, 접탈부재(14)(16)로 이루어지고, 탄성부재(12)는 고무줄이나 기타 신축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접탈부재(14)(16)는 매직테이프로 알려진 벨크로 화스너가 적용되며, 일단에는 암합 접탈부재(12)가, 타단에는 숫합 접탈부재(16)가 형성되어 서로가 닿으면 소정의 기능으로 결합되며, 소정의 힘을 주어 분리시키면 분리된다.
탄성부재(12)는 고무줄이나 기타 신축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정의 힘으로 양단을 당기면 재질이 갖는 허용범위내에서 소정길이로 늘어나게 되며 놓으면 원래길이로 복귀한다.
접탈부재(14)(16)와 끈의 연결은 열융착등으로 연결한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포장을 요하는 물품의 외주면에 탄성부재(12)를 사용하여 권취시킨 뒤 그 접탈부재(14)(16)로서 결합시키면 간단히 연결된다.
권취상태를 풀기 위해서는 결합된 양단 접탈부재(14)(16)를 힘을 주어 분리시키면 간단히 분리되어 감아진 탄성부재(12)를 풀어낼 수 있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3a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묶음구(10)는 탄성부재(12)와, 접탈부재(14)(18)로 이루어지고, 탄성부재(12)는 고무줄이나 기타 신축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접탈부재(14)(18)는 매직테이프로 알려진 벨크로 화스너가 적용되며, 일단에는 암합 접탈부재(12)가, 타단에는 숫합 접탈부재(18)가 형성되어 서로가 닿으면 소정의 기능으로 결합되며, 소정의 힘을 주어 분리시키면 분리된다.
특히, 본 고안 일측 접탈부재(18)는 둥글게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실시예의 접탈부재(18)는 사용시에 둥글게 형성된 접탈부재(16)의 외측에 타측 접탈부재(14)를 둥글게 접착시킴으로서 둥글게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중 도 3b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3실시예이다.
이 도면에서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접탈부재(14)(16)들과의 연결상태를 달리 실시한 것이다.
즉, 접탈부재(14)(16)의 일측을 관통시킨 뒤 탄성부재(12)를 열융착 결합하므로서 그 연결상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첨부 도면중 도 4a는 본 고안 제 4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기 실시예의 접탈부재 대신 탄성부재(22)의 양단에 소정의 암,수 걸림고리(24)(26)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즉, 본 고안 묶음구는 탄성부재(22)의 양단에 서로 걸림에 편리한 걸림고리(24)(26)를 형성하되 일측의 걸림고리(24)는 암합 접속공(23)을 형성하고, 타측의 걸림고리(26)는 접속공(23)에 관통가능한 삽입고리를 형성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중 도 4b는 본 고안 제 5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이 묶음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즉, 이 묶음구(30)는 탄성부재(32)의 양단에 암,수 걸림고리(34)(36)을 형성하며, 일측 걸림고리(34)에는 암합 접속공(33)을 형성하고 타측 걸림고리(36)는 T형의 고리를 이루어 상기 접속공(33)에 끼워져 결합된다.
첨부 도면중 도 5는 본 고안 묶음구의 제 6실시예의 사시도로서 탄성부재(42)를 링형으로 유지하면서 암,수 접탈부재(44)(46)을 형성한 것이다.
즉, 일측의 접탈부재(44)는 둥글게 말은 형태를 유지하되 타측의 접탈부재(46)는 이에 접착 결합되는 펼쳐진 형태로 실시된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고안 묶음구의 제7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링형의 탄성부재(52)에 걸림구(54)의 연결단(55)를 끼워 걸게 형성한 뒤 그 선단측에 형성된 고리(53)로서 탄성부재(52)의 권취된 타측을 그대로 걸도록 한 묶음구이다.
한편, 본 고안 묶음구(10)의 상기 실시예들은 탄성부재(12)만이 적용되어 있으나, 탄성부재(12)대신에 끈 혹은 신축성의 끈으로도 실시가능하며, 이것은 본 고안 묶음구의 다른 적용예에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링형의 고무밴드와 같이 단부없이 사용되던 밴드가 갖는 결점을 개선하여 자유롭게 어떠한 물품이나 부분에든지 신축성을 갖고 감은 뒤 그 양단을 간단히 접착함으로써 묶음상태가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묶어진 탄성부재를 풀어낼 경우에도 간단히 접탈부분을 잡아당겨 분리시키기만 하면되므로 종래 고무밴드등에 비하여 간편하게 풀어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묶음구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탄성부재;및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서로 접착될 수 있는 접탈부재를 포함하는 묶음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탈부재는 벨크로화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탈부재중 어느 하나는 봉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탈부재는 암,수 걸림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구.
  6. 제 1항에 있어서,
    두개의 위치에 암,수 접탈부재가 형성된 링형의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구.
  7.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걸림고리를 형성한 링형의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묶음구.
KR20-2003-0011592U 2003-04-15 2003-04-15 묶음구 KR200320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92U KR200320817Y1 (ko) 2003-04-15 2003-04-15 묶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92U KR200320817Y1 (ko) 2003-04-15 2003-04-15 묶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817Y1 true KR200320817Y1 (ko) 2003-07-22

Family

ID=4933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592U KR200320817Y1 (ko) 2003-04-15 2003-04-15 묶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8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0706B2 (en) Cable tether system
US5167050A (en) Bundling device
US9630758B2 (en) Reusable tie strap with multiple apertures
US5367752A (en) Expandable wrapping ribbon
US5515580A (en) Curly cord automatic binding tie
US8534933B2 (en) System for storing and releasing a camera for quick use
US20030150087A1 (en) Folding tie
CA2995191A1 (en) Shoe fasten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234760B2 (en) Mechanical zipper assist
US20160023037A1 (en) Handling device for weight lifters
US20090025185A1 (en) Ratchet strap holder
US20140173855A1 (en) Adjustable strap
KR200320817Y1 (ko) 묶음구
US8209820B1 (en) Cord-retaining fastener for bundled cords
US5709424A (en) Apparatus for elastically gripping and holding an article
JP3085786U (ja) 釣竿等の結束具
US6161261A (en) Fastening tension strap with integral handle extensions
JP3003097U (ja) ヘアバンド
US20240138376A1 (en) Anti-pulling animal harness
KR200365838Y1 (ko) 스트레칭 기구
US20200146407A1 (en) Totebag
JPH0516662U (ja) バンドの締め具
KR200398422Y1 (ko) 이륜차의 짐받이 키트
JP2006075955A (ja) 保持用具とその接続アタッチメント
KR200367392Y1 (ko) 원형고무밴드용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