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072Y1 -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 Google Patents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072Y1
KR200318072Y1 KR20-2002-0033558U KR20020033558U KR200318072Y1 KR 200318072 Y1 KR200318072 Y1 KR 200318072Y1 KR 20020033558 U KR20020033558 U KR 20020033558U KR 200318072 Y1 KR200318072 Y1 KR 200318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engraving surface
ornaments
mounting space
engr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은
Original Assignee
전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은 filed Critical 전상은
Priority to KR20-2002-0033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3/00Rosa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4M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표현되는 조각면의 일부 문양을 대체하여 실장식품을 적용함으로써, 입체감을 강조하여 장식효과의 배가를 이루고 이를 통한 심미감창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상기 장신구(2)는,
조각면(21) 일측으로 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장착공간(23)과,
상기 장착공간(23) 내방으로 조각면(21)의 문양 일부에 상응하는 실제 장식품(22)을 삽입하며,
또한 상기 장착공간(23)을 조각면(21)과 축방향이 평행을 이루도록 관통공(24)형태로 구비하여 장식품(22)을 삽입하도록 하고,
상기 장신구(2)는 조각면(21)을 대칭형으로 형성하고, 장식품(22)의 장착을 위한 관통공(24)을 조각면(21)과 직교하도록 본체(20)에 형성하여, 이를 통해 개재되는 장식품(22)이 대칭된 조각면(21)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Solidity emphasize for accessories}
본 고안은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일부에 착용하거나 다양한 장소에 배치되어 장식효과를 이루기 위한 장신구에 있어서, 장신구에 표현되는 조각등의 일부를 실제 물품으로 구성하여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각종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신체일부 부위에 착용하거나 특정장소등에 비치하여 장식효과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장신구는 그 형상만으로 장식효과를 표현함은 물론 형상과 아울러 장신구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각인한 조각면을 통한 모양의 변화를 유도하여 장식효과의 배가를 이루고자 하였다.
그 가운데 도 1 a), b)에서와 같이 형상과 더불어 표면에 조각면(10)을 통한 모양의 변화로써 장식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신구(1)는, 원반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메달타입으로, 중심축 방향의 상, 하 부위에는 메달을 거치하기 위한 연결줄등을 개재하는 연결링(1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장신구는 일측 원주면으로 인물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양의조각면(10)을 형성하며, 이러한 조각면(10)은 음각 내지는 양각을 통해 2차원적으로 표현된다.
더불어 도 1 c)에 예시된 도장(12)은 종래에는 단순한 인장기능만이 주목적이였으나, 근자에는 인장기능이외에도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도장(12)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과 모양을 조각하여 장신구(1)로서의 역할수행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장신구(1)를 비롯한 도장(12)에 표현되는 각 조각면(10)들은 모두 선과 면을 조합하여된 2차원적 표현으로, 평면상에서만 그 문양과 모양의 연출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입체감이 결여되어 장신구(1)로서의 본연의 장식효과 창출기능이 다소 미약한 단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각인되는 조각면(10)에 색상을 첨부하거나 음,양각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입체감 부각을 시도하였으나, 그 표현범위가 한계적이고 작업난이도에 따른 생산성등이 저하되어 큰 실효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신구등에 표현되는 조각면의 일부 문양을 대체하여 실제품을 적용함으로써, 입체감을 강조하여 장식효과의 배가를 이루고 이를 통한 심미감창출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일반적인 장신구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 및 A - A선 및 B - B선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를 도시한 정면도 및 C - C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의 장식품 체결구조의 제 1 실시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의 장식품 체결구조의 제 2 실시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에 적용된 장식품의 적용 분야를 달리한 도장을 도시한 정면도 및 D - 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장신구
20;본체
21;조각면
22;실제 장식품
23;장착공간
24;관통공
3;도장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를 도시한 정면도 및 C - C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의 장식품 체결구조의 제 1 실시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의 장식품 체결구조의 제 2 실시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에 적용된 장식품의 적용 분야를 달리한 도장을 도시한 정면도 및 D - D선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2)는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원반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외형을 가지며 일측에는 장식효과를 표출하기 위한 조각면(21)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본체에는 장신구(2)를 거치하여 개재하기 위한 연결부재(2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장신구(2)는 본체(20) 일측에 형성되는 조각면(21)의 문양 일부를 실제 장식품(본 고안에서는 염주목걸이, 십자가목걸이, 배의 닻등으로 표현됨;22)으로 개재하며, 이를 위해 조각면(21) 일측에 장식품(22)의 안치를 위한 장착공간(2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20)에 형성된 장착공간(23)은 장식품(22)에 대응하기 위해 그 형상을 원형, 사각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장착공간(23)을 통하여 장식품(22)은 그 모양과 기능에 따라 개재부위가 장착공간(23)내방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인 장신구(2)는 장식품(22)을 장착공간(23)에 의한 조각면상의 장착구조이외에도, 조각면(21)과 축방향이 평행을 이루도록 관통공(24)형태로 구비하고, 그 관통공(24)으로 장식품(22)을 삽입하여 장식품(22)이 환형테 형상을 이루도록 장착가능하며, 장착된 장식품(22)은 관통공(24)내방을 순환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신구(2)는 조각면(21)을 대칭형으로 형성하고, 장식품(22)의 장착을 위한 관통공(24)을 조각면(21)과 직교하도록 본체(20)에 형성하여, 이를 통해 개재되는 장식품(22)이 대칭된 조각면(21)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조각면(21)과 아울러 장식품(22) 역시 대칭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장신구(2)의 표면에 각인되는 조각면(21) 문양의 일부를 실제 장식품(22)으로 대체한 구조는, 메달을 비롯하여 도장(3)등과 같이 조각면(21)을 통해 특정문양을 표현하고, 이로 인한 장식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모든 물품에 적용됨은 당연하다 하겠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2)는;
본 고안에서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은 메달을 비롯하여 도장등의 조각면에 사용하며, 도시된 도면이외의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장신구등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은 메달의 경우 본체(20) 일측을 비롯하여 양측방으로 달마대사를 형상화한 문양을 통해 조각면(2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각면(21)의 문양 가운데 달마대사가 목에 걸친 염주목걸이를 실제 장식물(22)로 대체함으로서, 전체 조각면(21)에서 특정부위가 평면적 표현이 아닌 3차원적으로 표현되어 장신구의 입체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를 착용하거나 비치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 증대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는 실제 장식품을 조각면 일측에 개재하여 표현된 문양의 입체감을 부각시켜 장식효과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심미감의 창출로 장신구의 소비를 증대시켜 경제적 이익창출의 극대화를 유도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원반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외형을 가지며 일측 내지는 양측 대칭형으로 장식효과를 표출하기 위한 조각면(21)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는 거치를 위한 연결부재(21)가 구비된 공지의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2)는,
    조각면(21)으로 원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장착공간(23)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간(23)에는 조각면(21)의 문양 일부에 상응하는 실제 장식품(22)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2)의 조각면(21)에 형성되는 장착공간(23)은,
    조각면(21)과 축방향이 평행을 이루는 관통공(24)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2)의 조각면(21)에 형성되는 장착공간(23)은,
    조각면(21)과 직교되는 관통공(24)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KR20-2002-0033558U 2002-11-09 2002-11-09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KR200318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58U KR200318072Y1 (ko) 2002-11-09 2002-11-09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558U KR200318072Y1 (ko) 2002-11-09 2002-11-09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072Y1 true KR200318072Y1 (ko) 2003-06-28

Family

ID=4933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558U KR200318072Y1 (ko) 2002-11-09 2002-11-09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0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8072Y1 (ko) 입체감을 강조한 장신구
KR20070079651A (ko) 음각무늬부를 갖는 시계 또는 액자용 틀체 및 그 틀체의제조방법
CN201186578Y (zh) 铝塑板浮雕工艺品
KR200406078Y1 (ko) 입체 장식판의 이격 내장구조를 갖는 보석장식구
KR200401854Y1 (ko) 장식용 자개
CN202154155U (zh) 内置宝石的双面镂空立体饰品
CN205364982U (zh) 一种装饰挂件
CN216635988U (zh) 一种外层设有掐丝及裂彩图案的水晶制品
KR200193527Y1 (ko) 상감기법을 응용한 목재 신변 장신구
CN202029619U (zh) 双面镂空立体饰品
KR200424612Y1 (ko)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CN209756605U (zh) 一种卡包浮雕
JPH0798387A (ja) 装飾受付スケルトン時計ムーブメント
KR200437172Y1 (ko) 반지 겸용 펜던트
KR200289755Y1 (ko) 목재를 이용한 액세서리 공예품
JP3114381U (ja) 装飾品
KR200420951Y1 (ko) 측면 알상감이 부착된 교자상
KR200243602Y1 (ko) 끼움결합방식 금속 장식물
JP3101584U (ja) 美術品創作具
KR940006835Y1 (ko) 장식용구
KR200197569Y1 (ko) 상패의 입체무늬 구조
KR200287550Y1 (ko) 가구 표면 장식용 상감 구조
KR200232313Y1 (ko) 원목 안경다리
CN204838311U (zh) 一种组合型悬挂式首饰结构
KR200398280Y1 (ko) 장식구슬이 부착된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