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506Y1 - 아이디씨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아이디씨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506Y1
KR200318506Y1 KR20-2003-0010744U KR20030010744U KR200318506Y1 KR 200318506 Y1 KR200318506 Y1 KR 200318506Y1 KR 20030010744 U KR20030010744 U KR 20030010744U KR 200318506 Y1 KR200318506 Y1 KR 200318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fixing
housing
connection
ty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곤
이정석
김혜정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0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IDC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게 설치되는 접속단자간의 공간을 증가시켜 근접한 접속단자간에 발생되는 누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단자의 중간부분에 소정을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커넥터의 하우징내에 설치함으로써 누화의 발생을 방지하는 IDC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컷터와 접속슬롯 그리고 고정공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와, 다수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단자 수용홀과, 다수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단자 수용홀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다수의 접속단자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IDC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중간부분에 일측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접속단자의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접속단자 수용홀에 교호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곡부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디씨형 커넥터{IDC Connector}
본 고안은 IDC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접속단자간의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접속단자의 중간부분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커넥터의 하우징내에 설치함으로써 누화의 발생을 방지하는 IDC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는 와이어(도선)가 삽입될 때 와이어의 외피가 자동으로 벗겨지면서 접속단자의 금속편을 변형시켜 삽입하고 금속편의 복원력에 의해 접속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IDC형 커넥터에는 다수의 IDC 접속단자가 하우징내의 동일 평면상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즉, 종래의 IDC형 커넥터(100)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하우징(110)과 이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설치된 다수의 IDC 접속단자(150)(이하 '접속단자'라고도 한다)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융착되어 상기 접속단자(150)를 고정시키는 고정편(19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IDC 접속단자(1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평판형 금속편의 상·하단에 와이어의 외피를 탈피시키기 위한 컷터(153,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컷터(153,153')에 의해 탈피된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의 접속슬롯(155,155')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부 접속슬롯(155,155') 사이에는 소정의 고정공(15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다수의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150)의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별도의 수용부, 예를 들어 터미네이션 스트립에 형성된 수용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150)의 하단부가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 결합부(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0)에는 다수 개의 와이어 수용슬릿(123)과 접속단자 수용홀(125)이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수용슬릿(123) 사이에는 가이드 돌기(127)가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127)의 측면에는 끼움돌기(1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40)에는 하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수용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끼움편(1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편(133)에는 수용부의 가이드 돌기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결합되는 다수의 끼움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 수용홀(125)는 상기 수용부(130)와 결합부(140) 사이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 수용홀(125)에 다수의 접속단자(150)를 삽입하면, 다수의 접속단자(150)들이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평면상에 일렬로 배열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IDC형 커넥터(100)의 일측면에 상기 고정편(19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편(190)은 커넥터와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접속단자(1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공(157)과 접속슬롯(155)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197)과 제2 고정돌기(19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의 고정공(157)및 접속슬롯(155)에 상기 제1 고정돌기(197)와 제2 고정돌기(195)를 삽입한 다음 열융착시키면 다수의 접속단자(150)를 하우징(110) 내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IDC형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접속단자(150)가 동일 평면상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접속단자간의 간격이 매우 좁아 누화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누화(crosstalk)는 근접하게 설치된 도선 상의 신호가 정전결합 및 전기결합 등의 전기적 결합에 의해 다른 회선에 영향을 주는 현상으로서 통화품질을 저하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IDC형 커넥터(100)의 고정편(190)은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한 번 고정된 고정편을 분리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초음파 융착 설비 고정시 수동 조립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중간부분에 절곡부가 형성된 접속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하되 상기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접속단자 간의 공간을 증대시켜 정전유도 또는 전자유도에 의한 누화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한 IDC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접속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에 소정의 후크를 설치하여 하우징의 일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IDC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IDC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IDC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은 종래의 IDC 접속단자가 설치된 IDC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접속단자의 배열을 보여주기 위해서 하우징이 투명하게 도시되었다.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고정편이 분리되어 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라 절곡부가 형성된 IDC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라 접속단자의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설치된 IDC형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하우징이 투명하게 처리되어 있으며, 일부 접속단자가 생략되어 있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라 접속단자간에 형성된 공간을 보여주기 위한 IDC형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9은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IDC형 커넥터 11 : 하우징
13 : 수용부 15 : 결합부
25 : 접속단자 수용홀 29 : 굴곡부 가이드홈
33 : 끼움편 41 : 체결홈
45, 47 : 관통공 50 : 접속단자
60 : 굴곡부 90 : 고정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는 중간부분에 소정 길이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절곡부가 형성된 다수의 접속단자를 하우징 내에 설치하되, 상기 하우징 내에 접속단자의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절곡부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이웃하는 접속단자 간의 공간을 증대시켜 누화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는, 컷터와 접속슬롯 그리고 고정공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와, 다수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단자 수용홀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다수의 접속단자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IDC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중간부분에 일측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접속단자의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접속단자 수용홀에 교호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곡부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와, 상부 접속슬롯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 및 이웃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고정후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고정편이 분리된 상태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라 중간부분에 절곡부가 형성된 접속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6은 IDC형 커넥터에 설치된 접속단자의 배열을 보여주기 위하여 하우징을 투명하게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10)는 종래의 IDC형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크게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접속단자(50)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편(90)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50)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소정 길이의 절곡부(60)가 형성되어 이웃하게 설치된 접속단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50)의 가운데 부분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절곡부(60)는 대략 상·하 접속슬롯(55,55') 사이에 형성되며, 소정 길이의 수직부(61)와 경사부(6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61)에는 고정공(57)이 천공되어 있다.
아울러 도7의 저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접속단자 수용홀(25)에는 접속단자(50)의 절곡부(60)가 안내되는 절곡부 가이드홈(2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 가이드홈(29)은 상기 접속단자(50)의 절곡부(6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이웃하는 절곡부 가이드홈(29)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 가이드 홈(29)을 따라 삽입된 접속단자의 절곡부(60)는 이웃하게 설치된 접속단자의 절곡부(60)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게 되어 접속단자 간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 도4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접속단자(50)가 설치된 하우징(11)의 일측면에 고정편(90)을 체결시켜 다수의 접속단자(5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편(90)에는 상기 절곡부(60)에 형성된 고정공(57)과 상기 접속단자(50)에 형성된 접속슬롯(55)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97) 및 제2 고정돌기(95)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이웃하는 제1 고정돌기(97)와 제2 고정돌기(95) 사이에는 고정후크(9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93)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후크(91)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편(9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파여진 안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6)에는 상기 고정편(90)의 제1 고정돌기(97)가 관통되는 제1 관통공(47)이 형성되고, 이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고정편(90)의 제2 고정돌기(95)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45)이 형성되어있으며, 이웃하는 제1 및 제2 관통공(97,95) 사이에는 상기 고정편(90)의 제1 및 제2후크(9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체결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편(90)은 고정후크(93)를 이용하여 하우징(11)에 결합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고주파 융착공정이 생략되며, 손으로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11)의 접속단자 수용홀(25)에 형성된 절곡부 가이드홈(29)에 대응하도록 절곡부(60)가 형성된 접속단자(50)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편(90)을 하우징(11)의 안착부(16)에 후크 결합시키면, 이웃하는 접속단자(50)의 절곡부(60)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므로 이웃하는 접속단자(50) 사이의 공간이 증대되어 누화를 방지하게 된다. 즉,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50')와 접속단자(50") 사이에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접속단자간에 발생되는 누화가 현저하게 줄어 들게 된다.
한편,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접속단자에 형성된 수직부(61)의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63)의 경사각을 다르게 형성, 예를 들어 상·하 경사부(63)의 경사각이 비대칭되게 함으로써 이웃하는 접속단자(50',50") 사이에 보다 넓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단자의 하단이 커넥터의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설치되지 않고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누화의 발생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IDC형 커넥터는 이웃하는 접속단자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절곡부의 절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웃하는 접속단자간의 공간을 증대시켜 누화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접속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에 고정후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일측에는 체결홈을 형성하여 고정편을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초음파 융착공정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접속단자를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초음파 융착 설치의 고장시 손으로 직접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컷터와 접속슬롯 그리고 고정공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와, 다수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접속단자 수용홀이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다수의 접속단자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IDC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중간부분에 일측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접속단자의 절곡부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접속단자 수용홀에 교호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곡부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접속단자의 절곡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는 제1 고정돌기와, 상부 접속슬롯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 및 이웃하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된 고정후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편에 형성된 고정후크의 제1 및 제2후크가 체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소정 길이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양단에 형성된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양쪽에 형성된 경사부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형 커넥터.
KR20-2003-0010744U 2003-04-09 2003-04-09 아이디씨형 커넥터 KR200318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44U KR200318506Y1 (ko) 2003-04-09 2003-04-09 아이디씨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44U KR200318506Y1 (ko) 2003-04-09 2003-04-09 아이디씨형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172A Division KR100545000B1 (ko) 2003-04-09 2003-04-09 아이디씨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506Y1 true KR200318506Y1 (ko) 2003-07-02

Family

ID=4933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744U KR200318506Y1 (ko) 2003-04-09 2003-04-09 아이디씨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5944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6171126B1 (en) Battery receptacle connector
US6705893B1 (en) Low profile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pitch contacts
US7601029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it and shielded cable harness
KR101294607B1 (ko) 전기커넥터 및 그 조립체
JP4691738B2 (ja) 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491762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tion method thereto
JP5811460B2 (ja) コネクタ
EP2020707B1 (en)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4493710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70010124A1 (en) Cable assembly with flat flexible cable
KR20060048157A (ko) 커넥터
JP2005507141A (ja) 改良された接地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JPS6378463A (ja) 薄型のモジュール式ホーンジャック
KR20060050386A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JP5212499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069273B (zh) 电连接器
EP1337009B1 (en) A shielding connector, a shielding connector system, a terminal fitting and use thereof
KR20060135054A (ko) 커넥터 및 그 결선 방법
US6231393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45000B1 (ko) 아이디씨형 커넥터
JP2001155828A (ja) 電気コネクタ
JPH09171848A (ja) 電気コネクタ
KR200318506Y1 (ko) 아이디씨형 커넥터
JP2003007401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