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025Y1 -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025Y1
KR200317025Y1 KR20030009840U KR20030009840U KR200317025Y1 KR 200317025 Y1 KR200317025 Y1 KR 200317025Y1 KR 20030009840 U KR20030009840 U KR 20030009840U KR 20030009840 U KR20030009840 U KR 20030009840U KR 200317025 Y1 KR200317025 Y1 KR 200317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memory
set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9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to KR20030009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025Y1/ko

Links

Landscapes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최근 국내외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광대역 통신 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의 고안으로, 호스트 시스템에서의 음향 및 영상 데이터 또는 신호, 그리고 디지털 데이터 패턴 등을 보내기 위한 호스트 부와 호스트와 광대역 통신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직렬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부, 인터페이스 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코딩부 또는 선택 및 제어부를 통해 고속 메모리로 저장하여 직렬 데이터 변환 및 고속의 펄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제어부,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제어 상태 및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제어 및 설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입력 및 상태 표시부, 출력된 고속 펄스를 미세한 임펄스로 발생시키는 임펄스 발생기 부, 낮은 파워의 출력을 전압의 가변 및 동작 기능을 제어하여 최종 이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기부, 증폭된 임펄스를 정합필터부를 통해 안테나로 연결이 되도록 하는 안테나부로 구성된 광대역 통신 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Test and verification Equipment for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최근의 통신 기술은 협대역 통신에서 광대역 통신으로 발전하고 변모하고 있다. 이 광대역 통신은 상대적으로 높은 검출 확률 및 동작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으며, 비교적 낮은 소비전력을 갖는 이점이 있다.
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band) 기술은 혁신적인 차세대 무선 전송기술로 IEEE802.11a의 54Mbps를 능가하는 100Mbps급의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구현하고 있으며, 전력소모도 100mW 이내에 불과해 블루투스의 저전력 특성을 따라잡고 있다.
광대역 통신(UWB) 기술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수 GHz 대의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해 데이터를 처리한다. 최고 데이터 전송속도 100Mbps를 상회하지만 전력소모는 수십 mW에 불과하다. 이것은 셀룰러 폰이나 무선 LAN의 전력소모와 비교할 경우 대략 10분의 1에서 100분의 1수준이다.
이처럼 보다 빠른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해 주는 요인은, 셀룰러 폰이나 무선 LAN은 1 수십 MHz 대에 이르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지만 UWB는 이에 비해 100에서 최대 1000배 가량 높은 수 GHz 대의 주파수 대역폭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기술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500Mbps에서 1G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고 있는 무선기술로는 이러한 수준의 속도를 구현하기란 거의 어렵다.
광대역 통신(UWB) 기술은 비교적 단순한 데이터 전송 구조인 송수신 펄스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기존 기술보다 현저하게 낮은 전력소모율을 구현하고 있다.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각 펄스는 1ns에서 최고 수백 ps에 이르는 초단파로 구성된다.
아울러 각 펄스의 전송 전력 또한 10nW/MHz로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장비에서 생성해 내는 전자기 노이즈 수준보다 낮은 수치이다. 반면 펄스 송수신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도달 범위는 많은 제약을 받고 있지만 회로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광대역 통신(UWB) 기술이 본래 미국에서 군수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최근까지 광대역 통신(UWB)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으며, 또 다른 이유는 UWB 기술이 아주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나 셀룰러 폰 등과 같은 협대역 통신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통신 시스템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서는 지난 2002년 2월 4일, Office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서 지난 4년여 걸쳐 준비한 UWB 기술의 컨수머 제품에 대한 응용보고서를 승인하였다.
광대역 통신(UWB) 기술을 활용할 경우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지니고 있는 주파수 상의 많은 제약 조건들을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까지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신호 주파수 분리 기능을 지닌 가드 밴드(Guard Band) 역시 주파수 대역으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파수의 이용 효율성을 상당한 수준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임펄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본적 원리는 최초로 래리 더블류. 풀러톤(Larry W. Fullerton)이 출원한 미합중국특허 제4,641,317호(1987년 2월 3일자로 등록), 제4,813,057호(1989년 3월 14일자로 등록), 제4,979,186호(1990년 12월 18일자로 등록), 제5,363,108호(1994년 11월 8일자로 등록) 및 제4,743,906호(1988년 5월 10일자로 등록)를 포함하는 일련의 특허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임펄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기술은 풀러톤 등에 의해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 제5,677,927호(1997년 9월 14일자로 등록), 제5,687,169호(1997년 11월 11일자로 등록) 및 J. FrederickLarrick, Jr 등에 의해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제6,026,125호(2000년2월15일)와 헬버그라스리챠드빌거에 의해 출원된 특2000-0035813호(2000년 6월26일 공개), 리차드제임스엘 등에 의해 출원된 특2001-0085755호(2001년9월7일 공개), ), 래리 더블류. 풀러톤(Larry W. Fullerton) 등에 의해 출원된 특1997-7006662호(1997년11월3일 공개), 특1999-008094호(1999년1월25일) 등에 광대역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들은 광대역 통신의 기본적 기능 내지는 고정된 구성의 기술을 제시하고 있어 비록 주어진 광대역 통신을 수행할 수는 있겠으나, 이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파라메터를 설정한다던가, 이에 따라 제공되는 신호 등을 가변한다던가 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펄스의 모양과 반복되는 주기, 의사 난수(PN) 코드 성분의 적용 방법, 호스트로부터 대용량 고속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주파수 확산을 위한 방법,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양한 코딩의 적용 방법, 고속의 데이터 처리 방법, ASIC으로 진행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 분석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제약점을 가지고 있는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국내외로 UWB 통신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 오래 전부터 미국이 주축이 되어 군수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술이 미국의 특허로 제한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광대역 통신(UWB) 기술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대부분의 규격화되고 고정된 구성의 기술에 대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이미 형식화되어 있는 기술을 적용하기에 앞서 다양한 신호를 적용하고 여러 가지의 처리방법을 구현하며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펄스의 모양과 반복되는 주기, 의사 난수(PN) 코드 성분의 적용 방법, 호스트로부터 대용량 고속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주파수 확산을 위한 방법,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양한 코딩의 적용 방법, 고속의 데이터 처리 방법, ASIC으로 진행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 분석 등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을 새롭게 설계 할 수 있도록 하며, 광대역 통신(UWB) 기술을 구체적으로 하드웨어화 하여 적용 실험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을 구성해야하는 기술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블록도 중 호스트 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하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제어부의 블록도
도 4-a는 도 4의 직렬 데이터 변환 및 펄스 발생부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태출력 및 제어 입력부의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임펄스 발생기부의 블록도
도 6-a는 도 6의 임펄스 발생부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증폭부의 블록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부의 블록도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을 설명하는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은 호스트부(100), 인터페이스부(200), 디지털제어부(300), 제어 입력 및 상태 표시부(400), 임펄스 발생부(500), 증폭부(600), 안테나부(700) 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시스템은 호스트부(100)로부터 광대역 통신(UWB)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제어부(300)의 펄스발생부(380)를 위한 펄스 구성요건이 되는 펄스의 폭, 반복 주기, 의사 난수(PN) 코드의 설정, 임펄스 발생부(500)를 위한 임펄스의 모양에 대한 펄스의 생성 방법 등을 설정하도록 하는 주기 및 PN 설정부(140)가 있으며, 일련된 데이터의 패턴을 입력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패턴 설정부(110),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호스트를 통해 설정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음향 및 영상 데이터 선택부(120),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및 영상 장치 선택을 위한 음향 및 영상 입력 장치 선택부(130),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데이터를 일정한 프레임 단위로 설정하고 직렬통신 수단 인터페이스부(180)의 직렬통신 수단에 따른 데이터의 규격을 결정하는 제어부(150), 주기 및 PN설정부와 제어부(150)에서 처리한 데이터의 특성에 맞도록 선택부(170)에서 데어터의 안전한 전송 및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 등을 위한 코딩부(160), 코딩부(160)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이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의 특성에 맞도록 변형되고 자작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200) 및 디지털 제어부(300)에서 별도의하드웨어 상의 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무시되고 직렬통신 수단 인터페이스부(180)로 데이터의 흐름이 변경될 수도 있다. 직렬통신 수단 인터페이스부는 흔히 사용되는 RS232C, USB, IEEE1394 등이 적용되어 인터페이스를 담당할 수 있으며, 저속에서 고속까지의 데이터 전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출력의 결과로 직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부(200)는 호스트부(100)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직렬 통신수단 송수신기(210)를 통해 직렬통신수단의 PHY부(220)로 전달되며, 전달된 직렬통신수단의 PHY부(220) 데이터로부터 PHY 인터페이스 유닛(230)을 통해 메모리 제어부(240)의 제어로 메모리(250)에 데이터가 입력되며, 또한 디지털 제어부(300)로 데이터가 출력된다. 직렬통신수단의 PHY부(220) 및 PHY 인터페이스 유닛(230)은 직렬 통신수단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지 않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수준의 제어기로 사용되어 직렬 통신수단 송수신기(210)의 데이터가 메모리 제어부(240)의 제어로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디지털 제어부(300)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입력된 병렬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310)의 제어를 통해 메모리(320)로 데이터가 저장되며, 필요시 코딩부(330)을 통해 하드웨어적인 코딩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선택부(340)을 통해 메모리 제어부(31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코딩의 적용 여부를 선택하여 메모리 제어부(360)를 통해 메모리(350)로 저장할 수 있다.
코딩부(330)는 데어터의 안전한 전송 및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 등을 위한 기능 이외에 제어 입력 및 상태 표시부(40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입력의 신호에 의해 별도로 호스트부(100)의 기능 대부분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호스트부(100) 및 인터페이스부(200)가 존재하지 않아도 순수 하드웨어로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디지털 제어부(300)의 메모리(350)에는 펄스의 주기 및 의사 난수(PN)코드의 설정 데이터 패턴값 등의 정보들이 함유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 코딩부(330)에 의해 코딩이 적용된 데이터가 존재할 수도 있다. 메모리(350)에 저장된 데이터 들은 직렬 데이터 변환 및 펄스 발생부(370)에 의해 직렬의 데이터로 변환이 되며, 이 때에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클록이 체배를 하므로 고속의 직렬 데이터로 변환 되도록 하며, 이 때의 출력되는 직렬 데이터는 이미 메모리(350)의 데이터가 임펄스 발생부(500)의 임펄스 발생을 위해 충분히 가공된 데이터이므로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데이터의 재료가 완벽히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도 4-a]는 디지털 제어부(300)의 직렬 데이터 변환 및 펄스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메모리(350)로 부터 데이터와 클록이 레지스터부(371)로 입력되며, 이때 제공된 기준 주파수의 입력에 의해 주파수 체배부(372)를 통과한 고속의 클록에 의해 레지스터부(371)를 거쳐 메모리(373)의 읽기 및 쓰기의 동기화 클록으로 사용되고 또한, 다중채널선택부(373)를 통해 직렬 데이터를 완성하며, 이 때의 출력 파형은 미세한 펄스파형이 출력되게 된다.
[도 5]는 제어 입력 및 상태 표시부(400)로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의 필요시 호스트부(100)와 인터페이스부(200)없이도 호스트부(100)가 가지고 있는 기능의 대부분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부이다.
디지털 제어부(300)로부터 현재의 상태 및 설정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부(430)으로 출력하도록하는 제어부(410), 이 제어부(410)은 제어 입력을 메모리(420)에 저장하고 필요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보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수행 할 수 있다. 제어 입력부(440)는 호스트부(100)가 수행하던 다양한 설정내용들을 디스플레이부(430)의 설정 및 수정 내용에 따라 설정, 변경, 저장하고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이 원할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420)는 디지털 제어부의 상태 값들을 임시로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상태 값들을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부(43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보관 장소가 되며, 보조 메모리(ROM)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마지막 상태 또는 여러 종류의 상태 설정값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의 제어 입력에 대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임펄스 발생부(5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디지털 제어부(300)의 미세한 펄스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하드웨어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임펄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임펄스 생성을 위한 소자의 적용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콘덴서, 인덕터 등 다양하게 준비되어 질 수 있다.
[도 6-a]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로 디지털제어부(300)의 출력이 1㎲ 주기로 반복되며, 펄스의 폭은 10㎱, 진폭은 600 ㎷로 구성되어 있는 펄스의 출력이 있는 것을 가정하였을 경우이며, 이때 약 1.2㎱ 임펄스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고속의 펄스를 발생하여 임펄스 발생부(500)로 전달하게 되는 경우,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미분회로를 이용하여 고속의 임펄스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200ps의 펄스를 임펄스 발생부로 전송하게 되면 출력 또한 200ps의 임펄스 폭을 갖는 임펄스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도 7]은 임펄스 발생부(500)로 부터의 임펄스 출력시 임펄스의 증폭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제 1 광대역 증폭기부(620), 제 2 광대역 증폭기부(630), 제 3 광대역 증폭기부(640), 제 4 광대역 증폭기부(650)는 선택적으로 그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압 및 동작 제어부(67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저역 통과 필터(610)와 고역통과 필터(660)을 통해 제어 및 설정에 의한 데이터 패턴 및 펄스의 주기 등에 의한 일정한 밴드 패스 필터의 기능으로 설계되어 동작 될 수 있다.
[도 8]은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임펄스 신호를 안테나와 매칭되는 필터로 동작되도록 하는 정합필터부(710)와 페이딩이 적고 로그 매그니튜드가 광대역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적정한 주파수에서 높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며, 해당주파수 대역에서의 그룹 딜레이가 일정하도록 설계된 안테나부(7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련의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전송되도록 하는데 그룹 딜레이가 중요한 역할을 갖게 되므로 충분히 이부분이 고려된 안테나부(720)의 설계가 필요하다.
광대역 통신(UWB)기술 대부분이 소프트웨어적인 시뮬레이션에 국한된 실험 및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실에 대해, 본 고안은 하드웨어적인 설계와 구체적인 검증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광대역 통신을 만족하는 규격내에서, 펄스의 모양과 반복되는 주기, 의사 난수(PN) 코드 성분의 적용 방법, 호스트로부터 대용량 고속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주파수 확산을 위한 방법,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양한 코딩의 적용 방법, 고속의 데이터 처리 방법, ASIC으로 진행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 분석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형태의 광대역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가능해 질 수 있게 된다. 주된 기능은 가변적 하드웨어로의 설계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광대역 통신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다양한 종류의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파라메터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공되는 신호 등을 가변하도록 하여 기반 기술 및 원천기술의 실험 검증을 위한 통신시스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을 위하여, 호스트부(100), 인터페이스부(200), 디지털제어부(300), 제어 입력 및 상태 표시부(400), 임펄스 발생부(500), 증폭부(600), 안테나부(700)로 구성된 광대역 통신(UWB)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제어부(300)의 펄스발생부(380)를 위한 펄스 구성요건이 되는 펄스의 폭, 반복 주기, 의사 난수(PN) 코드의 설정, 임펄스 발생부(500)를 위한 임펄스의 모양에 대한 펄스의 생성 방법 등을 설정하도록 하는 주기 및 PN 설정부(140);
    일련된 데이터의 패턴을 입력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패턴 설정부(110);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호스트를 통해 설정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음향 및 영상 데이터 선택부(120);
    외부 장치로부터 음향 및 영상 장치 선택을 위한 음향 및 영상 입력 장치 선택부(130);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데이터를 일정한 프레임 단위로 설정하고 직렬통신 수단 인터페이스부(180)의 직렬통신 수단에 따른 데이터의 규격을 결정하는 제어부(150);
    주기 및 PN설정부와 제어부(150)에서 처리한 데이터의 특성에 맞도록 선택부(170)에서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 및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복원 등을 위한 코딩부(160);
    로 구성되는 호스트부(1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코딩부(160)는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에 대해 호스트에서 코딩을 수행하기도 하고, 인터페이스부(200) 및 디지털 제어부(300)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상의 코딩이 적용되는 경우 무시되며, 직렬통신 수단 인터페이스부(180)로 데이터의 흐름이 가변될 수 있고,
    제어 입력 및 상태 표시부(40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입력의 신호에 의해 별도로 호스트부(100)의 기능 대부분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는, RS232C, USB, IEEE1394 등의 전송방식에 의해 호스트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출력하며,
    호스트부(100)로부터 수신한 직렬 데이터를 직렬 통신수단 송수신기(210)를 통해 직렬통신수단의 PHY부(220)로 전달하고,
    전달된 직렬통신수단의 PHY부(220) 데이터로부터 PHY 인터페이스 유닛(230)을 통해 메모리 제어부(240)의 제어로 메모리(250)에 데이터가 입력되며,
    직렬통신수단의 PHY부(220) 및 PHY 인터페이스 유닛(230)은 직렬 통신수단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지 않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수준의 제어기로 사용되어 직렬 통신수단 송수신기(210)의 데이터가 메모리 제어부(240)의 제어로 메모리(25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제어부(300)는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해 입력된 병렬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310)의 제어를 통해 메모리(320)로 데이터가 저장되며, 필요시 코딩부(330)을 통해 하드웨어적인 코딩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선택부(340)을 통해 메모리 제어부(31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코딩의 적용 여부를 선택하여 메모리 제어부(360)를 통해 메모리(350)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제어부(300)의 메모리(350)에는 펄스의 주기 및 의사 난수(PN)코드의 설정 데이터 패턴값 등의 정보들이 함유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코딩부(330)에 의해 코딩이 적용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으며,
    메모리(350)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직렬 데이터 변환 및 펄스 발생부(370)에 의해 직렬의 데이터로 변환이 되며,
    상기 메모리(350)로부터 데이터와 클록이 레지스터부(371)로 입력되며, 이때 제공된 기준 주파수의 입력에 의해 주파수 체배부(372)를 통과한 고속의 클록에 의해 레지스터부(371)를 거쳐 메모리(373)의 읽기 및 쓰기의 동기화 클록으로 사용되고 또한, 다중채널선택부(373)를 통해 직렬 데이터를 완성하며, 이 때의 출력 파형은 미세한 펄스파형이 출력되도록 하여 임펄스 발생부(500)의 임펄스 발생을 위해 가공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입력 및 상태 표시부(400)는 디지털 제어부(300)로부터 현재의 상태 및 설정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디스플레이부(430)으로 출력하도록하고, 제어 입력을 메모리(420)에 저장하며 필요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보존할 수 있는 제어부(410);
    호스트부(100)가 수행하던 다양한 설정내용들을 디스플레이부(430)의 설정 및 수정 내용에 따라 설정, 변경, 저장하는 제어 입력부(440);
    디지털 제어부의 상태 값들을 임시로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제어 입력부(440)는 상태 값들을 업데이트하여 디스플레이부(43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보관 장소가 되며, 보조 메모리(ROM)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마지막 상태 또는 여러 종류의 상태 설정값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증폭부는, 임펄스 발생부(500)로 부터의 임펄스 출력시 임펄스의 증폭을 담당하며, 제 1 광대역 증폭기부(620), 제 2 광대역 증폭기부(630), 제 3 광대역 증폭기부(640), 제 4 광대역 증폭기부(650)는 선택적으로 그 이득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전압 및 동작 제어부(670)에 의해 제어되고, 저역 통과 필터(610)와 고역통과 필터(660)를 통해 제어 및 설정에 의한 데이터 패턴 및 펄스의 주기 등에 의한 일정한 밴드 패스 필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KR20030009840U 2003-04-01 2003-04-01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KR200317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9840U KR200317025Y1 (ko) 2003-04-01 2003-04-01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9840U KR200317025Y1 (ko) 2003-04-01 2003-04-01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423A Division KR100500815B1 (ko) 2003-04-01 2003-04-01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025Y1 true KR200317025Y1 (ko) 2003-06-19

Family

ID=4933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9840U KR200317025Y1 (ko) 2003-04-01 2003-04-01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0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707B2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ultra wideband transmitters
US2007024202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ulse generation for ultra-wideband transmission
KR101033380B1 (ko) Uwb 시스템들을 위한 레이트 분할 다중 액세스
Hyoung et al. Transceiver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using frequency selective digital transmission
JP2005198275A (ja) 超広域送受信のためのパルス信号発生器およびそれを含む送受信装置
EP2084815B1 (en) Ultra-wideband pulse generator and method thereof
EP1796268B1 (en) Modulating circuit,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receiv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5698195B2 (ja) 無線通信媒体に関する多元接続技法
KR200317025Y1 (ko)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KR100500815B1 (ko) 광대역 통신시스템 설계를 위한 실험 및 검증 시스템
CN101421937A (zh) 用于超宽带传输的脉冲产生设备和方法
JP4408091B2 (ja) 無線送信方法および無線送信機
US73528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ulse based on time delay and wave transform and transmitter of multi-frequency b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EP3264600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ramping a switched capacitor power amplifier
Yuce et al. Development of low-power UWB body sensors
JP2009239895A (ja) パルス発生回路及び通信装置
JP4408092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送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送信機
KR101258209B1 (ko) 디지털 펄스 생성 장치 및 방법
Onunkwo et al. On the optimum pulse-position modulation index for ultra-wideband communication
Dilmaghani et al. UWB multiple-pulse generator and transmitter
Fujiwara et al. Rapid signal acquisition for low-rate carrier-based ultra-wideband impulse radio
US20060215772A1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4343705A (ja) 超広帯域タイプのパルス信号を伝送するためパルスを発生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Hamdi et al. An UWB transmitter with power cycling and support for multiple modulation schemes
Hamdi et al. A programmable OOK impulse radio ultra wideband transmitter with power cycling and spectral ag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