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627Y1 -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 Google Patents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627Y1
KR200318627Y1 KR20-2003-0012635U KR20030012635U KR200318627Y1 KR 200318627 Y1 KR200318627 Y1 KR 200318627Y1 KR 20030012635 U KR20030012635 U KR 20030012635U KR 200318627 Y1 KR200318627 Y1 KR 200318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ntainer
freezing
expansion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대
Original Assignee
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대 filed Critical 서종대
Priority to KR20-2003-0012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의 충진부를 갖는 결빙용기에 있어서, 몸체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브라인유동로를 갖는 관통구와, 몸체와 일체하여 외향 돌출하여 형성되며 결빙용기의 외표면상에 브라인 유동간격을 제공하고 제빙과 해빙에 신축되는 돌출부와, 몸체와 연통하여 장착되며 결빙용기의 과도한 제빙팽창을 수용하고 팽창과 수축을 완화하며 결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충전구의 수단으로도 이용되는 보호캡과, 축열조내에 결빙용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결빙용기의 결빙량과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고,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피로의 감소와 파손을 억제하며, 축열조내에 결빙용기의 고정이 용이하여 부력에 의한 부상 및 편향 문제의 감소와,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ICE CONTAINER FOR THERMAL STORAGE SYSTEM}
본 고안은, 중공의 충진부를 갖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의 충진부를 갖는 결빙용기에 있어서, 몸체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브라인유동로를 갖는 관통구와, 몸체와 일체하여 외향 돌출하여 형성되며 결빙용기의 외표면상에 브라인 유동간격을 제공하고 제빙과 해빙에 신축되는 돌출부와, 몸체와 연통하여 장착되며 결빙용기의 과도한 제빙팽창을 수용하고 팽창과 수축을 완화하며 결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충전구의 수단으로도 이용되는 보호캡과, 축열조내에 결빙용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에 관한 것이다.
빙축열시스템은 저렴한 심야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결빙액을 제빙하여 잠열을 저장하고 주간에 이 열을 냉방에 이용하는 것으로 주간의 냉방용 피크 전력 소비를 심야 전기로 대체하는 전력 수급의 평준화를 목적으로 한 시스템이다.
빙축열 냉방시스템 원리는 냉동기를 제빙 열원설비로 하여 결빙액을 빙결 점까지 냉각하면 물은 얼음이 되고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환 될 때 얼음 1kg에 대해 약 80kcal에 해당하는 응고잠열을 저장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얼음을 물로 해빙할 때에도 약 80kcal의 융해잠열이 방출되며 빙축열 냉방시스템에서는 이 잠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축열시스템을 코일의 외부에 제빙하는 관외착빙(ICE ON COIL TYPE) 방식과, 결빙용기내 충전된 결빙액인 물 또는 상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을 제빙 및 해빙하는 결빙용기(ICE CONTAINER TYPE) 방식과, 메탄올 또는 프로필렌그리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 결빙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얼음을 미세한 입자인 슬러리 형태로 제빙하는 슬러리(ICE SLURRY TYPE) 방식과,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제빙판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을 착빙시킨 후 냉매가스를 역순환 시키어 제빙판에서 얼음조각 형태로 탈빙하는 방박리(ICE HARVEST TYPE) 방식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결빙용기 방식의 빙축열시스템은 밀폐된 결빙용기내에 충전된 결빙액을 제빙하고 해빙하는 반복적인 작용이 필수적이다. 참고로 0℃의 물을 얼음으로 상변화를 시키게 되면 약 9.07 %의 부피(열)팽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밀폐된 결빙용기가 제빙에 의한 부피팽창 압력을 수용하지 못하면 동파되고, 제빙의 부피팽창과 해빙의 수축작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면 과도한 피로의 누적으로 결국 결빙용기는 파손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결빙용기는 외피(SHELL)를 열전도부로 하여 결빙용기의 외표면을 유동하는 브라인과 열교환을 이루어야 하는 특성으로 용기의 내용적의 크기와 셀의 두께 및 열전도성의 재료선택에 제한적이며,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을 완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는 결빙용기내의 공기층도 제빙과 해빙효율에 직접 관련되고 부력문제를 유발시킴으로 공기층의 확대도 제한을 받는다.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는 결빙용기는 규격품으로 대량생산과 수급이 용이하고 경량제품으로서 작업성이 간편하며, 어떠한 축열조 구조조건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저렴한 초기투자비 등 다른 빙축열 방식의 비해 장점이 있다. 반면에 결빙용기의 심각한 단점은 결빙용기의 파손이며, 대량의 결빙용기와 브라인으로 채워진 축열조 내에서 파손된 결빙용기를 골나내고 교체하는 것은 매우난해하다. 결빙용기의 파손원인인 제빙팽창 및 해빙수축의 피로를 해결하려는 방법으로서, 결빙용기에 팽창과 수축을 흡수하는 파형 함몰부, 굴곡부, 나선돌출부 형성, 등의 새로운 제품들이 개발되어 시장에 공급되어 왔지만, 필수적인 제빙팽창과 해빙수축 작용에 따른 피로의 누적으로 인해 결빙용기의 파손문제는 여전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원구 및 원통형의 결빙용기들은 축열조내에 일정한 브라인유동간격을 유지하는 체계적인 적재가 어려우므로 브라인유동의 장애와 열교환 편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부력에 의해 결빙용기들이 유동하면서 결빙용기들 사이에 발생되는 무용공간과 적재의 편향을 초래시키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0은 종래의 결빙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빙용기(100)는 거의 직사각 형태의 통형상으로서, 결빙액이 충전 되는 몸체(112)와, 몸체(112)와 일체하여 전, 후면에는 원통 형상의 측면돌기(113)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몸체(112)의 중심에서 직선방향으로 거의 반경형인 한 쌍의 바닥돌기(116)가 마련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라인이 몸체(112)의 외표면과 각 측면돌기(113)와 바닥돌기(116)의 사이로 유동하면서 결빙용기(100) 내에 결빙액을 제빙하고 해빙하게 된다.
그리고 결빙용기(100)는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을 완화하는 별다른 수단이 없는 구조로서,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은 전적으로 결빙용기(100)의 내압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제빙과 해빙은 결빙용기(100)의 외표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열교환 속성이 낮은 편이다.
또한, 결빙용기(100)를 브라인유동 간격을 감안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축열조(미도시)내에 설치할지라도 브라인의 지속적인 유동 등의 영향으로 축열조내(미도시)에 그대로 쌓아놓은 형태의 결빙용기(100)들은 간격이동이 발생되어 결빙용기(100)들 간에 측벽이 서로 맞닿아 브라인의 유동장애와 전열면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결빙용기의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피로의 감소와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빙용기의 열전도 표면을 확대시키어 제빙 및 해빙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결빙용기의 제빙과 해빙의 열교환 속성을 향상시키며 브라인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관통구를 갖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된 결빙용기들의 간격이동에도 브라인유동에 장해를 주지 않으며, 결빙용기의 외표면에 일정한 브라인 유동간격을 유지하고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에 신축작용을 할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빙용기의 과도한 제빙팽창을 수용하고 팽창과 수축을 완화하며 결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충전구의 수단으로도 이용되는 보호캡을 갖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결빙용기를 축열조의 수면내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결빙용기의 개략적인 부분확대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4는 도 1의 적재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적재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적재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부분파단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결빙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결빙용기의 개략적인 부분파단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결빙용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a, 1b, 100: 결빙용기 10, 10a, 112 : 몸체
13, 13a : 둘레돌출부 14, 17a, 18, 18a : 세로돌출부
15 : 측면돌출부 17 : 수평돌출부
20, 20a, 20b : 관통구 21, 21a, 21b : 격벽
22, 22a, 22b : 브라인유동로 30 : 보호캡
31 : 충전구 32 : 신축부재
33 : 신축로 34 : 결합캡
40 : 고정부재 41 : 고정바
42 : 고정밴드 50 : 축열조
52 : 브라인유입구 54 : 브라인배출구
113 : 측면돌기 116 : 바닥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공의 충진부를 갖는 결빙용기에 있어서, 몸체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브라인유동로를 갖는 관통구와; 몸체와 일체하여 외향 돌출하여 형성되며 결빙용기의 외표면상에 일정한 브라인 유동간격을 제공하고 제빙과 해빙에 신축되는 돌출부와; 몸체와 연통하여 장착되며 결빙용기의 과도한 제빙팽창을 수용하고 팽창과 수축을 완화하며 결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충전구의 수단으로도 이용되는 보호캡과; 축열조내에 결빙용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는, 결빙용기의 내용적 감소를 감안하여 브라인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유동단면적과 거의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몸체와 연통하며 제빙팽창과 해빙신축이 용이하게 종단면이 거의 '⊂' 자 형상으로 하고, 돌출부와 돌출부사이에 다른 결빙용기의 돌출부가 함몰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결빙용기들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캡은, 결빙용기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충전구의 선단면과 결합캡의 저면사이에 신축부재를 마련하고 결합캡의 나사조임에 의해 기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캡은 신축부재의 왕래가 가능하도록 상부면 중앙이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는, 중앙에 마련되는 반구형상의 신축부와 신축부의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밀부로 일체하여 구성하며, 신축부는 충전구의 내주면에서 자유롭게 왕래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결빙용기의 제빙팽창에 따라 외향 팽창하고 해빙시 역순으로 수축되며, 신축의 한계를 초과하는 과도한 제빙팽창이 발생될시 결빙용기를 대신하여 파열되어야함으로 결빙용기보다 낮은 내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부재는, 빙결팽창과 해빙수축 복원력, 압축성, 저온신축성, 내압성등의 내구성을 가진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고무 또는 팽창력과 복원력을 가진 비철금속재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결빙용기의 고정 수단은, 관통구를 관통하여 결빙용기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부재인 내부식 철재바(BAR), 고정밴드 및 내부식 와이어(WIRE) 등으로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한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기 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결빙용기의 개략적인 부분확대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적재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 의 적재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적재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부분파단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부를 갖는 중공의 결빙용기(1)는, 모서리부가 굴곡된 거의 직사각형의 통형상의 구조로서, 몸체(10) 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몸체(10)와 일체하여 격벽(21)으로 에워싸인 다수의 관통구(2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20)는 모서리부가 굴곡된 거의 직사각형상으로서, 결빙용기(1) 내에 충전된 결빙액의 제빙과 해빙에 있어, 결빙용기(1)의 내측영역의 열교환 속성을 촉진시키는 전열면과 브라인의 유동로(22)를 제공하며 고정부재(40)의 걸이 수단이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 둘레와 일체하여 외향 돌출로 형성되며 결빙용기의 외표면상에 브라인 유동간격을 제공하고 제빙과 해빙에 신축되는 다수의둘레돌출부(13)와, 상기 둘레돌출부(13)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결빙용기(1)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안착부(미도시)를 제공하는 다수의 세로돌출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후면에는, 몸체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결빙용기(1)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측면돌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는 몸체(10)를 관통하여 충전구(31)가 형성되고 충전구(31)에는 보호캡(30)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구(31)의 선단면과 결합캡(34)의 저면사이에는 결빙용기보다 낮은 내압성을 갖는 신축부재(32)가 장착되어 결합캡(34)의 나사 조임에 의해 기밀 결합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캡(34)은, 신축부재(32)가 신축로(33)를 따라 왕래가 가능하도록 상부면 중앙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32)는, 중앙에 마련되는 반구형상의 신축부(미도시)와 신축부의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가스켓이 되는 기밀부(미도시)로 일체하여 구성되며, 신축부(미도시)는 충전구(31)의 내주면에서 자유롭게 왕래되도록 소정의 간격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열조(50) 내에 적재된 결빙용기(1)는 브라인유입구(52)를 통해 유입되고 브라인배출구(54)를 통해 열교환기(미도시) 및 냉동기(미도시)로 재순환되는 브라인이 결빙용기의 외표면과 각 돌출부(13, 13a, 14, 15) 사이 및 관통구(20)를 고르게 유동하면서 결빙용기(1) 내의 결빙액을 제빙하게 된다.
그리고 결빙용기(1)의 제빙진전에 의해 팽창압이 상승되고 팽창압에 의해 각 돌출부(13, 13a, 14, 15)는 양방향으로 서서히 팽창하게 된다. 각 돌출부(13, 13a, 14, 15)의 팽창이 한계에 이르면 보호캡(30)내의 신축부재(32)가 외향 팽창하여 결빙용기(1)내의 팽창압을 완화하게 된다.
이어서 결빙용기(1)의 빙축열을 사용하기 위하여 방열과정에 이르면 결빙용기(1) 내에 얼음은 해빙하게 되고 내압의 감소에 따라 팽창된 각 돌출부(13, 13a, 14, 15)와 신축부재(32)는 수축하여 원상 복원된다.
상기 각 돌출부(13, 13a, 14, 15)와 신축부재(32)의 팽창한계를 초과하여 결빙용기(1)의 파손을 초래하는 과도한 팽창압력이 도달되면 결빙용기(1)보다 낮은 내압성을 갖는 신축부재(32)가 파열되고 결빙용기(1)내의 압력을 외부로 전달함으로서 결빙용기(1)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신축부재(32)가 파열될 경우 파열된 신축부재(32)를 교체하면 결빙용기(1)는 정상사용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신축부재(32)의 파열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축부재(32)가 파열될시 외부로 도출되어 파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구(미도시)를 신축부재(32)또는 결합캡(34)에 부설할 수 있다.
도 4와 도 5, 도 6에서 결빙용기(1)의 적재 상태를 예시한 바와 같이, 결빙용기(1)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하여 일정한 브라인유동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적재되어있다. 결빙용기(1)의 부력에 의한 부상과 브라인유동에 따른 간격이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부재(40)의 걸이 수단이 되는 관통구(20)를 이용하여 결빙용기(1)는 고정바((41)와 고정밴드(42)로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브라인 유동의 불균형과 결빙용기(1)의 열교환 사각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축열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현실적인 빙축열시스템의 설계를 지원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결빙용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 예와는 달리,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부를 갖는 중공의 결빙용기(1a)는, 모서리부가 굴곡된 거의 직사각형의 통형상의 구조로서, 몸체(10) 중심의 직선 방향으로 몸체(10)와 일체하여 격벽(21a)으로 에워싸인 관통구(20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와 일체하여 상부면과 저부면에는 몸체(10)의 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하여 다수의 수평돌출부(17)가 안착부가 되는 수직돌출부(17a)와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전면과 후면 그리고 측면에는 몸체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결빙용기(1a)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측면돌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부 중앙 영역에는 충전구(미도시)와 보호캡(3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열조(50) 내에 적재된 결빙용기(1a)는 브라인유입구(52)를 통해 유입되고 브라인배출구(54)를 통해 열교환기(미도시) 및 냉동기(미도시)로 재순환되는 브라인이 결빙용기(1a)의 외표면과 각 돌출부(15, 17, 17a) 사이 및 관통구(20a)를 고르게 유동하면서 결빙용기(1) 내의 결빙액을 제빙하고 해빙하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결빙용기의 개략적인 부분파단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부를 갖는 중공의 결빙용기(1b)는, 원구형상으로서, 몸체(10a)의 중심에서 직선방향으로 하여 몸체(10a)와 일체된 관통구(20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20b)의 상부와 하부에는 몸체(10a)와 일체하여 복수의 세로돌출부(18a)가 형성되고, 몸체(10a)의 양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세로돌출부(18)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a)의 꼭지부에는 몸체(10a)와 연통하여 형성되는 충전구(미도시)와 보호캡(3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열조(50) 내에 적재된 결빙용기(1b)는 브라인유입구(52)를 통해 유입되고 브라인배출구(54)를 통해 열교환기(미도시) 및 냉동기(미도시)로 재순환되는 브라인이 결빙용기(1b)의 외표면과 각 돌출부(18, 18a) 사이 및 관통구(20b)를 고르게 유동하면서 결빙용기(1b) 내의 결빙액을 제빙하고 해빙하게 된다.
이로써,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상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결빙용기는, 브라인이 원활하게 유동하는 관통구를 통해 전열면적의 확대와 열교환 속성을 증진시킴으로서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며, 열교환과 브라인 유동의 사각영역이 최소화되는 결빙용기 및 적재구조로서 결빙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돌출부와 보호캡의 작용으로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피로의 감소와 파손을 억제하며, 축열조내에 결빙용기의 고정이 용이하여 부력에 의한 부상 및 편향 문제의 감소와,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거의 직사각형과 원구형의 형상을 갖는 결빙용기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충진부가 형성된 다각통형, 다면체통형, 원통형 및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결빙용기의 내용적 감소를 감안하여 브라인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유동단면적과 거의 직사각 형상을 갖는 관통구에 대해 대표적인 예로 상술하였으나, 다각통형, 다면체통형, 원통형 및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도 적용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몸체와 연통하며 제빙팽창과 해빙신축이 용이하게 종단면이 거의 '⊂' 자 형상을 갖는 돌출부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ㄷ' , '(' 자 등의 다른 형상과 골판(CORRUGATED PLATE)형상의 몸체로도 적용할 수 있고, 돌출부의 개수와 배치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결빙용기의 몸체를 관통하여 충전구를 형성하고 충전구의 선단면과 결합캡의 저면사이에 신축부재를 마련하며 결합캡의 나사조임에 의해 기밀 결합되고,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의 신축 작용과, 과도한 팽창압에 의해 파열되어 결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신축부재식 보호캡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스프링 압축밸브식 보호캡, 캡 상부영역에 박판의 파열부를 형성하는 보호캡 등 결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보호캡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보호캡의 형태와 구조에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거의 직사각형상의 축열조에 결빙용기를 적재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원통형 축열조 등 다른 형태의 축열조에도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결빙용기의 결빙량과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고,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피로의 감소와 파손을 억제하며, 축열조내에 결빙용기의 고정이 용이하여 부력에 의한 부상 및 편향 문제의 감소와,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를 제공한다.

Claims (5)

  1.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빙용기의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 형성되며, 결빙액이 충진되는 중공의 충진부와;
    상기 몸체와 일체하여 일측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충전구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브라인유동로를 갖는 관통구와;
    상기 몸체와 일체하여 마련되고, 브라인유동 간격을 가지며 제빙팽창과 해빙수축에 신축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는, 결빙용기의 제빙팽창압력에 의해 작용되며, 결빙용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파열될시 외부로 도출되어 파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관통구를 통하여 축열조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시스템의 결빙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결빙용기 간에 간격이동에도 브라인 유동에 장애를 주지 않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축열시스템의 결빙용기.
KR20-2003-0012635U 2003-04-18 2003-04-18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KR200318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635U KR200318627Y1 (ko) 2003-04-18 2003-04-18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635U KR200318627Y1 (ko) 2003-04-18 2003-04-18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602A Division KR20040090887A (ko) 2003-04-18 2003-04-18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627Y1 true KR200318627Y1 (ko) 2003-06-28

Family

ID=4941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635U KR200318627Y1 (ko) 2003-04-18 2003-04-18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6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655B1 (ko) 빙축열조(氷蓄熱槽)
WO2019091308A1 (zh) 一种b型lng舱围护系统
US9180938B2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N113795721A (zh) 热能存储系统容器的外部特征及模块化
KR200318627Y1 (ko)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GB2327751A (en) Thermal storage
KR20040090887A (ko)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KR100514947B1 (ko) 빙축열장치의 결빙용기
WO2023151178A1 (zh) B型液货舱的绝热系统及b型液货舱
CN102269505B (zh) 制冷设备
US20220099355A1 (en) Heat exchanger capable of automatically defrosting or deicing
KR100777883B1 (ko) 빙축열시스템의 빙축용기
KR100755600B1 (ko) 빙축열시스템용 빙축용기
KR20040086019A (ko) 빙축열시스템의 결빙용기
KR200319305Y1 (ko) 빙축열장치의 결빙용기
KR200351509Y1 (ko) 공기주머니가 내장된 빙축열용기
KR200277755Y1 (ko) 빙축열냉방시스템의축열구
CN2497204Y (zh) 蓄冰球
KR200234360Y1 (ko) 빙축열 저장탱크
CN209891295U (zh) 一种防冻裂储水装置
KR100692251B1 (ko) 축열구조
KR200294590Y1 (ko) 빙축열시스템용 실린더형 결빙용기
KR960008238Y1 (ko) 빙축열시스템용 결빙용기
CN215412586U (zh) 一种具备防冻功能的水箱
CN117663319B (zh) 一种多肋冰蓄冷管及冰蓄冷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