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544Y1 -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544Y1
KR200315544Y1 KR20-2003-0006765U KR20030006765U KR200315544Y1 KR 200315544 Y1 KR200315544 Y1 KR 200315544Y1 KR 20030006765 U KR20030006765 U KR 20030006765U KR 200315544 Y1 KR200315544 Y1 KR 200315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treadmill
scaffold
pivotally connected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이후아 로
Original Assignee
알릴리페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릴리페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릴리페 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6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inclination of the main axis of the movement path being adjustable, e.g. the inclination of an endless b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Abstract

본 고안은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에 대한 것으로, 이 구조는 두개의 대칭적 조절부재와 신축자재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부재의 중심은 그 저부 선단 가까운 기둥의 내부면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조절부재의 제1선단은 발판플랫포옴의 전방선단의 양측에 각기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횡단 비임은 상기 조절부재의 제2선단들 사이에 고정되며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저부아래에 위치됨으로써 발판 플랫포옴의 정지블록은 상기 횡단비임에 당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축자재로드의 한 선단은 횡단 비임의 한 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신축자재로드의 타 선단은 발판 플랫포옴의 저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gradient adjusting structure of treadmill}
본 고안은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런닝머신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런닝머신은 발판 플랫포옴의 경사를 변경하여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기울기 조절구조를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다.
도 9는 종래의 런닝머신에 있어 그 플레임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를 나타낸다. 이 조절장치는 프레임선회공(71),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 및 장축 선회공(73)을 각기 구비하고 있는 2개의 연결판(7)으로 이루어진다. 플레임선회공(71)과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은 연결판(7)의 상부위치의 전방선단과 중간에 각기 위치된다. 장축 선회공(73)은 연결판(7)의 하부 위치의 이면 선단에 위치된다. 프레임 선회공(71)을 거쳐 연결판(7)은 발판 프레임(6)의 전방 선단의 양쪽에 각기 선회가능하게 배치된다.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을 거쳐 연결판(7)은 전방지지레버(5)와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장축로드(731)는 연결판(7)의 장축선회공(73)을 관통하게 된다. 그 결과 조절기구(8)는 장축로드(731)상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된다. 조절기구(8)의 작동선단은 발판 프레임(6)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며 전방지지레버(5)의 위치선정판(51)에 위치된다. 따라서 조절기구(8)의 작동부재에 의하여 드래그 윔(drag worm : 81)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때 장축로드(731)는 동기적으로 이동된다. 이때 연결판(7)은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에 대하여 요동하여서 프레임 선회공(71)의 위치 높이가 발판프레임(6)의 지지 각도를 변경시키도록 조절되어 발판 프레임(6)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발판 프레임(6)은 두 연결판(7)을 거쳐 전방지지레버(5)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절기구(8)의 드래그웜(81)은 발판 프레임(6)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연장되거나 수축된다. 따라서, 발판 프레임(6)상에 부하된 중량과 발판력은 연결판(7)에 의해 지탱된다. 연결판(7)상에 미친 힘은 조절기구(8)의 드래그웜(81)에 가해진다. 발판프레임(6)이 최 하부위치로 하강될 때 드래그웜(81)은 가장 긴 정도로 연장된다. 그러한 상황하에서 굴곡 응력이 드래그웜(81)에 가해져서 드래그웜(81)을 마모시키게 된다. 슬리이브(82)는 2개 위치선정판(51)사이의 드래그웜 (81) 상에 장착되어 드래그웜(81)에 가해진 힘을 완충시킨다. 그러나, 이것은 굴곡응력에 관하여 드래그웜(81)에 크게 도움이 되질 못하며 심지어 슬리이브(82)는 드래그웜(81)의 회전을 방해한다.
더욱이, 발판 프레임(6)은 축으로서 작용하는 연결판(7)의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으로 상승 또는 하강된다. 일정한 높이로 발판 프레임(6)의 전방선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과 프레임 선회공(71)사이의 거리는 일정 길이를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연결판(7)의 프레임 선회공(71)과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사이의 작용 아암 길이(h1)는 지나치게 길어지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프레임(6)이 프레임 선회공(71)에 대하여 상부로 선회가능하게 접혀질 때 지나치게 긴 작용 아암 길이(h1)는 연결판(7)의 전방지지레버선회공(72)에 가해진 힘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접혀진 후 발판 프레임(6)은 지지강도가 빈약하게 되고 안정되게 지지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에 있어서의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의 두 기둥사이에 장착된 발판 플랫포옴으로 이루어지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발판 플랫포옴의 후방선단이 상기 베이스 시트의 기둥들과 조절부재사이의 선회부분에 대하여 상부로 접혀질 때 발판 플랫포옴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조절부재의 제1선단은 발판 플랫포옴을 따라 상부로 회전되는 런닝머신의 상기 기울기 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울기 조절구조가 조립된 런닝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의 구성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일부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발판 플랫포옴이 상승 또는 하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의 측면도,
도 4는 발판 플랫포옴이 상승되는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의 측면도,
도 5는 발판이 접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런닝 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의 측면도,
도 6은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정지 블록이 횡단 비임에 당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의 측면도,
도 7은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의 제2구체례의 측면도,
도 8은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기울기 조절 구조의 작동을 보여주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제2구체례의 측면도,
도 9는 종래 런닝머신에 있어 발판 프레임용 높이 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따른 종래 런닝머신에 있어 발판프레임이 접혀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시트(base seat) 2 : 발판 플랫포옴(tread platform)
3 : 기울기 조절장치 11 : 사이드 바아(side bar)
12 : 기둥 13 : 손잡이
14 : 제어 패널 15 : 지지 레버
21 : 발판 벨트 22 : 모우터
23 : 정지블록(stop block) 31 : 조절부재
32 : 신축자재 로드(telescopic rod)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 시트, 발판 플랫포옴 및 기울기 조절장치로 이루어지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그 양측에 두개 상부로 연장하는 기둥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그 두개 기둥사이에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 플랫포옴에는 발판 벨트가 배치되어 있고, 그 전방 선단의 저부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 블록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기울기 조절 장치가 두개 대칭적인 조절부재와 신축 자재 로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조절 부재가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외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선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의 중심이 그 저부 선단 가까운 기둥의 내부표면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제1선단이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양측과 각기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횡단 비임이 조절부재의 제2선단사이에 고착되고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선단의 저부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발판 플랫포옴의 정지 블록이 횡단 비임에 당접할 수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신축자재 로드에 의해 구동되어서 회전하게 되는 것을 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의 상기 기울기 조절구조는 상기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저부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기울기 조절장치는 두개의 대칭적인 조절부재와 상호 중첩되어 끼워질 수 있는 신축자재로드를 구비한다. 각 조절부재는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외부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선단을 갖추고 있다. 상기 조절부재의 중심은 그 저부 선단 가까운 기둥의 내면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제1선단은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양측에 각기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횡단 비임은 조절부재의 제2선단 사이에 고착되고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저부아래에 위치되어서 발판 플랫포옴의 정지 블록이 횡단 비임에 당접할 수 있게 된다. 신축자재 로드의 한 선단은 횡단비임의 일측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반면 그 타단은 발판 플랫포옴의 저부와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발판 플랫포옴이 저부로 하강될 때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저부에 있는 정지 블록은 상기 조절부재의 횡단 비임에 당접하게 되어서 발판 플랫포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 플랫포옴에 부하된 중량과 발판력은 횡단비임에 의해 발판 플랫포옴과 분담하게 된다. 또한, 신축자재 로드상에 미친 굴곡 응력은 최소로 되어서 신축자재 로드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목적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발판 플랫포옴 및 상기 기둥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에 조절부재의 선회부분 사이의 아암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접혀진 발판 플랫포옴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다음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는 베이스 시트(1), 발판 플랫포옴(2)과 기울기 조절장치(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시트(1)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는 두개의 사이드 바아(11)가 갖추어져 있으며, 각 사이드 바아(11)의 전방 선단에는 상부로 연장하는 기둥(12)이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13)는 기둥(12)의 상부 선단에 배치된다. 제어패널(14)은사용자가 운동시 잡는 두개 손잡이(13)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제어패널(14)은 사용자가 발판 플랫포옴(2)의 발판 속도와 경사를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2개 지지레버(15)중 하나는 사이드 바아(11)의 후방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레버(15)의 타 선단은 발판 플랫포옴(2)의 중간부분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선단은 베이스 시트(1)의 2개 기둥(12) 사이에 장착된다. 발판 벨트(21)는 발판 플랫포옴(2)에 배치되고 모우터(22)에 의해 구동되어서 순환적으로 회전된다.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 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블록(23)이 구비되어 있다. 이 구체례에서, 두개 정지 블록(23)은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 저부 양측상에 각기 배치되고 발판 플랫포옴(2)의 후방 선단에 면하는 정지면(231)을 구비한다. 상기 발판 플랫포옴(2)의 중간 부분의 저부에는 선회시트(24)를 갖추고있다.
기울기 조절장치(3)는 두개 대칭적인 조절부재(31)와 신축자재로드(32)를 구비하며, 각 조절 부재(31)는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외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선단(311)(312)을 갖추고 있다. 조절부재(31)의 중심은 그 저부선단 가까운 기둥(11)의 내부면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31)의 제1선단(311)은 각기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 양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횡단 비임(313)은 조절부재(31)의 제2선단(312)사이에 고착되며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 저부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횡단 비임(313)은 상기 발판 플랫포옴92)의 정지 블록(23)의 정지면(231)에 대응하는 당접면(3131)을 갖추고 있고, 상기당접면(3131)에 마주하는 횡단 비임(313)의 타면에는 신축자재로드(32)의 한 선단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선회시트(3132)가 있다. 상기 신축자재 로드(32)의 타 선단은 발판 플랫포옴(2) 저부의 선회시트(24)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신축자재 로드(32)는 전원(321)에 의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동된다. 이 구체례에서 신축자재 로드(32)는 웜(worm)이며 전원(321)은 양력 모우터(lifting motor)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서 발판 플랫포옴의 기울기 조절 작동을 나타낸다. 전원(321)은 조절 부재(31)의 제2선단(312)의 횡단 비임(313)을 끌어 당겨서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신축자재 로드(32)를 수축하도록 조절한다.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선단은 베이스 시트(1)의 기둥(12)과 조절부재(31) 사이의 선회부분에 대하여 상부로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베이스 시트(1)상의 발판 플랫포옴(2)의 경사는 조절될 수 있다. 역으로, 발판 플랫포옴(2)이 하강할 때 전원(321)은 횡단비임(313)을 전방으로 밀어지도록 신축자재 로드(32)를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조절한다. 이때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부분(22)은 하강된다. 발판 플랫포옴(2)이 저부로 하강될 때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 저부의 정지블록(23)의 정지면(231)은 발판 플랫포옴(2)을 지지하도록 조절부재(31)의 횡단 비임(313)의 당접면(3131)과 당접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발판 플랫포옴의 접는 작동을 나타낸다. 런닝머신을 접을 때 발판 플랫포옴(2)의 후방 선단은 베이스 시트(1)의 기둥(12)과 조절부재(31) 사이의 선회부분에 대하여 상부로 접혀져서 런닝머신의 부피를 최소화하고 그 보관을용이하게 한다. 발판 플랫포옴(2)의 후방 선단이 상부로 접혀질 때 베이스 시트(1)의 두개 지지레버(15)는 접혀진 발판 플랫포옴(2)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판 플랫포옴(2)과 함께 연장될 것이다.
발판 플랫포옴(2)이 저부로 하강될 때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 저부에서의 정지블록(23)의 정지면(231)은 조절부재(31)의 횡단비임(313)의 당접면(3131)에 당접하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플랫포옴(2)을 지지하게 된다. 발판 플랫포옴(2)을 저부로 하강시킬 정도록 가장 긴 길이로 신축자재 로드(32)가 연장될 경우 발판 플랫포옴(2)에 가해진 중량과 발판력은 횡단 비임에 의하여 발판 플랫포옴(2)과 분담하게 된다. 따라서 신축자재 로드(32)에 미친 굴곡 응력은 최소화되어 신축자재 로드(32)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게다가, 발판 플랫포옴(2)의 후방선단은 베이스 시트(1)의 기둥(12)과 조절부재(31)사이의 선회부분에서 상부로 접혀질 때 발판 플랫포옴(2)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조절부재(31)의 제1선단(311)은 발판 플랫포옴(2)을 따라 상부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 플랫포옴(2)과 기둥(12)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31)의 선회부분 사이의 작용 아암길이(h2)는 짧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접혀진 발판 플랫포옴(2)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구체례에서, 신축자재 로드(32)는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전기 측정수단에 의하여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동된다. 또 발판 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은 수동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구체례에서 시트 본체(25)는 발판플랫포옴(2)의 전방 선단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기울기 조절장치(3)의 신축자재 로드(32)는 시트 본체(25)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된다.
나사식 시트(33)는 조절부재(31)의 횡단 비임(313)의 선회시트(3132)상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된다. 나사식 시트(33)는 신축자재 로드(32)의 한 선단이 나사결합되는 내부 나사공(331)을 구비하고 있다. 신축자재 로드(32)의 타 선단에는 회전 휘일(34)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 휘일(34)의 회전에 의하여 신축자재 로드(32)는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나사식 시트(33)를 구동한다. 따라서, 두개 조절부재(31)는 기둥(12)과 조절부재(31)사이의 선회부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그러므로, 발판 플랫포옴(2)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수동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구체례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뿐, 본 고안의 범주를 한정하기 위해 의도된 것은 아니다.
상기 구체례의 여러 수정 및 변형은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행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기울기 조절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르면, 런닝머신의 발판 플랫포옴의 경사를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 발판 플랫포옴의 경사시 미치는 굴곡응력이 적어서 구성 부재들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런닝머신의 발판 플랫포옴의 후방선단이 베이스 시트의 기둥과 조절 부재사이로 상부로 접혀지므로 런닝머신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관이 편리하고, 발판 플랫포옴의 경사를 용이하게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한층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베이스 시트, 발판 플랫포옴 및 기울기 조절장치로 이루어지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그 양측에 두개 상부로 연장하는 기둥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그 두개 기둥사이에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 플랫포옴에는 발판 벨트가 배치되어 있고, 그 전방 선단의 저부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 블록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기울기 조절 장치가 두개 대칭적인 조절부재와 신축 자재 로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조절 부재가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외방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선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의 중심이 그 저부 선단 가까운 기둥의 내부표면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의 제1선단이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의 양측과 각기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횡단 비임이 조절부재의 제2선단사이에 고착되고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선단의 저부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발판 플랫포옴의 정지 블록이 횡단 비임에 당접할 수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신축자재 로드에 의해 구동되어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
  2. 제1항에 잇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좌측과 우측 각각은 두개 사이드 바아를 갖추고 있으며, 상부로 연장하는 기둥은 사이드 바아의 전방 선단에 각기 배치되며, 두개 손잡이는 상기 기둥의 상부 선단에 각기 배치되며, 제어패널은 두개 손잡이 사이에 장착되며, 발판벨트는 모우터에 의하여 순환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두개 정지블록은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 선단 저부의 양측에 각기 배치되고, 각 정지블록은 발판 플랫포옴의 후방 선단에 면하는 정지면을 구비하며, 발판 플랫포옴의 중간부분의 저부에는 선회시트가 구비되어 있고, 신축자재 로드의 한 선단은 선회시트와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횡단 비임은 발판 플랫포옴의 정지블록의 정지면에 대응하는 당접면을 구비하고, 당접면에 마주하는 횡단 비임의 타 면은 신축자재 로드의 타 선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선회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두개 지지 레버 각각의 한 선단은 사이드 바아 중 하나의 후방선단과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 레버의 타 선단은 발판 플랫포옴의 중간 부분의 한 측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자재 로드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자재 로드가 웜이고 전원이 양력 모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시트 본체가 발판 플랫포옴의 전방선단 상부면에 배치되며, 기울기 조절장치의 신축자재 로드가 시트본체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고, 나사식 시트가 조절부재의 횡단비임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나사식 시트가 신축자재로드의 일 선단이 나사결합되는 내부 나사공을 갖추고 있고, 상기 신축자재 로드의 타 선단이 회전 휘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 구조.
KR20-2003-0006765U 2003-03-07 2003-03-07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 KR200315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765U KR200315544Y1 (ko) 2003-03-07 2003-03-07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765U KR200315544Y1 (ko) 2003-03-07 2003-03-07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544Y1 true KR200315544Y1 (ko) 2003-06-02

Family

ID=4940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765U KR200315544Y1 (ko) 2003-03-07 2003-03-07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5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159B1 (ko) 트레드밀의 경사조절기구
US6923747B1 (en) Foldable treadmill
JP3734526B2 (ja) 身体障害者を運ぶのに適した動力式装軌車両
US20020147078A1 (en) Treadmill with a supporting unit
US20080070756A1 (en) Adjustable and foldable lightweight treadmill exercise apparatus
JP4297145B2 (ja) 移載装置
AU5653600A (en) Retractable counterweight for straight-boom aerial work platform
JP2009072591A (ja) スタンダップ車いす
WO2007043268A1 (ja) 折り畳み可能な座席昇降式車椅子
US6438769B1 (en) Mobile seat lifting apparatus
US7371039B2 (en) Slat replacement system
US6905443B1 (en) Gradient adjusting structure of a treadmill
KR200315544Y1 (ko) 런닝머신의 기울기 조절구조
JP3135412U (ja) 足踏み式健康器
JP5028348B2 (ja) 揺動型運動装置
RU2297206C2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4802201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ベッド
KR20180093416A (ko) 노약자용 기립 보조의자
US20200188202A1 (en) Stand Assist Device
JP2005040346A (ja) 高さ可動椅子
JP2819110B2 (ja) 座椅子用昇降台及び昇降式座椅子
JPH06284939A (ja) 椅 子
CN216534543U (zh) 一种椅子及其椅架
RU2001123172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дъема по лестничным маршам
JP2005034288A (ja) 姿勢制御式電動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