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617Y1 -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617Y1
KR200317617Y1 KR20-2003-0008764U KR20030008764U KR200317617Y1 KR 200317617 Y1 KR200317617 Y1 KR 200317617Y1 KR 20030008764 U KR20030008764 U KR 20030008764U KR 200317617 Y1 KR200317617 Y1 KR 200317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ain body
controller
coin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다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다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다미로
Priority to KR20-2003-0008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게임기본체와, 게임기본체를 조종하기 위한 조종기를 갖는 콘솔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기본체와 조종기 사이에 설치되어 게임기본체와 조종기 간의 전원과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단속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과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단속하기 위한 신호를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는 조종기제어부와; 외부로부터의 코인 투입을 위한 코인기와; 코인기를 통한 코인의 투입여부에 따라 조종기제어부로부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코인이 투입된 경우에는 게임기본체와 조종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코인이 투입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게임기본체와 조종기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기를 이용하여 게임기 본체의 구조나 회로를 개조하지 아니하고도 가정용 게임기를 영업용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간표시부를 통해 잔여시간을 표시하고, 잔여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일 때 부저 등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의 잔여시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을 제어기에서 제어함으로써, 콘솔게임 시스템의 전원 공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CONSOLE GAME SYSTEM FOR BUSINESS}
본 고안은, 영업용 콘솔 게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가정용 콘솔게임기를 영업용으로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게임 잔여시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솔게임기란, 별도의 게임기본체를 TV 수상기에 연결하고, 조종기를 가지고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래 콘솔(CONSOLE)이란 파이프 오르간의 연주대를 의미하나,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추가되어 컴퓨터가 등장하면서는 본체와 분리된 제어장치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되었으며, 80년대 가정용 게임기가 보급되면서 TV 수상기에 연결해 각종 버튼을 조정하여 게임을 조작하는 게임기가 일종의 제어장치(콘솔)로 인식되어 콘솔게임기라는 용어가 생성되었다.
콘솔게임기로는, 소니사의 플레이스테이션,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X-Box, 닌텐도사의 게임큐브 등이 출시되어 있으며, 콘솔게임기는 비교적 큰 TV 수상기 화면을 통해 화질이 좋고 스케일이 큰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콘솔게임기도 온라인 시대에 발맞추어 온라인 게임이 가능하게 하는 등의 기능이 추가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한편, 이러한 콘솔게임기가 가정용으로 시판되고 있는데 반해, 아케이드 게임기, 즉, 영업용으로 판매되는 게임기는 그래픽 성능이 떨어지고 게임의 종류가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가정용 게임기인 콘솔게임기에 비해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수요자에 비해 공급량이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저렴한 가격의 콘솔게임기를 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업용 오락기의 구입에 따른 사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방법들이 모색되어 왔다.
기 출원된 "가정용 오락기의 사업용화 제어장치"(등록번호 : 특1993- 0003625호)는, 코인투입 여부와 조종기의 레버 작동신호를 감지하여 게임기의 작동을 위한 회로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레버 작동신호 및 코인투입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를 기존의 게임기 회로에 재구성함으로써, 회로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레버 작동신호와 코인투입 신호 두 가지에 의해 게임기 회로의 전원이 제어됨으로써, 그 제어체계가 복잡하여 게임기의 안정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 출원된 "가정용 게임기를 사업용화 시키는 제어장치"(등록번호 : 20-0191318호)는, 게임기로부터의 영상을 처리하여 코인투입 여부에 따른 게임의 상태, 즉, 시작, 정지, 계속, 종료 등의 영상신호를 TV 수상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회로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영상을 재처리함에 따라 화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기 출원된 발명들은 가정용 게임기를 영업용으로 개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기 자체를 개조함에 따라 비용이 상승되며, 게임기의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므로 별도의 프로그램 수정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개조로 인해 게임기 자체의 동작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개조된 게임기는 투입된 코인에 따라 사용시간이 설정되나, 사용자는 게임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을 파악하기 어려워 게임도중 갑자기 게임기 전원이 꺼지거나 게임이 중단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이에, 게임기 자체의 구조는 변경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여 가정용 게임기를 사업용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누구라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코인투입에 따른 게임의 잔여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잔여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이 갑자기 종료되어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가정용 콘솔게임기를 영업용으로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게임 잔여시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어기 본체의 상세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어기 본체에 의한 콘솔게임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게임기본체 15 : 조종기
20 : 제어기 21 : 인터페이스부
25 : 제어기본체 27 : 전원공급부
30 : 중앙처리부 35 : 조종기제어부
40 : 시간표시기 41 : 타이머
43 : 시간표시부 45 : 코인기
46 : 코인투입부 47 : 코인카운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게임기본체와, 상기 게임기본체를 조종하기 위한 조종기를 갖는 콘솔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 간의 전원과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단속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과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단속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는 조종기제어부와; 외부로부터의 코인 투입을 위한 코인기와; 상기 코인기를 통한 코인의 투입여부에 따라 상기 조종기제어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코인이 투입된 경우에는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코인이 투입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코인기로 투입된 코인의 수에 따라 게임시간 및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서 산출된 게임시간과 잔여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시간표시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 잔여시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잔여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하면, 시각적인 신호와 청각적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종료시점을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게임기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간편하게 게임기본체의 전원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영업용으로 전환 가능한 콘솔게임 시스템으로서, 코인의 투입에 따라 콘솔게임기의 조종기로 제공되는 전원라인을 단속하는 제어기기를 설치함으로써, 콘솔게임기본체의 구조를 개조하지 아니하고 간단하게 콘솔게임기를 영업용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코인투입에 따라 산출된 게임 잔여시간을 표시하고, 잔여시간이 소정 이하 잔존하는 경우 외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게임 잔여시간을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콘솔게임 시스템에 대해 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콘솔게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게임기(10,15)와, 콘솔게임기(10,15)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기(20)를 포함한다.
콘솔게임기(10,15)는, 조종기(15)와, 조종기(15)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는 각종 게임용 프로그램이 내장되거나, CD, 팩(pack) 등을 통하여 탑재가 가능한 게임기본체(10)를 포함하며,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임기본체(10)는 TV 수상기, 프로젝터 등의 모니터(11)에 연결되어 영상신호가 출력되고, 모니터(11)와 연결된 스피커(13)를 통해 음향이 출력된다.
이러한 콘솔게임기(10,15)의 게임기본체(10) 및 조종기(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솔게임기(10,1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기본체(10)와 조종기(15) 사이에 설치되어 게임기본체(10)와 조종기(15) 간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인터페이스부(21)와, 게임기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고 인터페이스부(21)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게임기본체(10)와 조종기(15)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기본체(25)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는 그 양측 단부에 게임기본체(10)와 조종기(15)가 각각 접속되는 본체측 단자와 조종기(15)측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터페이스부(21)내의 본체측 단자와 조종기(15)측 단자를 연결하는 전원라인 상에는 전원라인을 단속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단속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단속스위치는게임기본체(10)로부터 조종기(15)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용 라인에 설치될 수도 있고, 조종기(15)로부터 게임기본체(10)로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용 라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단속스위치가 전원출력용 라인에 설치되면 게임기본체(10)로부터 조종기(15)로 제공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고, 신호입력용 라인에 설치되면 조종기(15)로부터 게임기본체(10)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단속할 수도 있다. 한편, 단속스위치는 제어기본체(2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원라인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면, 솔레노이드(solenoid) 스위치, 릴레이(relay),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트랜지스터 등 어떠한 형태의 소자나 스위치라도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1)에는 복수의 조종기(15)측 단자를 형성하여 어떠한 사양의 조종기(15)라도 그에 맞는 커넥터를 통하여 게임기본체(10)와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나 제어기본체(25) 내에는 프로그래밍 된 로직 등을 구비하여 기종별 핀 배열의 차이와 관계없이 조종기(15)와 제어기본체(25) 사이에 각종 신호들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게임기본체(10)를 연결하는 단자들에 대해서도 복수의 단자를 제공하는 등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다양한 사양의 게임기본체(10)를 연결 가능하도록 하여 조종기(15)와 제어기본체(25) 사이에 서로 핀 배열 등의 세부 사양이 달라도 호환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조종기(15)측 단자와 복수의 본체측 단자를 형성하여 복수의 게임기본체(10)와 복수의 조종기(15)를 독립적으로 전기적 연결함으로써, 단일의 인터페이스부(21)를 이용하여 복수의 콘솔게임기(10,15)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기본체(25)는, 코인의 투입을 위한 코인기(45)와, 투입된 코인에 따라 가능한 게임시간을 카운트하고 표시하는 시간표시기(40)와, 게임시간의 종료시 인터페이스부(21)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하는 조종기제어부(35)와, 게임기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7)와, 제어기본체(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3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기본체(25)에는 경고부인 부저(32)가 설치되어 게임의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잔여시간에 도달하면 부저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잔여시간을 상기시킨다. 부저(32)는, 중앙처리부(3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타이머(41)와 연결하여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저(32) 이외에도 발광소자를 제어기본체(25)의 외표면에 설치하여 점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정 잔여시간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코인기(45)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투입부와, 코인투입부로 투입된 코인을 감지하여 카운트하는 코인카운터(47)를 포함한다. 코인카운터(47)로부터 카운트된 코인의 수는 중앙처리부(30)를 통해 시간표시기(40)로 제공된다.
시간표시기(40)는, 코인카운터(47)에서 카운트된 코인의 수에 따라 게임시간을 설정하여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41)와, 타이머(41)로부터 제공받은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부(43)를 포함한다. 타이머(41)에는 코인 하나당 게임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코인 수에 따라 게임 잔여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머(41)는, 외부입력과 내부입력을 각각 카운트할 수 있는 RTCC(Real Time Clock/Counter)로 형성함으로써, 시간표시부(43)를 통해 게임을 하지 아니할 때는 현재시간이 표시되도록 하고, 게임 시에는 잔여시간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시간표시부(43)를 구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표시부(43)의 디스플레이를 FND(Multisegmented LED Displays), 즉, 7세그먼트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시간 파악이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콘솔게임 시스템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공급부(27)는 제어기본체(25)와 연결되며, 제어기본체(25)에 설치된 미도시한 전원스위치가 턴온되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게임기본체(10)로 공급한다. 즉, 게임기본체(10)의 전원을 제어기본체(25)에서 제어하게 된다. 종래에는 기 출원된 "가정용 오락기를 영업용 오락기로 전환함에 있어서, 영업용 오락기 케이스의 게임용 콘솔 체결장치"(등록번호 : 20-030590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콘솔 게임기를 별도의 케이스에 넣어 설치함으로써, 케이스 외부에서 콘솔 게임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제어기본체(25)에 형성된 전원스위치의 턴온시 게임기본체(10)에 전원이 공급되므로, 종래와 같이 게임기본체(10)의 전원공급을 위해 게임기본체(10)의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7)에 의해 제어기본체(25)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도 조종기(15)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아니하도록 인터페이스부(21)의 단속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로 초기화되어 있다. 조종기제어부(35)는, 중앙처리부(30)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단속스위치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코인이 투입되어 중앙처리부(30)로부터 전원인가를 허여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비로소 단속스위치를 턴온시켜 제어기본체(25)로부터의 전원이 조종기(15)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조종기제어부(35)는, 타이머(41)에 의해 산출된 잔여시간이 종료하여 중앙처리부(30)로부터 전원인가를 차단하라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인터페이스부(21)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인터페이스부(21)에 설치된 단속스위치를 턴오프시키게 된다. 이때, 단속스위치가 전원출력용 라인에 설치된 경우에는 조종기(15)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며, 단속스위치가 신호입력용 라인에 설치된 경우에는 조종기(15)로부터 게임기본체(10)로 제공되는 조작신호가 차단된다. 따라서 단속스위치가 전원출력용 라인에 설치되든 신호입력용 라인에 설치되든 단속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조종기(15)의 조작이 무의미해지고, 조종기(15)로 게임기본체(10)를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콘솔게임 시스템은,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 사이에 인터페이스부(21)를 설치하고, 제어기본체(25)로부터의 전원선을 게임기본체(10)와 연결하고, 인터페이스부(21)와 제어기본체(25)를 신호선으로 연결하면 영업용으로서의 콘솔게임 시스템이 설치 완료된다.
이렇게 콘솔게임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기본체(25)에 형성된 전원스위치를 턴온시키면, 제어기본체(25)의 전원공급부(27)에서 게임기본체(10)로 전원을 공급하여 콘솔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콘솔게임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을 중앙처리부(30)의 제어과정에 따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어기본체(25)에 형성된 코인투입부에 사용자가 코인을 투입하면(S10), 코인카운터(47)에서는 코인의 수를 카운트한다(S20). 카운트된 코인의 수는 중앙처리부(30)를 통해 타이머(41)로 통지되며(S30A), 타이머(41)에서는 코인의 수에 따른 게임시간과 잔여시간을 산출하여 시간표시부(43)에 제공하고, 시간표시부(43)에는 잔여시간이 표시된다(S40A). 이와 동시에, 중앙처리부(30)에서는 조종기제어부(35)로 게임기본체(10)에서 조종기(15)로 입력되는 전원의 인가를 허여하는 전원인가신호를 출력한다(S30B). 그러면, 조종기제어부(35)는 인터페이스부(21)로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인터페이스부(21)에서는 단속스위치가 턴온되면서 조종기(15)에 전원이 인가되어 조종기(15)로부터의 조작신호가 게임기본체(10)로 전달가능하게 된다(S40B).
이렇게 사용자가 코인을 투입하여 게임을 하던 중,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한 소정 잔여시간, 예를 들어 소정 잔여시간이 3분으로 설정된 경우, 3분에 도달하면 중앙처리부(30)에서는 부저(32)를 작동시켜 부저음을 발생시킨다(S50,S60). 그러면, 사용자는 잔여시간을 확인하게 되며, 코인을 더 투입하여 게임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코인투입부를 통해 코인의 재투입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코인을 더 투입하면(S70), S20 단계로 되돌아가 코인카운터(47)에서는 코인을 카운트하고, 중앙처리부(30)에서는 타이머(41)로 코인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잔여시간을 갱신하는 S30A, S40A 단계를 반복하도록 한다.
한편, 코인카운터(47)로부터 코인 재투입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중앙처리부(30)에서는 잔여시간의 소진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잔여시간이 종료되면, 조종기제어부(35)를 통해 인터페이스부(21)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단속스위치가 턴오프되도록 한다(S80). 그러면, 제어기본체(25)로부터 조종기(15)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조종기(15)를 통한 조작신호의 입력이 불가능해지므로, 게임이 종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콘솔게임 시스템에서는 제어기(20)를 이용하여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 간의 전원라인을 온오프함으로써, 코인의 투입여부에 따라 조종기(15)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21)와 제어기본체(25)로 이루어진 제어기(20)를 기존의 콘솔게임기(10,15)에 연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게임기본체(10)의 구조나 회로를 개조하지 아니하고도 가정용 게임기를 영업용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인의 투입에 따라 산출된 잔여시간을 시간표시부(43)를 통해 표시하고, 잔여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일 때 부저(32) 등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의 잔여시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잔여시간이 완료됨에 따른 갑작스러운 게임의 종료로 인해 사용자가 당황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콘솔게임 시스템의 전원 공급을 제어기(20)에서 제어함으로써, 기존에 콘솔게임기(10,15)를 별도의 케이스 내에 장착된 콘솔게임기(10,15)의 스위치를사용하지 아니하게 되어 콘솔게임 시스템의 전원 공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가 유선으로 접속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 조종기(15)에는 조작신호를 게임기본체(10)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미도시)가 마련되고, 게임기본체(10)에는 상기 조종기(1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렇게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조종기(15)에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 등의 형태로 조종기(15)에 내장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술한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종기(15)와 게임기 본체(10) 사이의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조종기(15)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이 아니라 전원 공급부(27)를 통하여 게임기 본체(10)의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위와 같은 경우에, 조종기(15)의 배터리 결합부에 상기 인터페이스부(21)의 한 단자를 배터리 대신 결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21)에서 상기 조종기(15)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무선 방식의 경우, 위와 같이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뿐만이 아니라,조종기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유/무선으로 조종기(15)의 무선 모듈에 전달하여 조작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거나 게임기본체(10)의 무선모듈을 통하여 상기 조종기(15)로부터 송신되는 조작신호의 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 사이의 조작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가능한 또 다른 변형으로는, 인터페이스부(21)에 무선 송수신 모듈을 마련하여 조종기(15)로부터 게임기 본체(27)로 전달되는 신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무선 경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기 본체(25)에서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인터페이스부(21)가 이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를 위하여, 제어기본체(25)는 조종기(15) 또는 게임기본체(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하게 되며, 그 접속 형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가 무선으로 접속하고 있는 경우, 제어기본체(25)와 조종기(15)는 사이는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제어기본체(25)와 게임기본체(10) 사이는 유선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콘솔게임 시스템은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있는지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로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 간의 전원 공급 제어에 대해서 다루었으나,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게임기본체(10)로부터 조종기(15)로 전원이 공급되지 아니하고, 단지 조종기(15)로부터의 조작신호가 게임기본체(10)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조종기(15)와 게임기본체(10) 사이의 조작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단속스위치가 전원출력용라인에 설치되면 게임기본체(10)로부터 조종기(15)로 제공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고, 신호입력용 라인에 설치되면 조종기(15)로부터 게임기본체(10)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단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어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게임기본체의 구조나 회로를 개조하지 아니하고도 가정용 게임기를 영업용으로 간단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간표시부를 통해 잔여시간을 표시하고, 잔여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일 때 부저 등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의 잔여시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을 제어기에서 제어함으로써, 스위치를 일일이 수동 조작하여 온오프할 필요 없이 콘솔게임 시스템의 전원 공급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솔게임 시스템에 가정용 게임기 본체를 내장할 수도 있게 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유리함이 있다.

Claims (4)

  1. 게임기본체와, 상기 게임기본체를 조종하기 위한 조종기를 갖는 콘솔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 간의 전원과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단속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과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단속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하는 조종기제어부와;
    외부로부터의 코인 투입을 위한 코인기와;
    상기 코인기를 통한 코인의 투입여부에 따라 상기 조종기제어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제공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코인이 투입된 경우에는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코인이 투입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조종기간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기로 투입된 코인의 수에 따라 게임시간 및 잔여시간을 산출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서 산출된 게임시간과 잔여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시간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에 도달하면, 시각적인 신호와 청각적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게임기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KR20-2003-0008764U 2003-03-24 2003-03-24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KR200317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64U KR200317617Y1 (ko) 2003-03-24 2003-03-24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64U KR200317617Y1 (ko) 2003-03-24 2003-03-24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617Y1 true KR200317617Y1 (ko) 2003-06-25

Family

ID=4940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64U KR200317617Y1 (ko) 2003-03-24 2003-03-24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61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390A (ko) * 2001-09-12 2003-04-03 정일환 비디오 게임기 원격제어장치
KR20050005912A (ko) * 2003-07-07 2005-01-15 (주) 엑스토시스템 콘솔게임기용 과금장치 및 과금방법
KR20060049433A (ko) * 2004-06-22 2006-05-18 조인호 게임 인터페이스장치
KR100959710B1 (ko) 2008-07-21 2010-05-25 박미자 아케이드 게임용 제어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390A (ko) * 2001-09-12 2003-04-03 정일환 비디오 게임기 원격제어장치
KR20050005912A (ko) * 2003-07-07 2005-01-15 (주) 엑스토시스템 콘솔게임기용 과금장치 및 과금방법
KR20060049433A (ko) * 2004-06-22 2006-05-18 조인호 게임 인터페이스장치
KR100959710B1 (ko) 2008-07-21 2010-05-25 박미자 아케이드 게임용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76473A (ja) 遊技機
JP5860384B2 (ja) 遊技機
WO2007032248A1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操作端末
JP6553369B2 (ja) 遊技機
JP6374158B2 (ja) 遊技機
JP2011218045A (ja) 遊技機
KR200317617Y1 (ko) 영업용 콘솔게임 시스템
JP5860387B2 (ja) 遊技機
JP5860386B2 (ja) 遊技機
JP2014144241A (ja) 遊技機
JP6323987B2 (ja) 遊技機
JP5860385B2 (ja) 遊技機
JP2002315899A (ja) 遊技機
JP6066766B2 (ja) 遊技機
JP2016047321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19097902A (ja) 遊技機
JP6553365B2 (ja) 遊技機
JP6323988B2 (ja) 遊技機
JP5869509B2 (ja) 遊技機
JP5850883B2 (ja) スロットマシン
JP6260021B2 (ja) 遊技機
JP5522888B2 (ja) 自動切替機能付きコントローラ切替装置
JP2009183382A (ja) 遊技機
JP6074022B2 (ja) 遊技機
JP6074020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