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948Y1 -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948Y1
KR200314948Y1 KR20-2003-0004116U KR20030004116U KR200314948Y1 KR 200314948 Y1 KR200314948 Y1 KR 200314948Y1 KR 20030004116 U KR20030004116 U KR 20030004116U KR 200314948 Y1 KR200314948 Y1 KR 200314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signal
portable terminal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정밀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정밀전자 filed Critical (주)한국정밀전자
Priority to KR20-2003-0004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하여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위험신호를 전송하여 위험을 알리는 표시하고 경보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위치까지 돌진하여 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여 외부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단말장치; 상기 센서단말장치를 통해 전송된 위험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시설유지보수 작업자가 안전한 환경속에서 작업을 마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ALARMING SYSTEM FOR PROTECTING WORKERS ON THE ROAD}
본 고안은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하여 고속도로나 국도를 다니고 있는 운전자의 부주의나 졸음 운전 등으로 교통안전시설물 미쳐 발견하지 못하고 작업자의 작업위치까지 돌진하여 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사전에 방치하여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통안전시설물은 도로상에서 도로의 복구나 수리시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작업위치 전방에 설치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사전에 작업등이 있음을 감지하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유도하고, 작업자가 안전한 환경속에서 작업을 마쳐 최적의 교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제작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에서는 매년 운전자의 졸음운전이나 부주의로 인하여 미쳐 교통안전시설물을 파악하지 못하고 이를 충돌하여 지나침은 물론 교통안전시설물을 설치하고 작업을 하고 있는 시설유지보수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도로를 관리하고 책임지고 있는 한국도로공사의 경우,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후 작업은 잘 시행되고 있으나, 운전자의 부주의, 졸음운전 등으로 인한 교통안전시설물을 충격하고 이를 지나처 작업자가 작업하는 곳까지 지나처 부상은 물론 사망사고까지 이르고 있어 매년 수십여명의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상의 피해 및 이로 인한 보상시 업무의 비효율화를 가져오는 등 어려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로의 손궤나 시설물 등을 설치하고 보수하기 위해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하여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이 이를 인식하여 서행운전을 유도함과 동시에 운행차량이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에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진동 및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여 안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센서단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신호중계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도 2의 휴대형 단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도 2의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교통안전시설물 10 : 센서단말장치
20 : 신호중계기 30 : 휴대형 단말장치
40 : 차량용 휴대단말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은,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여 외부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단말장치; 상기 센서단말장치를 통해 전송된 위험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시설유지보수 작업자가 안전한 환경속에서 작업을 마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장애가 있을 경우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발생된 정상신호 또는 위험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시켜 해당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도록 중계하는 신호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단말장치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차량으로부터 교통안전시설물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량을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각부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된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생성된 위험을 표시하는 표시신호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신호가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상신호 또는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 및 단방향 및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신호를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 및 위험신호를 포함하는 기능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안테나를 거쳐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에 대한 상태를 체크하여 자가 기능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진동 및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가 진단된 정보의 표시, 무선통신의 상태정보 표시 및 위험신호에 대한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장치의 고장이나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작업차량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 및 위험신호를 포함하는 기능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무선통신부 및 안테나를 거쳐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에 대한 상태를 체크하여 자가 기능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가 진단된 정보의 표시, 무선통신의 상태정보 표시 및 위험신호에 대한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의 본 고안은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된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를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로 전송하여 경보음을 울리도록 함으로써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을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센서단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신호중계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의 휴대형 단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6은도 2의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은 교통안전시설물(5)(예를 들면, 도로표지병, 파킹라바, 차도규제봉, 칼라콘, 라바콘, 휀스, 반사경, 점멸등 등과 같은)에 부착된 센서단말장치(10)와,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감지된 정상신호 및 위험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은 굽어진 도로나 통신음영지역에 설치하여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발생된 위험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되어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 도달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신호중계기(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은 각종 교통안전시설물(5)에 센서단말장치(10)가 부착된 후 차량으로부터 교통안전시설물(5)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이 감지되고, 감지된 충격에 대한 위험신호를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 전송하면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굽어진 도로나 통신음영지역의 경우는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신호중계기(20)를 거쳐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 송신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은 교통안전시설물(5)에 부착된 센서단말장치(10), 중계기(20),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단말장치(10)는 각종 교통안전시설물(5)에 부착되어 있으며, 부착된 교통안전시설물(5)로부터 각종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량에 따른 교통위험신호를 작업자용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작업자의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로 송신하여 작업자 및 작업차량이 안전지대로 대비할 수 있도록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센서단말장치(10)는 전원부(11), 센서부(12), 제어부(13), 표시부(14), 무선통신부(15) 및 안테나(16)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1)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저전력 전원부로 구성하여 동작중일 때 소모전력을 최소화하여 3.3v에서 동작한다. 이때, 최대 10mW를 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11)는 외부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전원인가가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소형 배터리(9v이하)에 의하여 동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소모전력 및 잔류전원을 외부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이 부족할 시 쉽고 용이하게 대체하여 센서단말장치(10)가 항상 정상적으로 동작되게 한다.
상기 센서부(12)는 도로를 이동중인 차량이 운전자의 졸음운전이나 운전부주의 및 미숙으로 교통안전시설물(5)에 차량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위험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센서부(12)에서 발생된 신호를 232C 나 TTL 레벨로체크하여 인식하고, 이를 휴대형 단말기(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 전송되도록 각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14)는 상기 제어부(13)에 인터페이스 되어 상기 센서부(1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상태정보 및 위험상태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는 전원의 온/오프를 인식한 제어부(13)로부터 온/오프 여부를 표시하여 정상적으로 동작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4)는 저저력의 LCD, LED, FND 등을 사용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5)는 저전력 무선통신모듈로 단방향 및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15)는 최저 1200bps이상으로 위험신호를 제어부(13)의 제어에 의해 작업자용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신호중계기(20)는 곡선도로나 통신의 장애요인이 있을 경우 통신거리가 짧아지거나 음영지역이 발생되어 미약한 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시켜 중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신호중계기(20)는 상기 센서단말장치(10)에서 발생된 위험신호를 정상적으로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 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중계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신호중계기(20)는 전원부(21), 무선통신부(22), 제어부(23), 표시부(24) 및 안테나(2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센서단말장치(10)의 전원부(1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22)는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위험신호 등을 수신받아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단말장치(40)로 안테나(25)를 거쳐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3)는 상기 무선통신부 및 안테나를 거쳐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 또는 위험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시킨 후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24)는 상기 제어부(23)와 인터페이스 되어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10)에 자가 진단된 정보의 표시 및 무선통신 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위험신호일 때는 자체 신호음이나 외부에 연결된 경광등이나 비상 싸이렌이 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업자의 휴대형 단말장치(30)는 작업자가 휴대하여 상기 교통안전시설물(5)에 부착된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운전자가 안전부주의, 미숙, 졸음운전 등으로 인하여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교통안전 표시시설물이나 표지판을 추돌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송신하면 송신된 경보신호에 반응하여 진동 및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휴대형 단말장치(30)는 최소형으로 제작되어 작업자의 신체일부에 휴대하며 진동 및 경보음이 발생되면 바로 알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는 외부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20도에서 +70도를 실제 동작온도가 되도록 구현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는전원부(31), 무선통신부(32), 제어부(33), 표시부(34), 안테나(35), 경보음 발생부(36) 및 진동발생부(37)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1)는 센서단말장치(10)의 전원부(1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부(32)는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위험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33)에 전송하고, 상기 교통안전시설물(5)에 센서단말장치(10)를 부착시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 단말장치(40)와 기능 동작이 정상적인지 그 기능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32)는 저전력 무선통신모듈로 단방향 및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최저 1200bps 이상으로 위험신호 및 자가진단 신호를 송수신받아 이를 제어부(33)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전송경로이다. 이때, 상기 주파수대역은 200Mhz 대역이나 400Mhz 대역의 간이 무선국 주파수 대역으로 하고, 대역폭(Bandwith)은 8k이상으로 하며, 출력은 10mW미만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33)는 저저력, 저소모 8비트(bit)이항의 MCU나 MPU를 사용하여 안테나(35) 및 무선통신부(32)를 통하여 수신된 위험신호 및 센서단말장치(10)의 상태를 체크하여 자가 기능진단 및 위험신호를 제어하여 진동 및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는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구비되어 있어 비작업 등 휴지중일 때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전력소모를 관리하게 하며, 후술하는 표시부(34)와 I/F하여 각종 기능동작에 대한 자가진단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센서단말장치(10)와 통신 에러시 에러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34)는 상기 제어부(33)와 인터페이스 되어 자가 진단된 정보의 표시 및 무선통신 상태정보를 표시장치(예를 들면, LCD, LED, FND 등과 같은)에 표시한다.
상기 경보음발생부(36)는 부저 등 신호발생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위험신호에 대한 경보음 발생신호가 제어부(33)로부터 출력되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부저 등의 경보음은 운전자가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소리를 크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발생부(37)는 차량의 작업 및 이동 등으로 부저음을 듣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위험신호에 대한 진동발생신호가 제어부(33)로부터 출력되면 진동이 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진동은 운전자가 위험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의 세기를 크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자의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장치(30)의 고장이나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작업차량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 및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정상동작 또는 위험정보에 따른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는 전원부(41), 무선통신부(42), 제어부(43), 표시부(44), 안테나(45) 및 경보음 발생부(46) 등을 포함하며, 각 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의 전원부(31), 무선통신부(32), 제어부(33), 표시부(34), 안테나(35), 경보음 발생부(46)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상기 센서단말장치(10),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30)의 통신프로토콜을 설명한다.
상기 센서단말장치(10),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에 전원이 온 되었을 시 표 1과 같은 신호를 보내어 정상임이 판단된다.
STX a CRC ETX
여기서, STX는 0x02이고, ETX는 0x03이며, CRC는 STX와 ETX사이의 데이터를 XOR한 값이다. 이때 a는 모든 단말장치를 말한다.
먼저, 센서단말장치(10)에 전원이 온 되었을 경우, 상기 센서단말장치(10)는 시작(start)신호를 휴대형 단말장치(30)로 보내고, 그에 따른 리턴(return)신호를 받아 동작상태 체크신호에 정상적인 반응을 한다. 이때 상기 센서단말장치(10)의 송신신호는 표 2와 같다.
STX s 1 2 3 4 CRC ETX
여기서, S는 시작을 의미하며, 1234는 단말장치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1234의 단말장치 일련번호는 작업인접지역의 단말장치 일련번호나 전체 일련번호로 교통안전시설물(5)이 늘어나면 그 수는 늘어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30)의 송신신호는 표3과같다.
STX r 1 2 3 4 CRC ETX
여기서, r은 리턴(return)을 의미하며, 1234는 단말장치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나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는 1초마다 센서단말장치(10)의 상태를 체크하는 신호를 보낸다. 이때, 교통안전시설물(5)의 설치가 완료될 경우나 시설물의 수가 일정단위이상 넘어갈 경우 그 이상의 경우 센서단말장치(10)와는 상태체크를 중지하고 위험정보가 감지되었을 경우만 감지하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교통안전시설물(5)을 설치할 때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된 센서단말장치(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센서단말장치(10)의 표시부(14)에 표시하여 기능 점검을 하고, 휴대형 단말장치(30)와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의 교신을 통하여 기능이 정상적으로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 또는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의 송신신호는 표 4와 같다.
STX t 1 2 3 4 CRC ETX
여기서, t는 테스트를 의미하며, 1234는 단말장치의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 또는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의 수신신호는 표 5와 같다.
STX g or b 1 2 3 4 CRC ETX
여기서, g는 good이고, b는 bad를 의미하며, 1234는 단말장치의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교통안전시설물(5)에 부착된 센서단말장치(10)의 충돌이 감지된 경우 나타나는 신호는 표 6과 같다.
STX c 1 2 3 4 CRC ETX
여기서, c는 충돌(collision)이며, 이는 충돌되어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통안전시설물 경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센서단말장치(10)는 도로표지병, 파킹라바, 차도규제봉, 칼라본, 라바콘, 휀스, 반사경, 점멸등과 같은 교통안전시설물(5)에 부착되어 차량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에 따라 위험신호에 대한 경보음 발생신호 및 위험을 알리는 표시신호를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는 상기 센서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위험신호에 대한 경보음 발생신호 및 위험을 알리는 표시신호에 따라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표시부(예를 들면, LCD, LED, FND)에 표시되도록 하여 시설유지보수작업자로 하여금 위험상태를 빨리 확인하여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 및 재산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센서단말장치에서 송수신된 위험신호를 각자 보유하고 있는 휴대단말장치나 작업차량단말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경보신호를 즉시에 수신하여 안전지대로 대피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인명 및 재산상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사고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여 비용 절감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고원인분석이 용이하여 사고자와 피사고자의 시시비비를 분명하게 가릴 수 있어 부대비용을 절감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교통안전시설물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통안전시설물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여 외부로 위험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단말장치(10);
    상기 센서단말장치를 통해 전송된 위험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휴대형 단말장치(30)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40)를 포함함으로써 시설유지보수 작업자가 안전한 환경속에서 작업을 마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장애가 있을 경우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발생된 정상신호 또는 위험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소정크기로 증폭시켜 해당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도록 중계하는 신호중계기(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단말장치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
    차량으로부터 교통안전시설물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충격량을 감지하여 위험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12);
    각부의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된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생성된 위험을 표시하는 표시신호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신호가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상신호 또는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부(14); 및
    단방향 및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해당 신호를 휴대형 단말장치 및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장치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 및 위험신호를 포함하는 기능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32);
    상기 무선통신부 및 안테나를 거쳐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에 대한 상태를 체크하여 자가 기능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진동 및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가 진단된 정보의 표시, 무선통신의 상태정보 표시 및 위험신호에 대한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휴대단말장치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장치의 고장이나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작업차량에 부착되어 있으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1);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 및 위험신호를 포함하는 기능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무선통신부(42);
    상기 무선통신부 및 안테나를 거쳐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정상신호에 대한 상태를 체크하여 자가 기능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센서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위험신호에 반응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3);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가 진단된 정보의 표시, 무선통신의 상태정보 표시 및 위험신호에 대한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KR20-2003-0004116U 2003-02-12 2003-02-12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KR200314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116U KR200314948Y1 (ko) 2003-02-12 2003-02-12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116U KR200314948Y1 (ko) 2003-02-12 2003-02-12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856A Division KR100502210B1 (ko) 2003-02-12 2003-02-12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948Y1 true KR200314948Y1 (ko) 2003-06-02

Family

ID=4940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116U KR200314948Y1 (ko) 2003-02-12 2003-02-12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9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97B1 (ko) * 2013-10-24 2015-06-24 삼성중공업(주) 안전 경보 장치 및 안전 경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97B1 (ko) * 2013-10-24 2015-06-24 삼성중공업(주) 안전 경보 장치 및 안전 경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0546B1 (en) Roadway incursion alert system
US69632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afety within a work zone
US7030777B1 (en) Roadway incursion alert system
CN107452231A (zh) 高速公路交通事故现场预警机器人
KR20190056754A (ko) 철도 차량 감지 시스템
KR102053874B1 (ko) 충돌 감지와 충돌 감지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가드레일
KR102035267B1 (ko) 고속 주행 도로에서의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경보시스템
KR100502210B1 (ko)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KR200314948Y1 (ko) 작업자 보호용 경보시스템
NZ239590A (en) Trackside vehicle approach warning with radar sensors
CN102416899B (zh) 电子三角警示器
KR102145481B1 (ko) 열차 감지를 통한 선로 안전지원 시스템
KR20160087937A (ko) 다기능성 스마트 볼라드 및 볼라드 제어 시스템
KR101314237B1 (ko)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210040529A (ko)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JP3189644U (ja) 緊急遠隔通報システム
CN211124379U (zh) 一种移动式红绿灯
KR100264522B1 (ko) 무선송수신기를이용한다용도무선경보장치
CN219731759U (zh) 一种道路轮廓标
KR101387446B1 (ko) 교통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9765751U (zh) 一种便携式交通临时防闯预警系统
JP3228435U (ja) 車両侵入警報システム
CN104282175A (zh) 一种场地车辆防撞人系统
CN110796897A (zh) 一种智能立交桥(隧道)限高限宽防撞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20230132648A (ko) 도로 작업 구역의 작업자 안전확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