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045Y1 -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9045Y1 KR200319045Y1 KR20-2003-0009454U KR20030009454U KR200319045Y1 KR 200319045 Y1 KR200319045 Y1 KR 200319045Y1 KR 20030009454 U KR20030009454 U KR 20030009454U KR 200319045 Y1 KR200319045 Y1 KR 2003190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plate
- reinforcement
- reinforced concrete
- plate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이나 교각의 설치작업 과정에서 영구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주철근과 하부주철근 사이의 충분한 유효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철근의 배근시 철근사이의 간격을 넓게하여 배근할 수 있어 철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크플레이트간의 접합부에서 충분한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철근과 하부철근 및 상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에 일정한 경사각으로 배향되는 래티스재를 갖는 트러스 거어더와; 상기 트러스 거어더의 하부가 매입된 콘크리트판;을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판의 중앙 하단부 양측으로 상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이나 교각의 설치작업 과정에서 영구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대용으로 간단히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해체공정이 필요 없으며, 조립후 바로 후속공정을 시행할 수 있어 현장의 노무인력을 절감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와 철근이 함께 사용되는 복합구조물로서, 일반적인 제작과정은 거푸집을 가설한 다음 상기 거푸집 상에 철근을 배근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양생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과정은 합판이나 각재 등으로 거푸집을 가설한 다음 여기에 철근의 배근작업을 수행하는 축조공사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상당한 공기가 소요된다.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이 콘크리트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 거푸집을 해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거푸집의 해체과정에서 다량의 거푸집이 손상되어 재사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건축폐자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거푸집 대신 콘크리트의 외면형성에 사용했던 구조물을 그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특히, 데크플레이트는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하고,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조립만 하면 거푸집 대용 및 영구 거푸집으로 사용할 수 있어 거푸집의 가설 및 해체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공기의 단축을 유도하며, 현장의 노무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어 근래에 교량이나 교각을 포함하여 각종 건축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러스 거어더(Truss Girder)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상기 베이스판으로 대부분 강판을 이용하여 설치하여 왔으나,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 내부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시 확인이 곤란하여 안전성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및 관리상에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인해 근래에는 베이스판으로 강판대신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1은 베이스판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한 데크플레이트의 부분절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철근(111)과 하부철근(112) 및 상기 상부철근(111)과 하부철근(112)에 일정한경사각으로 배향되는 래티스재(113)를 갖는 트러스 거어더(110)와; 상기 트러스 거어더(110)의 하부가 매입된 사각의 콘크리트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트러스 거어더(110)의 하부철근(112)은 다수개 종철근(112a)과 횡철근(112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트러스 거어더(110)의 하부가 매입되는 사각의 콘크리트판(120)은 그 두께가 5cm 미만으로 제작될 경우 운반시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그 두께가 7cm를 초과할 경우 운반 및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통상적으로 5∼7cm정도의 두께, 특히 6cm정도의 두께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데크플레이트(100)는 교량이나 교각의 슬래브를 축조하는 과정에서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된다.
도 2에 상기 도 1에 도시한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설치시 H빔(200) 상단의 가로방향으로 다수개의 데크플레이트(100)를 연결시키고 그 상단에 하부주철근(310)과 상부주철근(330)을 배근한 다음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400)를 타설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320과 340은 상부주철(330)근 및 하부주철근(310) 각각의 배력근이다.
이와 같은 시공과정을 거쳐 교량이나 교각 등을 제작할 경우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후속 작업인 콘크리트(400)의 타설 작업을 바로 실시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의한 시공방법에 비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무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시 밑면으로부터 6cm부위에 하부주철근이 배근되고, 16.5cm부근에는 상부주철근이 배근되어야 하는데, 상기 도1에 도시한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100)의 경우 콘크리트판(120)의 두께가 약 6cm정도이므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밑면으로부터 6cm되는 부근에 하부주철근을 배근할 수 없게 된다.
결국 하부주철근(310)을 콘크리트 슬래브의 밑면으로부터 적어도 8cm 이상되는 부근에 배근해야 하므로 상부주철근(330)과 하부주철근(310) 사이의 충분한 유효폭이 확보되지 못하게 되어 전단 저항력의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부주철근(310) 및 하부주철근(330)의 배근시 철근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과량의 철근이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규칙적인 철근의 배근으로 인해 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과량의 철근이 사용됨에 따라 비용증가와 하중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100)는 데크플레이트간의 접합부(130)에서 충분한 일체성이 확보되지 않아 가설하중에 의한 전단 저항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주철근과 하부주철근 사이의 충분한 유효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철근의 배근시 철근사이의 간격을 넓게하여 배근할 수 있어 철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크플레이트간의 접합부에서 충분한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크플레이트
10 : 트러스 거어더
11 : 상부철근 12 : 하부철근 13 : 래티스재
20 : 콘크리트판
21 : 상부경사면 22 : 하부경사면 23 : 돌출부
24 : 요홈
30 : 연결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철근과 하부철근 및 상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에 일정한 경사각으로 배향되는 래티스재를 갖는 트러스 거어더와; 상기 트러스 거어더의 하부가 매입된 콘크리트판;을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판의 중앙 하단부 양측으로 상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1)는 트러스 거어더(10)와, 상기 트러스 거어더(10)의 하부가 매입된 콘크리트판(20)을 갖는다.
트러스 거어더(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철근(11)과; 데크플레이트(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종철근(12a)과, 데크플레이트(1)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횡철근(12b)을 포함하는 하부철근(12)과; 상기 상부철근(11)과 하부철근(12)에 일정한 경사각으로 배향되는 래티스재(13);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트러스 거어더(10)의 구조 및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구조의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거어더(10)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판(20)에 부분적으로 매입되는데, 이때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콘크리트판(20)의 중앙 하단부 양측으로 상부경사면(21)과 하부경사면(22)에 의한 돌출부(23)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데크플레이트(1)를 연결하여 사용시 데크플레이트(1)간에 연결홈(30)이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 연결홈(30) 내에 하부주철근(310)의 배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판(20)의 중앙 하단부 양측으로 상부경사면(21)과 하부경사면(22)에 의한 돌출부(23)가 형성되게 하였다.
즉, 돌출부(23)의 위치가 콘크리트판(20)의 중앙 하단부 양측에 형성될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 밑면으로부터 6cm되는 부위에 하부주철근(310)의 배근이 가능하게 되어 상부주철근(330)과의 충분한 유효폭을 확보할 수 있어 상부주철근(330) 또는 하부주철근(310)의 배근시 철근사이의 간격을 좁게하여 배근할 수 있어 철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데크플레이트(1)간의 연결홈(30)에 하부주철근(310)의 배근이 가능하여 종래 사각의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보다 데크플레이트(1)간의 합성력이 증대되어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단 저항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의 미설명부호 320과 340은 상부주철(330)근및 하부주철근(310) 각각의 배력근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작용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설치시 H빔(200) 상단의 가로방향으로 다수개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놓여지며, 그 상단에 하부주철근(310)과 상부주철근(330)이 배근되고, 이후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400)가 타설되게 된다.
이때, 데크플레이트(1)의 연결시 연결홈(30)이 형성되는데 이 연결홈(30)에 하부주철근(310)이 배근되는데, 결국 콘크리트 슬래브 밑면으로부터 6cm되는 부위에 하부주철근(310)의 배근이 가능하게 되어 하부주철근과(310)과 상부주철근(330) 사이의 충분한 유효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주철근(330) 또는 하부주철근(310)의 배근시 철근사이의 간격을 좁게하여 배근할 수 있어 철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를 사용하여 교량이나 교각의 시공시 기존의 현장타설에서 실시하고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밑면으로부터 6cm와 16.5cm부근에서의 주철근(310, 330)의 배근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 사각형의 콘크리트판을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할 때보다 철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실제 약 24%정도의 철근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의 연결시 형성되는 연결홈(30)에 하부주철근(310)이 배근될 경우 데크플레이트(1)간의 일체성이 확보되어 가설하중에 의한 전단 저항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처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1)를 사용하여 교량이나 교각설치 시공을 하는 경우 종래 데크플레이트의 사용시 발생하는 단점을 충분히 해소하면서 철근의 사용량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1)는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하고,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조립만 하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후속 작업인 콘크리트(400) 타설 작업을 바로 실시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노무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판(20)의 중앙 하단부 양측으로 상부경사면(21)과 하부경사면(22)에 의해 형성된 돌출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요홈(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요홈(24)에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부재가 삽입되는데, 탄성부재를 삽입한 후 데크플레이트의 조립과정을 실시하면 돌출된 부위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은 구조의 데크플레이트는 돌출부(23)의 두께가 얇아져 시공과정에서 데크플레이트간의 충돌로 인해 돌출부(23)의 파손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돌출부위에 요홈(24)을 형성하고, 이 요홈(24)에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과정에서의 데크플레이트의 돌출부위의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판의 중앙 하단부 양측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간의 연결홈에 주철근의 배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상부주철근과 하부주철근 사이의 충분한 유효폭을 확보할 수 있어 철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사각의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경우보다 데크플레이트간의 합성력이 증대되어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어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상부철근과 하부철근 및 상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에 일정한 경사각으로 배향되는 래티스재를 갖는 트러스 거어더와; 상기 트러스 거어더의 하부가 매입된 콘크리트판;을 포함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판의 중앙 하단부 양측으로 상부경사면과 하부경사면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거어더가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부철근과;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종철근과, 데크플레이트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횡철근을 포함하는 하부철근과; 상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에 일정한 경사각으로 배향되는 래티스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9454U KR200319045Y1 (ko) | 2003-03-28 | 2003-03-28 |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9454U KR200319045Y1 (ko) | 2003-03-28 | 2003-03-28 |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9045Y1 true KR200319045Y1 (ko) | 2003-07-04 |
Family
ID=4941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9454U KR200319045Y1 (ko) | 2003-03-28 | 2003-03-28 |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904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51859A (zh) * | 2020-08-28 | 2020-10-30 | 河南昌煜科技有限公司 | 一种钢筋桁架h型钢 |
-
2003
- 2003-03-28 KR KR20-2003-0009454U patent/KR20031904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51859A (zh) * | 2020-08-28 | 2020-10-30 | 河南昌煜科技有限公司 | 一种钢筋桁架h型钢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171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그 제작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 |
US6578343B1 (en) | Reinforced concrete deck structure for bridge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CN210975404U (zh) | 复合装配式路面板 | |
KR101860512B1 (ko) | 일체형 거푸집 모듈을 이용한 지상 및 수중 구조물의 단면 증설 보강 공법 | |
KR102597084B1 (ko) | 강합성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625995B1 (ko) | 프리캐스트 데크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용 슬래브 | |
KR100923564B1 (ko) |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 |
KR200406615Y1 (ko) |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 |
KR101133420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교의연속화 공법 | |
KR100634344B1 (ko) |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 |
KR200319045Y1 (ko) | 철근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 |
JP3579167B2 (ja) | 路面用床版およびその敷設工法 | |
KR100989153B1 (ko) |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0694824B1 (ko)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078292B1 (ko) |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 |
JP4293696B2 (ja) | 合成床版橋の構築方法 | |
JP2002332645A (ja) | 地上走行クレ−ンレ−ル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の敷設方法 | |
KR200365463Y1 (ko) | 교량용 상판 | |
JP2019044444A (ja) | 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 |
KR102670768B1 (ko) | 형강받침과 교차철근으로 보강한 합성형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15406927U (zh) | 一种装配式混凝土柱 | |
JP7538264B2 (ja) | PCa伸縮床版の架設治具及びPCa伸縮床版の架設方法 | |
KR19980067313A (ko) | 에폭시를 연결부에 사용한 조립식 교량 상판 및 공법 | |
JPH11303022A (ja) | 橋梁用合成床版 | |
JPH05239810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アーチ橋の施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