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091Y1 -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 Google Patents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091Y1
KR200320091Y1 KR20-2003-0011536U KR20030011536U KR200320091Y1 KR 200320091 Y1 KR200320091 Y1 KR 200320091Y1 KR 20030011536 U KR20030011536 U KR 20030011536U KR 200320091 Y1 KR200320091 Y1 KR 200320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ing
base tube
support guide
prefabricated
guid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두
Original Assignee
청록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록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록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1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두막이나 정자 또는 좌대와 함께 미적조화를 이루고 또 조립상태가 보다 견고하며, 파손 시에 신속하게 부분교체가 가능한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에 의하면, 금속재로 된 기초관의 외주면에 목재를 감싼 후에 볼트로 고정하여 된 조경시설물용 지주에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T자형의 지지안내편들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기초관과, 원통형의 목재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4등분되며 기초관에 대하여 원통형상으로 감싸여져 결합되도록 지지안내편들 사이에 양측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져 밀착·결합되는 외관수직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습기에 따른 지주의 뒤틀림이나 갈라짐 및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또 알루미늄과 목재만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무게가 경량이면서 자연적인 미적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목재의 부분파손 시에 손쉽게 분해 교체가 가능하여 설치작업 및 보수작업 때 공기가 대폭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SUPPORT ASSEMBLY TYPE FOR LANDSCAPE INSTITUTION}
본 고안은 예컨대, 공원이나 놀이터 또는 태양광이 직사되는 옥외의 특정 장소 등에서 햇빛을 차단하고 그늘을 형성하여, 휴식공간으로서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원두막이나 정자(亭子) 또는 좌대 등을 시설할 때 그 원두막이나 정자 또는 좌대를 받쳐주는 기둥역할을 하는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막이나 정자 또는 좌대와 함께 미적조화를 이루고 또 조립상태가 보다 견고하며, 파손 시에 신속하게 부분교체가 가능하면서도 공기의 단축과 수작업의 편리성이 양립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놀이터 또는 태양광이 직사되는 옥외의 특정 장소에는 강한 햇빛을 차단하고 사람들이 편히 앉아 쉴 수 있도록 쉼공간을 제공하는 원두막이나 정자 또는 좌대 등과 같은 각종 휴식공간이 조성되는데, 상기 종래의 원두막이나 정자 또는 좌대 등을 받쳐주는 기둥역할을 하는 지주는 대개가 원통형이나 사각형 등과 같이 각이진 목재 또는 금속제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지주가 목재인 경우에는 못으로 박아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금속재질인 경우에는 그 외면에 피막 및 도색과정을 거쳐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금속재질에 피막 및 도색을 한 지주는 내구성이 강하고 조립 분해가 용이 하지만 원두막, 정자 및 좌대의 자연적인 이미지와는 상반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도색이 벗겨져 피막부가 노출될 뿐만 아니라 특히 옥외에 장기간 설치 시에 산화부식이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무를 이용한 지주는 자연적인 이미지와 잘 어울리지만 비를 맞고 햇빛을 받는 반복되는 과정에서 스며든 물의 건조지연과 수분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고정 못을 사용한 곳부터 갈라지거나 뒤틀림, 휨 등의 변형이 일어나고, 또 지주 파손 시에 전체를 갈아주어야 할뿐만 아니라 자체의 중량에 의해 이동 및 설치작업에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금속재질의 사용에 따른 도색과정과 장기간 사용에 의한 산화·부식을 방지하고 또 나무재질의 사용에 따른 갈라짐이나 뒤틀림 및 휨 등의 변형을 최소화시키면서 시공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31137호(명칭: 그늘집 기둥 구조)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231137호에 의하면, 원형관으로 된 기초관과, 상기 기초관의 외주면을 동일한 형상의 목재가 다수 개로 분할된 외관지지대가 감싸도록 하고, 그 분할된 외관지지대의 사이에 스틸재질로 된 T형 고정대가 형합 안착되어 볼트로써 상기 외관지지대를 상기 기초관에 견고히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T형 고정대의 외곽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고정대 커버가 안착되게 하여 스틸재질인 상기 기초관과 T형 고정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기초관을 스틸재질로 설치함으로서 휨이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고, 또 외관은 딱딱하지 않고 자연적인 이미지를 주기 위해 목재를 감싸도록 하되, 목재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못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목재의 생산 가공 시에 별도의 형상이 구비된 이음부에 형합 맞춤 되도록 상기 T형 고정대를 구비하여 상기 기초관에 볼트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목재의 뒤틀림이나 휨 변형을 최소화하며, 또한 볼트의 노출을 방지하고 목재만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주변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고정대 커버가 구비되어, 설치 후에 별도의 도색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하는 그늘집 기둥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그늘집 기둥 구조는 스틸재질로 된 원통형의 기초관 외주면에 목재로 이루어진 4개의 외관지지대를 감싼 다음 그 기초관에 외관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스틸재질로 된 4개의 T형 고정대를 외관지지대들 사이에 끼우고 기초관의 홀들과 T형 고정대의 홀들을 일일이 맞춰가면서 다수 개의 볼트들을 끼워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T형 고정대에 다수 개의 볼트들을 체결할 때 작업자가 그 볼트들의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외관지지대들을 한 팔로 감싼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볼트를 체결해야 하거나 또는 다른 작업자의 도움을 받아 체결해야 함으로 작업능률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트와 스틸재질로 이루어진 T형 지지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대 커버를 T형 고정대에 끼워야 하는 설치작업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수 개의 외관지지대 중에서 부분 파손이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조립과정의 역순으로 해체해야 함으로 부분교체가 그리 간단치 않고, 또한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설치작업의 지연과 함께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자연적인 미적효과와 더불어 파손 시에 부분교체가 쉬운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상변화에 따른 지주의 뒤틀림이나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경량이면서 자연적인 미적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조경시설물용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조립식 지주는 속이 비어 있는 사각형상의 알루미늄과 이를 감싸는 목재의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상태가 보다 견고하고 부분파손 시에 신속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조립식 지주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기초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T자형의 지지안내편을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일체로 형성하여, 목재로 이루어진 외관수직대들을 상기 기초관에 대해 원통형을 이루어 감싸도록 상기 지지안내편들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끼워 결합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안정적인 구조와 시공의 편리성을 갖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절개하여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식 지주 20 : 기초관
30 : 외관수직대 30a : 요철부
40 : 지지안내편 40a : 접촉안내면
50 : 보강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에 의하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T자형의 지지안내편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 형성된 기초관; 원통형의 목재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4등분되어 상기 기초관에 대해 원통형상으로 감싸여져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안내편들 사이에 양측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져 밀착·결합되는 외관수직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초관이 원통형을 가질 때, 상기 지지안내편들이 9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외관수직대의 내면은 상기 기초관의 외주면과 면 접촉되도록 외향으로 곡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초관이 사각관형을 가질 때, 상기 지지안내편들이 그 모서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고, 상기 외관수직대의 내면은 상기 기초관의 외주면과 면 접촉되도록 평탄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안내편들의 머리부가 상기 외관수직대들과 함께 원통형을 이루도록 외향으로 곡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외관수직대들의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안내편들에 끼워져 밀착·결합되도록 한 쌍의 요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초관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주 면에 십자형의 보강대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기초관의 외주면에 T자형의 지지안내편들이 일체로 형성되어짐으로써, 4등분된 나무재질의 외관수직대들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상기 기초관의 지지안내편에 수직하게 끼워져 면접촉으로 안정되게 결합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습기에 따른 지주의 뒤틀림이나 갈라짐 및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며, 또한 알루미늄과 목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무게가 경량이면서 자연적인 미적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목재의 부분파손 시에 손쉽게 분해 교체가 가능하여 설치작업은 물론 보수작업 때 공기가 대폭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분해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를 절개하여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10)는, 도 1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무게가 가벼우면서 사각관형으로 이루어진 속이 빈 알루미늄 재질의 기초관(20)과, 원통형의 목재가 4등분되어 얻어지며 기초관(20)의 외주면에 원통형상으로 감싸져 면 접촉으로 결합되는 4개의 외관수직대(30, 32, 34, 36)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기초관(20)은 지주의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4등분되어진 4개의 외관수직대(30, 32, 34, 36)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그 모서리와 연이어 T자형의 지지안내편(40, 42, 44, 46)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며, 그 지지안내편(40, 42, 44, 46)들 사이에는 외관수직대(30, 32, 34, 36)들의 내면과 면 접촉을 이루도록 평탄하게 이루어진 접촉안내면(40a)이 형성된다. 여기서, 기초관(20)의 지지안내편(40, 42, 44, 46)은 상기 외관지지대들과 함께 원통형을 이루도록 머리부가 외향으로 곡면 처리되고, 색상은 주변환경과 맞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초관(20)의 외주면에는 목재로 되고 기초관(20)의 사각관형과 대응하는 내면을 갖는 외관수직대(30, 32, 34, 46)가 원통형상으로 감싸여져 결합되는데, 이때 외관수직대(30, 32, 34, 36)는 지지안내편(40, 42, 44, 46)에 삽입되어 접촉안내면(40a)과 면 접촉되어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목재를 동일한 형상으로 4등분하여 얻어지며, 그 절개된 양측 단부에는 기초관(20)의 지지안내편(40, 42, 44, 46)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고, 또 삽입 후에는 유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맞춤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요철부(30a)(32a)(34a)(36a)가 길이방향을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경시설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주는 4개를 기본으로 하여 그 이상의 수를 설치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10)의 외관수직대는 원통형의 목재를 다수 개의 등분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개 등분으로 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또 기초관(20) 역시 6각 또는 8각 또는 원통형으로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외관수직대와 대응하도록 사각관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10)의 기초관(20)에 외관수직대(30, 32, 34, 36)를 설치함에 있어서, 먼저 외관수직대(30, 32, 34, 36)들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한 쌍의 요철부(30a, 32a, 34a, 36a) 선단을 기초관(20)의 모서리부위에 각각 형성된 지지안내편(40, 42, 44, 46)에 맞춘 상태에서 수직하향으로 외관수직대(30, 32, 34, 36)를 밀어 넣게 되면 요철부(30a, 32a, 34a, 36a)가 상기 지지안내편을 따라 삽입되면서 그 지지안내편과 면 접촉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외관수직대들의 내면이 사각관형으로 이루어진 기초관(20)의 접촉안내면(40a)과 면 접촉을 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기초관(20)에 형성된 T자형의 지지안내편(40, 42, 44, 46)의 양 날개부는 상기 외관수직대들의 요철부(30a, 32a, 34a, 36a)를 눌러 줌으로써 그 외관수직대들이 기초관(20)으로부터 유동 및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T자형의 지지안내편(40, 42, 44, 46)의 머리부위가 완만하게 외향으로 곡선 처리되어 있어 상기 외관수직대들과 함께 기초관(20)에 대하여 원통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T자형의 지지안내편(40, 42, 44, 46)으로 기초관(20)과 외관수직대(30, 32, 34, 36)를 결합한 것에 의해 상기 외관수직대들을 못을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기초관(20)에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기초관(20)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외관수직대들이 4개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습기에 따른 목재 자체의 뒤틀림이나 갈라짐 및 휨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의 기초관(20)과 목재로 이루어진 외관수직대들 만을 가지고 조경시설물용 지주를 형성함으로써, 자연적인 미적 조화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벼워 이동성 또한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전술한 기초관(20)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때에는 전술한 지지안내편(40, 42, 44, 46)들을 그 기초관(20)의 원주방향에 대해 90도의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하며, 외관수직대(30, 32, 34, 36)들의 내면 역시 기초관(20)의 외주면과 면 접촉이 되도록 외향으로 곡면으로 처리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 예로서, 원통형 또는 사각관형으로 이루어진 기초관(20)의 직경이 큰 경우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초관(20)에 가해지는 지붕보(60)의 중량에 의해 휘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관(20)의 내주 면에 열 십자형의 보강대(50)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해 줌으로써 기초관(20)이 도 4에 나타낸 지붕보(60)의 중량이 가해지더라도 휨이 발생되지 않고 지붕보(60)를 안정되게 지탱해 주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스틸재질로 된 원통형의 기초관 외주면에 목재로 이루어진 4개의 외관지지대를 감싼 다음 그 기초관에 외관지지대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스틸재질로 된 4개의 T형 고정대를 상기 외관지지대들 사이에 끼우고 기초관의 홀들과 T형 고정대의 홀들을 일일이 맞춰가면서 다수 개의 볼트들을 끼워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기초관의 외주면에 T자형의 지지안내편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어짐으로써, 4등분된 나무재질의 외관수직대들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상기 기초관에 끼워져 안정되게 결합되어짐을 알 수가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비를 맞고 햇빛을 받는 반복되는 과정에 의해서 발생되는 지주의 뒤틀림이나 갈라짐 및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또한 알루미늄과 목재만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무게가 경량이면서 자연적인 미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목재의 부분파손 시에 손쉽게 분해 교체가 가능하여 설치작업 및 보수작업 때 공기가 대폭 단축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에 의하면, 습기에 따른 지주의 뒤틀림이나 갈라짐 및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또한 알루미늄과 목재만의 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무게가 경량이면서 외관이 자연적인 조화를 이루게 되어 미적효과가 향상되며, 또 목재의 부분파손 시에 손쉽게 분해 교체가 가능하여 설치작업 및 보수작업 때 공기가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금속재로 된 기초관의 외주면에 목재를 감싼 후에 볼트로 고정하여 된 조경시설물용 지주에 있어서;
    (1)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 원주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T자형의 지지안내편들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기초관; 및
    (2) 원통형의 목재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4등분되며 상기 기초관에 대하여 원통형상으로 감싸여져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안내편들 사이에 양측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져 밀착·결합되는 외관수직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관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지지안내편들이 원주방향에 대해 90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외관수직대의 내면은 상기 기초관의 외주면과 면 접촉되도록 외향으로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관이 사각관형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지지안내편들이 그 모서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외관수직대들의 내면은 상기 기초관의 외주면과 면 접촉되도록 평탄한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안내편들의 머리부가 상기 외관수직대들과 함께 원통형을 이루도록 외향으로 곡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관수직대들의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안내편들에 끼워져 밀착·결합되도록 한 쌍의 요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관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주 면에 열 십자형의 보강대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KR20-2003-0011536U 2003-04-15 2003-04-15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KR200320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36U KR200320091Y1 (ko) 2003-04-15 2003-04-15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36U KR200320091Y1 (ko) 2003-04-15 2003-04-15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091Y1 true KR200320091Y1 (ko) 2003-07-12

Family

ID=4941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536U KR200320091Y1 (ko) 2003-04-15 2003-04-15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0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683B1 (ko) * 2008-11-18 2009-11-27 대흥우드산업(주) 집성원목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6314B1 (ko) * 2017-11-28 2019-05-07 장상대 캐노피 결합구조
KR20190104916A (ko) * 2019-04-29 2019-09-11 장상대 캐노피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683B1 (ko) * 2008-11-18 2009-11-27 대흥우드산업(주) 집성원목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6314B1 (ko) * 2017-11-28 2019-05-07 장상대 캐노피 결합구조
KR20190104916A (ko) * 2019-04-29 2019-09-11 장상대 캐노피 결합구조
KR102094636B1 (ko) * 2019-04-29 2020-03-30 주식회사 새론캐노피아 캐노피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530Y1 (ko) 간이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101067629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200320091Y1 (ko)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KR20160108937A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US5711337A (en) Tent frame and party tent
KR101610669B1 (ko) 조립식 파라솔
KR200449646Y1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101736715B1 (ko) 가변조립식 기둥과 지붕으로 구성된 옥외용 퍼걸러
CN215759622U (zh) 一种钢结构网架顶升支座
FI68105C (fi) Stoedroer med minst en med detsamma loesbart foerbunden anslutningprofil foer mindre konstruktioner
CN211201136U (zh) 一种盘式脚手架
KR101097283B1 (ko) 구조물의 기둥 구조
KR101097284B1 (ko) 구조물의 기둥 구조
KR200416548Y1 (ko) 조립 시설물용 지주
KR20100050993A (ko) 휴대용 간이 조립식 천막
JP2009084997A (ja) 建物の骨組
CN210482804U (zh) 一种免角码栏杆
KR101610674B1 (ko) 조립식 파라솔의 방사형 살
KR200451642Y1 (ko) 다기능 벤치
CN113605738B (zh) 一种木质文物建筑裂缝修复用夹紧机构
KR20100123330A (ko) 건축용 기둥 보강구조물
CN217204985U (zh) 一种组装式建筑装置
US11965340B2 (en) Modular type shading facade
KR101610673B1 (ko) 조립식 파라솔의 지붕 중심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