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02Y1 -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 Google Patents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202Y1
KR200316202Y1 KR20-2003-0009060U KR20030009060U KR200316202Y1 KR 200316202 Y1 KR200316202 Y1 KR 200316202Y1 KR 20030009060 U KR20030009060 U KR 20030009060U KR 200316202 Y1 KR200316202 Y1 KR 200316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et
wire
present
bin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재
오석현
정동실
Original Assignee
김행재
오석현
정동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재, 오석현, 정동실 filed Critical 김행재
Priority to KR20-2003-0009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다에 있는 새우내지 꽃게등을 포함한 각종 어패류를 포획하고자 안출된 부력조절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장시간 바다에서 사용시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FRP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지지대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고안해 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된 본 고안은 지지대 양측에 위치한 통공부에 로프를 연결하여 지지대 양측에 위치한 와이어와 묶어 줌으로서 간단한 수작업에 의하여 와이어 체결이 용이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여 단시간내에 대량설치가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극대화하고 지지대의 재질을 FRP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서 하중이 가벼워 이동이 용이하고 장시간 수면에 부상시에도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SUPPORT BAR FOR FLOATAGE CONTROL OF NET}
본 고안은 바다에서 물고기나 새우내지 꽃게등을 포함한 각종 어패류를 보다 용이하게 포획하고자 안출된 부력조절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는 포획한 어패류를 인양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어망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된 지지대는 장시간 바다에서 사용함으로서 쉽게 부식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FRP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용하여 지지대가 물에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서 하중을 경량화하여 부력이 용이하도록 고안해 낸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종래에는 지지대의 일측에 가두리식으로 그물을 설치한 것으로 파도와 같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지지대가 일체로 움직이며 파손되거나 그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코자 근래에는 철이나 스테인레스등 금속재를 이용한 지지대를 안출해 낸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는 일측에 결착홈이 형성되고 결착홈의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캡체를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체결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그물망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 오던 방식은 지지대가 금속재로 제공됨으로서 장시간 수면에 부상시 부식이 용이하여 사용상에 제한적이며 지지대의 양측에 캡체를 체결하여 사용함에 사용이 번거롭고 단가가 고가인 관계로 비용에 관한 부담감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된 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코자 지지대의 내측 공간부에 물이 유입되어 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공간부가 외측과 관통하지 않도록 사출공간부를 형성하고 와이어와 체결되는 체결홈을 지지대의 양측에 반원형상의 홈부를 형성하여 와이어와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며 장시간 바다에 부상함으로서 지지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FRP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지지대를 구성한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지지대 2-공간부 3-통공
4-결착홈 5-보강판 10-로프
11-와이어 12-그물망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RP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소정의 직경을 구비한 원형파이프는 내부 중앙에 밀폐된 공간부(2)를 형성하고 지지대(1)의 좌우측에는 수직으로 지지대(1)를 관통하는 통공부(3)가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1)의 양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반원형의 결착홈(4)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착홈(4)에 그물망(12)과 연결된 와이어(11)를 체결고정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바를 좀 더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바다에서 물고기나 새우내지 꽃게등을 포함한 각종 어패류등을 포획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지지대(1)는 장시간 수면에 부상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처의 특성상 지지대(1)가 쉽게 부식되는 것으로 이를 방지하고자 지지대(1)의 재질을 FRP합성수지로 구성함으로서 지지대(1)의 수명을 연장가능한 것이며, 상기 지지대(1)가 항시 수면위에 부상할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하고자 지지대(1)의 내부 중앙에는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공간부(2)를 형성함으로서 부력을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대(1)의 좌우측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통공부(3)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대(1)의 양단부에는 반원형의 결착홈(4)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반원형의 홈(4)부가 형성된 지지대(1)는 사용시 홈(4)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홈(4)부의 내측에 알루미늄판 보강판(5)재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보강된 홈(4)부의 내측에는 와이어(11)가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된 와이어(11)의 하단부에는 망사형상으로 제공되는 그물망(12)이 연결되는 것이며 와이어(11)가 결착홈(4)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방향으로 제공된 통공부(3)에 로프(10)가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11)를 감싼상태로 체결함으로서 외부의 영향(파도나 바람 및 기타구조물이나 배와의 충돌)에 의하여 와이어(11)가 결착홈(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대(1)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에 위치한 공간부(2)를 도시하기 위한 절개사시도로서 상기 공간부(2)는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공간부(2)가 형성되는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분리한 분리사시도로서 지지대(1)의 홈(4)부에 체결되는 보강판(5)과 와이어(11) 및 상기 와이어(11)를 고정하는 로프(10)등을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U"자 형상의 그물망(12) 양측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11)가 복수개의 지지대(1)에 체결된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11)에 체결되는 지지대(1)의 실질적인 체결수량은 이십여개 이상을 설치가능한 것이다.
지지대의 내부 중앙에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서 항시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여 수면에 부상할 수 있으며 양단부에 결착홈을 형성하여 그물망이 연결된 와이어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 양측에 위치한 통공부에 로프를 연결하여 지지대 양측에 위치한 와이어를 묶어 줌으로서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와이어 체결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간단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지지대에 와이어를 체결함으로서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여 단시간내에 대량설치가 가능하고 지지대의 재질을 FRP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서 하중이 가벼워 이동이 용이하고 장시간 수면에 부상시에도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그물망을 지지하는 부력조절용 지지대에 있어서,
    FRP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내부 중앙에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한 소정의 직경을 구비한 원형파이프 형상의 지지대는 좌우측에 수직으로 지지대를 관통하는 통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의 양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반원형의 결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착홈에는 알루미늄 보강판이 체결되며 상기 보강판의 홈부에는 그물망과 연결된 와이어가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결착홈에 끼워진 와이어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통공부에 별도의 로프를 관통시켜 와이어와 체결 고정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KR20-2003-0009060U 2003-03-26 2003-03-26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KR200316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060U KR200316202Y1 (ko) 2003-03-26 2003-03-26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060U KR200316202Y1 (ko) 2003-03-26 2003-03-26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202Y1 true KR200316202Y1 (ko) 2003-06-12

Family

ID=4940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060U KR200316202Y1 (ko) 2003-03-26 2003-03-26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2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227B1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US20100018470A1 (en) Submersible Offshore Marine Aquaculture Apparatus
JP5241856B2 (ja) 高張力鋼線を有する水産養殖ネット
US20090288612A1 (en) Submersible mooring grid
US20150090173A1 (en)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Buoyancy System
CA2108830A1 (en) Center-spar fish pen
KR100989825B1 (ko) 내파성 가두리
KR200316202Y1 (ko)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US8790039B2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s with anti pollution barrier
EP3031319A1 (en) Aquaculture system with rigid structure
KR100475500B1 (ko) 가두리 양식장
KR102200448B1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20020045588A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결속구
KR200271745Y1 (ko) 그물의 부력조절 지지대
KR200227402Y1 (ko) 어망용 부력 파이프
KR100441614B1 (ko) 인공 부어초
KR870001642Y1 (ko) 정치망용 고정닻
JPH11324886A (ja) 波を利用した海水等の汲上装置
CN114375884B (zh) 一种船型桁架结构大型养殖渔场网衣装配工艺设计方法
CN111387096B (zh) 一种应用于海洋牧场大型围栏设施
KR200460466Y1 (ko) 연결프레임 체결구멍을 갖춘 해상용 금속제 부구
KR20050045576A (ko) 표면에 다공이 형성된 부표와 수직유연막을 이용한 잠재형부유식 방파제
KR102399823B1 (ko) 해상풍력단지 내 수산업 공존을 위한 해저 지주초 구조물
KR200273291Y1 (ko) 부력 파이프
KR200374938Y1 (ko) 가두리 양식장의 수상 부양식 프레임 구조물 및 그의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