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327Y1 - 일회용 안전주사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안전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327Y1
KR200320327Y1 KR20-2003-0011880U KR20030011880U KR200320327Y1 KR 200320327 Y1 KR200320327 Y1 KR 200320327Y1 KR 20030011880 U KR20030011880 U KR 20030011880U KR 200320327 Y1 KR200320327 Y1 KR 200320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ylinder
needle
push rod
injec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우인
Original Assignee
백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우인 filed Critical 백우인
Priority to KR20-2003-0011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4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주사바늘이 고정된 주사바늘 고정부재를 실린더의 주사액 배출부에 결합할 때 변형성이 민감한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부재인 어덥터관과 끼움관을 사용하여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결합부분 실링을 완벽하게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주사액 배출부(102)가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10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103)가 끼워지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103)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10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104)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0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에는 실린더(101) 내의 중공부를 통해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어덥터관(105)을 끼워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어덥터관(105)의 후방쪽 내경부에는 끼움관(106)을 끼워 상기 끼움관이 어덥터관(105)의 후방쪽을 주사액 배출부(102)쪽으로 가압시켜 줌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105)과 주사액 배출부(102)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어덥터관(105)의 전방쪽인 외부 노출부분에는 그 전방쪽 끝단으로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가 끼워지고, 상기 밀대(103)의 전방쪽 끝단에는 그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진 상태로 가압편(111)이 형성되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가압편(111)의 끝부분이 어덥터관(105)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내경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편(111)의 끝단에는 전방쪽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이퍼형태의 걸림돌기(111a)가 형성되어 가압편(111)의 끝부분이 어덥터관(105)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내경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111a)가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접촉되면서 편심가압력을 부여하도록 함과 함께 이후 밀대(103)를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111a)가 어덥터관(105)에 걸리면서 상기 어덥터관을 후방쪽으로 이끌어내도록 하고, 상기 끼움관(106)과 가압편(111)에 걸쳐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가압편(111)이 끼움관(106)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이후 밀대(103)를 잡아당겨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는 끼움관(106)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안전주사기{disposable safety syringe}
본 고안은 일회용 주사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주사후에는 주사바늘을 실린더 내의 공간부로 인입시켜 상기 주사바늘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주사기를 사용후 폐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나 환자는 물론 폐기된 주사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주사바늘에 찔리는 일이 없도록 한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주사액 배출부(2)가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1)가 있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3)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3)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2)에는 바깥쪽에서 주사바늘 고정부재(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에는 사용시 환자의 피부속으로 꽂히도록 주사바늘(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5)에는 주사바늘(6)을 완전히 감싼상태에서 보호하도록 분리가능하게 주사바늘 보호캡(7)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피스톤이 구비된 밀대가 후방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도인데,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1) 내의 공간부중 밀대(3)에 결합된 피스톤(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져 있다.
상기에서 실린더(1) 내의 공간부로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에 사용자(의사나 간호사)가 주사바늘 고정부재(5)에 고정된 상태의 주사바늘(5)을 보호하고 있는 주사바늘 보호캡(7)을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5)에서 분리시켜 상기 주사바늘(6)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실린더(1)의 공간부에 끼워진 밀대(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사바늘(6)의 끝단이 주사액통(도시는 생략함)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에 잠기도록 한 다음 상기 밀대(3)를 다시 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밀대와 함께 피스톤(4)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상기에서 밀대(3)에 결합된 피스톤(4)이 밀대(3)의 잡아당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1) 내의 공간부로 흡입력이 제공됨에 따라 이 과정에서 주사액통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주사바늘 고정부재(5)에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6)을 통해 흡입되어 실린더(1) 내의 공간부에 채워짐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를 환자쪽인 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사바늘(6)을 환자의 피부 속으로 꽂아 넣은 다음 밀대(3)를 밀어서 상기 밀대에 구비되어 있는 피스톤(4)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실린더(1) 내의 공간부중 피스톤(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압축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1) 내의 공간부에 채워져있는 주사액이 압축력을 받으면서 실린더(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2)를 빠져나가고, 상기 주사액 배출부를 빠져나간 주사액은 계속해서 주사바늘 고정부재(5)에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6)을 통해 환자의 피부속으로 들어가는 투약이 이루어 지는데, 이 상태가 첨부된 도 2b이다.
또한 주사기의 사용후에는 분리되었던 주사바늘 보호캡(7)을 다시 실린더(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2)에 결합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5)에 결합시켜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7)이 주사바늘(5)을 완전히 감싼상태에서 보호하도록 한 다음폐기하면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는 사용후 폐기할 때 주사바늘 보호캡(7)으로서 주사바늘 고정부재(5)에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6)을 완전히 감싸도록 보호한 다음 폐기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인 의사나 간호사가 주사바늘(6)에 찔리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를 에이즈 환자 등과 같이 전염성 병원균을 갖고 있는 환자 등에 사용한 상태라면 안전사고의 심각성은 더더욱 커질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의료용 폐기물은 전문 폐기물 처리업체에 맡겨져 처리되고 있음을 감안 할 때 이 과정에서 주사바늘(6)을 보호하고 있는 주사바늘 보호캡(7)이 분리되면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작업자가 상기 주사바늘(6)에 찔리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도 상기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의료용 기계, 기구물을 제조하는 업계에서는 상기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회용으로 사용하면서도 사용후 폐기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개발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럼 여기서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주사액 배출부(12)가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11)가 있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1)의 길이방향을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13)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13)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1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14)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 내에는 그 전방쪽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주사바늘 고정부재(15)가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쪽에서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실린더(11) 외부 노출부분인 전방쪽에는 사용시 환자의 피부속으로 꽂히도록 주사바늘(1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1)의 전방쪽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의 외측에는 주사바늘(16)을 감싼상태에서 보호하도록 주사바늘 보호캡(17)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밀대(13)중 피스톤(14)과 가까운 부분에는 상기 밀대(13)를 꺾어 쉽게 부러뜨릴 수 있도록 절단홈(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후방쪽 외측 둘레에는 실린더(11)에 주사액 배출부(12)를 단차지게 형성함에 따라 일체화된 단턱부에 걸리도록 플랜지(15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가 실린더(1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 내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전방쪽 이동이 플랜지(15a)에 의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실린더(1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의 내경에는 오링(19)이 끼워져 있는데, 이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5)가 실린더(1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링(19)이 주사액 배출부(12)와 주사바늘 고정부재(15) 사이의 틈새를 기밀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위함에 있다.
또한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후방쪽 끝단 내경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한쌍의 걸림턱(15b)이 형성되어 있고, 밀대(13)의 전방쪽 끝단에는 상기 밀대를 전방쪽으로 완전히 미는 어느 순간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내경부에 형성된 걸림턱(15b)과의 간섭을 이기고 끼워져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걸림편(1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턱(15b)중 걸림편(13a)과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걸림편중 걸림턱(15b)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걸림편(13a)이 걸림턱(15b)의 간섭력을 이기고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후방쪽 내경부로 끼워질 때 접촉에 따른 간섭력을 가급적 적게받도록 부드럽게 라운드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a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밀대와 함께 피스톤이 후방쪽으로 이동된 상태도인데,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중 밀대(13)에 결합된 피스톤(1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져 있고,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는 기 설명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과정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 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1)를 손으로 잡고 환자쪽으로 이동시켜 주사바늘 고정부재(15)에 고정된 주사바늘(16)을 환자의 피부 속으로 꽂아 넣은 다음 밀대(13)를 밀어 상기 밀대와 함께 피스톤(14)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중 피스톤(1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압축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실린더(11)의 전방쪽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 내에는 주사바늘(16)을 고정한 상태로 주사바늘 고정부재(15)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에 채워진 주사액은 계속해서 주사바늘(16)을 통해 환자의 피부속으로 들어가는 투약이 이루어 지고, 상기 주사액의 투약이 완료된 상태가 도 4b이다.
상기에서 실린더(1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 내에 주사바늘 고정부재(15)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후방쪽 외측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15a)가 실린더(11)에 주사액 배출부(12)를 단차지게 형성함에 따라 일체화된 단턱부에 걸려 있게 되므로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전방쪽 이동이 상기 플랜지(15a)에 의해 제한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실린더(1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2)의 내경에 끼워져 있는 오링(19)이 상기 주사액 배출부(12)와 주사바늘 고정부재(15) 사이의 틈새를 기밀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 밀대(13)의 전방쪽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11) 내의 공간부에 채워져 있던 주사액이 상기 실린더를 빠져나가면서 투약이 이루어질 때 외부로 쉽게 새어나가거나 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주사액이 환자에게 투약 완료된 상태는 결국 밀대(13)와 함께 피스톤(14)이 전방쪽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13)의 전방쪽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13a)이 재질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후방쪽 내경부 둘레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5b)의 걸림력을 이기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내경부로 끼워져 들어가 상기 걸림턱(15b)에 걸려 있게 된다.
상기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실린더(11)를 환자와 반대쪽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피부에 꽂혀있는 주사바늘(16)을 빼냄과 동시에 한손으로 상기 실린더(11)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밀대(13)를 후방쪽으로 강하게 잡아당기면 상기 밀대의 전방쪽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13a)이 주사바늘 고정부재(15)의 후방쪽 내경부로 끼워져 상기 후방쪽 내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5b)에 걸려 있음에 따라 상기 밀대(13)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5)와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되면서 도 4c와 같이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되고,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에 고정된 주사바늘(16)도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되는데,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가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는 그 후방쪽 끝단이 밀대(13)의 전방쪽 끝단에 걸려있는 상태임에 따라 편심된 무게중심으로 인해 상기 밀대와의 걸림점인 후방쪽 끝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중력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에 고정된 주사바늘(16)의 전방쪽 끝단만이 실린더(11)의 내경부에 접촉되므로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5)와 주사바늘(16)은 비스듬한 상태의 경사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밀대(13)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홈(18)이 실린더(11)의 후방쪽 바깥쪽에 근접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밀대(13)를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몇번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밀대(13)의 절단홈(18)부분이 도 4d와 같이 절단되고, 상기 밀대가 절단된 이후에는 실린더(11)의 빠깥쪽 부분 밀대를 상기 절단부분이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전방쪽에서 주사액 배출부(12)를 통해 도 4e와 같이 꼽아 넣어 폐기 과정에서 실린더(11) 내의 공간부로 들어가 있던 주사바늘(16)이 상기 주사액 배출부(1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도록 한다.
따라서 주사바늘(16)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린더(11)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함에 따라 사용후 주사기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사바늘(16)에 찔리는 일이 없음은 물론 폐기된 주사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작업자가 주사바늘(16)에 찔리는 일도 없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일회용 안전주사기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5)와 주사액 배출부(12) 사이를 기밀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실링하도록 오링(19)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오링(19)은 적은 외부 압력에 의해서도 매우 민감한 변형성을 갖는 부품임을 감안할 때 주사기의 조립을 위해 각종 부품이 자동 조립라인을 통해 정렬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상기 정렬된 오링(19)을 실린더(11)의 주사액 배출부(12)로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쉽게 찌그러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오링(19)이 주사액 배출부(12) 내로 안정되게 삽입되지 못함에 따라 불량율이 높아짐은 물론 상기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복잡한 부가장치를 조립라인에 구비시켜야 함에 따라 비용부담이 가중되면서 제품의 단가가 올라간다.
둘째, 오링(19)의 불량상태는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은 상태가 대부분이므로 상기 불량상태의 오링이 사용될 확율이 높고, 이 경우에는 조립 완료된 주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사액이 새어나가 환자에게 불안감을 안겨주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사바늘이 고정된 주사바늘 고정부재를 실린더의 주사액 배출부에 결합할 때 변형성이 민감한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부재인 어덥터관과 끼움관을 사용하여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결합부분 실링을 완벽하게 이루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밀대와 함께 피스톤을 후방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2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를 위해 밀대와 함께 피스톤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3은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밀대와 함께 피스톤을 후방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4b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를 위해 밀대와 함께 피스톤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4c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후 밀대와 함께 피스톤을 후방쪽으로 다시 이동시켜 주사바늘 고정부재를 실린더 내의 공간부로 인입시킨 상태도
도 4d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밀대를 전,후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눌러 실린더 외부쪽 부분을 절단시킨 상태도
도 4e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절단된밀대를 실린더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로 끼워 상기 주사액 배출부를 폐쇄시킨 상태도
도 5는 종래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구성요소인 주사바늘 고정부재와 밀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8a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피스톤이 구비된 밀대를 후방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8b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를 위해 밀대와 함께 피스톤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킨 상태도
도 8c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후 밀대를 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전 단계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도
도 8d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후 밀대를 후방쪽으로 일차 이동시켜 끼움관이 어덥터관에서 편심상태로 빠져나옴에 따라 어덥터관과 주사액 배출부의 기밀접촉이 해제된 상태도
도 8e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후 밀대를 후방쪽으로 이차 이동시켜 어덥터관과 함께 주사바늘 고정부재를 실린더 내의 공간부로 인입시킨 상태도
도 8f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밀대의 실린더 외부쪽부분을 전,후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눌러 절단시킨 상태도
도 8g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절단된 밀대를 실린더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로 끼워 상기 주사액 배출부를 폐쇄시킨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요부 구성요소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실린더 102. 주사액 배출부
102a. 요입홈 103. 밀대
104. 피스톤 105. 어덥터관
106. 끼움관 106a. 스토퍼
106b. 걸림홈 107. 주사바늘 고정부재
108. 주사바늘 111. 가압편
111a. 걸림돌기 111b. 탄성돌기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주사액 배출부가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가 끼워지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의 내경부에는 실린더 내의 중공부를 통해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어덥터관을 끼워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어덥터관의 후방쪽 내경부에는 끼움관을 끼워 상기 끼움관이 어덥터관의 후방쪽을 주사액 배출부쪽으로 가압시켜 줌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과 주사액 배출부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인 외부 노출부분에는 그 전방쪽 끝단으로 주사바늘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밀대의 전방쪽 끝단에는 그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진 상태로 가압편이 형성되어 밀대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가압편의 끝부분이 어덥터관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내경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편의 끝단에는 전방쪽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이퍼형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가압편의 끝부분이 어덥터관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내경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가 주사바늘 고정부재에 접촉되면서 편심가압력을 부여하도록 함과 함께 이후 밀대를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어덥터관에 걸리면서 상기 어덥터관을 후방쪽으로 이끌어내도록 하고, 상기 끼움관과 가압편에 걸쳐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밀대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가압편이 끼움관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이후 밀대를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끼움관이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8a 내지 8g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요부 구성 요소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주사액 배출부(102)가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10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103)가 끼워지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103)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101)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104)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10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에는 실린더(101) 내의 중공부를 통해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어덥터관(105)이 끼워져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어덥터관(105)의 후방쪽 내경부에는 끼움관(106)이 끼워져 상기 끼움관이 어덥터관(105)의 후방쪽을 주사액 배출부(102)쪽으로 가압시켜 줌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105)과 주사액 배출부(102)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어덥터관(105)의 전방쪽인 외부 노출부분에는 그 전방쪽 끝단으로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가 끼워지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에는 주사바늘 보호캡(109)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주사바늘(106)이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109)에 감싸여진 상태에서 보호되도록 하며, 상기 밀대(103)중 피스톤(104)과 가까운 부분에는 절단홈(110)이 형성되어 사용후 폐기 고정에서 상기 밀대(103)를 꺾을 때 절단홈(110)으로 인해 쉽게 부러지면서 절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대(103)의 전방쪽 끝단에는 그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진 상태로 가압편(111)이 형성되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가압편(111)의 끝부분이 어덥터관(105)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내경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편(111)의 끝단에는 전방쪽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이퍼형태의 걸림돌기(111a)가 형성되어 가압편(111)의 끝부분이 어덥터관(105)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내경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111a)가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접촉되면서 편심가압력을 부여하도록 함과 함께 이후 밀대(103)를 잡아당김에 따라 가압편(111)이 밀대(103)와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걸림돌기(111a)가 어덥터관(105)에 걸리면서 상기 어덥터관을 후방쪽으로 이끌어내도록 하며, 상기 끼움관(106)과 가압편(111)에 걸쳐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가압편(111)이 끼움관(106)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이후 밀대(103)를 잡아당김에 따라 가압편(111)이 밀대(103)와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끼움관(106)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어덥터관(105)의 후방쪽 내경부에 끼움관(106)을 끼워 상기 끼움관이 어덥터관(105)의 후방쪽을 주사액 배출부(102)쪽으로 가압시켜 줌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105)과 주사액 배출부(102)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끼움관(106)의 외경부중 어덥터관(105)으로 끼워질 부분을 후방쪽인 실린더(101) 쪽에서 그 반대쪽인 전방쪽으로 직경이 점점더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로 하여 상기 끼움관(106)을 어덥터관(105)으로 끼울 때 그 초기 끼워짐이 원할하도록 하면서 끼워짐이 계속되는 어느 순간부터는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인해 어덥터관의 끼움관(106) 접촉부분이 재질 자체의 신축력을 가지면서 주사액 배출부(102)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주사액 배출부에 기밀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중 어덥터관(105)이 기밀 접촉될 후방쪽 끝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부드럽게 라운드진 형태의 요입홈(102a)이 형성되어 끼움관(106)을 어덥터관(105)으로 끼움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의 끼움관(106) 접촉부분이 주사액 배출부(102)쪽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주사액 배출부(102)에 기밀 접촉될 때 그 기밀 접촉부분 둘레가 주사액 배출부(102)에 형성된 요입홈(102a)으로 끼워져 들어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어덥터관(105)과 가압편(111)에 걸쳐 구비된 걸림수단은, 밀대(101)에 형성된 가압편(111)의 외측면 적소에 탄성력을 충분히 갖도록 형성된 탄성돌기(111b)와, 끼움관(106)의 내경부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사용과정에서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키므로 인해 상기 밀대에 형성된 가압편(111)이 끼움관(106)의 내경부로 끼워질 때 상기 가압편(111)에 형성된 탄성돌기(111b)의 원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스토퍼(106a)와, 상기 끼움관(106)의 내경부 중 후방쪽 끝단에 각 스토퍼(106a)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가압편(111)에 형성된 탄성돌기(111b)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106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 구성에서 어덥터관(105)의 전방쪽인 외부 노출부분에 그 전방쪽 끝단으로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외측 둘레면중 후방쪽인 어덥터관(105) 결합부분 끝단에 대략 타원형의 플랜지(107a)가 형성되고, 실린더(10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에는 나선상태로 나선돌기(102b)가 형성되어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플랜지(107a)에 의해 주사액 배출부(102)의 나선돌기(102b)에 나사조임함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105)의 전방쪽인 외부 노출부분에 주사바늘 고정부재(107)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일반적인 방법인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곧바로 어덥터관(105)의 전방쪽인 외부 노출부분에 끼워 결합시켜도 본 고안의 실시에는 큰 문제가 없다.
한편, 본 고안 구성요소인 끼움관(106)의 후방쪽 끝단면인 피스톤(104)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파여지게 경사진 형태로 되고, 상기 피스톤(104)의 전방쪽 끝단면인 끼움관(106)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돌출되게 경사진 형태로 되어 상기 피스톤(104)이 밀대(103)의 전방쪽 이동에 의해 함께 전방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104)의 돌출된 경사부분이 끼움관(106)의 파여진 경사부분으로 정확이 수용되도록 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에서 밀대(103)와 함께 피스톤(104)이 전방쪽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할 때 실린더(101) 내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상기 끼움관(106)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실린더(101)를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참고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어덥터관(105)을 주사바늘 고정부재(105) 결합부분이 실린더(101)를 향한 상태로 하여 상기 실린더의 후방쪽에 나란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어덥터관(105)을 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어덥터관은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끼워 넣어 진후 계속해서 상기 실린더의 전방쪽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 내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어덥터관(105)의 후방쪽 외축둘레부분이 실린더(10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에 근접상태로 가볍게 접촉되어 있게 된다.
계속해서 끼움관(106)을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집어 넣어 전방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그 이동되는 어느 순간 상기 끼움관(106)이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로 끼워지는데, 이때 상기 끼움관(106)의 외경부중 어덥터관(105)으로 끼워질 부분은 후방쪽인 실린더(101) 쪽에서 그 반대쪽인 전방쪽으로 직경이 점점더 줄어드는 테이퍼형태로 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인하여 어덥터관(105)의 초기 끼워짐이 원할함은 물론 끼워짐이 계속되는 어느 순간부터는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인해 어덥터관의 끼움관(106) 접촉부분이 재질 자체의 신축력을 가지면서 주사액 배출부(102)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주사액 배출부에 기밀 접촉되고, 이에 따라 주사액 배출부(102)와 어덥터관(105) 사이가 실링되어 조립된 이후로 본 고안 안전주사기를 사용할 때 주사액이 상기 주사액 배출부(102)와 어덥터관(105) 사이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주사액 배출부(102)와 어덥터관(105) 사이를 실링하기 위해 상기 어덥터관의 내경부로 끼움관(106)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중 어덥터관(105)이 기밀 접촉될 후방쪽 끝단에 그 둘레를 따라 부드럽게 라운드진 형태의 요입홈(10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덥터관(105)의 일부분 둘레가 재질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요입홈(102a)으로 수용되는데, 이는 주사액 배출부(102)와 어덥터관(105) 사이의 일부분을 직선상태에서 곡선상태로 바꿔 기밀 접촉력이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조립 완료후 사용 과정에서 여러가지 요인에 인해 어덥터관(105)으로 후방쪽 이동력이 부여되더라도 실제로는 상기 어덥터관이 후방쪽으로 이동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실린더(101)의 주사액 배출부(102)로 어덥터관(105)이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어덥터관으로 끼움관(106)이 끼워져 조립되고 나면,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피스톤(104)이 구비됨과 함께 절단홈(110)이 형성되어 있는 밀대(103)를 끼워 넣으면 되고, 이후 주사바늘 고정부재(105)의 전방쪽 끝부분인 외부 노출부분에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끼워 결합시킨 다음 주사바늘 고정부재에 주사바늘 보호캡(109)을 결합시켜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이 주사바늘(108)을 감싼상태로 보호하도록 하면 되는데, 상기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어덥터관(105)에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109)을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본 고안 안전주사기를 처음 조립할 때 실시하여도 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본 고안 안전주사기를 사용하기 바로 직전 단계에서 실시하여도 된다.
상기에서 어덥터관(105)에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결합할 때는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를 곧바로 어덥터관(105)에 끼워도 되지만 결합력 향상과 사용상의 편리성 확보를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고정부재(107)의 외측 둘레면중 후방쪽인 어덥터관(105) 결합부분 끝단에 형성된 대략 타원형 플랜지(107a)와 실린더(10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에 나선상태로 형성된 나선돌기(102b)를 이용함이 바람직 할 것인데, 상기 플랜지(107a)와 나선돌기(102b)를 이용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어덥터관(105)에 결합할 때에는 먼저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실린더(101)의 주사액 배출부(102) 내로 끼워 넣어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플랜지(107a)의 서로 대향되는 두 부분이 상기 주사액 배출부(102)의 내경부에 나선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돌기(102b)에 일단 간섭되도록 한 다음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조임방향 회전시에는 플랜지(107a)가 나선돌기(102b)에 안내되면서 조여짐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가 후방쪽인 실린더(101) 쪽으로 이동되므로 결국 상기 어덥터관(105)에 주사바늘 고정부재(107)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조립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 짐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상기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의 사용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주사바늘(108)을 보호하고 있는 주사바늘 보호캡(109)을 전방쪽인 실린더(101)와 멀어지는 쪽으로 잡아당겨 상기 주사바늘 보호캡(109)이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서 분리되면서 주사바늘(108)의 보호상태를 해제하는 사전 과정을 미리 거쳐야 한다.
첨부된 도 8a는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사하기 전 밀대와 함께 피스톤이 후방쪽으로 이동된 상태도인데,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밀대(103)에 구비된 피스톤(10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져 있고,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주사액이 흡입되어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서는 기 설명된 일반적인 일회용 주사기의 과정을 참고하면 충분히 이해 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8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01)를 손으로 잡고 환자쪽으로 이동시켜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고정된 주사바늘(108)이 환자의 피부 속으로 꽂아 넣어 지도록 한 다음 밀대(103)에 의해 피스톤(101)을 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중 피스톤(104)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부분에 압축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실린더(101)의 전방쪽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 내에 결합되어 있는 어덥터관(105)은 조립과정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주사액 배출부(102)와의 사이가 기밀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실린더(101)를 빠져나간 주사액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계속해서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고정된 주사바늘(108)을 통해 환자의 피부속으로 들어가는 투약이 이루어 지고, 상기 주사액의 투약이 완료된 상태는 밀대(103)가 전방쪽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서 도 8b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상기 도 8b와 같은 상태에서는 끼움관(106)의 후방쪽 끝단면인 피스톤(104) 대향면이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파여지게 경사진 형태로 되고, 상기 피스톤(104)의 전방쪽 끝단면인 끼움관(106)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내경부 쪽으로 돌출되게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피스톤(104)의 돌출된 경사부분이 끼움관(106)의 파여진 경사부분으로 정확이 수용되어 있는데, 이는 그 이전 과정, 다시말해 피스톤(104)이 밀대(103)에 의해 전방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실린더(101)의 내경부에 압축력이 제공될 때 상기 실린더(101) 내에 채워져 있는 주사액이 끼움관(106)의 파여진 경사부분으로 인해 상기 경사부분을 따라 자연스럽게 중심부 쪽으로 모여지게 하고, 이로 인해 실린더(101) 내의 주사액이 상기 끼움관(106)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실린더(101)를 빠져나감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주사액이 환자에게 투약 완료된 상태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밀대(103)가 전방쪽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로서, 이때에는 첨부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103)의 전방쪽 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11)이 끼움관(106)과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를 통해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내경부로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가압편(11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11a)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접촉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가압편(111)이 끼움관(106)과 어덥터관(105)의 내경부를 통해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내경부로 끼워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가압편(111)의 둘레면에 탄성력을 충분히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돌기(111b)가 끼움관(106)의 내경부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각 스토퍼(106a)중 두개의 스토퍼 사이에서 안내되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밀대(103)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회전력을 가지더라도 상기 가압편(111)에 형성된 탄성돌기(111b)는 스토퍼(106a)에 간섭될 수 밖에 없음에 따라실제로 회전되지는 못하게 되고, 상기 밀대(103)가 전방쪽으로 이동 완료되면서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약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편(111)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돌기(111b)가 끼움관(106)에 형성되어 있는 각 스토퍼(106a)중 두개의 스토퍼 사이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가압편(111)에 형성된 탄성돌기(111b)가 끼움관(106)에 형성된 각 스토퍼(106a)중 두개의 스토퍼 사이에 안내될 때 상기 탄성돌기(111b)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중심부쪽으로 오므라 들게되므로 이후 과정에서 밀대(103)를 전방쪽으로 이동 완료한 다음 회전시킬 때는 그 회전되는 어느 순간 상기 탄성돌기(111b)가 다시 복원되면서 끼움관(106)에 형성된 걸림홈(106b) 내로 원활히 끼워져 들어가 걸리게 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밀대(103)의 전방쪽 끝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11)의 끝단 걸림돌기(111a)가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내경부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편(111)의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상태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상기 가압편(111)은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와의 접촉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해 축방향 중심선상 쪽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축방향 중심선상과 멀어지는 어느 한방향으로 편심가압시키게 되고, 이 경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는 어덥터관(105)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어덥터관은 실린더(101)의 주사액 배출부(102)에 결합된 상태에서 끼움관(106)의 끼워짐에 의해 주사액 배출부(102)와 기밀 접촉되어 있음에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편심 가압력을 받고만 있을 뿐 실제로는 편심회전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 도 8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린더(101)를 환자와 반대쪽으로 이동시켜 환자의 피부에 꽂혀있는 주사바늘(108)을 빼냄과 동시에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있던 밀대(103)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상기 밀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11)도 함께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끼움관(106)의 내경부중 후방쪽 끝단에 는 각 스토퍼(106a)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걸림홈(106b)이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어느 순간 도 8c와 같이 상기 가압편(111)에 형성된 탄성돌기(111b)가 각 걸림홈(106b)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상기 밀대(103)를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밀대의 후방 이동력이 가압편(111)에 형성된 탄성돌기(111b)를 통해 끼움관(106)으로 편심되게 전달되므로 상기 끼움관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서 도 8d와 같이 일차적으로 어덥터관(105)의 내경부에서 어느정도 빠져나오게 되어 결국 상기 어덥터관은 주사액 배출부(102)와의 기밀 접촉상태가 해제되는데, 이후 밀대(103)를 더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11)도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가압편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1a)가 어덥터관(105)에 걸리면서 상기 어덥터관을 후방쪽으로 끌어 당기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어덥터관에는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가 끼워져 있음에 따라 결국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는 주사바늘(108)이 고정된 상태에서 어덥터관(105)의 후방쪽 이동시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하여 도 8e와 같이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된다.
한편 도 8e와 같이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가 어덥터관(105)과 함께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완전히 들어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덥터관(105)의 후방쪽만이 실린더(101)와 상당한 유격을 가진상태로 지지되어 있을 뿐 그 외에는 어느 구성요소에도 지지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어덥터관(105)과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결합체는 밀대(103)에 형성된 가압편(103a)의 편심 가압력을 받게 됨은 물론 그 결합체 자체적인 편심 중량도 받게되므로 상기 어덥터관(105) 및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결합체는 실린더(101)와의 지지점인 후방쪽 끝단을 기준으로 하여 중력방향으로 확실하게 기울어질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에 고정된 주사바늘(108)의 전방쪽 끝단만이 실린더(101)의 내경부에 접촉되므로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와 주사바늘(108)은 실린더(101)를 수평상태로 볼 때 비스듬한 경사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밀대(103)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홈(110)이 실린더(101)의 후방쪽 바깥쪽에 근접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밀대(103)를 전,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몇번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밀대(103)의 절단홈(110)부분이 부러지면서 도 8f와 같이 절단되고, 상기 밀대(103)가 절단된 이후에는 실린더(101) 외부에 있는 밀대를 상기 절단부분이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전방쪽에서 주사액 배출부(102)를 통해 도 8g와 같이 꼽아 넣어 폐기 과정에서 실린더(101) 내의 공간부로 들어가 있던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주사바늘(108)이 상기 주사액 배출부(10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일이 없도록 한다.
따라서 주사바늘(108)은 어떠한 경우에도 실린더(101)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함에 따라 사용후 주사기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사바늘(108)에찔리는 일이 없음은 물론 폐기된 주사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작업자가 주사바늘(108)에 찔리는 일도 없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 일회용 안전주사기는 주사바늘(108)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107)를 실린더(101)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102) 내에 결합할 때 변형성이 쉬운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어덥터관(105)과 끼움관(106)을 이용하여 상기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결합부분 실링을 완벽하게 이루도록 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어덥터관(105)과 끼움관(106)은 외부 압력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성을 갖지 않는 부품임을 감안할 때 주사기의 조립을 위해 상기 어덥터관(105) 및 끼움관(106)이 자동 조립라인을 통해 정렬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상기 정렬된 어덥터관(105) 및 끼움관(106)이 실린더(101)의 주사액 배출부(102)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쉽게 찌그러들거나 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105) 및 끼움관(106)이 주사액 배출부(102) 내로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는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을 유지함에 따라 불량율이 그만큼 낮아짐은 물론 종래에서 처럼 조립라인에 별도의 복잡한 부가장치를 구비시키지 않아도 됨에 따라 비용부담이 줄어들게 되면서 제품의 단가가 내려가게 된다.
둘째, 주사바늘 고정부재(107)의 결합부분 실링을 위해 사용되는 어덥터관(105) 및 끼움관(106)은 조립전 단계에서 그 불량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불량상태의 부품이 사용될 확율이 낮고, 이에 따라 조립 완료된 주사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사액이 새어나가지 않아 환자가 주사액을 투약받는 과정에서 불안감을 느끼거나 하지 않게된다.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방쪽에는 주사액 배출부가 단차진 상태로 형성된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내의 공간부에는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가 끼워지며, 상기 밀대의 전방쪽에는 밀대의 전,후방이동시 실린더와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을 제공하거나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피스톤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주사액 배출부의 내경부에는 실린더 내의 중공부를 통해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어덥터관을 끼워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어덥터관의 후방쪽 내경부에는 끼움관을 끼워 상기 끼움관이 어덥터관의 후방쪽을 주사액 배출부쪽으로 가압시켜 줌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과 주사액 배출부 사이가 기밀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어덥터관의 전방쪽인 외부 노출부분에는 그 전방쪽 끝단으로 주사바늘이 고정되어 있는 주사바늘 고정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밀대의 전방쪽 끝단에는 그 축방향 중심선이 경사진 상태로 가압편이 형성되어 밀대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상기 가압편의 끝부분이 어덥터관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내경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편의 끝단에는 전방쪽에서 후방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더 작아지는 테이퍼형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가압편의 끝부분이 어덥터관을 완전히 통과하여 주사바늘 고정부재의 내경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가 주사바늘 고정부재에 접촉되면서 편심가압력을 부여하도록 함과 함께 이후 밀대를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어덥터관에 걸리면서 상기 어덥터관을 후방쪽으로 이끌어내도록 하고, 상기 끼움관과 가압편에 걸쳐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밀대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에는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가압편이 끼움관에 걸리도록 함에 따라 이후 밀대를 잡아당겨 후방쪽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끼움관이 함께 후방쪽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끼움관의 외경부중 어덥터관으로 끼워질 부분을 후방쪽인 실린더 쪽에서 그 반대쪽인 전방쪽으로 직경이 점점더 줄어드는 테이퍼 형태로 하여 상기 끼움관을 어덥터관으로 끼울 때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인해 그 초기 끼워짐이 원활하도록 함과 함께 상기 끼움관이 어덥터관으로 끼워지는 어느 순간부터는 어덥터관의 끼움관 접촉부분이 주사액 배출부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주사액 배출부와 기밀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주사액 배출부의 내경부중 어덥터관이 기밀 접촉될 후방쪽 끝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부드럽게 라운드진 형태의 요입홈이 형성되어 끼움관을 어덥터관으로 끼움에 따라 상기 어덥터관의 끼움관 접촉부분이 주사액 배출부 쪽으로 가압되어 기밀 접촉될 때 상기 어덥터관의 일부분 둘레가 재질 자체의 신축력으로 인해 주사액 배출부에 형성된 요입홈으로 끼워져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수단은,
    밀대에 형성된 가압편의 외측면 적소에 형성된 탄성돌기와,
    끼움관의 내경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사용과정에서 밀대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키므로 인해 상기 밀대에 형성된 가압편이 끼움관의 내경부로 끼워질 때 상기 가압편에 형성된 탄성돌기의 원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개의 스토퍼와,
    상기 끼움관의 내경부 중 후방쪽 끝단에 각 스토퍼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밀대를 전방쪽으로 밀어 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가압편에 형성된 탄성돌기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끼움관의 후방쪽 끝단면인 피스톤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파여지게 경사진 형태로 되고, 상기 피스톤의 전방쪽 끝단면인 끼움관 대향면은 그 외경부 쪽에서 내경부 쪽으로 돌출되게 경사진 형태로 되어 상기 피스톤이 밀대의 전방쪽 이동에 의해 함께 전방쪽으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의 돌출된 경사부분이 끼움관의 파여진 경사부분으로 정확이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2003-0011880U 2003-04-17 2003-04-17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20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80U KR200320327Y1 (ko) 2003-04-17 2003-04-17 일회용 안전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80U KR200320327Y1 (ko) 2003-04-17 2003-04-17 일회용 안전주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356A Division KR100473371B1 (ko) 2003-04-17 2003-04-17 일회용 안전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327Y1 true KR200320327Y1 (ko) 2003-07-16

Family

ID=4941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880U KR200320327Y1 (ko) 2003-04-17 2003-04-17 일회용 안전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3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58740A (ja) 選択的に格納可能な針を有する皮下注射器
RU2314130C2 (ru) Одноразовый шприц
KR200350792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1062007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506703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473371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20327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23883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506705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547617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493406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27275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38184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506701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23882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38196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660317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27191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20342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506146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17776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311386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470119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100493405B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040094199A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