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896Y1 -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896Y1
KR200341896Y1 KR20-2003-0036229U KR20030036229U KR200341896Y1 KR 200341896 Y1 KR200341896 Y1 KR 200341896Y1 KR 20030036229 U KR20030036229 U KR 20030036229U KR 200341896 Y1 KR200341896 Y1 KR 200341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nozzle
bidet
gea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세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6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데로 통칭하는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척노즐을 기계식으로 사용하면서 항문 세척용 세정노즐과 여성의 국부 세척용 비데노즐을 각각 전후진 반복운동시키고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의 위치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는 독립된 기어박스에 모터를 배치하여 각각의 세척노즐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기어박스의 공간을 최소로 좁게 하면서 세정기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APPARATUS FOR OPERATING MECHANICAL TWIN NOZZLE OF A BIDET}
본 고안은 비데로 통칭하는 세정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세정기의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로 통칭하는 세정기는 용변 후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세척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로 인체의 항문과 여성의 국부를 위생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세척노즐은 세정수를 분사하여 항문을 세척하는 세정노즐과 세정수를 분사하여 여성의 국부를 세척하는 비데노즐로 구분되며, 상기 세정노즐과 분사노즐은 전후진 반복운동과 유량 조절을 통한 마사지 기능, 부드러운 촉감을 주기 위한 에어 혼합 분사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정기는 세척노즐의 구동 방법에 따라 크게 기계식과 수압식 등으로 구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계식 노즐 구동 장치의 경우,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50)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됨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0)가 구동하면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력이 피니언(51)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51)과 맞물리는 래크(52)가 전후진 반복운동하여 이동함에 따라서 노즐이 구동되어 세정수를 분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압식 노즐 구동 장치의 경우, 스텝모터(60)가 반시계방향(세정노즐) 또는 시계방향(비데노즐)으로 회전하여 유로조절밸브(61)를 회전시키면, 유입된 세정수가 유로조절밸브 케이스(62)를 통해 세정노즐 또는 비데노즐을 수압으로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수압을 가하여 세정노즐 또는 비데노즐을 일정거리 만큼 이동시키면 상기 세정노즐이나 비데노즐의 단부가 노즐 몸체의 내부에 밀착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때 세정노즐 또는 비데노즐에서 세정수가 분사된다. 또한, 세정수 분사가 완료되면 상기 세정노즐 또는 비데노즐은 수압에 의해 밀려 전방으로 이동될 때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계식 노즐 구동 장치는 구동모터(50)와 구동력 전달을 위한 기계적인 장치들을 구비하는 기어박스의 부피가 너무 크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한 개의 노즐만 구비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한 개의 세척노즐이 세정노즐과 비데노즐의 역할을 병행하므로 위생상 불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압식 노즐 구동 장치는 기계식 노즐 구동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수의 기계적인 장치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두 개의 세척노즐을 구비할 수 있으나, 수압 구동방식의 기능상 세척노즐의 전후진 반복운동 및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척노즐을 기계식으로 사용하면서 세정노즐과 비데노즐을 각각 전후진 반복운동시키고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기어박스의 공간을 최소로 좁게 하기 위해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의 위치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는 독립된 기어박스에 모터를 배치하여 각각의 세척노즐을 제어하도록 된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정기의 기계식 단일노즐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세정기의 수압식 트윈노즐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세정노즐 작동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3의 비데노즐 작동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의 좌측면도.
도 7은 기어박스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
도 9는 도 7의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어박스 200: 우측 사이드커버
300: 좌측 사이드커버 400: 박스커버
500: 바디노즐 600: 리어노즐
700: 비데노즐 800: 세정노즐
900: 오링 10,10a: 모터 기어
11,11a: 비데/세정모터 12,12a: 비데/세정 원점센서
13,13a: 비데/세정 카운터센서 14,14a: 비데/세정 카운터 4극 자석
15,15a: 가이드 자석 16,16a: 스톱 링
17,17a: 스프링 18,18a: 와셔
19: 기어(c) 20,20a: 센서기어
21,21a: 감속기어 22,22a: 기어(a)
23,23a: 기어(b) 24,24a: 피니언
25: 원점 2극 자석 26: 고정 나사
50 : 구동모터 51: 피니언
52 : 래크 60 : 스텝모터
61: 유로조절밸브 62: 유로조절밸브 케이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바디노즐(500)은 비데노즐(700)과 세정노즐(800)이 각각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노즐위치감지용 2극 자석(25)이 부착된 리어노즐(600)이 각각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하단에 래크(501)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커버(200)는 복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후미 상부에서 좌측으로 비데모터(11)를 설치하기 위한 반원형 모터가이드(10b)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우측으로 상기 비데모터(11)의 모터기어(10a)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카운트하는 4극 자석(14a)과 카운터센서(13a)를 설치하기 위한 자석체결부(14b)와 카운터체결부(13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커버(300)는 복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후미 하부에서 우측으로 세정모터(11a)를 설치하기 위한 반원형 모터가이드(10b')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좌측으로 상기 세정모터(11a)의 모터기어(10)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카운트하는 4극 자석(14)과 카운터센서(13)를 설치하기 위한 자석체결부와 센서체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사이드커버(300)의 자석체결부와 센서체결부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도 4에 도시한 상기 우측 사이드커버(200)의 자석체결부(14b)와 카운터체결부(13b)와 동일한 형상이다.
기어박스(1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어구멍(102,103,104,105,105a,106,106a,107,107a,111,112))과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상측에 상기 한 쌍의 바디노즐(500)이 안착되는 가이드면(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면(120)의 전단부에 피니언 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면(120)의 후단부 양측에 상기 리어노즐(600)의 2극 자석(25)을 감지하기 위한 원점센서(12a,12)가 삽입 설치되는 센서돌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면(120)의 양단부에 복수의 후크(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100)는 몸체의 후미 하부와 상부에 상기 우측 사이드커버(200)의 모터가이드(10b)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비데모터 홀(101; 도 9 참조)과 상기 좌측 사이드커버(300)의 모터가이드(10b)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세정모터 홀(110; 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100)의 좌측과 우측은 복수의 나사(26)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우측 사이드커버(200)와 좌측 사이드커버(300)에 의해 커버된다.
박스커버(400)는 상기 기어박스(100)의 가이드면(120)의 양단부에 형성된 후크(150)와 결합하여 상기 바디노즐(500)을 커버한다.
상기 기어박스(100)의 가이드면(120)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150)는 각각 박스커버(400)의 몸체 양측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 체결부(401)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비데노즐 기어열은 상기 기어박스(100)의 몸체 좌측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구멍(102,103,104,105,106,107; 도 9 참조)에 대응하여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 사이드커버(200)의 모터가이드(10b)를 통하여 상기 기어박스(100)의 비데모터 홀(101)에 고정되는 비데모터(11)의 모터기어(10a)와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들(19,20,21,22,23; 도 6 참조)과 상기 피니언 홀(121)을 통하여 상기 바디노즐(500)의 하단 래크(501)와 맞물리는 피니언(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데노즐 기어열은 좌측 사이드커버(300)에 의해 커버된다.
세정노즐 기어열은 상기 기어박스(100)의 몸체 우측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구멍(107a,106a,105a,112,111; 도 8 참조)에 대응하여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사이드커버(300)의 모터가이드(10b')를 통하여 상기 기어박스(100)의 세정모터 홀(110)에 고정되는 세정모터(11a)의 모터기어(10)와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기어들(20a,21a,22a,23)과 상기 피니언 홀(121)을 통하여 상기 바디노즐(500)의 하단 래크(501)와 맞물리는 피니언(24a)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정노즐 기어열은 우측 사이드커버(200)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성의 국부를 세척하는 비데노즐(700)과 항문을 세척하는 세정노즐(800)은 서로 맞물려 있는 바디노즐(500)의 하단에 형성된 래크(501)와 비데용 피니언(24) 또는 상기 래크(501)와 세정용 피니언(24a)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기어박스(100)의 상측 가이드면(120)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전후진 반복운동한다.
상기 바디노즐(500)은 기어박스(100)의 상측 가이드면(120)에 조립되고 바디노즐(500)의 이탈과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박스커버(400)와 후크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노즐(500)은 기어박스(100) 상면에 있는 피니언 홀(121)을 통하여 서로 맞물리는 래크(501)와 피니언(24,24a)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100)의 상측 가이드면(120)을 따라서 일직선으로 전후진 반복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세정노즐(800)을 구동하기 위한 세정모터(11a)는 기어박스(100)의 왼쪽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박스(100)의 우측 사이드커버(200)에 의해 커버되는 세정모터 기어열로 구동력을 전달하고, 비데모터(11)는 기어박스(100)의 오른쪽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박스(100)의 좌측 사이드커버(300)에 의해 커버되는 비데모터 기어열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100)는 몸체 후미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비데모터(11)와 세정모터(11a)를 배치하여 이들 모터(11,11a)와 기어열들의 배치 공간을 최소로 좁게 하며, 특히 상기 비데모터(11)를 세정모터(11a)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비데모터 기어열은 세정모터 기어열에 비해 1개의 기어(c)(19)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세척노즐, 즉 비데노즐(700)과 세정노즐(800)에 대한 구체적인 조립 및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비데노즐(700)은 모터기어(10a)가 구비된 비데모터(11)를 상기 비데모터 홀(101)에 고정하고, 기어(c)(19)는 축이 짧은 쪽이 내측면의 기어구멍(102)에 조립되며, 센서기어(20)도 축이 짧은 쪽을 내측면의 기어구멍(103)에 조립되고 축이 긴 쪽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노즐의 관성력을 제어해 주기 위해 와셔(18)와 스프링(17)이 조립된다.
다음으로, 감속기어(21)는 내측면의 기어구멍(104)에 기어가 큰 쪽을 내측 면으로 향하게 조립되고, 기어(a)(22)는 축이 긴 쪽을 내측면으로 향하게 기어구멍(105)에 조립된다. 기어(b)(23)는 축에 구멍이 있는 쪽을 내측면으로 향하게 상기 기어박스(100)의 내측면 기어구멍(106)에 조립되고 피니언(24)도 축에 구멍이 있는 쪽을 내측면으로 향하게 기어구멍(107)에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 과정은 상기 세정노즐(800)의 세정모터(11a)와 겹침을 막기 위해 기어의 배열이 달리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비데모터(11)의 모터기어(10a)가 기어(c)(19)를 구동하면, 이어서 기어(c)(19)가 상기 카운터센서(13)가 극을 감지할 수 있는 비데카운터 4극 자석(14)과 가이드 자석(15) 및 스톱 링(16)이 부착된 센서기어(20)를 구동한다. 계속해서, 상기 센서기어(20)는 감속기어(21)를 구동하고, 상기 감속기어(21)는 기어(a)(22)를 구동하며, 상기 기어(a)(22)는 기어(b)(23)를 구동하고, 기어(b)(23)는 피니언(24)을 구동한다.
특히, 상기 비데모터(11)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비데모터 기어열이 작동하여 바디노즐(500)을 전후진 반복이동시킬 때, 상기 카운터센서(13)가 상기 센서기어(2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일정거리만큼 상기 바디노즐(500)이 전후진 이동하였음을 감지하고 난 후, 상기 비데노즐(700)이 연결된 바디노즐(500)이 원점으로 복귀할 경우 원점 2극 자석(25)을 비데 원점센서(12)가 감지하여 상기 비데모터(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세정노즐(800)은 모터기어(10)가 구비된 세정모터(11a)를 상기 세정모터 홀(110)에 고정하고, 센서기어(20a)는 축이 짧은 쪽이 내측면의 기어구멍(111)에 조립되고 축이 긴 쪽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노즐의 관성력을 제어해 주기 위해 와셔(18a)와 스프링(17a)이 조립된다.
다음으로 감속기어(21a)는 내측면의 기어구멍(112)에 기어가 큰 쪽이 내측 면으로 향하게 조립되고, 기어(a)(22a)는 축이 긴 쪽이 내측면으로 향하게 홈(105a)에 조립된다. 기어(b)(23a)는 축에 구멍이 있는 쪽이 내측면으로 향하게 기어박스(100) 내측면의 기어구멍(106a)에 조립되고, 피니언(24a)도 축에 구멍이 있는 쪽이 내측면으로 향하게 기어구멍(107a)에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모터(11a)의 모터기어(10)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기어(10)가 카운터센서(13a)가 극을 감지할 수 있는 카운터 4극 자석(14a)과 가이드 자석(15a) 및 스톱 링(16a)이 부착된 센서기어(20a)를 구동한다.
이어서, 상기 센서기어(20a)는 감속기어(21a)를 구동하고, 상기 감속기어(21a)는 기어(a)(22a)를 구동하며, 기어(a)(22a)는 기어(b)(23a)를 구동하고, 기어(b)(23a)는 피니언(24a)을 구동한다.
특히, 상기 세정모터(11a)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세정모터 기어열이 작동하여 바디노즐(500)을 전후진 반복이동시킬 때, 상기 카운터센서(13a)가 센서기어(20a)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바디노즐(500)이 일정거리만큼 전후진 이동하였음을 감지하고 난 후, 상기 세정노즐(800)이 연결된 바디노즐(500)이 원점으로 복귀할 경우 원점 2극 자석(25)을 세정 원점센서(12a)가 감지하여 상기 세정모터(11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는 세척노즐을 기계식으로 사용하면서 세정노즐과 비데노즐을 각각 전후진 반복운동시키고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의 위치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는 독립된 기어박스에 모터를 배치하여 각각의 세척노즐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기어박스의 공간을 최소로 좁게 하면서 세정기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비데노즐과 세정노즐이 각각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노즐위치감지용 자석이 부착된 리어노즐이 각각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하단에 래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바디노즐과;
    복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후미 상부에서 좌측으로 비데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모터가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우측으로 상기 비데모터의 모터기어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카운트하는 자석과 카운터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자석체결부와 카운터체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우측 사이드커버;
    복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후미 하부에서 우측으로 세정모터를 설치하기 위한 모터가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좌측으로 상기 세정모터의 모터기어의 회전수를 감지하고 카운트하는 자석과 카운터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자석체결부와 센서체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좌측 사이드커버;
    복수의 기어구멍과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상측에 상기 한 쌍의 바디노즐이 안착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면의 전단부에 피니언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면의 후단부 양측에 상기 리어노즐의 자석을 감지하기 위한 원점센서가 삽입 설치되는 센서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면의 양단부에 복수의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후미 하부와 상부에 상기 우측 사이드커버의 모터가이드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세정모터 홀과 상기 좌측 사이드커버의 모터가이드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비데모터 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가이드면의 양단부에 형성된 후크와 결합하여 상기 바디노즐을 커버하는 박스커버;
    상기 기어박스의 몸체 좌측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구멍에 대응하여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 사이드커버의 모터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기어박스의 비데모터 홀에 고정되는 비데모터의 모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들과 상기 피니언 홀을 통하여 상기 바디노즐의 하단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상기 좌측 사이드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비데노즐 기어열; 및
    상기 기어박스의 몸체 우측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구멍에 대응하여 각각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 사이드커버의 모터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기어박스의 세정모터 홀에 고정되는 세정모터의 모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들과 상기 피니언 홀을 통하여 상기 바디노즐의 하단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상기 우측 사이드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세정노즐 기어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들 구동장치.
KR20-2003-0036229U 2003-11-20 2003-11-20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KR200341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29U KR200341896Y1 (ko) 2003-11-20 2003-11-20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229U KR200341896Y1 (ko) 2003-11-20 2003-11-20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896Y1 true KR200341896Y1 (ko) 2004-02-11

Family

ID=4942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229U KR200341896Y1 (ko) 2003-11-20 2003-11-20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8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20B1 (ko) * 2014-08-06 2015-06-05 주식회사 엔에쓰엠테크 구조가 간단한 비데용 노즐조립체
KR200481913Y1 (ko) * 2015-05-25 2016-11-24 조성현 비데용유로전환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20B1 (ko) * 2014-08-06 2015-06-05 주식회사 엔에쓰엠테크 구조가 간단한 비데용 노즐조립체
KR200481913Y1 (ko) * 2015-05-25 2016-11-24 조성현 비데용유로전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85404B (zh) 座便器双喷杆自动清洗装置
CN112871481B (zh) 一种往复驱动的花洒出水切换结构
KR100655381B1 (ko) 비데용 노즐부 구조
KR200341896Y1 (ko) 세정기의 기계식 트윈노즐 구동장치
CN103850311B (zh) 一种喷管装置及具有喷管装置的座便器
CN201190323Y (zh) 智能座便器双管自动伸缩喷水装置
CN100595398C (zh) 喷管装置
CN203591898U (zh) 一种带按摩功能的花洒
CN103917192B (zh) 电动牙刷
CN2713029Y (zh) 马桶座圈的自动清洁装置
EP4357545A1 (en) Spray washing apparatus, method for oscillating spray washing, and smart toilet
CN101319515B (zh) 座便器喷管装置
CN203620997U (zh) 一种座便器双喷杆自动清洗装置
CN201313076Y (zh) 一种带刷头的淋浴器
CN2471978Y (zh) 一种洗碗机用供水泵
KR101016839B1 (ko) 회전 분사식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KR200320534Y1 (ko) 비데의 세척노즐 구동장치
CN101368404B (zh) 喷管装置
CN218374244U (zh) 马桶防溅泡沫机喷头自动复位机构
KR200378816Y1 (ko) 칫솔질 유도용 완구
CN217473834U (zh) 一种花洒出水切换机构
KR200345808Y1 (ko) 좌우 위치조정이 가능한 온수 세정기
KR20170135125A (ko) 비데용 노즐장치
KR200320657Y1 (ko) 비데의 세척노즐 작동장치
KR200425173Y1 (ko) 비데의 노즐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