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719Y1 -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 Google Patents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719Y1
KR200318719Y1 KR20-2003-0011399U KR20030011399U KR200318719Y1 KR 200318719 Y1 KR200318719 Y1 KR 200318719Y1 KR 20030011399 U KR20030011399 U KR 20030011399U KR 200318719 Y1 KR200318719 Y1 KR 200318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terproof layer
sides
reducing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존
Original Assignee
대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1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1/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comprising such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공질의 적층재료와 적층구조를 통하여 건축물의 바닥충격시 발생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내산, 내습성질을 갖는 아스팔트를 도포한 중앙 방수층과, 상기 중앙 방수층의 양측으로는 불연성과 단열효과를 갖는 유리섬유로 형성한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양측으로는 내산, 내습성을 갖는 아스팔트로된 외부방수층과, 상기 외부방수층의 양측으로는 폴리에틸렌필름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Sheet of Insulation of Sound for Decreasing Shock}
본 고안은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공질의 적층재료와 적층구조를 통하여 건축물의 바닥충격시 발생하는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건축물이나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축물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층간을 형성하고 있는 플로워의 사이에 차음시트를 개재시킨 후 공사를 하여 상층에서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시공을 하고 있다.
이와같은 아파트, 주택, 공공시설 등의 바닥 구조에 있어서, 충격음은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되며, 경량 충격음은 동전 떨어지는 소리 또는 하이 힐의 따각거리는 소리 등으로서 기존의 차음재로도 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것이지만, 중량 충격음은 아이들이 뛰노는 등의 둔탁한 소리이며 기존의 차음재와 기존의 바닥구조로는 중량 충격음의 저감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 주택 및 공공시설 등의 바닥구조에는 차음, 방진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무기재료, 유기재료, 고분자 등을 재료로 하는 바닥 완충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재료들이 있다:
-아스팔트 Pe필름이 위에 탄산칼슘, 클래이, 활석, 벤토나이트, 황산 바륨을 주성분으로 한 바라이트 등의 무기 충전제를 배합한 EVA등의 합성수지 조성물
-섬유상 펠트 위에 기능성 충전제를 배합한 Pe필름 부착물
-코르크와 고무재를 혼합한 복합재 및 스치로폼
-석고보오드, 암면 등의 무기재료 등.
그러나 이들 재료들은 차음성능, 시공성, 경제성 등의 문제에서 상당한 취약성을 드러내어 실용화에 어려움을 갖는다.
예컨대, 생산코스트가 고가이거나 단열과 차음·방진 효과를 원하는 만큼 기대하기가 어렵다.
최근 많이 주목을 받고 있는 폐타이어칩의 경우, 폐자재를 활용한다는 측면에서는 대단한 가치가 있으나 고무의 입자나 밀도가 일정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경화현상과 탄화현상이 발생 탄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한 단열, 차음·방진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섬유상펠트, 2는 아스팔트층, 3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섬유상펠트(1)와 섬유상펠트(1)의 상하측으로 차음과 방수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아스팔트(2)를 도포하고 상기 양측에 도포된 아스팔트(2)의 양측으로 폴리에틸렌필름(3)을 접착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는 다공질의 섬유상펠트를 사용하고 방수를 위한 아스팔트를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섬유상펠트와 아스팔트만으로 적층된 단순 적층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열이나 음에너지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단열효과나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는 단순 적층구조로 인하여 단순한 경량 충격음은 차단할 수 있으나 중량 충격음의 차단이 완벽하지 못한 문제점이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섬유질과 아스팔트로 다중 적층구조를 형성하여 차음시트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단열 방음 및 방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산, 내습성질을 갖는 아스팔트를 도포한 중앙 방수층과, 상기 중앙 방수층의 양측으로는 불연성과 단열효과를 갖는 유리섬유로 형성한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양측으로는 내산, 내습성을 갖는 아스팔트로된 외부방수층과, 상기 외부방수층의 양측으로는 폴리에틸렌필름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3은 단층구조의 재료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다공질 적층재료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단일물질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적층구조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 방수층 20 : 섬유층
30 : 외부 방수층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3은 단층구조의 재료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다공질 적층재료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단일물질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적층구조의 투과에너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는 내산, 내습성질을 갖는 아스팔트로 형성된 중앙방수층(10)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앙방수층(10)의 양측으로는 불연성과 단열효과를 갖는 고밀도의 유리섬유로 형성된 섬유층(20)으로 형성하며 상기 섬유층(20)의 양측으로는 내산, 내습성을 갖는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외부방수층(30)으로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외부방수층(30)의 양측으로는 폴리에틸렌필름(40)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기의 섬유층(20)으로 사용되는 유리섬유는 특정원료를 용융하여 매우 가늘고 길게 성형한 뒤에 급냉시켜 만든 섬유형태의 유리를 말하며 상기 유리섬유는 균일하게 얽어 연결하여 매트형상으로 만들고 다른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유연성이 풍부하고 다른 복합소재를 같이 사용하면 열전달 현상이 거의 없으므로 단열효과를 높힘은 물론 연속기공을 가진 다공질의 섬유질 제품으로 흡음 성능이 높다.
이러한 단층구조의 재료와 다공질의 재료에 열과 음의 에너지 차단특성을 도 3내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아스팔트는 내약품성(耐藥品性) ·내수성이 크며, 역청질을 용제에 녹여, 용제가 증발함으로써 건조 ·고체화하는 것으로, 내산(耐酸) ·내습(耐濕)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는 비중이 높은 유리비중에 의해 둔탁한 저주파음의 차음성도 매우 높으며 고주파의 음향에 대한 흡음성 또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며 차음시트의 비중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아스팔트에 돌가루를 섞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스팔트의 양면에 유리섬유를 형성하고 또 유리섬유의 양면에 아스팔트를 도포한 후 폴리에틸렌 필름을 접착한 다층구조는 습식구조에 적용을 용이하도록 해주는 방수층을 형성하며 섬유상의 구조는 그 하나 하나가 스프링역할을 함으로써 충격흡수력이 우수하며 고무 및 발포된 유기제품에 비해 비발탄성이 적고 진동흡수력이 우수하다.
이는 도 5와 도6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단층구조나 단순 적층구조와 다수의 적층구조인 본 고안의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의 소음차단 효과를 설명한 도면을 보면 다른 재료의 다층 적층구조가 소음차단에 탁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섬유상의 다공질 구조는 음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공질 현상을 유지함으로써 충격진동에 의한 음이 재방사될 우려가 없어 차음효과가 뛰어나다.
한편 우리나라와 같은 실내바닥구조는 온돌이라는 특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층간소음 방지재의 단열특성이 다른 나라에 비해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특성은 바닥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해주고 지속적으로 방사되는 난방열에 의해 차음시트의 노화를 방지해 주어야 하므로 종래의 단층구조인 고무재료는 유연성을 상실하므로 소음방지의 효과가 저하되므로 100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거의 물성의 변화가 없는 유리섬유나 아스팔트는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섬유질과 아스팔트로 다중 적층구조를 형성하여차음시트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단열 방음 및 방수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증대 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내산, 내습성질을 갖는 중앙방수층(10)과,
    상기 중앙 방수층(10)의 양측으로는 불연성과 단열효과를 갖는 섬유층(20)과,
    상기 섬유층(20)의 양측으로는 내산, 내습성을 갖는 외부방수층(30)과,
    상기 외부방수층(30)의 양측으로는 폴리에틸렌필름(40)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방수층(10)과 외부방수층(30)은 아스팔트로 형성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20)은 고밀도 재질인 유리섬유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20-2003-0011399U 2003-04-14 2003-04-14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200318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399U KR200318719Y1 (ko) 2003-04-14 2003-04-14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399U KR200318719Y1 (ko) 2003-04-14 2003-04-14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719Y1 true KR200318719Y1 (ko) 2003-07-02

Family

ID=4933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399U KR200318719Y1 (ko) 2003-04-14 2003-04-14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7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33B1 (ko) * 2013-06-14 2015-03-06 (주) 포유엔지니어링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복층 바닥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033B1 (ko) * 2013-06-14 2015-03-06 (주) 포유엔지니어링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복층 바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3015C (zh) 复合夹芯墙板
CN207032530U (zh) 一种建筑用保温隔音墙
KR200331857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층간소음방지재
KR102104870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난방 배관 패널
KR200318719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200325813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200324848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CN206205203U (zh) 一种保温隔音防火墙体结构
KR200325487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200324847Y1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CN208502051U (zh) 一种轻质复合隔音墙板
JP2007133268A (ja) 独立気泡型ガラス発泡体からなる低周波用吸音材
CN208533853U (zh) 一种高层隔音轻质房屋墙体板
KR101161234B1 (ko) 방음벽용 흡음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KR20040106065A (ko) 바닥충격 저감을 위한 차음시트
KR100545877B1 (ko) 건축물 층간바닥 저소음 단열 차음 방진재
CN211775311U (zh) 环保隔音墙板
CN108215356A (zh) 一种环保型复合材料防火隔音板
CN206484988U (zh) 一种环保型复合材料防火隔音板
CN210706352U (zh) 一种防火型隔音板
CN110185228A (zh) 一种隔音地板
KR100492496B1 (ko) 복합판상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CN204163300U (zh) 一种外墙外保温涂料饰面结构
CN206015934U (zh) 碳晶水泥发泡保温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