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248Y1 -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248Y1
KR200319248Y1 KR20020036145U KR20020036145U KR200319248Y1 KR 200319248 Y1 KR200319248 Y1 KR 200319248Y1 KR 20020036145 U KR20020036145 U KR 20020036145U KR 20020036145 U KR20020036145 U KR 20020036145U KR 200319248 Y1 KR200319248 Y1 KR 200319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oad traffic
traffic safety
pow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36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구
Original Assignee
박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구 filed Critical 박영구
Priority to KR20020036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전력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각종 도로에 설치된 [주의, 규제, 지시]등 안전표지물의 내용을 주,야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도로교통안전 표지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만들고자하는 모양(문자, 주의, 규제, 지시 등 각종 교통표지물)의 형틀을 제조하여 저전력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제조된 형틀에 장착하고 합성수지로 그 형틀을 충진하고 태양전기(솔라모듈) 또는 일반전기(축전지)로 전원을 공급하여 빛을 고르게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간에 원거리에서도 시인성과 식별도가 뛰어나 설치목적에 부합할 뿐아니라 경제성이 뛰어나고 방수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전원 사용이 어려운 도로나 해안가에 설치할 수 있어 도로교통안전표지물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nexon traffic safety sign}
본 고안은 저전력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대폭 줄이고 태양전기(솔라모듈)나 일반전기(축전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자체발광하는 도로교통안전표지물[주의,규제,지시등]을 제조하여 도로이용자가 명확하게 교통안전표지물내용을 시인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각종 교통안전 표지물은 패널의 겉표면에 반사시트를 부착하거나 그 위에 일반적인 전구를 끼워 발광하도록 하는 표지판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통안전 표지물은 야간에 자동차 불빛이나 가로등이 없으면 표지물 유무 자체를 확인 할 수 없고 먼지등이 시트표면에 묻어있으면 식별하기 어려우며 겨울철 눈이 얼어붙으면 반사가 되지 않아 알아볼 수 없다. 또, 전구가 삽입된 표지물은 원거리에서 빛이 산란하여 안전표지물의 내용을 식별하기 어려워 설치목적에 부합하기 어렵고 일반전구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해 주어야하는 등의 단점이 많았다
또한 기존의 LED전광판에는 무수히 많은 발광다이오드(LED)를 삽입하여 경제성이 떨어짐은 물론 발광다이오드(LED)의 특성상 각도가 조금만 벗어나면 식별도가 떨어지고 또한 원거리에서 빛이 산란하여 표지물의 내용을 시인 식별하기 어려워 도로교통안전표지물로서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저전력을 소모하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전력을 줄이고 합성수지를 충진하거나 또는 발광판(패널)로 나타내고자하는 부분이 면으로 발광하여(*참조: 해외 13개국 특허출원 및 등록, 대한민국 특허[제 0365307호/ 실내/외 광고물 제조방법]/특허권자:박영구) 주의, 규제, 지시등 도로교통안전표지물의 내용을 잘 식별할 수 있도록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산간 도로나 해안도로등 전원을 공급하기 어려운 곳에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설치여건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도로교통안전표지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교통안전표지물을 내용에 따라 휴대할 수 있게 제조함으로써 시간과 장소, 도로의 긴급한 상황에서 기동성을 극대화한 표지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통안전표지물의 실시예로서 내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4은 도1∼2의 형틀을 구비한 도로교통안전표지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가 포함된 도로교통안전표시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형틀
11: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 또는 와이어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12: 합성수지
13: 발광판(패널)
14: 전원부(축전지)
15: 전원부(회로)
16: 태양전기(솔라모듈)
17: 압축고무
18: 트랜스 및 아답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표지물의 외부를 구성하는 형틀과 형틀 내부 바닥에 직 병렬로 나란히 배열되는 발광다이오드(LED)와상기 형틀에 배열된 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하고 빛을 고르게 발산시키는 합성수지 또는 발광판(패널)과태양전기(솔라모듈)을 통해 태양의 조도를 감지하여 점등하거나 순차적, 혹은 반복적으로 점멸하도록 발광다이오드(LED)를 제어하는 전원부(회로)와태양전기(솔라모듈) 또는 가정용 일반전기(220V)나 차량전원으로 전기를 충전하는 전원부(축전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정표시물을 절단한 내부 사시도로, 일정형상의 형틀(10)내에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거나 와이어를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LED)(11)를 직병렬로 나란히 배치하고, 액체상태인 합성수지(12)를 충진시킨 후 경화를 하게되면 형틀내부를 고정된 상태로 만들어 보호 및 방수작용을 하게되고 발광다이오드(LED)나 반사판에서 나오는 빛을 투과 또는 고르게 분산시켜주는 발광층 기능을 한다. 다시 합성수지(12)에 형광안료를 섞어 발광층위에 충진하여 경화시키게 되면 빛이 최종적으로 투과하는 투광층을 형성하게 된다. 또, 투광층은 형광안료를 섞은 합성수지(12)이외에 투광용 각종재료(아크릴, 폴리카바네이트, 안전유리,시트 등)의 발광판(패널)(13)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판(패널)의 지지대 역할을 해주며 전원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압축고무(17)와 태양의 조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하거나 순차적, 혹은 반복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전원부(회로)(15),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축전지에 축전시키는 태양전기(솔라모듈)(16), 가정용 일반전기(220V)나 차량용 전원을 축전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트랜스 및 아답터(18), 태양전기(솔라모듈)이나 가정용 일반전기(220V),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저장시키는 전원부(축전지)(14)로 구성되어진다.
단, 본 고안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는 적색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문자로 표현하는 내용에 따라 적절한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LED)(11)의 모양이 원통형, 칩형, 사각형, 3∼4개의 핀형, 방열판 부착형등 형태에 구애를 받지않는다.
도3∼4는 본 고안의 내용으로 제작되어진 교통안전표시물의 실시예로써 주의, 규제, 지시의 내용 전달을 충실히 수행한다
도4은 일정형틀이 나타내고자 하는 발광판(패널)의 교통안전에 관한 내용을 도로교통상황에 따라 여러가지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적절한 다양한 내용의 역할을 1개의 형틀로 충분히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5은 지시, 규제, 주의를 복합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화살표의 경우 일정간격 순차적으로 점멸하여 다른 어떠한 표시물보다 시인,식별성이 뛰어나며 문자의 경우도 발광판이 면으로 보여 주야간 멀리서도 식별성이 뛰어나며 이를 태양전기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 효과가 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로교통안전표지물은 형틀(10)의 내부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11)를 형틀 내부 바닥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발광다이오드(LED)의 주위에 합성수지(12)를 충진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ED)는 와이어 혹은 인쇄회로기판에 접착하여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어 있어 전원인가시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빛이 합성수지, 혹은 발광판(패널)(13)을 통하여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고도 식별도가 뛰어난 발광면으로 보이게 된다.
이때 발광판(패널)과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면 주간에는 발광판의 색상을 야간에는 발광다이오드의 색상을 볼 수 있다.(예:발광판이 주간에는 검정색,야간에는 황색)
한편, 본 고안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가 태양의 조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혹은 일정하게 점멸 하거나 점등하도록 태양전기(솔라모듈)(16)와 전원부(회로)(15)에서 제어를 수행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각종 교통관련 표지물이 야간에 주변환경이나 기상의 조건에 따라 설치목적을 수행하기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고안은 주변환경이나 기상, 그리고 설치장소등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태양전기(솔라모듈)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였으며 일반 가정용전기(220V)로 충전하거나 차량의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긴급한 상황에 대체할 수 있게 기동성을 높여 표지물 소기의 목적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Claims (8)

  1. 발광코자하는 도로교통표지물 형틀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상기 형틀내부에 합성수지를 충진하여 경화시키면 배열된 발광다이오드(LED)를 고정하고, 보호 및 방수를 시키며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발광층과 투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안전표지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물의 저전력 발광디어오드를 태양전기(솔라모듈)를 통해 전원을 축전하여 자체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로교통안전표지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물을 차량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충전시켜 휴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로교통안전표지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020036145U 2002-12-03 2002-12-03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 KR200319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6145U KR200319248Y1 (ko) 2002-12-03 2002-12-03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6145U KR200319248Y1 (ko) 2002-12-03 2002-12-03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248Y1 true KR200319248Y1 (ko) 2003-07-07

Family

ID=4165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6145U KR200319248Y1 (ko) 2002-12-03 2002-12-03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2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927A1 (en) * 2008-03-25 2009-10-01 Nexon Co., Ltd. Dual radiation traffic sig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927A1 (en) * 2008-03-25 2009-10-01 Nexon Co., Ltd. Dual radiation traffic sig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754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9702098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20080286043A1 (en) Light Emitting Road Boundary Stone Using Solar Cell
EP3017114B1 (en) Road marking
KR100729499B1 (ko) 솔라 도로표지병
US20100098488A1 (en) Solar Powered Road Marker Light
KR100933315B1 (ko) 선형광원을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2150601B1 (ko) 축광 기능 및 반사 효율을 개선한 스마트 표지병
KR101017867B1 (ko) 돌출형 솔라 led 도로 표지병
KR100864457B1 (ko) 노면표시 도로 구조물
KR20110003871U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0319248Y1 (ko) 발광다이오드을 이용한 넥손 교통 안전 표지물
US20010055206A1 (en) Lightning fixture for showing roadway diversion
KR100676847B1 (ko) 반사겸용 led 도로 표지병 시스템
KR100961522B1 (ko) 차량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갖는 도로 매립형 조명 장치
KR20120001121U (ko) 도로경계석에 장착되는 led 표지장치
KR101589647B1 (ko)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CN109285384B (zh) 车位指示灯组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KR101963896B1 (ko) 시선 유도등
KR10103119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표지판
KR102269579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스마트 표지병
KR20140144409A (ko) 도로 표지병
CN215714760U (zh) 一种基于太阳能的自发光道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