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697Y1 - 배수관 - Google Patents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697Y1
KR200317697Y1 KR20-2002-0035829U KR20020035829U KR200317697Y1 KR 200317697 Y1 KR200317697 Y1 KR 200317697Y1 KR 20020035829 U KR20020035829 U KR 20020035829U KR 200317697 Y1 KR200317697 Y1 KR 200317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ortion
partition
pipe
storage
stor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섭
Original Assignee
김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섭 filed Critical 김인섭
Priority to KR20-2002-0035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품은 평상시와 하수시에 나타나는 악취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물에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흐르는 관에 칸막이를 2중으로 설치하였고 하수시에는 개폐가 되고 역류시에는 차단이 되는 유동막을 설치하였으며 점검과 청소가 용이한 점검구를 설치 하였다.

Description

배수관{drainpipe}
본 고안은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빗물이나 생활 오수 등(이하 "빗물 등"이라고 함)을 하수구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하수구의 인접영역에는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다.이러한 배수관은 하수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구로부터 물이 역류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리고 배수관은 빗물 등을 하수구를 통해 흘러보낼 때 물흐르는 소리등의 소음이 배수관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구로부터 물이 역류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흐르는 소리 등의 소음이 배수관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단면도,도2는 도1에 도시된 배수관을 통한 배수시의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배수관을 통한 물역류시의 단면도이다.<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1 : 유입관부 13 : 유출관부15 : 저장관부 21 : 유입측 칸막이23 : 유출측 칸막이 25 : 유동칸막이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개구가 하수구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유출관부와, 상기 유출관부와 반경방향을 따라 분리되고 상기 유출관부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유입관부와, 상기 유출관부와 상기 유입관부를 상호 연통하도록 연결하는 저장관부를 갖는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부의 유로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저장관부의 유로를 반경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저장관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입측 칸막이와; 상기 저장관부의 유로를 반경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저장관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상기 유입측 칸막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회동축을 통해 저장관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동칸막이와; 상기 유출관부에 인접하는 표면이 상기 유동칸막이의 상기 유입관부에 인접하는 표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저장관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출측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에 의해 달성된다.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단면도이다.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등을 잠시 저장하는 저장관부(15)와, 저장관부(15)의 좌측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유입관부(11)와, 저장관부(15)의 우측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유출관부(13)를 갖고 있다. 유입관부(11)와 유출관부(13)는 각각 저장관부(15)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은, 유입관부(11)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각각 나란하게 연장되어 배치된 유입측 칸막이(21) 및 유동칸막이(25)와, 저장관부(15)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유출측 칸막이(23)를 갖고 있다.유동칸막이(25)는 회동축(25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저장관부(15)에 결합되어 있다.유입측 칸막이(21), 유동칸막이(25) 및 유출측 칸막이(23)는 각각 저장관부(15)의 반경방향 유로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유동칸막이(25)의 좌측 표면의 종단영역은 유출측 칸막이(23)의 우측표면에 면접촉되어 있다.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이 물이 배수되고 역류될 때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2는 도1에 도시된 배수관을 통한 배수시의 단면도이고, 도3은 도1에 도시한 배수관을 통한 물역류시의 단면도이다.유입관부(11)를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면 저장관부(15)에 물이 저장된다. 저장관부(15)에 저장되는 빗물 등의 높이가 유출측 칸막이(23)보다 커지면 저장관부(15)에 저장된 빗물 등은 유동칸막이(25)를 우측으로 회동시키면서 유출관부(13)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여기서 저장관부(15)에 빗물 등이 저장된 상태에서 유출관부(13)와 유입관부(11)사이에는 빗물 등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하수구등 유출관부(13)의 개구 인접영역에서 발생하는 물흐르는 소리 등의 소음과 악취가 유입관부(11)를 통해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한편 유출관부(13)를 통해 빗물 등이 하수구로부터 역류되는 경우 유동칸막이(25)는 역류되는 빗물 등의 압력에 의해 유출측 칸막이(23)에 접촉할 때까지 왼쪽으로 회동한다. 유동칸막이(25)와 유출측 칸막이(23)가 접촉할 때 저장관부(15)의 길이방향 유로가 차단되어 하수구로부터 역류되는 빗물 등은 더 이상 저장관부(15)의 내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수구로부터 유출관부(13)를 통해 빗물 등이 역류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하수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수구로부터 물이 역류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물흐르는 소리 등의 소음이 배수관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개구가 하수구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유출관부와, 상기 유출관부와 반경방향을 따라 분리되고 상기 유출관부의 설치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유입관부와, 상기 유출관부와 상기 유입관부를 상호 연통하도록 연결하는 저장관부를 갖는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부의 유로를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저장관부의 유로를 반경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저장관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입측 칸막이와;
    상기 저장관부의 유로를 반경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저장관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상기 유입측 칸막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회동축을 통해 저장관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동칸막이와;
    상기 유출관부에 인접하는 표면이 상기 유동칸막이의 상기 유입관부에 인접하는 표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저장관부의 내표면으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유출측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KR20-2002-0035829U 2002-11-29 2002-11-29 배수관 KR200317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29U KR200317697Y1 (ko) 2002-11-29 2002-11-29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29U KR200317697Y1 (ko) 2002-11-29 2002-11-29 배수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993A Division KR20020023712A (ko) 2001-12-10 2001-12-10 하수구 악취,소음,역류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697Y1 true KR200317697Y1 (ko) 2003-06-25

Family

ID=4940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829U KR200317697Y1 (ko) 2002-11-29 2002-11-29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6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8398A (ko) 하수관로 역류 방지장치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KR200317697Y1 (ko) 배수관
JP6807803B2 (ja) 逆流防止弁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JP2016079661A (ja) 汚水桝の逆流防止装置
JPS6026895B2 (ja) 排水トラツプにおける水封機能維持装置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200168154Y1 (ko) 배수관의 하수역류방지기
JP6989293B2 (ja) 排水ます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JP4203561B2 (ja) 排水口のカバー部材
KR200318087Y1 (ko) 하수용 맨홀통
KR200333410Y1 (ko) 빗물 오수 겸용받이
JP7058707B2 (ja) 排水ます
KR200388665Y1 (ko) 배수구
KR200326124Y1 (ko) 수직배관의 첵크밸브의 디스크구조
KR100760810B1 (ko) 씽크대용 가스켓
KR200163776Y1 (ko) 가정용하수구덮개
KR19990041355U (ko) 세면기 및 씽크대용 배수트랙구조
JP2002146888A (ja) 空気弁の吸排気構造
KR200260320Y1 (ko) 체크밸브
KR100420001B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KR200340880Y1 (ko) 역류방지밸브 및 이를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