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883Y1 -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 Google Patents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883Y1
KR200315883Y1 KR20-2003-0000548U KR20030000548U KR200315883Y1 KR 200315883 Y1 KR200315883 Y1 KR 200315883Y1 KR 20030000548 U KR20030000548 U KR 20030000548U KR 200315883 Y1 KR200315883 Y1 KR 200315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temporary
double
prestress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54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윤근
정찬핵
Original Assignee
노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근 filed Critical 노윤근
Priority to KR20-2003-0000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8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883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성이 각각 다른 상부 H빔과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연결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와 이를 가설벤트 상부에 설치된 받침장치와 연결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부 H빔과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서로 가용접 또는 가볼팅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고,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상기 겹보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거치하기 위하여 받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상기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가설교량의 양측의 지점인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를 설치하고, 중앙의 지점인 가설벤트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여,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 사이에는 상부 H빔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연결판을 이용하여 용접 또는 볼트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가설교량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temporary bridge by connecting a prestress composite double beam manufactured by introducing prestress to a double beam connecting upper and lower flanges of upper and lower H beams with different stiffness up and down, and the supporting devic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emporary vent.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a double beam in which upper and lower flanges of upper and lower H beams having different stiffness are welded or temporarily bolted to each other to produce a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and the double beam and the prestress are installed in a temporary bridge of a temporary bridge. In order to mount the compound double beams, a support device is installed, and the prestressed compound double beams are installed in the temporary vents, but the temporary beams without prestresses are installed in the temporary vents on both sides of the temporary bridges. Install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in which the above prestress is introduced. , Between the gyeopbo and prestressed composite gyeopbo There is a hypothesis that the bridge installed by connecting with welding or a bolt by using the connection plate to the abdomen of each of the H-beam after installing the upper beam H.

상기와 같은 방법의 가설교량의 설치는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H빔의 강성을 증대시키면서 응력의 상쇄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작 및 설치기간이 간편하면서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의 수축팽창을 허용함으로서 가설벤트의 하부의 응력과 부반력 감소를 기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가설교량설치방법인 것이다.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bridges in the above manner is a relatively easy way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H-beams and the effect of canceling stress can be obtained, and the suppor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temporary bridges of the temporary bridges with a simpl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period. It is an economical and safe method of installing temporary bridges that can reduce the stress and side reaction force of the bottom of the temporary vent by allowing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Description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본 고안은 강성이 각각 다른 상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연결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와 이를 가설벤트 상부에 설치된 받침장치와 연결조립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서로 가용접 또는 가볼팅 연결한 겹보를 작업대위에 거치한 후에 유압잭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고,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기 위하여 받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상기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의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를 설치하고, 중앙 지점인 중앙 가설벤트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되,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 사이에는 상부 H빔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에 볼트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가설교량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manufactured by introducing prestress into a double beam connecting upper and lower flanges of upper and lower H beams having different stiffness, and a temporary bridge installed by assembling it with a support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emporary vent. After moun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upper and lower H beams with different stiffness up and down to each other on the workbench,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with prestress is manufactured by using hydraulic jack, and the temporary bridge of temporary bridge A support device is installed to install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s on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s,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are installed on the temporary vents. In the central temporary vent mentioned above prestress Rimmed, install information prestressed composite p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gyeopbo and prestressed composite between gyeopbo method hypothesis bridge installation to installation by connecting a bolt on the connection plate is installed on the abdomen of each of the H-beam after installing the upper H-beam.

상기와 같은 방법의 가설교량의 설치는 영구적인 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위하여 임시적으로 가설하는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H빔의 강성을 증대시키면서 H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교량에 설치하면 향후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과 상쇄돼는 응력의 상쇄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받침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의 수축팽창을 허용함으로서 가설벤트 하부의 응력과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에 작용하는 부반력의 감소를 기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가설교량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The installation of temporary bridges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relates to temporary bridges temporarily installed for traffic of vehicles and people in order to install permanent bridges. The prestress is applied to H beams while increasing the rigidity of H beams in a relatively easy way. If it is introduced and installed on the bridge, the effect of offsetting the stress caused by the load acting on the bridge in the future and the canceling stress can be obtained,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device installed on the temporary vent. By allow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urnace, it provides an economical and safe installation method of the temporary bridge which can reduce the stress of the bottom of the temporary vent and the reaction force acting on both points of the temporary bridge.

현재 가설되는 가교의 설치방법은 빔을 서로연결하여 가설벤트를 세우고 그 위에 가설벤트와 일체로 용접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복공판 또는 철판을 설치하여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게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기존재래방법과 고강도 강봉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및 트러스를 연속 조립가설하는 방법 등이 있다. 기존재래방법은 가설교량의 지간이 통상적으로 5.0 ~ 8.0m 정도로 지간이 협소하여 통수단면의 감소를 가져와 홍수시 가설교량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강도 강봉을 이용한 방법은 라멘식 부정정 효과와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장지간으로 가설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응력상쇄는 가능하지만 비부착 강봉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으로 상부빔의 강성증대를 할 수가 없어 가설교량의 처짐과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어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응력상으로는 장지간이 가능하나 상부빔의 강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처짐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는데는 많은 제약을 받는다. 또한 트러스를 연속조립 가설하는 방법은 장지간은 가능하나 자재를 외국에서 수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원활한 자재수급에 문제점에 있으며, 또한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교량에이러한 수입자재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공사비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Currently, the installation method of bridge construction is to connect the beams to each other to establish a temporary vent, and to weld the temporary vent integrally thereon to install a temporary bridge, and then install a double-plate or steel plate on it to temporarily allow the vehicle or person to pass. There are existing conventional methods to install, a method of introducing prestress using a high strength steel ba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assembly of trusses.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that temporary bridges are reduced to 5.0 ~ 8.0m because of the shortage of temporary bridges, and the temporary bridges are lost during flooding.The method using high strength steel rods has a ramen type negative effect and prestress. It is hypothesized by the long span, but this method is able to cancel the stress, but the rigidity of the upper beam cannot be increas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prestress by non-attached steel rods, so it can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deflection and vibration of the temporary bridge. In other words, long periods are possible in terms of stress, but because the upper beam is less rigid, a lot of deflection occurs, so that the actual use is restricted. In additio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truss as a continuous assembly is long and long, but it is a problem for the smooth supply and demand because the material must be imported and installed from foreign countries. The problem has been raised due to poor u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은 겹보와 상하로 연결된 H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겹보를 가설교량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빔의 강성증가와 처짐 및 진동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용성이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이용하여 가설하는 교량의 설치방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가설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온도 수축팽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설벤트의 하부응력과 부반력 감소를 기할 수 있는 받침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므로서 현재사용하고 있는 제품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현장에서 손쉽게 제작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경제적이면서 실용적인 가설교량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stall a composite double beam in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to the H beam connected to the double beam up and down on the temporary bridge, which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increase in the rigidity of the beam, deflection and vibration, etc. In addition to develop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bridges us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s, it is also possible to develop and use the supporting device to reduce the lower stress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temporary vents by enabling the thermal contraction and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nd use in the field at a lower cost than the products currently used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practical installation method of the temporary bridge.

도 1은 본 고안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temporary bridge installed by using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b)(c)(d)는 본 고안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2 (a) (b) (c) (d)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producing a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설치한 작업대를 보여주는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a work table installed in order to introduce a prestress to the doubl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작업대에 겹보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double beam is installed on the workbench of FIG.

도 5는 본 고안의 가설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겹보, 상부 H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double beam, the upper H beam,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to each other for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받침장치를 보여주는 상세도.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받침장치를 조립하여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양지점에 설치한 가동단 받침장치를 보여주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the movable end support device installed at both points to install the support device of Figure 6 assembled to the temporary vent.

도 8은 도 6의 받침장치를 조립하여 가설벤트에 설치하되 중앙의 가설벤트에 고정단 받침장치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FIG.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of a fixed end support device in the central temporary vent while installing the temporary support unit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P... 프리스트레스 하중P ... prestressed load

10... 가설교량 11... 가설벤트10 ... Temporary bridge 11 ... Temporary vent

12... 복공판12 ... double vent

20... 겹보 21... 상부 H빔20 ... Plumbing 21 ... Upper H Beam

22... 하부 H빔 23... 상부플랜지22 ... lower H-beam 23 ... upper flange

24... 하부플랜지 25... 연장부24 ... Lower flange 25 ... Extension

26... 볼트너트이음26. Bolt nut joint

30...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 ...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40... 받침장치 41... 받침틀40 ... Support 41 ... Support Frame

42... 구멍 43... 상부플레이트42 ... holes 43 ... upper plate

44... 하부플레이트 45... 보강탄성고무판44.Lower plate 45 ... Reinforced elastic rubber plate

46... 보강플레이트 47... 환봉46 ... reinforcement plate 47 ... round bar

48... 장공 49-1... 너트48 ... Longsmith 49-1 ... Nuts

49-2... 볼트49-2 ... Bolt

50... 연결부 51... 연결판50 ... connection 51 ... connection plate

60... 작업대 61... 반력지지대60 ... workbench 61 ... reaction support

62... 유압잭 63... 가로보62 ... Hydraulic jack 63 ... Horizontal beam

64... 세로보 65... 횡좌굴방지대64 ... Stringer 65 ... Transverse Buckling

66... 공간부66 ... Space

본 고안은 상부 H빔과 강성이 각각 다른 상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가용접 또는 가볼팅 연결한 겹보와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상부에 설치된 받침장치와 연결조립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하부 H빔(21,22)의 상하부 플랜지(23,24)를 상하로 서로 연결한 겹보(20)를 작업대(60)위에 거치한 후에 유압잭(62)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제작하고, 가설교량(10)의 가설벤트(11)에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기 위하여 받침장치(40)를 설치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상기 가설벤트(11)에 설치하되 가설교량(10)의 양측의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20)를 설치하고 중앙의 중앙부 가설벤트(11)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되, 상기 겹보(20)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 사이에는 상부 H빔(21)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51)에 볼트(49-2)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가설교량(10)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prepared by introducing prestress to the double beams and the double beams of the upper and lower H beams having different rigidity and upper and lower H beams, each of which is welded or temporarily bolted up and down. It is related to a temporary bridge installed by assembling the supporting device, and the double beams 2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23 and 24 of the upper and lower H beams 21 and 22 with different stiffness up and down are mounted on the work table 60. After mounting, a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into which prestresses are introduced using a hydraulic jack 62 is produced, and a base for installing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in a temporary vent 11 of a temporary bridge 10 is provided. The device 40 is installed,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30 is installed in the temporary vent 11, but the double beam without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end temporary vent which is a point on both sides of the temporary bridge 10. 20)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into which the above prestress is introduced is installed in the central central temporary vent 11, and the upper H beam (between the double beam 20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is installed. After the installation 21, the temporary bridge 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51 provided on the abdomen of each H beam by means of a bolt 49-2.

상기 상부 H빔(21)은 SM400으로서 허용응력(fa)은 1400㎏f/㎠, 하부 H빔(22)은 SM490으로서 허용응력(fa)은 1900㎏f/㎠이다.The upper H beam 21 is SM400, and the allowable stress fa is 1400 kgf / cm 2, and the lower H beam 22 is SM490, and the allowable stress fa is 1900 kgf / cm 2.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교량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강성이 서로 다른 상하부 H빔(21,22)의 상하부 플랜지(23,24)를 상하로 서로 연결한 겹보(20)와 상기 겹보에 유압잭(62)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와 상기 겹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H빔(21)을 가설교량(10)의 가설벤트(11)에 설치하게 되는데 가설벤트(11) 위에 받침장치(40)를 설치하고, 가설교량(10)의 양측 지점의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20)를 설치하고 중앙 지점의 중앙부 가설벤트에는 상기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되,상기 가설교량(10)의 지간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인 상기 겹보(20)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가 설치되는 사이에는 상부 H빔(21)을 설치한 후에 각각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51)에 볼트(49-2)로 연결하여 설치한 가설교량(10)이다.1 is a view showing a temporary bridge installed by using a prestressed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23 and 24 of the upper and lower H beams 21 and 22 having different rigiditi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ertically ( 20)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by using the hydraulic jack 62 to the double beam, and the upper H beam 2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uble beam 20. The support device 40 is installed on the temporary vent 11, and the end temporary vents at both ends of the temporary bridge 10 are installed with a double beam 20 in which prestress is not introduce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into which the above prestress is introduced is installed in the central temporary vent, and the double beam 20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which ar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es of the temporary bridge 10, are installed. In between the upper H beam 21 After the installation, it is a temporary bridge 10 installed by connecting with a bolt 49-2 to the connecting plate 51 provided on the abdomen of each H beam.

도 2(a)(b)(c)(d)는 본 고안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제작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연강, SM400)인 상부 H빔(21)의 하부 플랜지(24)와 고강도 압연강재(고강, SM490)인 하부 H빔(22)의 상부 플랜지(23)를 상하로 가볼팅 또는 가용접하여 겹보(20)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하부 H빔(22)의 양측단이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게 연장부(25)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연장부(25)는 상기 도 1에서 각각의 가설벤트(11)에 설치된 겹보(20)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와 상부 H빔(21)이 지간사이에서 서로 연결될 때 상부 H빔(21)을 상기 연장부(25)에 올려놓고 서로 연결판(51)을 이용하여 볼트너트이음 연결하기 위함이다.Figure 2 (a) (b) (c) (d)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top H beam of a rolled steel (mild steel, SM400) for general structure The lower flange 24 of 21 and the upper flange 23 of the lower H beam 22 which are high-strength rolled steels (high steel SM490) are temporarily vortexed or welded up and down, and the double beam 20 is formed.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lower H-beam 22 are formed to extend the extension portion 25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extension part 25 thus formed is the upper H beam when the double beam 20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30 and the upper H beam 21 installed in each temporary vent 11 in FIG.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trunks. This is for placing the nut 21 on the extension part 25 and using the connection plate 51 to each other.

도 2(b)는 상기 도 2(a)에서 제작된 겹보(20)를 후술하는 도 3의 작업대(60) 위에 상기 겹보(20)를 거치하고 상기 상부 H빔(21)의 양측단에서 중앙으로 1/4 ℓ만큼 떨어진 거리에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양측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하중을 재하하여 상기 겹보(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이다. 이럴 경우 상부 H빔(21)의 상부 플랜지(23)에는 압축력이, 하부 H빔(22)의 하부 플랜지(24)에는 인장력이 각각 발생한다.Figure 2 (b) is mounted on the work table 60 of Figure 3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double beam 20 produced in Figure 2 (a) the double beam 20 and the center at both ends of the upper H beam 21 The prestress is loaded to the double beam 20 by loading the prestress load P by using hydraulic jacks at both sides at a distance of 1 / 4L. In this case, a compressive force is generated on the upper flange 23 of the upper H beam 21, and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on the lower flange 24 of the lower H beam 22, respectively.

도 2(c)는 상기 겹보(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재하하고 있는 동안 상부 H빔(21)의 하부 플랜지(24)와 하부 H빔(22)의 상부 플랜지(23)를 상하에서 가볼팅 또는 가용접한 부분을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볼트너트이음(26) 또는 완전용접을 하여 완벽히 일체화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제작하는 것이다.FIG. 2 (c) shows the lower flange 24 of the upper H beam 21 and the upper flange 23 of the lower H beam 22 while loading the prestress load P in order to introduce prestress into the double beam 20. It is to produce a fully integrated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by using a bolt nut joint 26 or a full weld using the bolt nut or the temporary welding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도 2(d)는 재하된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제거하는 것이다.2 (d) is to remove the prestressed load P loaded.

이렇게 프리스트레스트가 겹보(20)에 도입되는 원리는 2개의 H빔을 상하로 가연결한 겹보(20)는 완전하게 일체로 연결한 합성보 보다 강성이 월등히 작으므로 동일한 프리스트레스 하중 P를 재하 하였다가 상기 2개의 빔을 완전히 일체화시킨 합성보로 하고 나서 상기 하중 P를 제거하면 응력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만큼 프리스트레스트가 상기 겹보에 도입되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가 제작되는 것이다. 물론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강재의 허용응력을 초과 하여서는 않된다.The principle that the prestress is introduced to the double beam 20 is because the double beam 20 temporarily connected two H beams up and down is loaded with the same prestress load P because the rigidity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composite beam that is completely integrally connected. When the beam P is removed after the two beams are completely integrated, a stress difference occurs. By this difference,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double beam to produce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Of course, the prestressed pressure should not exceed the allowable stress of steel.

이렇게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는 간단히 상기의 4단계를 거치면 제작이 완료되므로 제작상의 어려움이나 유지관리의 번거러움이 없이 손쉽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과 동시에 단면을 증가시킴으로써 처짐과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tressed composite plywood produced in this way can be effectively coped with sag and vibration by simply introducing the prestress and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at the same time without the difficulty of production or the hassle of maintenance because the produc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four steps.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겹보(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하여 설치한 작업대(6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작업대는 지상에 설치된 2개의 가로보(63)위에 1/4 ℓ간격으로 5개의 세로보(64)를 설치하여 볼트너트이음(26)을 하고, 그 위에 상기의 겹보(20)를 상부 H빔(21)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그 사이에 유압잭(62)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60)의 양측단부에 설치된 2개의 세로보(64)에는 반력지지대(61)를 각각 상기의 겹보(20)와 밀착시켜 세로보(64)와볼트너트이음(26)으로 설치한다. 이렇게 반력지지대(61)와 상기 겹보(20)를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은 유압잭(62)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P를 재하할 때 양측이 지점의 역할을 하게하기 위함이다. 좌굴의 발생확률이 높은 중앙 3개의 세로보(64) 위에는 반력지지대(61)를 설치하고, 유압잭(62)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 P가 도입될 때 상기 겹보(20)에 발생가능성이 있는 횡좌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횡좌굴 방지대(65)는 상기 반력지지대(61)의 상부에 설치하여 반력지지대(61)와 볼트너트이음(26)으로 설치하되, 중앙 3개의 반력지지대(61)와 상기 겹보(20)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인 공간부(66)를 둔다. 이렇게 공간부(66)를 두는 것은 상기 겹보(20)의 양측단의 1/4 ℓ거리에 각각 설치된 유압잭(62)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 하중P가 작용할 때 양측으로 겹보(20)가 휘어져 프리스트레스트가 겹보에 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 3개의 세로보위에 설치되는 반력지지대는 단순히 가이드와 상기 횡좌굴방지대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설치된 반력지지대의 지점역할을 하는 것과는 구분되는 것이다.3 and 4 is a view showing a work table 60 installed to introduce a prestress to the double beam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table is five on the two horizontal beams 63 installed on the ground at 1/4 l intervals The stringer 64 is installed to bolt the nut 26, and the overlap beam 20 is installed thereon so that the upper H beams 21 face each other, and the hydraulic jack 62 is install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two support beams (64) installed on both side ends of the work table 6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beam 64 and the bolt nut joint 26 in close contact with the double beam 20, respectively. The reaction force support 61 and the double beam 2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serve as a point when the prestress load P is loaded by the hydraulic jack 62. A reaction force support 61 is provided on the three central stringers 64 having a high probability of buckling, and when the prestress load P is introduced by the hydraulic jack 62, the lateral buckling may occur in the double beams 20. The transverse buckling prevention member 65 is installed to prevent the reaction support 61 and the bolt nut joint 26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ction support 61, the center three reaction force support 61 and The space 66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double beams 20. In this way, the space 66 is arranged by the hydraulic jacks 62 installed at 1/4 l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double beams 20, respectively, when the prestress load P acts, the double beams 20 are bent to both sides, and the prestresses are overlapped. It is to form a space portion to be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force supports installed on the three central beams are merely serving as a support band for installing the guide and the lateral buckling prevention member, and are distinguished from the point roles of the reaction force supports provided at both ends.

상기 공간부의 거리는 15 ~ 30㎝이나 바람직한 거리는 20㎝이다.The distance of the said space part is 15-30 cm, but the preferable distance is 20 cm.

그리고, 가설교량의 지간이 다양하므로 사용되어지는 합성보의 길이가 지간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게되므로 이를 대비하여 세로보에 미리 여러 개의 볼트구멍을 뚫어 놓아 다양한 합성보의 길이에 따라 작업대에 거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composite beam used vari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bridge, the bolts are drilled in advance in the vertical beam so that they can be mounted on the workbench according to the length of various composite beams. .

도 5는 본 고안의 가설교량의 설치를 위하여 겹보(20), 상부 H빔(21),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설교량(10)의 양측의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11)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20)를 설치하고 중앙의 지점인 중앙부 가설벤트(11)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를 설치하되, 상기 가설교량(10)의 지점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인 상기 겹보(20)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30) 사이에는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연장부(25)위에 상부 H빔(21)을 올려놓고 양측의 H빔의 복부에 설치된 연결판(51)에 볼트너트이음(26)을 하여 교량을 설치한 가설교량(10)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50 connecting the double beam 20, the upper H beam 21,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30 to each other for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FIG. At the end temporary vent 11, which is a point on both sides of the temporary bridge 10, a double beam 20 without prestress is installed,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30 is installed at a central temporary vent 11, which is a central point. However, between the double beam 20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30, which ar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points of the temporary bridge 10, the upper H beam 21 on the extension portion 25 of the double beam and prestress composite beam It is a temporary bridge 10 in which a bridge is installed by placing a bolt nut joint 26 on a connecting plate 5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 beams on both sides.

도 6은 본 고안의 받침장치(40)를 보여주는 상세도로서, 장공(48)이 양측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43), 다수개의 환봉(47), 보강 플레이트(46), 보강탄성고무판(45) 및 중앙부에 받침틀(41)이 형성되고 양측부에 구멍(42)이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44)가 상기 장공(48)과 구멍(42)을 이용하여 볼트너트로 일체로 결합설치되는 것이다.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upport devic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43, the plurality of round bar 47, the reinforcing plate 46, reinforcing elastic rubber plate 45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ng hole 48 ) And the lower plate 44 having the support frame 41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holes 42 at both sides thereof are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bolt nut using the long hole 48 and the hole 42.

상기 상부 플레이트(43)의 상부는 겹보(20) 또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30)의 하부 H빔(22)의 하부플랜지(24)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43)의 하부에는 환봉(47), 보강 플레이트(46), 보강탄성고무판(45)이 하부 플레이트(44)의 받침틀(41)내에 설치되도록하여 상기의 부재들을 보호하고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며 종구배에 대해 수평을 유지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플레이트(43) 양측에 설치된 장공(48)은 하부 플레이트(44) 양측에 형성된 구멍(42)과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가설벤트(11) 위에 설치되게 된다.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43 is installed under the lower flange 24 of the lower H beam 22 of the double beam 20 or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30 and the lower bar 47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43. The reinforcing plate 46 and the reinforcing elastic rubber plate 45 are installed in the supporting frame 41 of the lower plate 44 to protect the members, to transfer the load of the upper part to the lower side, and to keep the horizontal gradient. Play a role. The long holes 48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43 are installed on the temporary vent 11 using holes 42 and bolt nu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44.

상기 환봉(47)은 온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을 환봉(47)자체가 이동하면서 구속력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round bar 47 serves to remove the restraining force while the round bar 47 itself moves the horizontal force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상기 보강 플레이트(46)는 보강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탄성고무판(45)을 보호함과 동시에 위로는 환봉(16)을 균등하게 지지하여 지지력을 원활히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reinforcement plate 46 protects the reinforcement elastic rubber plate 45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round bar 16 evenly to serve to smoothly transfer the supporting force to the lower part.

상기 보강탄성고무판(45)은 상부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회전에 대한 구속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데 하부 플레이트의 받침틀(41)내에 설치된다.The reinforcing elastic rubber plate 45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41 of the lower plate to install to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the upper load, and to reduce the restraint on rotation.

상기 하부 플레이트(44)의 양측변에는 구멍(4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보강탄성고무판(45)이 설치되는 받침틀(41)이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44)의 하부는 가설벤트(11)의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Holes 4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44, and a support frame 41 in which the reinforcing elastic rubber plate 45 is install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44,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late 44 is formed of a temporary vent 11. It will be installed at the top.

도 7은 도 6의 받침장치(40)를 조립하여 가설벤트(11)에 설치하되 양지점인 양단부에 설치한 가동단 받침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6의 받침장치(40)를 조립하여 가설벤트(11)위에 설치한 것으로서 양지점인 단부는 교량의 빔이 온도에 의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장치에 환봉(47)을 설치한 것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movable end support device installed in both ends of the temporary vent 11 by assembling the support device 40 of FIG. 6, and assembling the support device 40 of FIG. 6. The end of the two points, which is installed on the temporary vent 11, is provided with a round bar 47 in the supporting device so that the beam of the bridge can absorb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도 8은 도 6의 받침장치(40)를 조립하여 가설벤트(11)에 설치하되 중앙의 중앙부 가설벤트(11)에 고정단 받침장치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중앙의 중앙부 가설벤트(11) 위에 설치된 받침장치(40)는 교량 빔이 온도등에 의하여 신축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하기 위하여 상기의 환봉(47)을 설치하지 않고 받침장치(40)를 설치한 것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device 40 of FIG. 6 is assembled to the temporary vent 11, but the fixed end support device is installed in the central temporary vent 11. The support device 40 installed on the above) is to install the support device 40 without installing the round bar 47 so that the bridge beam does not move by stretching and contracting due to temperature or the like.

2개의 H빔을 상하로 연결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합성보의 응력증가와 단면증가를 통한 사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단기간 내에 교량에 사용하는 합성보를 제작할 수 있고 지상에서 작업하여 가설벤트 위에 바로 거치하므로 경제성 및 시공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력을 감쇄시킬 수 있는 받침장치를 개발함으로써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의 응력과 부반력 감소를 기할 수 있고, 제작이 간편하여 공사비가 저렴하고 미관이 수려하며 역학적으로 하중전달 메카니즘이 명확하고 안전한 가설교량을 건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installing the temporary bridges using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in which two H beams are connected up and down and using prestressed composite beams,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usability through the stress increase and the cross-sectional increase of the composite beams. It can be manufactured and work on the ground to be mounted directly on the temporary vent, maximizing economic feasibility and constructability. And by developing the supporting device to reduce the horizontal for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ess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temporary vent of the temporary bridge, and the production is simple, the construction cost is cheap, the aesthetics are beautiful, and the load transfer mechanism is clear and safe. There is an advantage to building a bridge.

Claims (7)

상부 H빔과; 상기 상부 H빔과 강성이 서로 다른 상부 H빔과 하부 H빔의 상하부 플랜지를 상하로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겹보와; 상기 겹보를 작업대위에서 유압잭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상기 가설교량의 가설벤트 위에 설치된 받침장치 상에 설치하되, 상기 가설교량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에 따라 상기 상부 H빔, 겹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An upper H beam; A double beam formed b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upper H beam and the lower H beam having different rigidities to each other vertically;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in which prestresses are introduced using hydraulic jacks on a workbench are installed on a supporting device installed on the temporary vents of the temporary bridges, and the upper H beam and the double beam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tress acting on the temporary bridges. Prestressed composite beams using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double beams produced by connecting H beams up and down, characterized by installing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업대는 지상에 설치된 2개의 가로보위에 1/4 ℓ간격으로 5개의 세로보를 설치하여 볼트너트이음으로 설치하고, 상기 세로보위에 상기 겹보를 상부 H빔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며, 그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2개의 세로보에는 반력지지대를 각각 상기 겹보와 밀착시켜 세로보와 볼트너트이음으로 설치하고, 상기 중앙 3개의 세로보 위에는 반력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반력지지대의 상부에 횡좌굴방지대를 설치하여 반력지지대와 볼트너트이음으로 설치하며, 상기 중앙 3개의 반력지지대와 상기 겹보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 공간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The workbench is installed by bolt nut joints by installing five stringers at 1/4 ℓ intervals on two horizontal beam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nstalling the double beams on the stringer so that the upper H beams face each other, and a hydraulic jack therebetween. And two reaction beam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workbench to closely contact the double beams, respectively, to be installed as stringers and bolt nut joints, and to install the reaction force supports on the three central beams,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ction force supporter. H-beams are connected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verse buckling prevention member is installed in the reaction force support and bolt nut joint, and the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three reaction force support and the double beam. Prestressed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with prestres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공간부의 일정한 거리는 15 ~ 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Temporary bridge using a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that introduces the prestress to the double beam produced by connecting the H beam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ant distance is composed of 15 ~ 30c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받침장치는 장공이 양측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다수개의 환봉과 보강 플레이트와 보강탄성고무판이 조립되어 중앙부에 형성된 받침틀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양측부에 구멍이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장공과 하부 플레이트의 구멍에 볼트너트로 하부 H빔의 하부 플랜지와 가설 벤트사이에 일체로 결합되어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가동단 받침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The supporting device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round bars, reinforcing plates, and reinforcing elastic rubber plates are assembled at a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installed at both sides, and inserted into a supporting fram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lower plate having hole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ovable end support device which is integrally coupled between the lower flange of the lower H beam and the temporary vent with bolt nuts in the holes of the hole and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plate to be installed at the end temporary vents on both sides of the temporary bridge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to double beams made by connecting H beam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받침장치는 가설교량의 중앙 지점인 중앙부 가설벤트에 설치되는 고정단 받침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The supporting device is a temporary bridge using a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that is pre-stressed to the double beam produced by connecting the H beam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ed end support device is installed in the central construction vent, which is the central point of the temporary brid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의 양측에 일정길이의 연장부를 두어 가설교량의 가설벤트에 설치된 겹보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와 상부 H빔이 지간사이에서 서로 연결될 때 상부 H빔을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의 연장부에 올려놓고 복부에 연결판을 이용하여 볼트너트이음을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Synthetic double beam and prestress composite double beam and prestress composite double beams installed in temporary vents of temporary bridges and upper H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bases by placing extension parts of a certain length on both sides of the double beam and prestress composite double beams. This is a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double beams made by connecting H beams up and dow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설교량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에 따라 상기의 상부 H빔, 겹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의 설치위치는 가설교량의 양측 지점인 단부 가설벤트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지 않은 겹보를 설치하고, 가설교량의 중앙 지점인 중앙부 가설벤트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설치하고, 상기 가설교량의 지간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겹보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 사이에 상부 H빔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로 H빔을 연결하여 제작한 겹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겹보를 이용한 가설교량.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stress acting on the temporary bridge,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upper H beam, the double beam,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are provided with the double beam without prestressing at the end temporary vents at both sides of the temporary bridge.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art temporary vent, which is a central point, and the upper and lower H beams are installed by connecting an upper H beam between the double beam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temporary bridge.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osite double beams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to double beams made by connecting H beams.
KR20-2003-0000548U 2003-01-08 2003-01-08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KR2003158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548U KR200315883Y1 (en) 2003-01-08 2003-01-08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548U KR200315883Y1 (en) 2003-01-08 2003-01-08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086A Division KR100449231B1 (en) 2003-01-08 2003-01-08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and method for building the temporary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883Y1 true KR200315883Y1 (en) 2003-06-11

Family

ID=4940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548U KR200315883Y1 (en) 2003-01-08 2003-01-08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88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0065A (en) Lightweight modular, truss-deck bridge system
KR100569028B1 (en) Box-type temporary bridge
KR20090016264A (en) Steel-frame for src-frame that steel reinforcement is pre-assembled and steel-frame structure execution method by using the steel-frame
KR100449231B1 (en)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and method for building the temporary bridge
KR10088234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beam with reinforced steel beam for stiffness and rhmen bridg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ompositebeam with reinforced steel beam
KR100911451B1 (en) Composite temporary bridge be combind main girder and deck plate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22809B1 (en) Reinforced beam for stiffness,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58994B1 (en) Reinforced beam with vertical h-steel or i-steel for stiffness,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97213Y1 (en) Mounting structure of Steel Cross-beam in Multi-girder concret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923564B1 (en) Precast concrete panel,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panel using steel plate
KR101243777B1 (en)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896173B1 (en) Beam, structure, parking structure having the bea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e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ructure without column
KR20080093261A (en) Composite bridge construction method
KR101347555B1 (en) Method for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CN110042745B (en) Anti-seismic bridge pier assembly
KR100565384B1 (en) Structure of continuous PSC beam with connection member and steel cross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066355B1 (en) The method of composite girder to minimize side buckling
KR200315883Y1 (en) temporaty bridge using prestressed compuond double girder
JPH04228710A (en) Road slab for bridge
KR20070001410A (en) Mounting structure of steel cross-beam in multi-girder concret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10177354U (en) Anti-seismic pier assembly
KR100921825B1 (en) Temporary structure using stuctural beam
KR102197108B1 (en) Device for preventing lateral curvature of girder, and psc girder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2107666B1 (en) Long Span Composite Beam And Long Spa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10798013U (en) Cross beam floor system formed by crossed arrangement of steel secondary beams and tru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