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841Y1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841Y1
KR200319841Y1 KR20-2003-0013299U KR20030013299U KR200319841Y1 KR 200319841 Y1 KR200319841 Y1 KR 200319841Y1 KR 20030013299 U KR20030013299 U KR 20030013299U KR 200319841 Y1 KR200319841 Y1 KR 200319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packaging box
line
dismantling
en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20-2003-0013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8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내부에 포장제품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전체 해체용 절개선; 상기 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외부 작업자가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몸체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개시부 및 부분 해체용 절개선과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포장박스의 몸체 측면 둘레를 따라 전체 해체용 절개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포장박스 전체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박스의 해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포장박스의 표면 일측에 부분적으로 상향 개방이 가능하게 하여 포장박스 전체의 훼손 없이 포장제품의 일부분을 인출하여 사용 또는 취급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이 포장박스에 취급자의 손가락이 포장박스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운반부를 형성하여 포장박스의 운반과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박스{Packing box}
본 고안은 절개선이 형성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외관을 포장하는 포장박스를 개량하여 포장박스 전체 또는 일부분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거의 모든 산업 생산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골판지 재질로 된 육면체 형태로써 그 크기나 색상, 또는 인쇄 등에 차이가 날뿐 그 구조는 대부분이 대동소이하다. 즉 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고, 상하 양측 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접착부분이 형성되어 이 접착부분으로 제품을 삽입 적층한 후 최종 접착부분을 부착함으로써 제품의 표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최종 접착부분은 안전한 포장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당히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후 포장상태를 해체할 때 그 해체가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포장박스 중 음료수와 같이 다수의 제품이 하나의 포장박스에 포장되는 제품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포장박스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제품의 경우 포장박스를 한번에 완전 해체하여 포장된 제품 전체를 사용 또는 취급하는 경우도 있지만, 제품의 일부분만을 사용 또는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포장박스는 포장된 제품전체를 사용 또는 취급하는 경우는 물론 제품의 일부를 사용 또는 취급하는 경우에도 항상 포장박스 전체를 해체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하고 난 나머지 제품은 이미 포장박스가 훼손된 상태이므로 적절한 포장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운반 및 취급에 상당히 불편한점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포장박스의 경우는 육면체 형태의 박스로 되어 있으므로 운반시 항상 포장박스 전체를 떠 받쳐서 운반하여야 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철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손잡이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 손잡이들은 별도 제조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포장박스의 원가를 상승시키고, 제조공정이 상당히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포장박스의 몸체 측면 둘레를 따라 전체 해체용 절개선을 형성시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포장박스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포장박스의 표면 일측에 상향 개방이 가능하게 하는 부분 해체용 절개선이 형성되어 포장된 제품의 일부분을 포장박스 전체의 훼손 없이 인출하여 사용 또는 취급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포장박스의 표면 타측에 취급자의 손가락이 포장박스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을 형성하여 포장박스의 운반과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의 상부를 개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 전체가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에서 부분 해체용 절개선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에서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20...제 1전체 해체용 절개선
21...제 2전체 해체용 절개선
30...부분 해체용 절개선
40...운반부 형성용 절개선
전술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내부에 포장제품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전체 해체용 절개선; 상기 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몸체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체 해체용 절개선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제 2전체 해체용 절개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 개시부는 상기 제 1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 1외부 노출 절개선과, 상기 제 2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 2외부 노출 절개선과, 상기 제 1외부 노출 절개선과 상기 제 2외부 노출 절개선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절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내부에 포장제품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있는 일부 제품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부분 해체용 절개선; 상기 부분 해체용 절개선 상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눌러서 절개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개시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내부에 포장제품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 일부분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운반을 위하여 손가락을 일부 삽입하여 상기 몸체를 운반할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함몰되어 운반용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를 재단하여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포장제품이 포장되는 몸체(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몸체(10)에는 몸체(10)의 측면 둘레에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두개의 전체 해체용 절개선(20)(21)이 형성되고, 이 전체 해체용 절개선(20)(21) 일부분에는 외부로 이 전체 해체용 절개선(20)(21)이 일부 노출되어 외부 작업자가 이 전체 해체용 절개선(20)(21)을 따라 몸체(10)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개시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체 해체용 절개선(20)(21)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전체 해체용 절개선(20)과 제 2전체 해체용 절개선(2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절개 개시부는 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 1전체 해체용 절개선(20)의 제 1외부 노출 절개선(22)과, 제 2전체 해체용 절개선(21)의 제 2외부 노출 절개선(23) 및 이 제 1외부 노출 절개선(22)과 제 2외부 노출 절개선(23)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절개선(24)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절개 개시부를 손가락등으로 외력을 가해 누른후 절개된 연결절개선(24) 부분을 잡아당기게 되면 절개선(20)(21)(22)(23)을 따라 몸체(10)가 상하로 해체되게 된다.
한편, 몸체(10)에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해체용 절개선(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 해체용 절개선(30)은 포장박스의 몸체(10) 일부분만을 해체하여 포장된 제품의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부분 해체용 절개선(30)은 몸체(10)의 표면 일부분이 해체되도록 해체 부분을 따라 대략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부분 해체용 절개선(30)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외력을 가한후 잡아당겨서 절개를 개시할 수 있도록 절개개시선(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포장박스의 몸체(10)에는 도 5a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4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40)은 몸체(10)의 측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이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40)은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운반을 위하여 손가락을 일부 삽입하여 포장박스를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용 홀(4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에 형성된 각각의 절개선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포장박스 전체를 해체하는 경우에 대한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 1외부 노출 절개선(22)과 제 2외부 노출 절개선(23) 그리고 연결 절개선(24)을 누르면 이들 노출부분이 눌려져 해체된다. 이후 해체된 부분을 잡고 몸체(10)의 둘레를 따라 잡아당기면 몸체(10)의 내측으로 형성된 각각의 전체 해체용 절개선(20)(21)을 따라 몸체(10) 전체가 한번에 해체된다.
그리고 포장박스 내부에 저장된 포장제품의 일부분만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해체용 절개선(30)을 활용하여 몸체(10) 일부분만을 해체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절개 개시선(31)의 양측부를 손가락 등으로 외력을 가해 누른 후에 사용자가 손가락의 일부를 집어넣어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부분 해체 절개선(30)을 따라 부분 해체 부분이 해체된다. 따라서 이렇게 해체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면 노출된 부분의 제품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포장박스를 이송시킬 때에는 사용자가 몸체(10) 전체를 안고 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필요에 따라 보다 간편하게 포장박스를 운반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40)을 활용하여 보다 간편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의 사용상태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40)을 눌러 함몰시키면 이 함몰부분으로 운반용 홀(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운반용 홀(41)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들면 포장박스 몸체(10)의 손쉬운 운반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취부상태는 종래와 같이 별도로 손잡이부분을 형성하거나,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보다 간편하게 제조하여 운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근래와 같이 각종 야외행사가 많은 경우에 행사에 사용되는 다량의 음료수를 소비자가 포장된 상태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포장박스를 필요에 따라 전체 해체, 부분 해체를 선택적으로수행하여 음료수의 전부사용, 또는 일부만 인출하여 사용하고 남은 제품(음료수)의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포장박스 전체를 해체하는 경우 또는 포장박스의 일부분만을 선택적으로 해체하는 경우 그리고 포장박스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절개선의 형상과 위치 등을 일부 변형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본 고안과 동일한 목적으로 절개선을 포장박스에 형성한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박스는 포장박스의 몸체 측면 둘레를 따라 전체 해체용 절개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포장박스 전체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박스의 해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포장박스의 표면 일측에 부분적으로 상향 개방이 가능하게 하여 포장박스 전체의 훼손 없이 포장제품의 일부분을 인출하여 사용 또는 취급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이 포장박스에 취급자의 손가락이 포장박스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운반부를 형성하여 포장박스의 운반과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내부에 포장제품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전체 해체용 절개선;
    상기 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절개선을 따라 상기 몸체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해체용 절개선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1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제 2전체 해체용 절개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개시부는 상기 제 1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 1외부 노출 절개선과, 상기 제 2전체 해체용 절개선과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된 제 2외부 노출 절개선과, 상기 제 1외부 노출 절개선과 상기 제 2외부 노출 절개선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절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4. 내부에 포장제품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있는 일부 제품만을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부분 해체용 절개선;
    상기 부분 해체용 절개선 상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눌러서 절개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절개 개시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5. 내부에 포장제품이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 일부분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운반을 위하여 손가락을 일부 삽입하여 상기 몸체를 운반할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함몰되어 운반용 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운반부 형성용 절개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KR20-2003-0013299U 2003-04-29 2003-04-29 포장박스 KR200319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99U KR200319841Y1 (ko) 2003-04-29 2003-04-29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99U KR200319841Y1 (ko) 2003-04-29 2003-04-29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841Y1 true KR200319841Y1 (ko) 2003-07-12

Family

ID=4941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299U KR200319841Y1 (ko) 2003-04-29 2003-04-29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8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576B2 (en) Carton, blank, and method of folding
JP2016210428A (ja) 包装箱及びブランクシート
US20160297562A1 (en) Bakery boxes
JP5571405B2 (ja) 包装用箱
KR200319841Y1 (ko) 포장박스
JP5661362B2 (ja) 段ボール箱
KR101713017B1 (ko) 포장용 종이박스
JP3190695U (ja) 包装箱
US6926153B2 (en) Shipping box for retail product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WO2021213081A1 (en) Packaging box
JP2004175455A (ja) カートン、カートンの開放構造、カートンを開ける方法及びカートンを組立てる方法
US20180229884A1 (en) Easy-open and transportable cartons
JP3190696U (ja) 包装箱
JP5685038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5597442B2 (ja) ダンボール箱
US11554892B2 (en) Packaging box
JP5690761B2 (ja) 包装箱
KR200447274Y1 (ko) 술병 포장케이스
KR200384754Y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택배용 포장 박스
JP2007326619A (ja) 梱包箱
US20150076146A1 (en) Tray configured for packaging, packaged product assembly, and method for packaging a product
KR200382211Y1 (ko) 케익 포장 상자
JP2007253973A (ja) 包装箱
JP4748505B2 (ja) 紙製容器
KR200316617Y1 (ko) 포장상자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