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651Y1 -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651Y1
KR200315651Y1 KR20-2003-0007364U KR20030007364U KR200315651Y1 KR 200315651 Y1 KR200315651 Y1 KR 200315651Y1 KR 20030007364 U KR20030007364 U KR 20030007364U KR 200315651 Y1 KR200315651 Y1 KR 200315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zoom
unit
fixing devic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도경
Original Assignee
신우상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상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상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7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줌형 낚싯대의 줌을 형성하는 각 단위 낚싯대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줌 낚싯대의 전체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대 및 다수의 단위 낚싯대가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결합되어 마련되는 줌형 낚싯대에 있어서, 손잡이대 또는 다수의 단위 낚싯대의 삽입되는 제 1단위 낚싯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1단위 낚싯대가 회전됨에 따라 손잡이대 또는 다수의 단위 낚싯대의 내면을 가압하여 제 1단위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각기 다른 길이의 낚싯대를 휴대, 관리할 필요 없이 하나의 낚싯대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낚싯대를 구매할 때 하는 금전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고, 출조시 다양한 길이의 낚싯대를 각각 휴대하여 관리하여야 하는 여러 가지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fix device of zoom type fishing rod}
본 고안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줌형 낚싯대의 줌을 형성하는 각 단위 낚싯대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줌 낚싯대의 전체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여가선용으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즐기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생활레저로 자리 잡았으며, 낚싯대도 그 구조와 장치들이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으며, 통상의 줌형 낚싯대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다수의 단위 낚싯대가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단위 낚싯대가 인출됨으로써 낚싯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줌형 낚싯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 낚싯대(14)가 연속적으로 교대하면서 손잡이대(12)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대(12) 내부로 차례로 수납되면서 수납되는 일측이 속대가 되고, 다른 단위 낚싯대(14)가 수납되는 쪽이 겉대가 되는 형식으로 다수의 단위 낚싯대(14)가 결합되어 손잡이대(12)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형성되고, 출조시에는 상기한 바와 반대로 구성하면 각 겉대에 수납된 속대를 인출하면, 각 겉대의 단부에서 각 속대가 고정되면서 낚싯대(10)가 형성된다.
또한, 낚시 장소와 여러 가지 제반 여건에 의하여 소정 길이의 낚싯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술한 줌형 낚싯대(10)의 경우에는 그 길이의 조절이 불가능하여사용자는 길이가 다른 여러개의 낚싯대를 별도로 준비하여 낚시를 하고자 하는 조건에 따라 적당한 길이의 낚싯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기 다른 길이의 줌형 낚싯대(10)를 여러개 준비하는 경우에는 구매에 따른 금전적 부담이 발생하며, 출조시 각 낚싯대를 각각 휴대하여 관리하는 데는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결합되는 줌형 낚싯대의 각 단위 낚싯대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서 고정시켜 줌형 낚싯대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줌형 낚싯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줌 낚싯대 22 : 손잡이대
24 : 단위 낚싯대 30 : 고정장치
31 : 결합부 32 : 고정턱
33 : 이송부 34 : 걸림턱
35 : 나사기둥 36 : 나사산
37 : 가압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는, 손잡이대 및 다수의 단위 낚싯대가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결합되어 마련되는 줌형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 또는 다수의 상기 단위 낚싯대의 삽입되는 제 1단위 낚싯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단위 낚싯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대 또는 다수의 상기 단위 낚싯대의 내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단위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일측에 상기 제 1단위 낚싯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 끝단부로 진행될수록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나사기둥과, 상기 나사기둥의 외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나사산에 의해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마련되는 가압링이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 상기 가압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는, 다수의 단위 낚싯대(24)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줌형 낚싯대(20)의 각 단위 낚싯대(24)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다수의 단위 낚싯대(24)에 형성되는 고정장치(30)들은 동일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손잡이대(22)에 결합되는 단위 낚싯대(24)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는, 줌형 낚싯대(20)의 손잡이대(22)와, 상기 손잡이대(22)에 삽입되는 단위 낚싯대(24)와,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대(24)에 대하여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고정하는 고정장치(30)가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대(22) 및 상기 단위 낚싯대(24)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대(22)에 형성된 상기 중공은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외형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면에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외측면이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손잡이대(22)에 대하여 상기 단위 낚싯대(24)가 인출 또는 삽입되어 줌형 낚싯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30)는, 상기 단위 낚싯대(24)에 형성된 중공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상기 손잡이대(22)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손잡이대(22)에 상기 단위 낚싯대(24)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단위 낚싯대(24)에 형성된 중공에 그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중공형상에 대응되는 원기둥형상의 결합부(31)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31)의 타측에는 상기 단위 낚싯대(24)에 삽입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턱(32)이 상기 결합부(31)에 대하여 소정 크기 확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32)의 타측에는 끝단부로 진행될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사기둥(35)과, 상기 나사기둥(35)의 외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나사산(36)이 형성된 이송부(33)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33)의 나사산(36)에는 상기 나사산(36)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일측일 개구되어 마련되는가압링(37)과, 상기 이송부(33)의 타측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링(37)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대(22)에 형성된 중공의 내측으로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일측이 삽입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일측 중공에는 상기 고정장치(30)의 결합부(31)가 그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장치(30)의 이송부(33)에는 상기 가압링(37)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대(22)에서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인출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상기 손잡이대(22)에 대하여 인출한 후, 상기 손잡이대(22)에 대하여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단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장치(30)가 상기 단위 낚싯대(24)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고정장치(30)의 상기 이송부(33)에 형성된 상기 나사기둥(35) 및 상기 나사산(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가압링(37)이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상기 고정장치(30)의 상기 이송부(33)의 상기나사산(36)에 의해 상기 나사기둥(35)의 확장측으로 이송되며, 이송되는 상기 가압링(37)의 내측면은 상기 나사기둥(35)의 확장측에 접하게 되고, 상기 가압링(37)의 외측면은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어 상기 단위 낚싯대(24)가 상기 손잡이대(22)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대(22)에 고정된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상기 손잡이대(22)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상기 손잡이대(22)에 대하여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손잡이대(22)에 대하여 상기 단위 낚싯대(24)를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단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장치(30)가 상기 단위 낚싯대(24)와 같이 타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송부(33)의 상기 나사기둥(35)과,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기 가압링(37)이 상기 이송부(33)의 나사산(36)에 의해 상기 나사기둥(35)의 축소되는 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손잡이대(22)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장치(30)의 상기 이송부(33)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링(37)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단위 낚싯대(24)의 이동이 자유로워진다.
이와 같이, 낚싯대의 손잡이대 또는 각 단위 낚싯대의 삽입 결합되는 다른 단위 낚싯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만큼 단위 낚싯대를 인출한 후 단위 낚싯대를 회전시킴으로써, 손잡이대 또는 각 단위 낚싯대에 삽입된 다른 단위 낚싯대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 후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에 따르면, 낚싯대의 손잡이대 또는 각 단위 낚싯대의 삽입 결합되는 다른 단위 낚싯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만큼 단위 낚싯대를 인출한 후 단위 낚싯대를 회전시켜 손잡이대 또는 각 단위 낚싯대에 삽입된 다른 단위 낚싯대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 후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각기 다른 길이의 낚싯대를 휴대, 관리할 필요 없이 하나의 낚싯대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낚싯대를 구매할 때 하는 금전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고, 출조시 다양한 길이의 낚싯대를 각각 휴대하여 관리하여야 하는 여러 가지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손잡이대 및 다수의 단위 낚싯대가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결합되어 마련되는 줌형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대 또는 다수의 상기 단위 낚싯대의 삽입되는 제 1단위 낚싯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단위 낚싯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손잡이대 또는 다수의 상기 단위 낚싯대의 내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단위 낚싯대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일측에 상기 제 1단위 낚싯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 끝단부로 진행될수록 그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나사기둥과, 상기 나사기둥의 외주면에 동일한 높이로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부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나사산에 의해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마련되는 가압링이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 상기 가압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KR20-2003-0007364U 2003-03-12 2003-03-12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KR200315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64U KR200315651Y1 (ko) 2003-03-12 2003-03-12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64U KR200315651Y1 (ko) 2003-03-12 2003-03-12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651Y1 true KR200315651Y1 (ko) 2003-06-09

Family

ID=4940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364U KR200315651Y1 (ko) 2003-03-12 2003-03-12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6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354B2 (en) Handle sliding structure and selfie stick using same
JP4374024B2 (ja) 1つがもう1つ内に挿入され伸縮するチューブ用のクランプ用デバイス
US6142698A (en) Telescopic tubes
US20090274511A1 (en) Telescopic tube and cam connecting and locking mechanism
US6457669B1 (en) Tube winder structure
CN104595311B (zh) 新型套管伸缩锁紧装置
US20140194212A1 (en) Expandable Baton With Locking Mechanism
KR200315651Y1 (ko) 줌형 낚싯대의 줌 고정장치
IT201800006727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apparecchiature video-fotografiche
KR200491685Y1 (ko) 길이 조절식 낚싯대
KR200184477Y1 (ko) 등산용 지팡이
KR100922189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낚시대
KR200282046Y1 (ko) 릴 낚싯대용 낚싯줄 가이드
WO2016115226A1 (en) Telescoping fishing rod assembly
KR200315652Y1 (ko) 낚시용 줌형 뜰채의 줌 고정장치
KR200227090Y1 (ko) 길이조절식 낚시대
KR200282354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팡이
KR100395435B1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200217241Y1 (ko) 손잡이 결착식 줄넘기
GB2117078A (en) Drain cleaning device
KR200315653Y1 (ko) 낚싯대용 줌형 받침대의 줌 고정장치
JP2001352865A (ja) 竿体の連結構造
KR200166880Y1 (ko) 낚시대 길이 조절용 손잡이
JP2005021132A (ja) 管状体の連結構造
JP3985920B2 (ja) 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