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923Y1 -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923Y1
KR200317923Y1 KR20-2003-0007996U KR20030007996U KR200317923Y1 KR 200317923 Y1 KR200317923 Y1 KR 200317923Y1 KR 20030007996 U KR20030007996 U KR 20030007996U KR 200317923 Y1 KR200317923 Y1 KR 200317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ush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electric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20-2003-0007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 표면 상에 산재하여 있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쾌적한 바닥 표면을 유지하기 위한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 일측면 상에 흡입구가 구비되며, 상부 일측면 상에 회동편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분이 하우징의 흡입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 브러시와; 하우징의 후방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용기와; 하우징의 회동편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brush type electric cleaner}
본 고안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표면 상에 산재하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쾌적한 바닥 표면을 유지하기 위한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집, 사무소 등과 같은 각종 실내 공간 내,외의 바닥 표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로서, 이 청소기로 최근에 널리 이용되는 것은 저압부의 흡수력을 이용하여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는 진공 청소기가 매우 대표적이다.
이 진공 청소기는 전기소제기라고도 하며, 카펫을 깐 거실 바닥 등의 먼지를 공기흡착작용에 의해 흡수시켜 청소하고, 실내 구석구석을 청소하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으며, 넓은 거실을 청소할 때는 코드선을 벽면에 설치한 콘센트에 꽂고, 구석구석을 밀고 다니면서 각종 먼지 등을 깨끗이 흡수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 청소기는 복잡한 흡입구조로 인해 그 제조 단가가 높아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이며, 또한 입자크기가 비교적 큰 이물질의 흡입 작용이 용이하지 못하여 이물질 제거 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입자크기가 비교적 큰 이물질은 청소기의 흡입구 측에 쉽게 끼게 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크기에 상관없이 이물질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그 구조가 매우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매우 저감시키는 브러시형 전동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한 브러시형 전동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본 고안의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 브러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0 : 회전 브러시
30 : 구동모터 40 : 수납용기
50 : 손잡이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 일측면 상에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면 상에 회동편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분이 하우징의 흡입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 브러시와; 하우징의 후방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용기와; 하우징의 회동편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브러시는 그 회전축의 외주면 상에 좌우 대칭적인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수납용기는 그 전방 일측에 구비된 후크가 하우징의 후방 일측면 상에 구비된 결합홈 상에 결합 및 해제됨으로써 하우징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다단조립되는 조립체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및 수납용기가 상호 결합된 하부면 상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각각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형 전동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브러시(20)와, 하우징(10)의 후방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용기(40)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면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그 전방 하부측에 소정 크기의 흡입구(11)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11)에 후술하는 회전 브러시(20)가 배치된다. 하우징(10)의 후방 일측(즉, 후술하는 수납용기(4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에 소정의 결합홈(12, 도 3참조)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재(50)가 끼워지는 회동편(1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브러시(20)는 하우징(10)의 흡입구(11) 측에 배치되고, 그 일부분이 바닥표면과 맞닿도록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이 회전 브러시(2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0)의 회전 구동력을 벨트 전동, 체인 전동 기구 등과 같은 감아걸기 전동기구(32)를 통해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 구동모터(30)의 작동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면 상에 구비된 작동스위치(31)의 온오프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이 구동모터(30)의 전원 공급은 외부 전원, 내부 전원, 또는 충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브러시(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회전축(21)의 외주면 상에 좌우 대칭적인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 브러시(20)에 의해 집진되는 바닥 표면 상의 이물질 제거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수납용기(40)는 하우징(10)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40)의 전방 일측에는 누름 버튼(41)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벌어지는 후크(42)가 형성되고, 이 후크(42)가 하우징(10)의 후방 일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 및 해제됨으로써 수납용기(40)가하우징(10)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 사이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가이드 홈(15) 및 가이드 돌기(43)가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의 하부면 상에는 적정수의 바퀴들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 및 수납용기(40)의 상호 결합되는 하부면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14, 44)이 각각 구비되어, 회전 브러시(20)에 의해 집진되는 바닥표면 상의 이물질은 이탈됨이 없이 바로 수납용기(40) 내로 완전히 수거된다.
손잡이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회동편(13)에 끼움결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재(50)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단조립되는 조립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손잡이부재(50)의 다단조립되는 구조는 나사식 또는 끼워맞춤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청소기의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면 상에 구비된 작동스위치(31)를 온시키면,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이 회전 브러시(20)의 회전축(21)으로 전달되어 회전 브러시(20)는 회전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브러시(20)가 회전하면서 바닥표면 상에 산재된 각종 이물질들을 하우징(10)의 후방측에 구비된 수납용기(40) 내부 공간으로 쓸어내게 된다.
이후에, 수납용기(40)의 내부 공간에 일정량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이 수납용기(4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부재(50)가 하우징(10) 상부면 상에 구비된 회동편(13)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와, 이 손잡이부재(50) 자체의 조립가능한 구조로 인해 그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크기에 상관없이 이물질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그 구조가 매우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매우 저감시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부재가 하우징의 회동편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 및 이 손잡이부재 자체의 조립가능한 구조로 인해 그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하부 일측면 상에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면 상에 회동편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흡입구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 브러시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납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회동편 상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형 전동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는 그 회전축의 외주면 상에 좌우 대칭적인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형 전동청소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그 전방 일측에 구비된 후크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일측면 상에 구비된 결합홈 상에 결합 및 해제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형 전동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길이방향으로 다단조립되는 조립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형 전동청소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수납용기가 상호 결합된 하부면 상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형 전동청소기.
KR20-2003-0007996U 2003-03-18 2003-03-18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 KR200317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996U KR200317923Y1 (ko) 2003-03-18 2003-03-18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996U KR200317923Y1 (ko) 2003-03-18 2003-03-18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923Y1 true KR200317923Y1 (ko) 2003-06-27

Family

ID=4933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996U KR200317923Y1 (ko) 2003-03-18 2003-03-18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9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7565B2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A2375000C (en) Upright vacuum cleaner with spring loaded nozzle
JPH10192204A (ja) 真空掃除機のブラシヘッド組立体
KR102467325B1 (ko) 진공청소기
KR101667716B1 (ko) 로봇청소기
KR19980018887U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보관용 브러쉬
KR200317923Y1 (ko) 브러시형 전동 청소기
KR101144949B1 (ko) 회전솔을 구비한 수동형 스마트 청소기
KR102025847B1 (ko) 수동식 진공청소기
CN214632021U (zh) 一种多功能双刷洗地机
CN109431372B (zh) 一种滚刷电机结构及吸尘器
KR20050032699A (ko) 스팀 걸레겸용 진공청소기
JPS6346057Y2 (ko)
CN101301184A (zh) 转动式真空吸尘器吸嘴
WO2023213278A1 (zh) 一种地面清洁装置
JPS6245629Y2 (ko)
CN216702468U (zh) 地刷组件及洗地机
CN220001630U (zh) 清洁设备
JPS631964Y2 (ko)
CN219557113U (zh) 一种擦窗机器人
JP2005177124A (ja) ふとん用吸込具
CN212346468U (zh) 一种便于换水的鞋底清洁机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0192727Y1 (ko) 진공청소기
KR20036405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