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547Y1 -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 Google Patents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547Y1
KR200319547Y1 KR20-2003-0010420U KR20030010420U KR200319547Y1 KR 200319547 Y1 KR200319547 Y1 KR 200319547Y1 KR 20030010420 U KR20030010420 U KR 20030010420U KR 200319547 Y1 KR200319547 Y1 KR 200319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stirrer
discharge port
slud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설
Original Assignee
한일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0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시멘트 슬러지 처리용 교반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지수의 교반 작용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유지 비용이 절감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슬러지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와 후공정으로 처리수가 배출되는 유출구(5)가 각각 형성된 교반기 본체(1)와, 상기 교반기 본체(1)의 내측 바닥부분에 설치되는 흡입구(20)와, 상기 흡입구(20)보다 상측으로 배치되어 교반기 본체(1) 내부의 슬러지수 이동을 각 방향으로 혼합되어 교반되게 하는 토출구(30)와, 상기 흡입구(20)와 토출구(30)가 각각 연결되어 전원 인가로 슬러지수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펌프(40)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SLUDGE WATER MEANS OF A SHAKER}
본 고안은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시멘트 슬러지 처리용 교반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교반기는 교반기 본체인 탱크 내부에 교반하기 위한 교반(혼합)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교반기 본체는 유입되어 수용된 원수를 적정하게 혼합시켜 후처리 공정으로 유출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 장치를 통해 교반이 이루어질 때 원수에 약품을 공급하여 교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원수에 존재하는 슬러지의 밀도가 높은 것(시멘트 재활용 슬러지 등)은 교반 장치를 통해서 그 밀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종래의 시멘트 재활용 슬러지를 처리하여 사용하기 위한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3)와 유출구(5)가 형성된 교반기 본체(1)와, 상기 교반기 본체(1)에 브래킷(7)을 통해 설치되는 모터(9)와, 상기 모터(9)의 샤프트(11)에 고정되는 임펠러(1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교반기 본체(1)는 유입구(3)를 통해서 원수인 슬러지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출구(5)를 통해서 후처리 공정으로 처리수가 유출되며, 상기 모터(9)는 임펠러(13)를 적정 회전수로 회전시켜 슬러지수가 교반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9)를 작동시켜 임펠러(13)가 회전하면 슬러지수가 교반되게 되므로써(슬러지수의 밀도를 저하시킴) 후처리 공정에서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후처리 공정에서 재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처리 비용 절감 및 환경오염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는, 교반기 본체(1)에 설치된 모터(9)의 임펠러(13)를 통해 교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상기 임펠러(13)의 회전이 일정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이 이루어질 때 일방향 흐름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면서 임펠러(13)의 회전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닥 부분에서 슬러지의 침전 및 응고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슬러지의 침전및 응고 현상이 일정 기간 동안 이루어지게 되면서 교반기 본체(1) 내부에 형성된 침전물을 처리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이 점차적으로 생성될 때도 모터(9)를 작동하여 교반하여야 하므로, 슬러지수의 교반 작용이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고, 상기 슬러지수의 교반 작용이 적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모터(9)의 부하가 초래되며, 상기 모터(9)의 부하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적정 이상의 모터(9)를 적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기료 및 유지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처리 작업으로 생성된 침전 폐기물은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원료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슬러지수의 교반 작용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유지 비용이 절감되게 한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반기 본체와, 상기 교반기 본체의 내측 바닥부분에 설치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보다 상측으로 배치되는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가 연결되어 전원 인가로 슬러지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것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실예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 상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교반기 본체 3: 유입구
5: 유출구 20: 흡입구
30: 토출구 32: 제 1 토출구
34: 제 2 토출구 36: 제 3 토출구
40: 펌프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와 후공정으로 처리수가 배출되는 유출구(5)가 각각 형성된 교반기본체(1)와, 상기 교반기 본체(1)의 내측 바닥부분에 설치되는 흡입구(20)와, 상기 흡입구(20)보다 상측으로 배치되어 교반기 본체(1) 내부의 슬러지수 이동을 각 방향으로 혼합되어 교반되게 하는 토출구(30)와, 상기 흡입구(20)와 토출구(30)가 각각 연결되어 전원 인가로 슬러지수의 흡입과 토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펌프(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구(30)의 선단에 제 1, 2, 3 토출구(32,34,36)를 분기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토출구(32)와 제 2 토출구(34) 및 제 3 토출구(36)는 토출구(30)를 통해 급송된 슬러지수가 강제적으로 혼합되면서 각 방향으로 토출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토출구(32)와 제 2 토출구(34) 및 제 3 토출구(36)에 의해서 교반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슬러지수의 혼합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 토출구(32)와 제 2 토출구(34) 및 제 3 토출구(36)를 통한 슬러지수의 토출 및 혼합은 펌프(4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펌프(4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교반기 본체(1) 내측의 바닥부분에 슬러지수의 침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슬러지수의 교반 작용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유지 비용이 절감되게 하는 것으로서, 교반기 본체(1)의 외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펌프(40)를 설치하고, 상기 펌프(40)의 흡입측에 흡입구(20)를 설치하여 교반기 본체(1)의 바닥부분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펌프(40)의 토출측에 토출구(30)를 설치하여 교반기 본체(1)의 내측으로 토출되는 슬러지수가 각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토출구(30)는 일정 구간 마다 제 1 토출구(32)와 제 2 토출구(34) 및 제 3 토출구(36)를 분기 형성하므로써 토출구(30)를 통한 슬러지수가 토출될 때 여러 지점에서 토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토출구(32)와 제 2 토출구(34) 및 제 3 토출구(36)를 통해서 슬러지수의 토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슬러지수의 강제적인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강제적인 혼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슬러지수의 침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교반기 본체의 내측 바닥부분에 흡입구를 설치하여 펌프의 흡입측에 설치하고, 상기 흡입구보다 상측으로 토출구를 설치하여 펌프의 토출측에 토출구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펌프의 작동으로 흡입구와 토출구를 통해 슬러지수가 강제적으로 순환됨과 아울러 교반기 본체의 내측에서 강제적인 혼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슬러지수의 밀도 및 교반이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의 선단에 제 1, 2, 3 토출구를 분기 형성하므로써 토출구를 통해 슬러지수가 토출될 때 여러방향에서 토출됨에 따라 슬러지수의 혼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슬러지수의 혼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교반기 본체의 바닥부분으로 침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상기 교반기 본체의 바닥부분으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슬러지수의 순환이 적정 규격의 펌프만을 이용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전력 사용 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2)

  1. 교반기 본체(1)와, 상기 교반기 본체(1)의 내측 바닥부분에 설치되는 흡입구(20)와, 상기 흡입구(20)보다 상측으로 배치되는 토출구(30)와, 상기 흡입구(20)와 토출구(30)가 연결되어 전원 인가로 슬러지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펌프(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30)의 선단에 제 1, 2, 3 토출구(32,34,36)를 분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KR20-2003-0010420U 2003-04-07 2003-04-07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KR200319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20U KR200319547Y1 (ko) 2003-04-07 2003-04-07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20U KR200319547Y1 (ko) 2003-04-07 2003-04-07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547Y1 true KR200319547Y1 (ko) 2003-07-12

Family

ID=4933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420U KR200319547Y1 (ko) 2003-04-07 2003-04-07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5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566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교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566A1 (ko) * 2022-07-01 2024-0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교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0398C2 (ru) Способ и реактор обработки флокуляцией
WO2016157645A1 (ja) 急速撹拌機
KR101043917B1 (ko) 쌍방향 흡입 교반장치
JP2002307100A (ja) 汚泥処理方法
KR100625020B1 (ko) 혼화장치
KR200319547Y1 (ko) 교반기의 슬러지수 처리구조
JPH05293349A (ja) 緩急撹拌槽
KR200218465Y1 (ko) 정수용 혼화장치
KR200392269Y1 (ko) 교반기
WO2013047993A1 (ko) 수처리시설용 혼화장치
KR100856702B1 (ko) 급속혼화를 위한 교반실 및 혼화수조
KR102383450B1 (ko) 수처리용 폴리머 용해장치
KR100861536B1 (ko) 정수 처리용 응집제 투입장치
KR102406985B1 (ko)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폐수 중화처리장치
JP3845516B2 (ja) 撹拌翼及びその撹拌装置
KR200172329Y1 (ko) 폭기식 폐수처리 장치
KR101375342B1 (ko) 첨가물 혼합장치
JP2002205099A (ja) 汚泥処理装置及び汚泥処理方法
KR101303264B1 (ko) 수처리용 수중 교반장치
JP4007935B2 (ja) 汚泥水処理システム
JP2600779Y2 (ja) 固形物付着防止型凝集混和槽
KR200406459Y1 (ko) 회전식 약액운 혼합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EP1371614B1 (en) Process for treating sludge involving a particular shear stirrer
KR102545054B1 (ko) 슬러지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고속혼화기 내장형 원심분리, 농축 및 탈수장치
CN211586142U (zh) 油漆生产用混合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