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399Y1 - 전원공급용 버스웨이 및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용 버스웨이 및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5399Y1 KR200315399Y1 KR20-2003-0005456U KR20030005456U KR200315399Y1 KR 200315399 Y1 KR200315399 Y1 KR 200315399Y1 KR 20030005456 U KR20030005456 U KR 20030005456U KR 200315399 Y1 KR200315399 Y1 KR 2003153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unit
- power output
- busway
- type
- ph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Landscapes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버스바나 나동선이 절연체에 수평으로 배열되어있고 이절연체가 알미늄 하우징내에 삽입되어있어 연속적으로 단상2선, 3상3선 또는 3상4선(3Phase 4Wires)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개량형 버스웨이와 전원출력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면7의 버스해이 본체(3)와 도면8의 전원출력유니트-A형(4)과 도면15의 전원출력유니트-B형(6)과같이 구조를 개선한 사항으로서 1개의 절연체(32)에 동버스바(33) 4개를 수평으로 구성된 버스웨이 본체(3)와 도면10의 유니트 케이스(41)내에 4개의 동접점단자(42), 전원선(43), 스프링 손잡이(44)로 구성된 전원 출력유니트-A형(4)과 도면15의 전원출력유니트-B형(6) 및 도면14의 고정형 브라켓트(5)로 조립되는 개량형 트랙 버스웨이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원공급용 개방형 트랙 버스웨이(Track Busway)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미늄 및 기타 재료로 제작 된 하우징 (Housing)내에 절연체와 전기 공급을위한 동버스바(Copper busbars) 또는 나동선(Bare Copper Wires)으로 구성된 버스웨이 본체(보통 본체 의 길이는 6m ∼1m단위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함)와 버스웨이 본체로부터 전원을 출력시키기위한 삽입형 전원출력 유니트(Plug-In Unit)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랙 버스웨이(Track Busway)는 첨부된 도면1과같이 버스웨이 본체(1)와 도면2의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2)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스웨이 본체(1)는 하우징(11)내에 절연체(12)와 2∼4개의 동버스바(1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형 전원 출력유니트(2)는 유니트 케이스(21)내에 2∼4개의 동접점단자(22)와 2∼4개의 전원선(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2)는 도면3의 단면도와같이 유니트 케이스(21) 내에 2∼4개의 동접점단자(22)를 2∼4개의 전원선(23)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동접점단자(22)를 지탱하는 스프링(2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니트 케이스(21)에는 케이스 손잡이(210)와 삽입돌기(211)가 있다.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단상2선인경우에는 2개의 동버스바(13), 3상3선인 경우에는 3개의 동버스바(13) 그리고 3상4선인경우에는 4개의 동버스바(13)를 삽입하여 버스웨이 본체(1)를 구성하며 전원출력유니트(2)도 동일한 수량의 동접점단자(22)를 넣어 조립한다.
종래의 버스웨이는 도면4와 도면5에서 볼 수 있듯이 버스웨이 본체(1)에 전원출력유니트(2)를 삽입하기위여 전원출력유니트(2)의 손잡이(210)를 잡고 버스웨이 본체(1)의 개방된 밑부분으로 전원출력유니트(2)를 위로 올려 삽입한다. 삽입후 도면 6에 서 볼수 있듯이 손잡이(21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버스웨이 본체(1)의 4개 의 동버 스바(13)와 전원출력유니트(2)의 4개 동접점단자(22)로 접촉(220)되며 도면3 의 스프 링(24)이 더욱 밀착 접촉하게 한다. 이에따라 버스웨이 본체(1)의 4개 동버스바(13)로 공급된 전원(Electric Power)이 도면3의 4개 전원선(23)으로 전원이 출력하게된다.
그리고 전원출력유니트(2)의 삽입돌기(211)가 버스웨이 본체(1)의 하우징(11)의 밑부분인 삽입홈(110)에 회전 삽입됨으로서 전원출력유니트(2)가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인 버스덕트(Busducts)가 1∼3m 간격의 고정된 위치에서 전원출력탭(Power Tap Unit)을 꼽아 연결하여 전원을 출력시키는 것에비해 트랙 버스웨이는 버스웨이 본체(1)의 어느 위치에서도 개방된 밑부분을 통하여 전원출력유니트(2)를 삽입할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버스웨이 본체(1)는 2개의 절연체(12)에 동버스바(13)가 2개식 양쪽으로 나란이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3상3선 또는 3상4선의 동력전원을 공급할때 동버스바(13)가 위 좌측부분의 절연체(120)에있는 중성 N상 (130)과 A상(131), 우측부분의 절연체(121)에 있는 B상(132), C상(133)이 전원출력 유니트(2)의 우측 동 접점단자(22)의 N상(220)과 A상(221), 좌측 B상(222), C상(223) 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나 손잡이의 안전장치 고장이나 사용자의 실수로 전원출력유니 트(2)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려 삽입 연결할 경우 전기의 상(N, A, B, C)이 서로 바뀌어서(예: 130과 222, 131과 223, 132과 220, 133과 221이 접촉) 전기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버스웨이 본체(1)의 전원입력단자판(End Feed Box)에 3상3선과 3상4선의 전원 연결시에 동버스바(13)의 좌우 위치(좌: 131과 131, 우: 132과 133)를 잘못 선택하여 연결할 경우 전원출력유니트(2)의 삽입 접촉시 전기적인 사고나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버스웨이 제품이 전기사고 및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수 있는 부분을 개선하고 설치 공간을 작고 미려하게 할수있도록 콤펙트하고 버스웨이 본체를 최소화하며 이에따라 제조원가를 다운시킬수 있고, 전원출력유니트의 삽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것이다.
도면 1은 종래의 버스웨이 제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 2는 종래의 버스웨이 제품에 사용되는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3은 종래의 전원출력유니트를 도시한 단면 및 내부 구조도
도면 4는 종래의 버스웨이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5는 종래의 전원출력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6은 종래의 버스웨이 본체와 전원출력유니트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 7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출력유니트(A형)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9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출력유니트(A형)를 도시한 내부구조 및 단면도
도면 1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12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출력유니트(A형)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13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와 전원출력유니트(A형)의 결합을도시한 단면도
도면 1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형 브라켓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출력유니트(B형)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16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와 전원출력유니트(B형)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1
도면 17은 본 고안에 따른 버스웨이 본체와 전원출력유니트(B형)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버스웨이 본체 2. 종래의 전원출력유니트
3. 고안된 버스웨이 본체 4. 고안된 전원출력유니트(A형)
5. 고정형 브라켓트 6. 고안된 전원출력유니트(B형)
11. 하우징(Housing) 12. 절연체
13. 동버스바(Copper Busbars) 21. 유니트 케이스
22. 동접점단자(Copper Terminal) 23. 전원선
31. 하우징 32. 절연체
33. 동버스바 41. 유니트 케이스
42. 동접점단자 43. 전원선
44. 스프링 손잡이 45. 볼트
46. 스프링 50. 걸림판
51. 볼트 52. 넛트
53. 걸림판 받침면 61. 유니트 케이스
본 고안에 따르면, 도면7의 버스웨이 본체(3)와 도면8의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A형(4)과 B형(6)의 구조를 개선한 사항으로서 버스웨이 본체(1)는 하우징 (11)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면7의 하우징(31)과같은 구조로하고 1개의 절연체(32)에2∼4개의 동버스바(33)를 수평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종래에는 절연체(120, 121)를 2중으로 사용한것을 1개의 절연체(32)와 2∼4개의 동버스바(33)로 단상2선, 3상3선, 3상4선의 전원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각의 동버스바(33)의 간격을 절연체(32)의 밑면의 길이를 다르게(320과 321 및 322)함으로서 전원출력유니트-A형(4)이 반대로 잘못 삽입될때도 동접점단자(42)가 각각의 동버스바(33)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수 있도록 하였다.
고안된 버스웨이 본체(3)에서는 동버스바(33)의 사용을 60A 이하의 저전력용으로 사용키위하여 도면9에서와같이 같은 절연체(32)에 나동선(Bare Copper Wires)(34)으로 삽입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고안된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A형(4)은 도면10의 유니트 케이스(41)내에 2∼4개의 동접점단자(42)와 2∼4개의 전원선(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A형(4)은 도면10의 단면도와같이 유니트 케이스(41)내에 동접점단자(42) 4개는 4개의 전원선(43)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동접점단자(42)의 뒤에는 동접점단자(42)가 유연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스프링(46)이 바차주게 되어 있으며 유니트 케이스(41)에는 케이스를 잡고 버스웨이 본체(3)안에 삽입하기위한 스프링 손잡이(44)로 구성 되어있다.
고안된 버스웨이는 도면11과 도면12에서 볼 수 있듯이 버스웨이 본체(3)에 전원출력유니트-A형(4)을 삽입하기위여 전원출력유니트-A형(4)의 스프링 손잡이(441)를 눌러잡고 버스웨이 본체(3)의 개방된 밑부분으로 전원출력유니트-A형(4)을 위로 올려 삽입한다. 삽입후 도면13에서 볼수 있듯이 스프링 손잡이(441)를 밀어 동버스바(33)와 동접점단자(42)가 완전 밀착(420)되도록 한후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 손잡이(44)의 걸림판(440)이 버스웨이 본체(3)의 삽입홈(310)에 걸리게되어 전원출력 유니트-A형(4)이 밑으로 빠지지 않게된다. 또한 도면10의 스프링(46)에의하여 동버스바(33)와 동접점단자(42)가 더욱 밀착 접촉하게 한다. 이에따라 버스웨이 본체(3)각각의 동버스바(33)로 공급된 전원(Electric Power)이 도면13의 4개의 전원선(43)을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도면 11과같이 버스웨이 본체(3) 각각의 동버스바(33)에 3상4선의 공급전원의 상(Phase) 배치도 우측 끝부터 중성 N상(330), A상(331), B상(332) 및 C상(333)으로 함으로서 3상선과 3상4선의 구분을 확실하게 할수있어 도면12의 전원출력유니트-A형(4)이 버스웨이 본체(3)에 삽입접촉시 4개 동접점단자(42)가 각각 N상(420), A상(421), B상(422) 및 C상(423)으로 정화히 접촉되며 전원출력유니트-A형(4)을 반대로 삽입할 경우에 버스웨이 본체(3)의 절연체(32) 홈(320)과 전원출력유니트-A형(4)의 동접점단자(42)가 서로 맞지않아 각각의 동버스바(34)와 동접촉단자(42)가 접촉되지않아 전기적인 사고나 각 전원선(43)의 상(Phase)이 바뀌는 경우가 없도록 하였다.
고안된 버스웨이 본체(3)와 전원출력유니트-A형(4)의 결합방법을 달리하는 새로운 고안제품으로 도면15와같이 전원출력유니트-B형(6)의 모양을 단순하게 하고 도면14와같이 철제품(Steel Plate)의 걸림판(50)과 볼트(51) 및 넛트(52)로 구성된 고정형 브라겟트 (5)를 고안하였다.
새로운 전원출력유니트-B형(6)을 버스웨이 본체(3)에 결합시키기위하여 도면16 결합단면도에서 볼수있듯이 고정형 브라켓트(5)를 버스웨이 본체(3)에 걸친후 이 브라겟트(5)의 걸림판(53)위에 전원출력유니트-B형(6)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도면17 에서와같이 걸림판(53)에 고정된 넛트(52)에 끼어저있는 볼트(51)를 돌 려서 조이면 볼트 밑부분(511)이 버스웨이 본체(3) 하우징(31)의 윗면(311) 을 눌 러서 자연히 고정형 브라켓트(5)의 걸림판(50)이 올라가게되어 전원 출력유니트-B 형(6)의 밑부분(61)도 따라서 걸림판(53)의 및부분(530)에 이끌려 올라가게됨 으로서 전원출력 유니트-B형(6)의 동접촉단자(42)가 버스웨이 본체(3)의 동버스바 (33)와 완 전히 밀착(420)하게되며 이에따라 공급전원이 각 전원선(43)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웨이 본체를 효율적으로 개선함으로서 종래의 버스웨이 제품에서 발생될수 있는 전기적인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였으며 전원출력유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고 다양한 제품과 용도를 갖게큼 하는 효과를 갖어왔다. 또한 종래 제품보다 고안된 제품이 제품을 초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게하고 원가를 절감시키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 연속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개방형 트랙 버스웨이에있어서, 알미늄 또는 기타 재료로 제작된 하우징(31)과 2∼4개의 전기도체를 서로다른 간격으로 수용하여 단상2선, 3상3선 및 3상4선의 전원공급 및 배치가 효율적으로 가능케한 절연체(32) 그리고 2∼4개 동버스바(33) 또는 나동선(34)으로 조립 구성된 버스웨이 본체(3).
- 개방형 트랙 버스웨이 본체(3)에 삽입 가능한 전원출력유니트에 있어서, 프라스틱 및 기타 재료로 제작된 유니트 케이스(41), 2∼4개로 구성하는 동접점단자(42)와 스프링(46), 2∼4개의 전원선(43), 유니트 케이스(41)를 하우징(31)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판(440)과 손잡이(441)를 갖춘 스프링 손잡이(44)로 구성 조립된 전원출력 유니트(A형).
- 프라스틱 및 기타 재료로 제작되고 스프링 손잡이가 없는 유니트 케이스(61), 2∼4개로 구성하는 동접점단자(42)와 스프링(46), 2∼4개의 전원선(43)으로 조립제작되어 제2항의 전원출력유니트(A형)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전원출력유니트(B형)
- 제3항의 전원출력유니트(B형)를 버스웨이 본체(3)에 삽입 고정시키기위해, 스프링 철판 및 기타재료로 제작된 걸림판(50)과 볼트(51) 및 넛트(52)로 구성 조립되어 버스웨이 본체(3)와 전원출력유니트(B형)을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정형 브라켓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5456U KR200315399Y1 (ko) | 2003-02-24 | 2003-02-24 | 전원공급용 버스웨이 및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5456U KR200315399Y1 (ko) | 2003-02-24 | 2003-02-24 | 전원공급용 버스웨이 및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5399Y1 true KR200315399Y1 (ko) | 2003-06-02 |
Family
ID=4940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5456U KR200315399Y1 (ko) | 2003-02-24 | 2003-02-24 | 전원공급용 버스웨이 및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539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5753B1 (ko) * | 2019-02-18 | 2020-04-01 | 윤덕칠 | 버스웨이를 이용한 클린룸 천정 설비실의 전력 공급 라인 설치 방법 |
-
2003
- 2003-02-24 KR KR20-2003-0005456U patent/KR20031539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5753B1 (ko) * | 2019-02-18 | 2020-04-01 | 윤덕칠 | 버스웨이를 이용한 클린룸 천정 설비실의 전력 공급 라인 설치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22478A (en) | Utility structure usable as electrical wiring equipment | |
JPH027152B2 (ko) | ||
US4029378A (en) | Electrified channel with corresponding snap acting connector | |
CN1319231C (zh) | 多相位汇流排系统 | |
CN117559183A (zh) | 移动式轨道插座 | |
RU2467440C2 (ru) | Модульный разъе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 |
GB1447292A (en) | Plug-on circuit breaker mounting device | |
CN107979050B (zh) | 可快速折装的母线槽多路输出电源分接装置 | |
KR20090001609U (ko) | 파워레일 및 접지형 터미널프러그 | |
KR200315399Y1 (ko) | 전원공급용 버스웨이 및 삽입형 전원출력유니트 | |
US7092244B2 (en) | Connection or distributing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 equipment | |
KR20050123064A (ko) | 버스웨이 시스템 | |
CN210607136U (zh) | 一种集成母线系统 | |
HUT66224A (en) | Electrical-energy distribution system | |
CN2211662Y (zh) | 组合式母线绝缘夹 | |
KR100720980B1 (ko) |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 |
KR200412122Y1 (ko) | 버스웨이 시스템 | |
JP2007288963A (ja) | プラグイン分電盤 | |
CZ292225B6 (cs) | Zařízení pro připojení elektrických instalačních přístrojů | |
CN211859242U (zh) | 一种绝缘性好的高低压开关柜 | |
NO319544B1 (no) | Modulaert elektrisk apparat som plugges inn i en isolert distribusjonsblokk | |
CN2242531Y (zh) | 一户一表专用接线盒 | |
CN219659010U (zh) | 通用型汇流排 | |
KR200400489Y1 (ko) |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 |
CN216289383U (zh) | 一种单相汇流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