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424Y1 -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424Y1
KR200316424Y1 KR20-2003-0008481U KR20030008481U KR200316424Y1 KR 200316424 Y1 KR200316424 Y1 KR 200316424Y1 KR 20030008481 U KR20030008481 U KR 20030008481U KR 200316424 Y1 KR200316424 Y1 KR 200316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up
putting
golf ball
plat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앤그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앤그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앤그로리
Priority to KR20-2003-0008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424Y1/ko
Priority to PCT/KR2004/000488 priority patent/WO2004082775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40Golf cups or holes
    • A63B57/405Cups with automatic ball eject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골프공 회수장치는 퍼팅된 공을 회수하기 위하여 홀컵의 위치를 퍼팅위치보다 높게 위치시켜 실제 필드의 상태를 그대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측면에 플레이트 구조물을 평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단에 위치하는 홀컵과, 상기 홀컵의 후단 플레이트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홀컵 이외의 퍼팅 면을 지나는 골프공도 홀컵에 홀인시키는 반달형 집구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단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홀컵에 유입된 골프공을 감지하여, 그 골프공을 퍼팅 면을 따라 최초 퍼팅위치로 회수시키는 구회수부로 구성되어, 퍼팅위치와 홀컵위치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실제와 동일한 퍼팅환경을 제공하여 퍼팅연습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반달형의 집구장치를 이용하여 퍼팅에 실패한 경우에도, 퍼팅한 공을 모두 홀컵에 넣고, 그 홀컵에 공이 들어가면 이를 회수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퍼팅 면을 통해 모든 공을 회수함으로써, 별도의 회수 경로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퍼팅장치의 부피를 줄이고, 가격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APPARATUS FOR PUTTING PRACTICE HAVE GOLF-BALL RETURN UNIT}
본 고안은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팅된 골프공을 리턴 시키는 퍼팅연습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회수 경로를 사용하지 않고, 퍼팅한 모든 골프공을 자동으로 리턴 시킬 수 있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는 골프공을 회수하기 위하여 홀컵 주변을 퍼팅위치에 비하여 높고 경사지게 구성하였으며, 이와 같은 구성의 예는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20-024777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의 구조 및 그 구조에서 기인하는 문제점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의 회수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골프공 회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종단면도이다.
종래 골프 퍼팅 연습기의 볼 회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타측으로는 단턱(12)이 형성되어 단부가 상부로 융기되게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하향경사진 경사면(13)이 형성되어 중앙부에 홀컵(14)이 형성되는 퍼팅홀부(11)를 구비한 다음, 그 퍼팅홀부(11)의 상부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갖으며, 타단부에 구멍(2')이 형성되는 매트(2)를 부착한다.
이때, 퍼팅홀부(11)의 상부에 매트(2)를 부착할 때, 매트(2)의 타단에 형성되는 구멍(2')과 퍼팅홀부(11)의 중앙에 형성되는 홀컵(14)을 서로 일치시켜 부착한다.
또한, 퍼팅홀부(11)의 일측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3)은 강하게 퍼팅된 볼이 경사면(13)에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매트(2)가 부착된 퍼팅홀부(11)의 일측에는 퍼팅홀부(11)의 홀컵(14)과 연통되어 퍼팅된 볼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레일(18)을 설치한다.
이어, 상기 퍼팅홀부(11)에 형성되는 단턱(12)의 상부에는 퍼팅된 볼이 퍼팅홀부(11)를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형상의 이탈방지구(16)를 설치한다.
이때, 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이탈방지구(16)의 형상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하여 일측에 횡방향의 개구부(17)를 형성하되, 이탈방지구(16)의 직경은 퍼팅된 볼이 들어가 내부에서 회전하다가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면 될 것이고, 이탈방지구(16)의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7)의 크기는 볼이 쉽게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 즉, 볼의 직경 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하면 될 것이다.
이어, 상기 단턱(12)과 경사면(13)의 사이에는 퍼팅된 볼을 회수할 수 있는안내장홈(15)을 설치하되, 회수되는 볼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어, 상기 안내장홈(15)의 단부에는 안내장홈(15)을 통과한 볼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레일(18)을 안내장홈(15)과 연통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골프 퍼팅 연습기의 볼 회수장치에 의하면, 매트(2)의 일측에서 매트(2) 타측의 퍼팅홀부(11) 중앙에 형성된 홀컵(14)을 향해 퍼팅하게 되면, 퍼팅된 볼은 퍼팅의 충격에 의해 상기 매트(2)의 타단부 즉, 퍼팅홀부(11)로 이동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퍼팅홀부(11) 일측의 경사면(13)을 통과하여 퍼팅홀부(11)의 중앙에 형성된 홀컵(14)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작용으로 홀컵(14)에 들어간 볼은 단턱(12)과 경사면(13)사이에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장홈(15)과, 그 안내장홈(15)의 단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회수레일(18)을 통해 회수되게 한다.
또, 퍼팅된 볼이 퍼팅홀부(11)의 중앙에 형성된 홀컵(14)에 들어가지 않고 홀컵(14)을 벗어난 경우 퍼팅된 볼은 단턱(12)과 경사면(13)사이에 형성된 안내장홈(15)과, 그 안내장홈(15)의 단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회수레일(18)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또한, 퍼팅시 강한 힘으로 퍼팅을 하게 되어, 퍼팅된 볼이 퍼팅홀부(11)의 경사면(13)을 벗어난 경우에 퍼팅된 볼은 퍼팅홀부(11) 타측단부의 단턱(12)에 설치된 이탈방지구(16)의 개구부(17)를 통해 이탈방지구(16)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작용으로, 이탈방지구(16)의 내부에 들어간 볼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구(16)의 내부에서 회전하다가 하방의 안내장홈(15)으로 떨어지게되고, 안내장홈(15)으로 떨어진 볼은 안내장홈(15)의 단부와 연통된 회수레일(18)을 통해 회수되게 된다.
따라서, 퍼팅연습기(1)에 상기와 같은 볼 회수장치(10)를 설치하게 되면, 아무리 강한 퍼팅을 하게 되더라도 퍼팅홀부(11)를 통과하게 되는 볼은 이탈방지구(16)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서, 퍼팅후 퍼팅연습기를 벗어나 이탈된 볼을 회수하는 데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한 퍼팅연습기는 퍼팅의 위치에 비하여 홀컵이 높은 위치에 있으며, 이는 퍼팅연습장치의 목적인 정확한 퍼팅을 연습하는데 적당하지 않다.
즉, 퍼팅연습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실제와 동일하게 퍼팅높이와 홀컵의 높이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야 퍼팅할 때의 힘의 조절연습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경사를 이용하여 퍼팅된 골프공을 회수하는 모든 회수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이다.
또한, 종래 골프공 회수장치를 가지는 퍼팅연습기는 홀컵에 들어간 골프공이 회수되는 경로를 별도로 만들어야 함으로써, 퍼팅연습기 자체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퍼팅이 이루어진 위치로 공을 회수할 수 있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측면에 플레이트 구조물을 평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단에 위치하는 홀컵과, 상기 홀컵의 후단 플레이트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홀컵 이외의 퍼팅 면을 지나는 골프공도 홀컵에 홀인시키는 반달형 집구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단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홀컵에 유입된 골프공을 감지하여, 그 골프공을 퍼팅 면을 따라 최초 퍼팅위치로 회수시키는 구회수부로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의 회수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의 일실시 사시도.
도 5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홀컵의 사시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 구회수부의 구성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 회수장치부의 구성도.
도 9는 도 4에 있어서, A-A'방향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플레이트 50 : 홀컵
60 : 집구부 70 : 구회수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의 일실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40) 상의 일측에 위치하는 홀컵(50)과; 상기 플레이트(40)와는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홀컵(50)의 후단에 접하여 설치되어, 플레이트(40)를 따라 퍼팅된 골프공이 홀컵(50)에 들어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반달형의 집구부(60)와; 상기 플레이트(4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홀컵(50)에 공이 들어가면, 그 공을 감지하여 소정시간 후에 그 공을 퍼팅위치로 회수 시키는 구회수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40)의 측면에는 삽입홈(4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홈(41)에는 스폰지 등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구조물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구조물은 상기 홀컵(50)의 외측으로 길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퍼팅이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 플레이트 구조물과 상기 플레이트(40)의 상부측에는 카페트나 퍼팅연습용 시트지를 펼쳐, 실제 필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카페트나 시트지에는 상기 홀컵(50)을 노출시키는 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구부(60)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카페트나 시트지의 상부에 그 집구부(60)가 설치된다.
도 5는 상기 설명한 구성에 따라 결합된 전체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플레이트 구조물(42)은 스폰지 등을 평행 결합하여 퍼팅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지(43) 또한 그 길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골프공을 퍼팅하여 홀컵(50)에 공이 그대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그 홀컵(50) 내부에 위치하는 센서와 타구바의 작용에 의해 공이 최초 퍼팅을 시작한 위치로 회수되며, 이를 위해 홀컵(50)의 내부에는 그 홀컵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이 되며, 각기 경사도가 다른 구조물이 위치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해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 및 작용은 이후에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홀컵(50)의 사시도로서, 홀컵(50)은 공이 유입되는 방향에서 그 반대편의 중앙부 측으로 공이 모일 수 있도록 각기 다른 하향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 구조물(51)이 위치하며, 그 경사 구조물(51)에 의해 공이 모이는 홀컵(50)의 후단 중앙부에는 상기 공을 감지하는 센서(71)와, 그 센서(71)의 감지에 의해 동작하는 구회수부(70)의 작용에 의하여 공을 회수시키는 타구바(72)가 출입하는 회수구(52)와, 상부측 후단부에 위치하는 집구부(60) 삽입 홈(53)을 구비한다.
이때, 사용자가 정확하게 퍼팅에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반달형의 면을 제공하는 집구부(60)에 의해 직접 홀컵(50)에 들어가지 못한 골프공도, 그 집구부(60)에 의해 홀컵(50)에 들어가도록 유도된다.
즉,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경사를 이용하여 홀컵(50)에 들어가지 않은 공을 회수하거나, 홀컵(50)에 들어간 공을 별도의 회수라인을 통해 회수하지 않고 직접 홀컵에서 플레이트를 따라 사용자가 최초 골프공을 퍼팅한 위치에서 공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컵(50)에 들어간 공을 감지하고, 그 공을 다시 회수 시키는 구회수부(70)의 구성을 도 7에 도시하였다.
이를 참조하면 홀컵(50)의 공이 모이는 부분인 후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골프공이 감지되면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압력센서(71)와; 상기 압력센서(71)의 전압을 감지하며, 그에 따른 음향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음향신호를출력한 다음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3)와; 상기 제어부(73)의 음향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홀컵에 공이 들어갈 때 발생하는 음향을 들려주는 스피커(74)와; 상기 모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75)와; 상기 모터구동부(75)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타구바(72)를 뒤로 당겨 고정시키고, 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그 타구바(72)를 밀어 골프공을 원래의 퍼팅 위치로 회수시키는 회수장치부(80)와; 스위치(77)를 통해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은 상기 회수장치부(80)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구동부(75)의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81)와; 상기 모터(81)의 회전수를 줄이는 기어박스(82)와; 상기 기어박스(82)에 물려 회전함과 아울러 그 형상이 원형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지는 걸림쇠(83)와; 구회수부(70)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부측에 스프링(84)의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쇠(85)와; 상기 고정쇠(8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며, 타단의 중앙부가 타구바(72)에 연결됨과 아울러 그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쇠(82)의 회전에 따라 후퇴고정이 이루어지며, 그 상부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스프링(84)에 의해 걸림쇠(82)가 회전하면 전진하는 놀이쇠(86)와; 상기 놀이쇠(86)의 타단 중앙부에 일측단이 고정연결되며, 타측단은 상기 홀컵(50)에 연장되어 홀컵(50)에 들어간 공을 회수시키는 타구바(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동작 및 상세한 구성과 그 구성에서 도출되는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팅연습장치의 퍼팅위치에서 골프공을 퍼팅하면, 그 공은 퍼팅이 성공하여 홀컵(50)에 직접 들어가거나, 퍼팅에 실패하여 홀컵(50)에 들어가지 않고, 그 주변부로 지나가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홀컵(50)에 직접 들어가지 않는 공도 집구부(60)에 의해 홀컵(50)에 들어가게 된다.
이는 집구부(60)가 홀컵(50)의 뒤편에서 그 홀컵(50)의 형상에 따라 반원형의 집구판을 제공하며, 상기 홀컵(50) 이외의 부분에서도 전면이 곡선을 이루는 집구판을 제공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집구판을 모두 곡선으로 제공하는 이유는 퍼팅의 강도가 강한 경우에도, 집구판에 충돌한 골프공이 그대로 튀어나오지 않고, 그 집구판을 따라 유도되어 홀컵(50)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집구부(60)는 하측에 다수의 접속 핀이 돌출되며, 상기 홀컵의 외측에는 그 접속 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가지도록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퍼팅한 모든 공은 홀컵(50)으로 들어가게 되며, 그 홀컵(50)에는 경사구조물(51)이 형성되어, 그 공은 홀컵(50)의 뒤편 중앙에 모이게 된다.
이때, 그 홀컵(50)의 뒤편 중앙에는 압력센서(71)가 위치하여 홀컵(50)에 공이 들어오면 그 공이 들어옴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다음, 상기 검출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73)는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74)를 통해 재생될 수 있게 한다.
재생되는 음향은 실제의 홀에 골프공이 들어갈 때 발생하는 음향을 녹음하여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음향 또는 음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퍼팅의 성공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다른 복수의 센서를 홀컵(50)의 주위에 배치하여 공의 유입방향을 판단하여 실패한 경우에는 음향을 내보내지 않음으로써, 퍼팅의 성공여부를 음향으로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음향이 출력된 후, 상기 제어부(73)는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75)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73)와 하기하는 모터(81)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6)는 배터리 또는 아답타를 통해 직류로 변환된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모터 구동부(75)는 모터(81)에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그 모터를 회전시킨다.
이때 모터(81)의 회전수는 크며, 그 회전수로는 원하는 힘을 얻을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81)의 회전자에는 그 회전수를 저속으로 변경하는 기어박스(82)가 구비된다.
이때의 기어박스(8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어가 포함되어 원하는 힘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그 모터(81)의 회전수를 줄인다.
그 다음, 상기 기어박스(8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쇠(83)가 회전하여 후퇴 고정된 놀이쇠(86)를 스프링(85)의 장력에 의해 밀어내며, 그 놀이쇠(86)의 일측에 연결된 타구바(72)가 상기 골프공을 밀어내어 최초 퍼팅이 이루어진 곳으로 공을 회수시킨다.
상기의 동작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별도의 회수경로를 마련하지 않고도, 홀컵에 들어간 골프공을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골프공을 회수하기 위하여 홀컵의 주변부가 퍼팅위치에 비하여 높은 단차로 형성하지 않고, 그 퍼팅위치와 홀컵의 주변부의 단차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실제 필드에서의 퍼팅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퍼팅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보다 다양한 퍼팅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퍼팅 면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 구조물(42)과 바닥 사이에 책 등 두께를 달리하는 물건을 넣어, 플레이트 구조물(42)의 상부면에 굴곡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퍼팅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집구부(60)는 그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상기 집구부(60)는 홀컵(50)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17인치 룰에 적당한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집구부(60)를 홀컵(50)에서 17인치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한다.
상기의 17인치 룰을 연습하기 위해서, 상기 집구부(60)는 홀컵(50)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면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회수부(70)의 일면에 상기 집구부(60)를 고정시켰을 때, 그 집구부(60)의 곡면과 홀컵(50)의 사이 거리가 약 17인치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17인치 룰은 퍼팅할 때 공이 홀컵을 17인치 정도 지날 정도의 힘으로 치는 것이 홀인될 확률이 가장 높다는 이론에 따라 연습을 하는 것으로, 실제 필드에서 퍼팅이 짧은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연습이다.
상기 집구부(60)를 홀컵(50)의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17인치 룰을 연습하는 경우에도 홀컵(50)에 들어간 공은 회수되며, 퍼팅에 실패하여 홀컵(50)에 들어가지 않은 공은 상기 집구부(60)의 중앙에 모이게 되어, 퍼팅연습 후 공을 주우러 다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는 도 4에 도시한 사시도의 A-A'부분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구바(72)의 형상은 골프공의 중앙부분을 쳐서 골프공을 회수시키기 위하여 골프공의 중앙쪽으로 절곡된 형상을 나타낸다.
만약 타구바(72)가 골프공의 중앙을 타격하지 않고, 골프공의 아래쪽 또는 위쪽을 타격하면, 골프공이 회수되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더 긴거리에서의 퍼팅연습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타구바(72)의 형상에 의해서, 상기 플레이트(40)는 홀컵(50)과 접하는 부분에서 약간의 단차가 생성되며, 그 끝부분이 절곡된 타구바(72)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퍼팅위치와 홀컵 위치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실제와 동일한 퍼팅환경을 제공하여 퍼팅연습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반달형의 집구장치를 이용하여 퍼팅에 실패한 경우에도, 퍼팅한 공을 모두 홀컵에 넣고, 그 홀컵에 공이 들어가면 이를 회수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퍼팅 면을 통해 모든 공을 회수함으로써, 별도의 회수 경로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퍼팅장치의 부피를 줄이고, 가격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반달형의 집구장치의 위치를 변경함이 가능하여, 17인치 룰을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퍼팅 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굴곡을 주는 것이 용이하여, 보다 다양한 퍼팅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측면에 플레이트 구조물을 평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일측단에 위치하는 홀컵과,
    상기 홀컵의 후단 플레이트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홀컵 이외의 퍼팅 면을 지나는 골프공도 홀컵에 홀인시키는 반달형 집구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단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홀컵에 유입된 골프공을 감지하여, 그 골프공을 퍼팅 면을 따라 최초 퍼팅위치로 회수시키는 구회수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가지는 퍼팅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컵은 유입된 골프공이 홀컵의 후단 중앙에 모일 수 있도록, 퍼팅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다수의 경사면을 제공하는 경사 구조물과,
    상기 홀컵의 후단 중앙에 설치되어 골프공이 유입됨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홀컵의 후단 중앙에 위치하여 유입된 골프공을 회수시키는 타구바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와,
    상기 홀컵의 후단 상부에 위치하여 집구부가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회수장치가 구비된 퍼팅연습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구부는 퍼팅된 골프공이 접하는 면이 모두 홀컵의 방향으로 유도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그 면이 퍼팅 면의 전체에제공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 상기 홀컵 주위의 결합구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부는 홀컵에 골프공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한 센서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음향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소정시간 후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음향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구동전압을 인가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전압에 따라 상기 홀컵의 위치까지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된 구를 따라 연장되는 타구바를 전진 시켜 골프공을 회수시키고, 다시 타구바를 후퇴고정시키는 회수장치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부는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감하는 기어들이 조합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서 제공하는 최종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운동을 직선형 운동으로 변형시키도록 일측방향으로 긴 돌출부를 가지는 걸림쇠와;
    상기 구회수부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부측에 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되는 고정쇠와;
    상기 고정쇠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며, 타단의 중앙부가 타구바에 연결됨과 아울러 그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쇠의 회전에 따라 후퇴고정이 이루어지며, 그 상부측에 타단이 연결되는 스프링에 의해 걸림쇠가 회전하면 전진하는 놀이쇠와;
    상기 놀이쇠의 타단 중앙부에 일측단이 고정연결되며, 타측단은 상기 홀컵에 연장되어 전진시 홀컵에 들어간 공의 중앙부를 타격하여 골프공을 회수시키는 타구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와 홀컵이 위치하는 면의 방향으로 평면상에서 결합되어, 퍼팅 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결합 또는 단일한 구조의 플레이트 구조물과,
    상기 플레이트 구조물 및 플레이트 상의 전면을 덮음과 아울러 천공이 형성되어, 상기 홀컵을 노출시키는 시트지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홀컵과 퍼팅이 이루어지는 퍼팅위치는 동일 수준의 단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KR20-2003-0008481U 2003-03-21 2003-03-21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KR200316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481U KR200316424Y1 (ko) 2003-03-21 2003-03-21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PCT/KR2004/000488 WO2004082775A1 (en) 2003-03-21 2004-03-10 Golf putting trainer having golf ball retur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481U KR200316424Y1 (ko) 2003-03-21 2003-03-21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424Y1 true KR200316424Y1 (ko) 2003-06-18

Family

ID=3302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481U KR200316424Y1 (ko) 2003-03-21 2003-03-21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16424Y1 (ko)
WO (1) WO200408277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61B1 (ko) 2010-01-21 2011-10-11 이완수 골프 퍼팅용 자동홀컵매트
KR101655721B1 (ko) * 2016-02-03 2016-09-07 김진우 하이브리드 퍼팅 연습기
CN113941132A (zh) * 2021-10-19 2022-01-1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旋转型高尔夫挥杆练习器
CN114247111A (zh) * 2021-12-23 2022-03-29 吉林体育学院 一种羽毛球的收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7508B2 (ja) * 2019-04-19 2023-06-26 株式会社やまびこ ボール回収輪及びボール回収機
US10940378B1 (en) * 2020-01-14 2021-03-09 Bradley James Offerman Golf putting device
CA3144816A1 (en) * 2021-01-07 2022-07-07 Gunpal Jodha Golf ball retur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349A (en) * 1976-04-21 1977-10-25 Hunt Archie F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having mechanical calculators
US5102141A (en) * 1989-07-17 1992-04-07 Mulay Plastics Inc.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KR0122105Y1 (ko) * 1994-02-23 1998-10-15 강준식 실내외 골프 퍼터 연습용 매트
KR100199704B1 (ko) * 1996-05-10 1999-06-15 서승우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9990037518A (ko) * 1998-10-30 1999-05-25 임재창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202575Y1 (ko) * 2000-06-19 2000-11-15 장기학 퍼팅연습기의 골프공 자동 귀환장치
KR200211660Y1 (ko) * 2000-08-08 2001-01-15 주지용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236102Y1 (ko) * 2000-12-26 2001-09-25 최범 골프 퍼팅연습기
US6497625B2 (en) * 2001-01-16 2002-12-24 Richard W. Newby Apparatus and method for returning a golf ball to a desired location
KR200245787Y1 (ko) * 2001-05-28 2001-10-15 정대훈 퍼팅연습기의 골프공 자동이송장치
KR200271151Y1 (ko) * 2002-01-25 2002-04-09 황기룡 무방향성 퍼팅연습용 그린장치
KR200282876Y1 (ko) * 2002-04-29 2002-07-23 황기룡 퍼팅 연습용 그린장치
KR200340423Y1 (ko) * 2003-10-31 2004-02-05 김용재 퍼팅 연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61B1 (ko) 2010-01-21 2011-10-11 이완수 골프 퍼팅용 자동홀컵매트
KR101655721B1 (ko) * 2016-02-03 2016-09-07 김진우 하이브리드 퍼팅 연습기
CN113941132A (zh) * 2021-10-19 2022-01-1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旋转型高尔夫挥杆练习器
CN114247111A (zh) * 2021-12-23 2022-03-29 吉林体育学院 一种羽毛球的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2775A1 (en)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729B2 (en) Golf club with impact display
US7850536B1 (en) Putter trainer
KR200316424Y1 (ko) 골프공 회수장치를 구비하는 퍼팅연습장치
US62579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ractice golf shot distance and accuracy
US7104900B1 (en) Diagnostic device for analyzing a golf swing
KR100349769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0489418B1 (ko)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US7704154B2 (en) Golf swing trainer
US6485374B1 (en) Golf ball striking trainer
KR200424842Y1 (ko) 퍼팅연습기
US9174110B2 (en) Robotic putting system
KR200323607Y1 (ko) 골프 퍼터
JP6474497B2 (ja) ダウンブロースイング演習装置
KR20070117034A (ko) 퍼팅연습기
KR101131188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211640Y1 (ko) 인도어 골프장용 이동식 모의 그린의 낙구 회수장치
KR200430344Y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101072261B1 (ko) 골프 퍼팅용 자동홀컵매트
KR100682128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100199704B1 (ko) 골프퍼팅 연습장치
KR100830984B1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CN211676240U (zh) 一种拳击机打击力速度反应能力测量装置
KR102551993B1 (ko) 고정형 홀컵이 구비된 골프 시뮬레이터
KR100731907B1 (ko) 휴대용 골프클럽 임팩트 연습기
CN219162805U (zh) 一种羽毛球发球违例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