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42Y1 - 다기능 벤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42Y1
KR200451642Y1 KR2020080009287U KR20080009287U KR200451642Y1 KR 200451642 Y1 KR200451642 Y1 KR 200451642Y1 KR 2020080009287 U KR2020080009287 U KR 2020080009287U KR 20080009287 U KR20080009287 U KR 20080009287U KR 200451642 Y1 KR200451642 Y1 KR 200451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nch
coupled
lighting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670U (ko
Inventor
우영희
Original Assignee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80009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4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6Means to protect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5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illumination, e.g. lamp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다기능 벤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기능 벤치는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고정되고, 원호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복수의 지주대와, 지주대에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지주대의 직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와, 지주대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결합되어 좌석부에 앉은 사용자가 비, 강한 햇빛 등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막와, 지주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벤치, 지주대, 원호, 차양막, 조명

Description

다기능 벤치{The bench which has a various function}
본 고안은 다기능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설치가 용이하고, 차양막과 조명을 구비하여 공원, 건물주변, 버스승강장, 도로변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다기능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치(bench)는 옥외공간에 설치하는 긴 의자로서, 예컨대 휴식, 독서, 대화, 사색, 기다림 및 관상(觀賞)용 등의 용도로 곳곳에 설치되고 있다.
특히, 공원 등지의 나무그늘이나 잔디밭, 화단부근 또는 산책로 주변에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공원을 찾은 사람들의 휴식처로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벤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주로 등받이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2가지 형태로 대별된다.
그리고, 그 일반적인 형태로는 지면에 지탱할 수 있는 4개의 다리를 가지고 벤치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금속재 프레임과, 이들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사람이 앉거나 앉아서 기댈 수 있는 좌판 및 등받이로 이루어 져 있다.
한편, 좌판과 등받이는 커다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통판 형태의 것과, 좁은 폭을 갖는 다수개의 목재로 된 시트바가 연이어서 또는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좌판과 등받이를 구성하는 형태의 것이 있다.
이 중, 후자의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종래의 벤치에 의하면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그 본연의 기능 외에는 어떠한 역할도 할 수 없는 지극히 단순한 구성만을 가지며, 특히 야간에는 그 주변에 가로등이 없을 경우 찾기도 쉽지 않은 단점을 지닌다.
또한, 벤치 자체에서 그늘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주대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하여 좌석부와 차양막을 간단한 구조로 조립·해체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별도의 조명을 구비하여 야간에도 위치확인 및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는 다기능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는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고정되고, 원호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복수의 지주대와, 지주대에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지주대의 직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와, 지주대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결합되어 좌석부에 앉은 사용자가 비, 강한 햇빛 등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막과, 지주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지주대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의 둘레에는 콘크리트블럭이 고정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석부는 지주대에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안착브라켓과, 안착브라켓의 외측면에 다수개 연이어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안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양막은 지주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양막의 재질은 강화폴리카보네이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명부는 지주대 상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광원과, 광원의 둘레에 구비되어 광원을 보호하며, 빛을 확산시키는 조명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명케이스는 일단이 개방된 관형상이고, 조명케이스의 개방된 측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지주대의 끝단부에 끼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그 본연의 기능 외에는 원호형상의 지주대에 차양막을 걸쳐 결합하는 구조에 의해 야외에서 그늘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지주대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하여 좌석부와 차양막을 간단한 구조로 조립·해체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별도의 조명을 구비하여 야간에도 벤치의 위치확인이 용이하며,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100)는 복수의 지주대(110), 좌석부(120), 차양막(130), 조명부(140)로 이루어진다.
지주대(11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원호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주대(110)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112)가 형성되고, 지지부(112)의 둘레에는 콘크리트블럭(116)이 고정되어 지면에 매설된다.
지지부(112)에는 콘크리트블럭(116)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편(1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석부(120)는 지주대(110)에 양 끝단이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한 쌍의 지주대(110)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지주대(110)의 형상이 원호형상이므로 원호의 중심을 향하여 직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좌석부(120)는 한 쌍의 지주대(110)에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안착브라켓(122)과, 안착브라켓(122)의 외측면에 다수개 연이어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안착바(124)로 이루어진다.
안착브라켓(122)은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이고, 지주대(110)에 접하여 볼트결합되도록 절곡편(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바(124)는 방부목으로 안착브라켓(122)에 안착되어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차양막(130)은 한 쌍의 지주대(110)의 상단부에 양 끝단이 각각 걸쳐지도록 결합되어 좌석부(120)에 앉은 사용자가 비, 강한 햇빛 등을 피할 수 있도 록 한다.
차양막(130)은 지주대(11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양막(130)의 재질은 강화폴리카보네이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포네이트는 내충격성, 내열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으며, 강화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며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차양막(130)의 가장자리가 한 쌍의 지주대(110) 각각의 상단부에 접하게 하여 볼트결합에 의해 고정한다.
조명부(140)는 지주대(110)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데, 지주대(110)의 상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광원(142)과, 광원(142)의 둘레 구비되어 광원(142)을 보호하고 빛을 확산시키는 조명케이스(144)를 포함한다.
광원(142)은 LED조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조명은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종전 광원보다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낮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조명케이스(144)는 일단이 개방된 관형상이고, 조명케이스(144)의 개방된 측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지주대(110)의 끝단부에 끼움부(15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명케이스(144) 또한, 차양막(130)과 같은 강화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한다.
그리고, 조명케이스(144)는 차양막(130)과 볼트 결합되어 지주대(1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한 쌍의 지주대(110) 하단에 형성된 지지부(112)에 콘크리트블럭(116)을 제작하여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일정간격을 이격시켜 배치한다.
이후, 각각의 지주대(110) 내측면에 안착브라켓(122)을 볼트 결합한다.
이때, 안착브라켓(122)에는 지주대(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절곡편(123)이 형성되어 절곡편(123)과 지주대(110)를 접하게 하여 볼트 결합하는 것이다.
이후, 안착브라켓(122)에 다수개의 안착바(124)를 안착시켜 볼트로 결합함으로써, 좌석부(120)를 완성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주대(110) 상단에는 각각 광원(142)이 형성되고, 광원(142)은 조명케이스(144)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조명케이스(144)는 지주대(110)와 같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관형상으로 지주대(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부(15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주대(110)의 상단부에 비,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막(130)을 걸쳐지도록 접하게 한 후 차양막(130)의 가장자리를 지주대(110)에 각각 볼트 체결하여 벤치(100)를 완성한다.
이때, 차양막(130)의 최상단의 볼트는 조명케이스(144)와 결합되어 조명케이스(144)가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완전 고정한다.
이후, 콘크리트블럭(116)을 지면에 매설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원호형상의 지주대(110)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각 부품별로 분리되는 구조에 의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야간에도 조명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되어 위치확인이 가능하고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뿐만 아니라 범죄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벤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벤치 110 : 지주대
112 : 지지부 114 : 지지편
116 : 콘크리트블럭 120 : 좌석부
122 : 안착브라켓 123 : 절곡편
124 : 안착바 130 : 차양막
140 : 조명부 142 : 광원
144 : 조명케이스 150 : 끼움부

Claims (7)

  1.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고정되고, 원호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된 복수의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지주대의 직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
    상기 지주대와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결합되어 좌석부에 앉은 사용자가 비, 강한 햇빛 등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차양막;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은 상기 지주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벤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는 콘크리트블럭이 고정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벤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상기 지주대에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안착브라켓;
    상기 안착브라켓의 외측면에 다수개 연이어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 는 안착바를 포함하는 다기능 벤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의 재질은 강화폴리카보네이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벤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지주대 상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둘레에 구비되어 광원을 보호하며, 빛을 확산시키는 조명케이스를 포함하는 다기능 벤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케이스는 일단이 개방된 관형상이고;
    상기 조명케이스의 개방된 측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지주대의 끝단부에 끼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벤치.
KR2020080009287U 2008-07-11 2008-07-11 다기능 벤치 KR200451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87U KR200451642Y1 (ko) 2008-07-11 2008-07-11 다기능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87U KR200451642Y1 (ko) 2008-07-11 2008-07-11 다기능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70U KR20100000670U (ko) 2010-01-22
KR200451642Y1 true KR200451642Y1 (ko) 2010-12-28

Family

ID=4419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287U KR200451642Y1 (ko) 2008-07-11 2008-07-11 다기능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839A (ko) * 2018-03-21 2019-10-01 김선용 레저용 이동식 파고라
KR102143758B1 (ko) 2020-05-26 2020-08-13 주식회사 엔티아이 셀프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 벤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927A (ja) 1997-08-29 1999-03-16 Sekisui Jushi Co Ltd シェルター
KR200383818Y1 (ko) * 2005-02-02 2005-05-10 주식회사 다우디앤에이 차양막
KR100785332B1 (ko) 2007-01-09 2007-12-17 주식회사 우전그린 무드조명벤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927A (ja) 1997-08-29 1999-03-16 Sekisui Jushi Co Ltd シェルター
KR200383818Y1 (ko) * 2005-02-02 2005-05-10 주식회사 다우디앤에이 차양막
KR100785332B1 (ko) 2007-01-09 2007-12-17 주식회사 우전그린 무드조명벤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839A (ko) * 2018-03-21 2019-10-01 김선용 레저용 이동식 파고라
KR102186321B1 (ko) * 2018-03-21 2020-12-03 김선용 레저용 이동식 파고라
KR102143758B1 (ko) 2020-05-26 2020-08-13 주식회사 엔티아이 셀프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 벤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70U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332B1 (ko) 무드조명벤치
KR101271859B1 (ko)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휀스
KR200451642Y1 (ko) 다기능 벤치
KR100998448B1 (ko) 접이식 의자가 구비된 휀스
KR200415894Y1 (ko) 파고라
KR200491590Y1 (ko) 테이블 및 벤치 일체형 퍼골라
CN216446266U (zh) 一种外廊式陶棍遮阳与玻璃幕墙复合安装系统
KR20210120534A (ko) 태양광패널을 이용한 그늘막 유닛
KR20090053038A (ko) 유리판재가 장착된 난간대의 구조
CN210195348U (zh) 一种基于园林设计的景观廊架结构
KR101923857B1 (ko) 천막구조물
CN107700768B (zh) 一种市政园林建筑内装饰楼梯的加固结构
CN215670643U (zh) 一种多功能一体化防护结构
RU69390U1 (ru) Диван
KR20100048056A (ko) 리모델링 기능성 방음벽
CN210563575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景区用装置
CN210713972U (zh) 一种园林景观用连廊
CN201981806U (zh) 组合式园林亭子
CN212671303U (zh) 一种廊架
US11933064B2 (en) Portable wind-resistant shade structure
CN209742268U (zh) 一种建筑装饰用防护栏
CN219863301U (zh) 一种具有软膜天花光源槽位的pc透明屋顶铝合金型材
CN213509775U (zh) 一种园林景观休息亭
CN214195682U (zh) 景观亭
CN213806240U (zh) 一种rto防雨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