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526Y1 -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526Y1
KR200315526Y1 KR20-2003-0005970U KR20030005970U KR200315526Y1 KR 200315526 Y1 KR200315526 Y1 KR 200315526Y1 KR 20030005970 U KR20030005970 U KR 20030005970U KR 200315526 Y1 KR200315526 Y1 KR 200315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core
supply unit
co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중열
Original Assignee
(주)하니컴판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니컴판넬 filed Critical (주)하니컴판넬
Priority to KR20-2003-0005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5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내,외장재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강도 및 구조를 갖는 금속제의 복합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코일공급부; 상기 제1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금속판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를 형성시키면서 제1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상부장식판성형부; 상기 제1코일공급부의 제1금속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일공급부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금속판의 하방에서 제2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코일공급부; 상기 제2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금속판을 파형으로 연속 굴곡된 형상의 주름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코어로 형성시키면서 제2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코어성형부; 상기 제2코일공급부의 제2금속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코일공급부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2코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2금속판의 하방에서 제3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3코일공급부; 상기 제3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3금속판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를 형성시키면서 제3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하부장식판성형부; 상기 코어성형부와 상기 하부장식판성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성형부에서 공급되는 코어의 주름의 상단과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부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를 중심으로 상기 각 상부장식판성형부와 하부장식판성형부들에서 형성된 상부장식판과 하부장식판을 상기 코어에 접근시켜 적층시킨 후, 상부장식판, 코어, 하부장식판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가열,가압시키는 접착부; 및 상부장식판, 코어, 하부장식판의 순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복합패널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절단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Manufacturing apparatus of composite panel}
본 고안은 복합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건축용 내,외장재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강도 및 구조를 갖는 금속제의 복합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축조에 있어서, 건물을 내장 및 외장하는 내,외장재의 개발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이고, 일반적인 내,외장재로서 목재의 패널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전판과 후판으로 되는 합판과 이들 전,후판들 사이에 취부되어 전,후판들을 서로 고정시키고, 일정한 형상 및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는 목재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목재패널이 있다. 이는 제조가 용이하고, 재료의 구입 및 가공이 용이하여 대부분 목재패널이 사용될 건물이 소재하는 현장에서 직접 합판과 프레임을 조립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소재 특성상 외장재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단지 내장재로만 사용되어 왔다. 또한, 소재 특성상 가연성이어서 최근에는 건축법 및 소방법 등 관련법규의 규제에 의해 그 사용이 점점 축소되고 있는 형편이다.
한편, 상기한 바의 목재패널의 가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표면을 석고 분말, 규산소다 분말 등의 난연성을 갖는 난연재로 코팅한 석고보드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석고보드들은 대개 제조업자가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하여 공급하며, 사용자가 사용될 건물이 소재하는 현장에서 이들 석고보드들을 적절히 재단하고, 일정 두께를 갖는 벽체 등으로 성형하여 장식벽 등으로 구성하는 내장재로서 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장재 특히 장식벽과 같은 벽체로의 구성시 역시 현장에서 일정 두께를 갖도록 벽체로 성형하여야 하는 불편점이 있으며, 난연재로 코팅되어 있기는 하나, 화염의 전도를 일정시간 억제할 뿐 완전한 불연성을 제공하지는 못하며, 또한 강도에 있어서도 충분치 못한 경우가 있으며, 더욱이 외장재로서의 사용에도 많은 제한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용 내,외장재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강도 및 구조를 갖는 금속제의 복합패널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복합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장식판 12 : 돌부
13 : 요부 21 : 코어
22 : 주름 23 : 정점
31 : 하부장식판 32 : 돌부
33 : 요부
51 : 제1코일공급부 52 : 제1금속판
53 : 상부장식판성형부 61 : 제2코일공급부
62 : 제2금속판 63 : 코어성형부
71 : 접착제도포부 81 : 제3코일공급부
82 : 제3금속판 83 : 하부장식판성형부
91 : 접착부 92 : 히터
93 : 절단부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조장치는, 제1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코일공급부; 상기 제1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금속판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를 형성시키면서 제1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상부장식판성형부; 상기제1코일공급부의 제1금속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일공급부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금속판의 하방에서 제2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코일공급부; 상기 제2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금속판을 파형으로 연속 굴곡된 형상의 주름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코어로 형성시키면서 제2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코어성형부; 상기 제2코일공급부의 제2금속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코일공급부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2코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2금속판의 하방에서 제3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3코일공급부; 상기 제3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3금속판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를 형성시키면서 제3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하부장식판성형부; 상기 코어성형부와 상기 하부장식판성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성형부에서 공급되는 코어의 주름의 상단과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부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를 중심으로 상기 각 상부장식판성형부와 하부장식판성형부들에서 형성된 상부장식판과 하부장식판을 상기 코어에 접근시켜 적층시킨 후, 상부장식판, 코어, 하부장식판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가열,가압시키는 접착부; 및 상부장식판, 코어, 하부장식판의 순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복합패널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절단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부는 80 내지 150℃, 1 내지 2㎏/㎡의 압력을 상기 적층체에 가할 수 있는 가열가능한 로울러로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판들이 벨트컨베이어에 들어가기 직전 170 내지200℃로 예열될 수 있으며, 이는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속도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접착부에서는 단지 가열만으로도 접착공정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조장치는, 제1금속판(52)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코일공급부(51); 상기 제1코일공급부(51)로부터 공급되는 제1금속판(52)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12, 32)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13, 33)를 형성시키면서 제1금속판(52)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상부장식판성형부(53); 상기 제1코일공급부 (51)의 제1금속판(52)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일공급부(51)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공급부(51)에서 공급되는 제1금속판(52)의 하방에서 제2금속판 (62)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코일공급부(61); 상기 제2코일공급부(61)로부터 공급되는 제2금속판(62)을 파형으로 연속 굴곡된 형상의 주름(22)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코어(21)로 형성시키면서 제2금속판(62)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코어성형부(63); 상기 제2코일공급부(61)의 제2금속판(62)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코일공급부(61)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2코일공급부(61)에서 공급되는 제2금속판 (62)의 하방에서 제3금속판(82)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3코일공급부(81); 상기 제3코일공급부(81)로부터 공급되는 제3금속판(82)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12, 32)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13,33)를 형성시키면서 제3금속판(82)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하부장식판성형부 (83); 상기 코어성형부(63)와 상기 하부장식판성형부(8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성형부(63)에서 공급되는 코어(21)의 주름(22)의 상단과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71); 상기 접착제도포부(71)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21)를 중심으로 상기 각 상부장식판성형부(53)와 하부장식판성형부(83)들에서 형성된 상부장식판(11)과 하부장식판(31)을 상기 코어(21)에 접근시켜 적층시킨 후, 상부장식판(11), 코어(21), 하부장식판(31)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가열,가압시키는 접착부(91); 및 상부장식판(11), 코어(21), 하부장식판(31)의 순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복합패널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절단부(9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코일공급부(51)는 금속판을 권취시킨 코일로부터 금속판을 풀어내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금속판을 사용하며, 이를 구분하여 표시하면 제1금속판(52), 제2금속판(62) 및 제3금속판(82)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공급부(51)는 제1금속판(52)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권취된 형태의 코일로부터 금속판을 풀어내어 공급한다. 상기 제2코일공급부(61)와 상기 제3코일공급부(81)들 역시 각각 제2금속판 (62) 및 제3금속판(82)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코일공급부(5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부장식판성형부(53)는 상기 제1코일공급부(51)로부터 공급되는 제1금속판(52)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12, 32)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13, 33)를 형성시키면서 제1금속판(52)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수단으로서, 돌부(12, 32) 및 요부(13, 33)의 성형에는 로울러를 사용하여 가압, 절곡시키는 통상의 냉간압연방법을 사용하는 프레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공급부(61)는 상기 제1코일공급부(51)의 제1금속판(52)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일공급부(51) 이후에 위치한다.
상기 코어성형부(63)는 상기 제2코일공급부(61)로부터 공급되는 제2금속판 (62)을 파형으로 연속 굴곡된 형상의 주름(22)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코어(21)로 형성시키면서 제2금속판(62)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부분이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에서 패널이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코어(21)를 형성하는 주름(22) 역시 로울러를 사용하여 가압, 절곡시키는 통상의 냉간압연방법을 사용상기 하부장식판성형부(83)는 상기 제3코일공급부(81)로부터 공급되는 제3금속판(82)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12, 32)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13, 33)를 형성시키면서 제3금속판(82)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장식판성형부(53)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도포부(71)는 상기 코어성형부(63)와 상기 하부장식판성형부(8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성형부(63)에서 공급되는 코어(21)의 주름(22)의 상단과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롤코팅기, 분말산포기 또는 함침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롤코팅기는 액상의 접착제를 롤에 일차로 묻힌후, 이를 피착체의 표면에 전이시키는 것으로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분말산포기는 분말상으로 된 접착제를 산포하여 접착제를 적용시키는 것이고, 상기 함침기는 액상의 접착제가 담긴 통에 피착체를 담갔다가 꺼내어 접착제를 적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분말산포기나 함침기 역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접착부(91)는 상기 접착제도포부(71)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21)를 중심으로 상기 각 상부장식판성형부(53)와 하부장식판성형부(83)들에서 형성된 상부장식판(11)과 하부장식판(31)을 상기 코어(21)에 접근시켜 적층시킨 후, 상부장식판(11), 코어(21), 하부장식판(31)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가열,가압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상부장식판(11)과 하부장식판(31)을 상기 코어(21)에 접근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자유회전하는 로울러 등에 의해 진행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가열,가압수단은 내장된 히터(92)에 의한 가열이 가능한 프레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가압수단 역시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상기 절단부(93)는 상부장식판(11), 코어(21), 하부장식판(31)의 순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복합패널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수단으로서 통상의 커터 (cutter)가 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91)는 80 내지 150℃, 1 내지 2㎏/㎡의 압력을 상기 적층체에 가할 수 있는 가열가능한 로울러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의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패널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부에 돌부(12, 32)가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13, 33)가 형성된 한 쌍의 장식판(11, 31)과 상기 한 쌍의 장식판(11, 31)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형으로 연속 굴곡된 형상의 주름(22)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코어(21)를 포함하며, 코어(21)의 주름(22)의 상단과 하단이 핫멜트 등과 같은 상용화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장식판(11, 31)들의 각 내측면에 접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장식판(11, 31)들 사이에 파형으로 연속 굴곡된 형상의 주름(22)들을 포함하는 코어(21)가 위치하게 되며, 그에 의해 장식판(11, 31), 코어(21), 장식판(11, 31)의 순으로 적층된 복합패널이 수득된다. 상기 상, 하단의 장식판(11, 31)들은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어(21)는 상기 상, 하단의 장식판(11, 31)들에 접착, 고정되어 이들 장식판(11, 31)들과 함께 견고한 패널을 이루게 된다. 상기 코어(21)는 단위면적당 주름(22)의 개수(피치수)가 많을수록 기계적으로 견고한 복합패널을 제공할 수 있으나, 그에 비례하여 중량이 되어 운반에 노력이 많이 들고, 건물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높아질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주름(22)의 개수(피치수)가 적을수록 경량이 되어 운반에 노력이 많이 적게 들고, 건물의 바닥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낮아질 수 있으나, 기계적으로 덜 견고한 복합패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하고자 하는 복합패널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복합패널의 중량과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21)는 1㎡ 당 7 내지 100개의 주름(2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패널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복합패널의 두께는 6 내지 75㎜의 범위 이내가 될 수 있다. 복합패널의 두께가 6㎜ 미만인 경우, 복합패널의 두께가 너무 얇아 내구성 및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75㎜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두꺼워져서 실용성이 저하되고, 중량 등에 의해 취급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어(21)의 주름(22)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만한 형상으로 굴곡될 수 있으며,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직선화된 평탄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굴곡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은 코어(21)의 주름(22)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름(22)의 형상 및 피치수 등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합패널의 중량과 기계적 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는 반복실험 내지는 경험칙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적절한 주름(22)의 형상 및 피치수 등을 결정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코어(21)의 주름(22)의 방향 또한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판(11, 31)에 형성되는 돌부(12, 32)와 요부(13, 33)를 잇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주름(22)이 형성된 코어(21)가 상기 장식판(11, 31)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판(11, 31)에 형성되는 돌부(12, 32)와 요부(13, 33)를 잇는 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주름(22)이 형성된 코어(21)가 상기 장식판(11, 31)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부(12, 32)와 요부(13, 33)의 형상 및 크기는 연속적인 벽체의 성형 등을 위하여 하나의 복합패널의 상기 돌부(12, 32)가 다른 하나의 복합패널의 상기 요부(13, 33)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돌부(12, 32)와요부(13, 33)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복합패널들은 결합 후,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수의 본 고안에 따른 복합패널들을 그들 중 하나의 돌부(12, 32)를 다른 하나의 복합패널의 요부(13, 33)에 삽입,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인 벽체 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식판(11, 31)은 철판, 알루미늄판, 스테인레스스틸판 등과 같은 통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통상의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상용화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핫멜트 접착제라 함은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해 제조되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60년대에 미합중국 소재 듀폰사(DuPont)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를 최초로 개발함에 따라 공정 자동화를 통한 높은 생산성과 환경친화적 특징, 광범위한 적용가능성, 재접착 가능성 등의 장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이외의 원료로는 내열·내한성 등의 단점을 보완한 폴리아세탈(PA), 폴리에틸렌(PE)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용융점도강하 및 도포시 작업성 향상을 위한 송진(rosin), 탄화수소수지 등의 점착제(Tackifier), 물성조정을 위한 파라핀왁스(Parraffin wax), 미세결정(Micro crystarin), 저분자량 폴리에틸렌(PE) 등의 왁스(Wax), 열안정성 유지 및 점도변화, 색상, 탄화현상 억제 등을 위한 안정화제(Stabilizer), 기타첨가제 등이 핫멜트접착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용 내,외장재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강도 및 구조를 갖는 금속제의 복합패널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제1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코일공급부; 상기 제1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1금속판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를 형성시키면서 제1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상부장식판성형부; 상기 제1코일공급부의 제1금속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코일공급부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1코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금속판의 하방에서 제2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코일공급부; 상기 제2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2금속판을 파형으로 연속 굴곡된 형상의 주름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코어로 형성시키면서 제2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코어성형부; 상기 제2코일공급부의 제2금속판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코일공급부 이후에 위치하며, 상기 제2코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2금속판의 하방에서 제3금속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3코일공급부; 상기 제3코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제3금속판을 그 폭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단부들 중 일측단부에 돌부를, 그리고 대향되는 타측단부에 요부를 형성시키면서 제3금속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하부장식판성형부; 상기 코어성형부와 상기 하부장식판성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어성형부에서 공급되는 코어의 주름의 상단과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상기 접착제도포부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코어를 중심으로 상기 각 상부장식판성형부와 하부장식판성형부들에서 형성된 상부장식판과 하부장식판을 상기 코어에 접근시켜 적층시킨 후, 상부장식판, 코어, 하부장식판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가열,가압시키는 접착부; 및 상부장식판, 코어, 하부장식판의 순으로 적층되어 접착된 복합패널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절단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가 80 내지 150℃, 1 내지 2㎏/㎡의 압력을 상기 적층체에 가할 수 있는 가열가능한 로울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KR20-2003-0005970U 2003-02-28 2003-02-28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KR200315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970U KR200315526Y1 (ko) 2003-02-28 2003-02-28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970U KR200315526Y1 (ko) 2003-02-28 2003-02-28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603A Division KR100637734B1 (ko) 2003-02-28 2003-02-28 복합패널,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526Y1 true KR200315526Y1 (ko) 2003-06-02

Family

ID=4940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970U KR200315526Y1 (ko) 2003-02-28 2003-02-28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5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321B1 (ko) * 2020-04-22 2021-09-13 주식회사 제이콥스 고강도 금속재 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고강도 복합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321B1 (ko) * 2020-04-22 2021-09-13 주식회사 제이콥스 고강도 금속재 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고강도 복합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734B1 (ko) 복합패널,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EP3672770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urved furniture components
JP5808329B2 (ja) ボードを製造する方法
CN111535499A (zh) 一种铝蜂窝墙板及其加工方法
WO2014117620A1 (zh) 一种弹性塑料地板及其制造方法
US2009021803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Components for Furniture, Particularly Doors for Furniture
CN102187039B (zh) 建筑板的制造方法
KR200315526Y1 (ko)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CN112248592A (zh) 防火无机饰面板材及其制作方法
EP0755330B1 (en) A corrugated construction uni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6013505A (zh) 一种可拆卸电暖玻璃墙体及其制造方法
CN205804670U (zh) 一种可拆卸电暖玻璃墙体
RU2664369C1 (ru) Декорированный погонаж многослойной панел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AU2007100101B4 (en) Thermal Wallboard and its Manufacture
KR200315527Y1 (ko) 복합패널
KR19990065077A (ko) 염화 비닐 수지 시트 적층 멜라민 수지 패션 벽 판넬
JP2012087536A (ja) 板状建材及び板状建材の製造方法
RU229606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рофилированной панели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KR20110064412A (ko) 고강도 골판지 제조 방법과 그에 의한 골판지
CN206616697U (zh) 木材装饰墙板
KR20200055629A (ko) 캔버스용 폼 보드 제조방법
JPS6141300B2 (ko)
JPS6028725Y2 (ja) 木端巻き化粧板
JPS6130900B2 (ko)
JPS5914346B2 (ja) 断熱板の連続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4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