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534Y1 -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534Y1
KR200320534Y1 KR20-2003-0011761U KR20030011761U KR200320534Y1 KR 200320534 Y1 KR200320534 Y1 KR 200320534Y1 KR 20030011761 U KR20030011761 U KR 20030011761U KR 200320534 Y1 KR200320534 Y1 KR 200320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nozzle
anal
nozzle
loc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경섭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씨엔에스
Priority to KR20-2003-0011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5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5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05B1/08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the pulsating mechanism comprising 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문 세척노즐과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전 ·후진시키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하고,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는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는 일단부에 다수 개의 분사구를 구비한 항문 세척노즐 및 국부 세척노즐을 사용하여 항문세정 및 국부세정을 실시하는 비데에 있어서,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이 상호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전 ·후진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양쪽 가장자리에 소정 돌출 되고,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마주하는 내측면에 스토퍼홀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구비한 바디와, 가이드돌기의 안착홈에 대응되게 함몰부가 형성되어 항문 세척노즐 및 국부 세척노즐을 각각 수용하며 상 ·하 밀폐하는 커버와, 바디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와, 바디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세척노즐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nozzle operating apparatus of bidet}
본 고안은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문 세척노즐과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는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전 ·후진시키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하고,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는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를 이용하여 용변을 본 후, 휴지를 이용하여 뒤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변을 본 후 휴지를 이용하여 뒤처리를 할 경우, 깨끗한 세정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손을 이용함으로서 비위생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변기에 비데(bidet)를 장착하여서 용변을 본 후에 항문을 물로 세정할 뿐만 아니라, 여성들일 경우 국부도 함께 세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비데를 이용한 항문세정과 국부세정은 온수가 공급되어지는 세척노즐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이 세척노즐은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로 한 쌍 구비되어 각각 항문 및 국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전 ·후로 작동되어 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데(1)는 항문 세척노즐(30)과 국부 세척노즐(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항문 세척노즐(30)과 국부 세척노즐(50)은 선택적으로 전 ·후진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항문 세척노즐(30)과 국부 세척노즐(50)이 전 ·후진되는 구조는 동일하며, 도 2에서는 항문 세척노즐(30)이 전 ·후진되는 구조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항문 세척노즐(30)은 그 하부에 가이드판넬(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넬(31)은 래크기어장착레일(32)에 래크기어(40)의 상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착홀(46)을 일측에서 일치시킨 상태에서 밀어 넣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넬(31)의 래크기어장착레일(32)에 래크기어(40)의 장착홀(46)이 안내되어 장착되다가 래크기어(30)의 고정홈(47)이 가이드판넬(31)의 고정돌기(33)에 위치되면 항문 세척노즐(30)에 래크기어(40)의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 래크기어(40)가 장착된 항문 세척노즐(30)은 지지대(1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항문 세척노즐(30)이 지지대(10)에 결합될 때, 지지대(10)의 한쪽으로 형성된 가이드홀(13)에 가이드판넬(31) 양쪽이 가이드 되도록 결합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10)와 항문 세척노즐(30)의 장착이 완료되면, 지지대(10)를 이루는 벽체(11) 사이로 피니언기어(21)들이 치합(齒合)되고, 벽체(11)의 사이로 설치된 피니언기어(21)에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20)를 벽체(11) 외측으로 설치하면 항문 세척노즐(30)의 조립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10)는 항문 세척노즐(30)과 국부 세척노즐(50)에 대응되게 각각 구비되기도 하고, 항문 세척노즐(30)과 국부 세척노즐(50)을 함께 구비하도록 내부에 각각 한 쌍의 피니언기어(21)들이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지지대(10)는 벽체의(11) 외측으로 고정브래킷(12)이 돌출 형성되어 나사를 끼워 고정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데(1)에 있어, 전 ·후로 이동하면서 항문 또는 국부를 세정하는 항문 세척노즐(30) 또는 국부 세척노즐(50)의 구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을 마친 후 조작부의 항문 세척노즐 조작버튼을 선택 조작하게 되면, 구동모터(20)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서 구동을 시작하게 됨과 동시에 구동모터(20)의 구동력이 피니언기어(21)로 전달되어 피니언기어(21)와 치합(齒合)되어 있는 래크기어(40)를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항문 세척노즐(30)이 전진을 시작하게 되고, 이때 구동모터(20)와 동시에 작동하는 워터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항문 세척노즐(30)에 세정수가 공급되어 세정수의 수압에 의해 다단 형성된 항문 세척노즐(30)이 인출되어지면서 분사구(34)를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어 항문을 세정하게 된다.
또한, 조작부의 국부 세척노즐 조작버튼을 선택 조작하게 되면, 국부 세척노즐(50)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작동방법으로 작동되어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게 된다.
한편, 항문 또는 국부의 세정이 완료되면, 구동모터(20)는 전술한 구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져 세척노즐(30)을 후진시키게 되고, 이때 항문 세척노즐(30) 및 국부 세척노즐로(50) 공급되어지던 세척수의 공급도 중단되어 인출되어졌던 항문 세척노즐(30) 및 국부 세척노즐(50)이 절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항문 세척노즐(30)과 국부 세척노즐(50)은 선택적으로 번갈아 가며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항문 세척노즐(30) 또는 국부 세척노즐(50)이 후진하였을 때, 래크기어(40)의 후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재(45)가 지지대(10)의 회로기판장착부(14)에 설치되어진 감지센서(15)에 위치되어져 감지센서(15)에서 세정 작업이 완료되어졌음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15)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0)의 구동이 멈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사구(34)를 통해 분사되어지는 세정수로 항문 또는 국부를 세척하게 되고, 세정수의 분사는 회로 구성된 제어시스템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분사되어지게 되며, 세정수의 분사가 완료되어지면 구동모터(20)는 상기한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항문 세척노즐(30) 또는 국부 세척노즐(5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비데는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을 각각전 ·후진시키기 위해 각각 래크기어 등과 같은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을 구동하는 래크기어 등을 종래 보다 설치개수를 줄이면서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전 ·후진시킬 수 있음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시간을 줄이며 설치가 용이한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부에 다수 개의 분사구를 구비한 항문 세척노즐 및 국부 세척노즐을 사용하여 항문세정 및 국부세정을 실시하는 비데에 있어서,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이 상호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전 ·후진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양쪽 가장자리에 소정 돌출 되고,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마주하는 내측면에 스토퍼홀이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구비한 바디와, 가이드돌기의 안착홈에 대응되게 함몰부가 형성되어 항문 세척노즐 및 국부 세척노즐을 각각 수용하며 상 ·하 밀폐하는 커버와, 바디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와, 바디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세척노즐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환부로 이루어진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를 일부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낸 비데의 배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비데 30,130: 항문 세척노즐
34,144: 분사구 50,150: 국부 세척노즐
200: 바디 234,236: 제 1,2스토퍼홀
240: 통공 300: 커버
400: 구동부 410: 스태핑모터
422,424,426: 제 1,2,3기어 430a,430b: 제 1,2래크기어
500: 구동전환부 510: 토글
514: 토글돌기 520: 래치
524: 스토퍼돌기 530: 제 1스토퍼
534: 제 1설치공 540: 제 2스토퍼
544: 제 2설치공 545: 제 3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의 상태를 나타낸 비데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는 일단부에 다수 개의 분사구(144)를 구비한 항문 세척노즐(130) 및 국부 세척노즐(150)을 사용하여 항문세정 및 국부세정을 실시하는 비데(100)에 있어서,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이 상호 일정 각도로 안착되어 각각 전 ·후진되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안착홈(210)이 형성되며, 그 양측에 가이드편(220)이 소정 돌출된 바디(200)와, 가이드편(220)의 안착홈(210)에 대응되게 함몰부(310)가 형성되어 항문 세척노즐(130) 및 국부 세척노즐(150)을 각각 수용하며 상 ·하 밀폐하는 커버(300)와, 바디(200)와 커버(300) 사이에 개재되며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을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400)와, 바디(200)와 커버(300) 사이에 개재되며, 구동부(400)의 구동력을 상기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환부(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100)는 바디(200), 커버(300), 구동부(400) 및 구동전환부(5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200)는 비데(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동부(400)와 구동전환부(500)를 지지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200)는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양측면이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200)의 경사진 양 측면에는 각각 상부가 개방되어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홈(210)이 형성된 가이드편(2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편(220)의 간격은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이 구동부(400) 및 구동전환부(500)에 의해 용이하게 전 ·후진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00)의 상면에는 후술할 스태핑모터(410)와 제 1기어(422)를 연결하기 위한 연통공(250)이 형성되고, 제 1기어(422)와 치합(齒合)되는 제 2기어(42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260)가 소정 돌출 되며, 후술할 래치(520)의 후반부 하면에 돌출된 래치돌기(521)를 안내하는 래치이동홈(242)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200)의 상면에는 후술할 제 1스프링(550)의 일단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제 2스프링홀(2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200)의 상면에는 후술할 토글(510)의 토글돌기(514)를 안내하도록 반원 형상 또는 아치 형상의 토글이동홈(244)이 형성되고, 상면 전반부에소정 돌출되어 토글(51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27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래치이동홈(242)의 곡률이 토글이동홈(244)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편(220) 중 내측면에는 바디(200)의 후반부에서 전반부로 갈수록 제 1스토퍼홀(234)과 기어삽입홀(232) 및 제 2스토퍼홀(236)이 형성되어 안착홈(210)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스토퍼홀(234)과 기어삽입홀(232) 및 제 2스토퍼홀(236)은 바디(200)의 양쪽 가장자리의 각각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편(220)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바디(200)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고정브래킷(112)이 구비되어 볼트나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250)과 지지돌기(260)와 래치이동홈(242)과 제 2스프링홀(215)과 토글이동홈(244) 및 결합돌기(270)는 순서대로 대략 일직선상에 구비되며, 상기 연통공(250)이 바디(200)의 후반부에 위치하며, 결합돌기(270)가 바디(200)의 전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이동홈(242) 및 토글이동홈(244)은 대략 반원 형상 또는 아치(arch) 형상이다.
한편, 상기 바디(200)의 전반부라 함은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이 분사구(144)를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며 전진하는 측면을 말하고, 바디(200)의 후반부는 전반부의 반대측면을 말한다.
한편, 상기 커버(300)는 바디(200)의 상면을 밀폐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30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안착홈(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300)의 상면은 함몰부(310) 부분이 소정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400)는 바디(200)의 외부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스태핑모터(410)와, 스태핑모터(41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바디(200)와 커버(300) 사이에서 내면에 대해 수평하게 개재되며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의 전진방향에 대해 후반부에 위치하는 제 1기어(422)와, 제 1기어(422)와 치합되면서 수평하게 구비되는 제 2기어(424)와, 제 2기어(424)와 치합되면서 수평하게 구비되고 가이드편(220)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통공된 기어삽입홀(232)을 통해 선택적으로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을 전 ·후진시키는 제 3기어(426)와, 항문 세척노즐(130) 및 국부 세척노즐(15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구동전환부(500)에 의해 제 3기어(426)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스태핑모터(410)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래크기어(430a,4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태핑모터(410)는 공지된 모터로써 프로그래밍에 의해 일정시간 정회전 및 역회전 또는 일정시간 정회전 후 역회전되면서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을 원위치 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스태핑모터(410)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초기상태를 후술할 제 3기어(426)를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의 중앙위치에 위치하게 할수도 있고,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태핑모터(410)는 상부가 바디(200)의 연통공(25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바디(2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 1기어(422)와 연결되어 동일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1기어(422)는 제 2기어(424)와 치합(齒合)되어 제 1기어(4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기어(424)의 중심은 바디(200)의 상면에 일부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260)에 의해 위치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기어(424)는 제 3기어(426)와 치합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 3기어(426)의 중심은 후술할 토글(510)의 상면에 소정 돌출된 결합돌기(27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기어(426)는 일정 거리 위치 이동되는 래치(520) 및 토글(510)에 의해 중심이동이 되며 스태핑모터(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어삽입홀(232)에 번갈아 삽입되며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에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전 ·후진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기어(422)와 제 2기어(424) 및 제 3기어(426)는 바디(200)의 상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래크기어(430a,430b)가 형성되어 중심 이동되는 제 3기어(426)와 선택적으로치합되면서 제 3기어(426)의 회전력에 의해 전 ·후진되게 된다.
이하, 상기 항문 세척노즐(130)의 하부에는 제 1래크기어(430a)가 형성되고, 국부 세척노즐(150)의 하부에는 제 2래크기어(430b)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래크기어(430a)와 제 2래크기어(430b)는 항문 세척노즐(130) 및 국부 세척노즐(150)의 하부에서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이 호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동전환부(500)는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을 선택적으로 전 ·후진시키도록 형성된 구동부(400)의 제 3기어(426)의 중심과 결합되며 바디(200)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토글이동홈(244)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토글(510)과, 토글(510)의 외주면을 따라 전 ·후진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설치홈(522)이 형성되고 토글이동홈(244)보다 곡률이 적도록 바디(200)에 형성된 래치이동홈(242)에 대응되도록 래치돌기(521)가 형성되며 가이드편(220)의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토퍼홀(23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양측면 일정위치에 스토퍼돌기(524)가 형성된 래치(520)와, 래치(520)의 전반부 가장자리 상면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3기어(426)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면서 일시적으로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게 하는 제 1스토퍼(530)와, 제 1스토퍼(53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래치(520)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며 선택적으로 가이드편(220)의 내측에 연통된 제 2스토퍼홀(236)에 번갈아 삽입되며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을 고정하는 제 2스토퍼(540)와, 항문 세척노즐(130)과 국부 세척노즐(150)의 후반부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래치(520)의 스토퍼돌기(524)를 제 1 또는 제 2스토퍼홀(234,236)로부터 이탈시키는 제 3스토퍼(545)로 구성된다.
상기 토글(510)은 양측면이 라운드(round)진 대략 장방형의 육면체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토글(510)의 상면 중앙부에는 삽입돌기(512)가 소정 돌출되어 구동부(400)의 제 3기어(426)와 결합된다.
상기 토글(510)의 후반부 하면에는 바디(200)의 상면에 형성된 토글이동홈(244)에 삽입되어 안내되며 토글(510)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토글돌기(514)가 소정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글(510)의 전반부 가장자리에는 결합홈(516)이 형성되어 바디(200)의 전반부에 돌출된 결합돌기(27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516)과 인접된 토글(510)의 끝단에는 후술할 제 2스프링(56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 1걸림부(5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글(510)의 토글돌기(514)에는 제 1스프링(550)의 타단이 삽입되기 위한 제 1스프링홀(51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스프링(550)은 양단이 같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그 일단이 바디(200)의 제 2스프링홀(215)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토글돌기(514)의제 1스프링홀(515)에 삽입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제 1스프링(550)은 토글돌기(514)의 제 1스프링홀(515)와 바디(200)의 하면에 형성된 제 2스프링홀(215)에 각각의 끝단이 결합되어 토글이동홈(244) 내에서의 토글돌기(514)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래치(520)는 중앙부에 설치홈(522)이 형성되어 토글(5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설치홈(522)의 폭은 래치(520)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설치홈(522)의 길이는 래치(5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홈(522)에는 바디(200)의 결합돌기(270)가 전반부 내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토글(510)의 결합홈(516)과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520)의 후반부 가장자리 양쪽 측면에는 스토퍼돌기(524)가 일정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래치(520)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520)의 스토퍼돌기(524)는 가이드편(220)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 1스토퍼홀(23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을 위치 고정시킨다.
즉, 상기 래치(520)의 스토퍼돌기(524)는 항문 세척노즐(130)의 하부에 형성된 제 1래크기어(430a)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의 하부에 형성된 제 2래크기어(430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요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520)의 상면 전반부 가장자리에는 설치돌기(526)가 소정돌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돌기(524)가 형성된 래치(520)의 후반부 하면 중앙부에는 래치돌기(5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돌기(521)는 바디(200)의 래치이동홈(242)에 안내되면서, 래치(520)는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이동홈(242)의 곡률이 토글이동홈(244)의 곡률보다 적기 때문에 래치(520)의 전 ·후진 거리가 더 길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돌기(526)가 형성된 래치(520)의 하부에는 제 2걸림부(528)가 형성되어 제 2스프링(560)의 타단을 삽입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스프링(560)은 양단이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일단이 토글(510)의 제 1걸림부(518)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이 래치(520)의 제 2걸림부(528)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제 2스프링(560)은 제 1스프링(550)에 의해 위치 이동 후 제 1스토퍼(530)와 제 3기어(426)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스프링(560)은 래치(520)가 래치이동홈(240)을 따라 이동될 때 상대적으로 토글(51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며, 이동 완료 후 제 1스토퍼(530)가 제 3기어(426)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스토퍼(530)는 래치(520)의 설치돌기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제 1설치공(5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스토퍼(530)에는 외주면 일부에 이(齒,532)가 형성되어 토글(510) 및 래치(520)가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순간 제 3기어(426)와 치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스토퍼(530)의 이(532)가 제 3기어(426)와 치합되는 이유는 후술할 항문 세척노즐(130)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의 하부에 형성된 제 3스토퍼(545)가 래치(520)의 스토퍼돌기(524)를 밀 때, 래치(520)가 옆으로 밀리면서 제 3기어(426)의 치합되는 부분을 일시적으로만 회전 정지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러면, 상기 제 3기어(426)는 치합되는 반대방향이 제 2기어(424)의 구동력에 의해 옆방향으로 이동하며 중심이동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스토퍼(540)는 옆으로 장방향인 형상을 하고 있고, 중앙부분에 제 2설치공(544)이 형성되어 래치(520)의 설치돌기(526)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토퍼(540)의 양 끝단에는 첨점 형상인 니들(5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니들(542)은 제 1스토퍼(530)의 일정 회전각도 회동과 함께 미세하게 선택적으로 항문 세척노즐(130)의 제 1래크기어(430a) 또는 국부 세척노즐(150)의 제 2래크기어(430b)와 결합되어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니들(542)은 대응되는 가이드편(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 2스토퍼홀(236)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3스토퍼(545)는 항문 세척노즐(130) 및 국부 세척노즐(150) 하부에 하나씩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3스토퍼(545)는 제 1래크기어(430a) 및 제 2래크기어(430b) 사이에서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스토퍼(545)는 항문 세척노즐(130) 및 국부 세척노즐(150)의 전반부 하부에 위치되어 래치(520)의 스토퍼돌기(524)를 제 1스토퍼홀(234)의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항문 세척노즐(130) 및 국부 세척노즐(150)에 의해 세정하는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100)의 바디(200) 상면에는 좌측에(도면에서 봤을 때) 항문 세척노즐(130)이 일정각도로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되고, 우측에 국부 세척노즐(150)이 일정각도로 전 ·후진 되도록 구비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제 3기어(426)는 구동전환부(500)의 제 1스토퍼(530)의 이(532)와 인접되며, 국부 세척노즐(150)의 제 2래크기어(430b)와 치합되어 있다.
이때, 스태핑모터(410)는 정지된 상태이고, 이에 의해 제 1기어(422)와 제 2기어(424)도 정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스태핑모터(4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기어(422)와 제 2기어(424)에 연속되게 치합된 제 3기어(426)는 국부 세척노즐(150)을 후진시킨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핑모터(410)가 외부 조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제 1기어(422)는 반시계방향으로, 제 2기어(424)는 시계방향으로 그리고, 제 3기어(42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기어(426)가 회전되면서 국부 세척노즐(15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제 2래크기어(430b)는 후진되고, 제 3스토퍼(545)가 래치(520)의 우측(도면에서 봤을 때) 스토퍼돌기(524)를 가이드편(220)의 제 1스토퍼홀(234)로부터 소정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제 1스토퍼(530)는 순간적으로 제 3기어(426)와 치합되면서 래치(520)가 제 3기어(426)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여 래치돌기(521)를 래치이동홈(242)의 상부로 이동시켜, 제 1스토퍼(530)와 제 3기어(426)의 물림을 유지시켜 주며, 토글돌기(514)를 토글이동홈(244)의 중앙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래크기어(430b) 및 국부 세척노즐(150)은 제 3기어(426)로부터의 구속력에서 벗어나 후진 이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글돌기(514)의 제 1스프링홀(515)과 바디(200)의 제 2스프링홀(215)에 각각 삽입 고정된 제 1스프링(550)은 압축된 상태이고, 토글(510)의 제 1걸림부(518)와 래치(520)의 제 2걸림부(528)에 각각 삽입 고정된 제 2스프링(560)도 압축된 상태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글(510)의 토글돌기(514)가 아치 형상인 바디(200)의 토글이동홈(244)을 따라 토글이동홈(244)의 중앙부에 위치함과 함께 래치(520)의 래치돌기(521)가 래치이동홈(242)의 경사면 상부를 지난 위치에서 제 1스프링(550)과 제 2스프링(560)은 탄성작용하며 래치돌기(521)와 토글돌기(514)를반대쪽 가장자리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기어(426)는 이동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그 회전력에 의해 용이하게 중심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난 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스프링(550)과 제 2스프링(560)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제 3기어(426)는 항문 세척노즐(130)의 제 1래크기어(430a)와 결합되며 항문 세척노즐(130)을 전진시키게 된다.
그러면서, 상기 제 3기어(426)는 제 1래크기어(430a)와 치합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에 의해 항문 세척노즐(130)은 전진하게 된다.
상기 항문 세척노즐(130)이 전진함과 동시에 끝단에 형성된 분사구(144)를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국부 세척노즐을 전진시키기 위해 외부조작하면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동하면 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는 하나의 세트로 구비된 구동부와 구동전환부로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번갈아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일단부에 다수 개의 분사구를 구비한 항문 세척노즐 및 국부 세척노즐을 사용하여 항문세정 및 국부세정을 실시하는 비데에 있어서,
    상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이 상호 일정 각도로 안착되어 각각 전 ·후진되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그 양측에 가이드편이 소정 돌출된 바디와;
    상기 가이드편의 안착홈에 대응되게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항문 세척노즐 및 국부 세척노즐을 각각 수용하며 상 ·하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바디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바디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디의 외부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스태핑모터와;
    상기 스태핑모터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바디와 커버 사이에서 내면에 대해 수평하게 개재되며, 상기 항문 세척노즐 또는 국부 세척노즐의 전진방향에 대해 후반부에 위치하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1기어와 치합되면서 수평하게 구비되는 제 2기어와;
    상기 제 2기어와 치합되면서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편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통공된 기어삽입홀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항문 세척노즐 또는 국부 세척노즐을 전 ·후진시키는 제 3기어와;
    상기 항문 세척노즐 및 국부 세척노즐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전환부에 의해 상기 제 3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상기 스태핑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래크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환부는 상기 항문 세척노즐 또는 국부 세척노즐을 선택적으로 전 ·후진시키도록 형성된 상기 구동부의 제 3기어의 중심과 결합되며, 상기 바디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토글이동홈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토글과;
    상기 토글의 외주면을 따라 전 ·후진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토글이동홈보다 곡률이 적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된 래치이동홈에 대응되도록 래치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에 형성된 제 1스토퍼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양측면 일정위치에 스토퍼돌기가 형성된 래치와;
    상기 래치의 전반부 가장자리 상면에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3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면서 일시적으로 회전속도를 멈추게 하는 제 1스토퍼와;
    상기 제 1스토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래치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편의 내측에 연통된 제 2스토퍼홀에 번갈아 삽입되며 상기 항문 세척노즐 또는 국부 세척노즐을 고정하는 제 2스토퍼와;
    상기 항문 세척노즐과 국부 세척노즐의 후반부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래치의 스토퍼돌기를 상기 제 1 또는 제 2스토퍼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 3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환부에는 상기 토글의 일단 하부와 상기 바디의 하면에 각각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토글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스프링과;
    상기 토글의 타단과 상기 래치의 하부에 각각 끝단이 결합되어 상기 토글의 위치 이동 후 상기 제 1스토퍼와 제 3기어를 이격시키는 제 2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기어는 상기 항문 세척노즐 또는 국부 세척노즐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KR20-2003-0011761U 2003-04-16 2003-04-16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KR200320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61U KR200320534Y1 (ko) 2003-04-16 2003-04-16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61U KR200320534Y1 (ko) 2003-04-16 2003-04-16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534Y1 true KR200320534Y1 (ko) 2003-07-22

Family

ID=4933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761U KR200320534Y1 (ko) 2003-04-16 2003-04-16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5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4992B (zh) * 2017-11-22 2023-09-29 箭牌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马桶的喷水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4992B (zh) * 2017-11-22 2023-09-29 箭牌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马桶的喷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9983B2 (ja) ノズ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CN100595398C (zh) 喷管装置
KR20100055306A (ko) 좌변기용 비데
KR200320534Y1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JP2009161936A (ja) 温水洗浄ノズルの掃除装置及び温水洗浄装置
KR200320657Y1 (ko) 비데의 세척노즐 작동장치
KR100538644B1 (ko) 비데의 세척노즐 작동장치
JP5104625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940748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CN102454213B (zh) 喷管装置以及安装喷管装置的座便器
KR100661390B1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CN101319515B (zh) 座便器喷管装置
CN101974931B (zh) 喷管装置以及安装喷管装置的座便器
KR20180014601A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201826381U (zh) 喷管装置以及安装喷管装置的座便器
KR100625776B1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KR100762656B1 (ko) 비데의 노즐 구동 장치
KR20020064688A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KR200243407Y1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CN101368404B (zh) 喷管装置
JP7205288B2 (ja) 衛生洗浄装置
CN109322361B (zh) 移动限位喷杆结构
JP533802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341896Y1 (ko)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JP509303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