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419Y1 - 책상 폭 연장장치 - Google Patents

책상 폭 연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419Y1
KR200319419Y1 KR20-2003-0012648U KR20030012648U KR200319419Y1 KR 200319419 Y1 KR200319419 Y1 KR 200319419Y1 KR 20030012648 U KR20030012648 U KR 20030012648U KR 200319419 Y1 KR200319419 Y1 KR 200319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extension plate
plate
slid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일
Original Assignee
오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일 filed Critical 오종일
Priority to KR20-2003-0012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10Slid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전후 폭을 연장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책상 폭 연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책상(30)의 상판(31) 위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연장판(40)과, 상판(31)과 연장판(4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50)와, 상판(31)과 연장판(40)의 좌우측 단부에 위치되어 연장판(40)을 전후방향으로 직선안내하는 직선안내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장판에 의해 책상의 위의 작업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슬라이더의 노치부에 의해 운동 중 책상의 모서리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책상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토퍼에 의해 슬라이더 및 연장판이 책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장판과 키보드 받침대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의해 책상 위의 작업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연장판 밑에 키보드 받침대가 설치된 경우 키보드의 수납과 인출이 보다 편리하게 되고,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연장판의 좌우위치결정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 폭 연장장치{Desk front and rear width extension apparatus}
본 고안은 책상의 전후 폭을 연장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책상 폭 연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장판을 책상위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자 임의대로 책상의 전후 폭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책상 폭 연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책상은 일괄적인 치수로 대량생산되기 때문에 그 폭이 제한되어 있는데, 이러한 책상 위에 컴퓨터 모니터, 컴퓨터 본체, 키보드와 같이 전후 폭이 긴 물건을 올려놓았을 때 이들에 의해 책상 위의 유효공간이 점유되어 잡업면적이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컴퓨터 모니터 앞에는 키보드를 두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모니터와 키보드가 책상 전후방향 폭을 대부분 점유하여 키보드 앞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되어 컴퓨터작업과 동시에 메모작업을 하는 경우 책상 위의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간혹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책상 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키보드를 컴퓨터 모니터나 본체 위에 올려놓고 작업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키보드가 불안정하게 놓여지기 때문에 떨어져 파손될 우려가 있었고, 키보드를 조심스럽게 올리고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책상의 전후 폭을 임의로 연장할 수 있는 책상 폭 연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책상의 상판 위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연장판과, 상판과 연장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와, 상판과 연장판의 좌우측 단부에 위치되어 연장판을 전후방향으로 직선안내하는 직선안내수단으로 구성하여 책상 폭 연장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 폭 연장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 폭 연장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 폭 연장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더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책상 31 : 상판
40 : 연장판 50 : 스페이서
60 : 직선안내수단 62 : 슬라이더
70 : 체결수단 71 : 관통구멍
72 : 나사구멍 73 : 연장판 고정 스크류
64 : 리브 65,66 : 노치부
80 : 스토퍼 90 : 키보드 받침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30)의 상판(31) 위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연장판(40)과, 상판(31)과 연장판(4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50)와, 상판(31)과 연장판(40)의 좌우측 단부에 위치되어 연장판(40)을 전후방향으로 직선안내하는 직선안내수단(60)으로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50)는 예컨대, 테프론 계열의 수지와 같이 마찰계수가 비교적 작고 자기윤활성을 띈 재료를 이용하여 블록형태로 성형한 후 연장판(40) 밑에 부착하여 상판(31)의 상면으로부터 미끄러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상단부 좌우양측에 플랜지(52)를 형성하고 각각에 체결구멍(54)을 형성하여 플랜지 고정 스크류(55)에 의한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50)는 다른 예로써 상기 연장판(40)의 저면에 설치되어 책상(30)의 상판(31) 위에서 구르는 바퀴형태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 바퀴형태로 된 스페이서(50)는 연장판(40)의 저면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56)과, 핀에 의해 이 브래킷(56)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름롤러(58)로 구성된다.
또한, 연장판(40)의 저면에 스페이서(50)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위치를 표시하여 조립의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직선안내수단(60)은 책상(30)의 상판(31) 좌우측 가장자리에 끼워져 미끄럼 결합되고, 그 위에 연장판(40)이 올려지는 슬라이더(62)와, 이 슬라이더(62)와 연장판(40)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70)으로 구성된다.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2)에 형성된 미끄럼홈(62g)의 폭(W)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판(31) 두께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로 생산한 후 장착하려는 책상(30)의 상판(31) 두께에 맞는 폭(W)을 갖는 슬라이더(62)를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수단(70)은 첨부도면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판(40)과 슬라이더(62)에 관통구멍(71)과 나사구멍(72)을 각각 형성하여 그 관통구멍(71)을 통해 연장판 고정 스크류(73)를 관통시킨 후 나사구멍(7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62)와 연장판(40)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62)의 상면에 연장판(40)의 좌우측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리브(64)를 형성하여 연장판(40)을 슬라이더(62)의 상면에 올려놓을 때 연장판(40)의 좌우측 위치결정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되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상(30)의 상판(31) 좌우측 가장자리에 스토퍼(80)를 설치하여 슬라이더(62) 및 연장판(40)이 후방측으로 물러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였으며, 이 스토퍼(80)에는 책상(30)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볼트(82)를 나사결합하고, 이 고정볼트(82)에 의해 책상(3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볼트(82)와 책상(30)의 사이에 끼움편(84)을 두도록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6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책상(30)의 상판(31) 모서리(32)부분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노치부(65)(66)를 형성하여 슬라이더(62)가 전후로 직선운동될 때 상판(31) 모서리(32)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첨부도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40)의 저면에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키보드 받침대(90)를 설치하여 키보드(100)를 수납하거나 빼내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하였으며, 이 키보드 받침대(90)는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연장판(40)의 저면에 고정되는 레일(92)(94)을 양측에 두고, 그 레일(92)(94) 사이를 수평한 받침판(96)으로 연결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30)에 연장판(40)을 설치하려는 경우 먼저 연장판(40)을 뒤집은 상태에서 플랜지 고정 스크류(55)를 이용하여 연장판(40) 저면에 스페이서(50)를 장착한 다음 책상(30)의 상판(31) 좌우측 가장자리에 슬라이더(62)를 끼우고, 슬라이더(62) 위에 연장판(40)을 올려놓은 후 연장판(40)에 형성된 관통구멍(71)과 슬라이더(62)에 형성된 나사구멍(7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 관통구멍(71)으로 연장판 고정 스크류(73)를 삽입한 다음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연장판 고정 스크류(73)를 조이게 되면, 연장판 고정 스크류(73)가 슬라이더(62)의 나사구멍(72)에 나사결합되면서 슬라이더(62)와 연장판(40)이 결합된다.
이후 고정볼트(82)를 이용하여 슬라이더(62) 뒤쪽의 책상(30) 상판(31)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스토퍼(80)를 고정시키게 되면, 슬라이더(62)의 후진량을 제한할 수 있게 되며, 고정볼트(82)와 상판(31)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끼움편(84)에 의해 고정볼트(82)의 회전시에 발생될 수 있는 상판(31)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책상(30)에 설치된 연장판(40)을 이용해서 책상(30)의 전후 폭을 연장하려는 경우 우선 책상(30)과 벽면과의 사이를 띄우기 위해 책상(30)을 연장하려는 거리보다 약간 길게 앞으로 빼낸 다음 연장판(40)을 뒤쪽으로 밀게 되면, 연장판(40)과 슬라이더(62) 그리고 스페이서(50)가 모두 함께 후방측으로 미끄러지다가 슬라이더(62)가 스토퍼(80)에 걸리면서 움직임이 정지되며, 이때 책상(30)의 후단부로부터 연장판(40)의 후단부까지 거리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책상(30)의 전후 폭이 연장된다.
즉, 연장판(40)과 슬라이더(62)는 연장판 고정 스크류(73)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어느 때고 함께 움직이게 되며, 슬라이더(62)는 책상(30)의 상판(31) 가장자리에 끼워져 있으므로, 연장판(40)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이 연장판(40)과 함께 슬라이더(62)가 책상(30)의 상판(31) 가장자리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연장판(40)이 슬라이더(62)에 의해 전후로 직선안내된다.
이 과정에서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2)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노치부(65)(66)가 형성된 경우에는 슬라이더(62)가 책상(30)의 상판(31)으로부터 미끄러질 때 슬라이더(62)가 상판(31)의 모서리(3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다른 부위에 비해 취약한 이 상판(31)의 모서리(32)부분을 보호하게 된다.
이후 연장판(40) 위에 컴퓨터 모니터, 본체, 책꽂이 등 각종 물건을 올려놓게 되면, 연장판(40) 밑에 설치된 스페이서(50)에 의해 연장판(40)의 여러 곳이 책상(30)의 상판(31) 위에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장판(40)이 과도하게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스페이서(50)가 첨부도면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윤활성을 갖는 블록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연장판(40)이 전후로 움직일 때 이 블록형태의 스페이서(50)가 책상(30)의 상판(31)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연장판(40)의 수평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판(40)을 책상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슬라이더(62)의 하단부에 별도의 조임볼트(미도시)를 형성시켜도 본 고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또, 첨부도면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50)가 바퀴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연장판(40)이 전후로 움직일 때 이 바퀴형태의 스페이서(50)가 책상(30)의 상판(31)으로부터 구르면서 보다 더 부드러운 움직임을 제공하게 되고 동시에 상판(31)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리브(64)는 연장판(40)을 슬라이더(62) 위에 올려놓을 때 연장판(40)의 좌우측 단부와 일치되면서 연장판(40)의 좌우방향 위치결정에 도움을 주게 되어 연장판(40)과 슬라이더(62)의 조립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보통 모니터 앞에 두고 사용하는 키보드를 연장판(40)과 책상(30)의 상판(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밀어 넣게 되면, 책상(30) 위의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필요시 다시 빼내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첨부도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판(40) 밑에 키보드 받침대(90)가 구비된 경우 이 키보드 받침대(90) 위에 키보드(100)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면, 키보드(100)를 연장판(40)과 상판(31) 사이의 공간으로 수납하거나 빼내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연장판을 이용하여 책상의 전후 폭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책상의 위의 작업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슬라이더의 내측 모서리부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가 전후로 움직일 때 책상의 모서리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스페이서가 자기 윤활성을 갖는 블록형태로 구성된 경우 형상이 단순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낮아지므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소비자에게는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 블록형태의 스페이서는 자기 윤활성을 띄는 테프론계열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시 마찰력이 작게 되어 움직임이 부드럽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스페이서가 바퀴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구름운동이기 때문에 움직임이 보다 부드럽고, 마찰력이 극히 적어 책상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운동중의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책상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스토퍼에 의해 연장판이 뒤로 물러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판의 과도한 움직임에 의해 슬라이더 및 연장판이 책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연장판과 키보드 받침대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키보드를 수납하게 되면, 키보드에 의해 점유되어 있던 책상 위의 작업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연장판 밑에 키보드 받침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키보드를 연장판과 책상 사이로 수납하거나 인출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슬라이더의 상면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연장판의 좌우측 위치결정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책상(30)의 상판(31) 위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연장판(40)과;
    상기 상판(31)과 연장판(4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50)와;
    상기 상판(31)과 연장판(40)의 좌우측 단부에 위치되어 연장판(40)을 전후방향으로 직선안내하는 직선안내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0)는 자기윤활성을 갖는 블록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0)는 상기 연장판(4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책상(30)의 상판(31) 위에서 구르는 바퀴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연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안내수단(60)은 상기 책상(30)의 상판(31) 좌우측 가장자리에 끼워져 미끄럼 결합되고, 그 위에 연장판(40)이 올려지는 슬라이더(62)와;
    상기 슬라이더(62)와 연장판(40)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70)은 상기 연장판(40)과 슬라이더(62)에 각각 관통구멍(71)과 나사구멍(72)을 형성하여 그 관통구멍(71)을 통해 연장판 고정 스크류(73)를 관통시킨 후 나사구멍(7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62)와 연장판(40)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2)의 상면에 상기 연장판(40)의 좌우측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리브(64)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30)의 상판(31) 좌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슬라이더(62)의 후진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8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책상(30) 상판(31)의 모서리(32) 부분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노치부(65)(66)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40)의 저면에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키보드 받침대(9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폭 연장장치.
KR20-2003-0012648U 2003-04-23 2003-04-23 책상 폭 연장장치 KR200319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648U KR200319419Y1 (ko) 2003-04-23 2003-04-23 책상 폭 연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648U KR200319419Y1 (ko) 2003-04-23 2003-04-23 책상 폭 연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419Y1 true KR200319419Y1 (ko) 2003-07-10

Family

ID=4941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648U KR200319419Y1 (ko) 2003-04-23 2003-04-23 책상 폭 연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4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010B1 (ko) * 2016-02-15 2017-03-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식 테이블
KR102459576B1 (ko) * 2022-02-08 2022-10-26 황종성 기울기가 조절되는 모션 데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010B1 (ko) * 2016-02-15 2017-03-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식 테이블
KR102459576B1 (ko) * 2022-02-08 2022-10-26 황종성 기울기가 조절되는 모션 데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757B2 (en) Slide cover lifting structure
CN2821639Y (zh) 数据存储器推出装置组合
US8201782B2 (en) Height adjustable stand and flat panel display utilizing the same
US7451955B2 (en) Wall-mounting device
US6402275B1 (en) Detachable drawer rail
US5653518A (en) Quick release drive unit rail members
US20140138925A1 (en) Cart Device
US20190104846A1 (en) Slide rail bracket
KR200319419Y1 (ko) 책상 폭 연장장치
US20070284981A1 (en) Slide rail structure for industry-used computers
US8189346B2 (en) Securing device, and assembly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uring device
WO2007086097A1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US6059386A (en) Detachable computer case
US5386640A (en) Drafting device
US8760861B2 (en) Mouse structure
JP5412014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取付装置
US5722749A (en) Self-positioning cabinet rail for a drawer guide
KR200399065Y1 (ko) 슬라이딩 선반
US9967996B2 (en) Server chassis
US20240081525A1 (en) Multifunctional table and slidable holder
US6398177B1 (en) Bracket structure of computer desk
KR200485843Y1 (ko) 책상
CN219229305U (zh) 一种造价编审用辅助台架
KR200447239Y1 (ko)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KR200191491Y1 (ko) 컴퓨터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