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03Y1 - 조리용구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구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03Y1
KR200319103Y1 KR20-2003-0011989U KR20030011989U KR200319103Y1 KR 200319103 Y1 KR200319103 Y1 KR 200319103Y1 KR 20030011989 U KR20030011989 U KR 20030011989U KR 200319103 Y1 KR200319103 Y1 KR 200319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g
cooking
cooking utensil
interru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석
Original Assignee
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석 filed Critical 허석
Priority to KR20-2003-0011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구의 손잡이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조리용구의 손잡이를 조리용구의 소재로 일체화 하도록 개량하므로 써 전체적인 제조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외관의 형상 모양을 포함하는 디자인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별도의 부품이나 제조공정의 추가 없이도 그 중단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가열용기의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배려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음식물 조리를 위해 기능부(11)와, 자루부(12)와, 손잡이부(13)로 이루어진 조리용구에 있어서, 임의의 기능에 적합하게 형성한 기능부(11)와, 상기 기능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자루부(12)와, 상기 자루부(12)의 중단을 절곡하여 그 끝단이 다시 기능부(11)를 향하도록 형성한 손잡이부(13)로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구 손잡이 {Handle of Kitchen Utensil}
본 고안은 조리용구의 손잡이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재조리용구의 손잡이부분을 기능부에서 길게 연장한 후, 그 후단을 절곡하여 만드므로써 손잡이 외관 형상이 미려하고, 열전달이 적으면서, 가열용기의 테두리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리용구(1)의 기능부(1a)는 대부분 스테인레스 금속재로 되어 있고, 그 기능부(1a)의 후방으로는 필수적으로 손잡이(1b)를 가지는 바, 이 손잡이는 3가지의 기능을 가진다.
첫째, 조리용구의 기능부분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뜨겁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둘째, 주방의 조리용구 전체의 형상모양을 미려하게 하고자 할 때, 그 외관 장식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며, 셋째,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능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사용중 때때로 가열용기에 올려 놓았을 때 가열용기의 속으로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반 기능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종래의 조리용구 손잡이를 보면, 금속재 조리용구의 후단부분에 합성수지재 혹은 목재 등으로 덧 씌워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재 혹은 목재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즉, 합성수지재로 만들었을 경우 장기간 열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여 외관이 흉해지고, 목재의 경우 기름때, 손때로 인해 더러워지기 쉽다.
그리고 또, 장식을 위한 디자인 변경은 용이하지만 조립작업이 어렵고, 가열용기의 속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단에 별도의 걸이수단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늘어나고, 대량생산에 불리하며,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조리용구의 손잡이를 조리용구의 소재로 일체화 하도록 개량하므로 써 전체적인 제조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외관의 형상 모양을 포함하는 디자인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별도의 부품이나 제조공정의 추가 없이도 그 중단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가열용기의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배려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음식물 조리를 위해 기능부(11)와, 자루부(12)와, 손잡이부(13)로 이루어진 조리용구에 있어서, 임의의 기능에 적합하게 형성한 기능부(11)와, 상기 기능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자루부(12)와, 상기 자루부(12)의 중단을 절곡하여 그 끝단이 다시 기능부(11)를 향하도록 형성한 손잡이부(13)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조리용구
11 : 기능부
12 : 자루부
13 : 손잡이부
14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리용구 손잡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리용구 손잡이를 보인 사용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2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조리용구(1)는 기능부(11)와, 자루부(12)와, 손잡이부(13)로 이루어 진다.
본 고안에서의 특징은 조리용구(1)의 기능부(11)와, 자루부(12)와, 손잡이부(13) 전체를 하나의 소재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 동, 은 등의 조리용구로 널리 사용하는 일반적인 금속 소재로 형성한다는 점이다.
즉, 임의의 기능에 적합하게 형성한 기능부(11)와, 상기 기능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자루부(12)와, 상기 자루부(12)의 중단을 절곡하여 그 끝단이 다시 기능부(11)를 향하도록 형성한 손잡이부(13)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손잡이부(13)는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자루부(12)와 접촉되지 않고 만곡지게 형성하되, 또 그 끝단은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14)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14) 부분이 상기 자루부(12)의 뒷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 상기한 자루부(12)와, 손잡이부(13)는 손으로 잡았을 때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폭 치수(W1)(W2)를 서로 달리하는 것이 좋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조리용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리용구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먼저, 기능부(11)와, 상기 기능부에서 연장된 자루부(12)와, 상기 자루부에서 더 연장된 채 손잡이부가 될 부분을 일체로 길게 형성한다.
이때는 상기 자루부(12)의 길이 및 폭과, 상기 자루부의 중단에서 절곡하여 형성될 손잡이부(13)의 길이 및 폭, 그리고 끝단 걸림턱(14)이 될 부분의 크기를 미리 계산하여 형성한다.
이어서, 도 4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그 끝단에서 걸림턱(14)을 먼저 절곡형성하고, 다음으로 상기한 자루부(12)의 중단을 절곡하여 손잡이부(13)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리용구 손잡이는 그 자루부(12)의 후단과 손잡이부(13)의 형상 모양을 달리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자루부(12) 및 손잡이부(13)에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자루부 및 손잡이부의 폭을 따라 돌출부를 미리 형성하여 좋은 모양을 낼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조리용구의 기능부와 자루부와 손잡이부를 일체화 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조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외관의 형상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 시킬 수 있으며, 또 다른한편으로는 별도의 부품이나 제조공정의 추가 없이도 그 중단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가열용기의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배려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걸이용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자루부와 손잡이부 사이의 틈을 이용해 걸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음식물 조리를 위해 기능부(11)와, 자루부(12)와, 손잡이부(13)로 이루어진 조리용구에 있어서,
    임의의 기능에 적합하게 형성한 기능부(11)와, 상기 기능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자루부(12)와, 상기 자루부(12)의 중단을 절곡하여 그 끝단이 다시 기능부(11)를 향하도록 형성한 손잡이부(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부(13)는 상기 자루부(12)와 접촉되지 않고 만곡지게 형성하여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부(13)는 그 끝단에 후방을 향해 돌출한 걸림턱(14)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14) 부분이 상기 자루부(12)의 뒷면에 밀착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자루부(12)와, 손잡이부(13)는 손으로 잡았을 때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폭 치수(W1)(W2)를 서로 달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 손잡이.
KR20-2003-0011989U 2003-04-18 2003-04-18 조리용구 손잡이 KR200319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89U KR200319103Y1 (ko) 2003-04-18 2003-04-18 조리용구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89U KR200319103Y1 (ko) 2003-04-18 2003-04-18 조리용구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03Y1 true KR200319103Y1 (ko) 2003-07-07

Family

ID=4933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989U KR200319103Y1 (ko) 2003-04-18 2003-04-18 조리용구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1948S1 (en) Finger tongs
FR2894802B3 (fr) Poignee pour article culinaire empilable et ensemble de tels poignees et articles
CA124515S (en) Set of eating utensils
USD530987S1 (en) Fork
KR200319103Y1 (ko) 조리용구 손잡이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KR101876760B1 (ko) 국자 어셈블리
USD527945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for cooking and heating of food
USD463221S1 (en) Eating utensil with toothpick incorporated therein
US20180184851A1 (en) Removable handle for cooking utensil
USD45915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CN219940277U (zh) 一种便携式叉勺
USD447389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spiral design
KR200196382Y1 (ko) 조리용구 손잡이
KR200255437Y1 (ko) 조리용구손잡이
KR200410172Y1 (ko) 음식용구 손잡이
USD494008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KR200288135Y1 (ko)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KR200492794Y1 (ko) 식사도구
CN209331732U (zh) 一种多功能锅具
KR200269203Y1 (ko) 튀김용 조리기구 손잡이
KR200259159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JPS5853107Y2 (ja) 給食用飲食用具
KR200188020Y1 (ko) 조리용구
KR200332401Y1 (ko) 젓가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