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893Y1 - 환풍기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환풍기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893Y1
KR200314893Y1 KR20-2003-0007687U KR20030007687U KR200314893Y1 KR 200314893 Y1 KR200314893 Y1 KR 200314893Y1 KR 20030007687 U KR20030007687 U KR 20030007687U KR 200314893 Y1 KR200314893 Y1 KR 200314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hook
switch
knob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금천
Original Assignee
오금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금천 filed Critical 오금천
Priority to KR20-2003-0007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풍기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 형태의 환풍기용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케이스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작동간의 상.하 이동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와,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스토퍼 및 스토퍼걸이와, 작동간의 상향으로의 이동력을 제공하며, 더불어 작동간이 상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환풍기용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는 내부의 일측편 저부에 노브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노브의 형성 부위와 인접된 부위의 벽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그 상면 및 하면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탄성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노브를 감싸도록 권취된 상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축공에 관통 장착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햐여 길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내향 절곡되며, 작동간은 케이스 본체 내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길게 장착되고, 그 일측편인 노브가 위치되는 측편에는 걸이부를 가지고, 상기 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은 요입된 스토퍼걸이와, 상기 스토퍼걸이의 요입된 부위의 상측면에는 스토퍼걸이의 요입된 부위를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턱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용 스위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환풍기용 스위치{Switch of a ventilation fan}
본 고안은 환풍기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립이 간단하고, 고장이 적은 환풍기용 스위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실내 등의 환풍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며, 환풍기용 스위치는 당김의 반복에 의해 상기 환풍기를 동작 혹은,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한 도 1은 상기한 환풍기용 스위치에 대한 종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 환풍기용 스위치는 케이스 본체(10)와, 고정단자(20) 및 가동단자(30)와, 작동간(40)과, 탄성스토퍼(5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스 본체(10) 내의 일측편 저부에는 스토퍼걸이(11)가 형성되며, 그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작동간(40)을 지지하는 가이드홈(12)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스토퍼걸이(11)는 도면상 그 좌측편이 하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저면은 상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의 타측편 상부를 따라 고정단자(20)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10) 내의 타측편 하부를 따라 가동단자(30)가 장착된다.
이 때, 상기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의 끝단간은 상기 가동단자(30)에 외력 제공이 없는 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40)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태로써 그 일측편 상단측에는 탄성스토퍼(50)의 일단이 장착되는 축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41)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탄성스토퍼(50)의 탈거 방지를 위한 스토퍼걸이(42)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걸이(42)의 하방으로는 상기 탄성스토퍼(50)가 상기 작동간(40)으로부터 임의 높이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돌기(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간(40)의 타측편에는 상기 가동단자(30)를 향하여 돌출된 누름부(4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토퍼(50)는 그 상단이 상기 작동간(40)의 축공(41)을 관통하여 장착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그 하단은 상기 작동간(40)의 두께방향 즉, 케이스 본체(10)의 내벽면을 향하여 절곡되어 스토퍼걸이(11)의 경사면을 원활히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도 2a 및 도 2b는 전술한 종래의 환풍기용 스위치에 대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최초 환풍기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는 도시한 도 2a와 같이 작동간(40)이 상향 이동된 상태로써, 상기 작동간(40)의 누름부가 가동단자(30)를 누른 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작동간(40)의 상단에 연결된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작동간(40)이 상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단자(30)는 고정단자(20)와 이격되며, 전원은 오프(OFF)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환풍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작동간(40)을 하향 이동시킨다면 도시한 도 2b와 같이 상기 작동간(40)에 장착된 탄성스토퍼(50)가 케이스 본체(10) 내에 형성된 스토퍼걸이(11)의 경사면을 타고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스토퍼걸이(11)의 저면에 형성된 요입 부위의 내부에 걸린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작동간(40)의 누름부(44) 역시 상기 작동간(4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단자(30)의 저부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가동단자(30)의 상단은 고정단자(20)와 밀착되어 전원이 온(ON)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면서 동작되는 종래의 환풍기용 스위치는 그 조립을 위한 과정에서 많은 주의를 기울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탄성스토퍼(50)의 양단을 이루는 절곡된 부위가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상하의 장착 위치가 서로 바뀔 경우 그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도 1 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간(40)을 본체(10)의 가이드홈(12)에 조립 시에는 작동간(40)의 축공(41)에 탄성스토퍼(50)의 상부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하여야 하는데, 조립시 본체(10)와 작동간(40)은 대체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탄성스토퍼(50)의 하부 단부가 축공(41)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탈거되는 경향이 있어 조립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 형태의 환풍기용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환풍기용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 는 종래 환풍기용 스위치의 동작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최초 전원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전원을 온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7 및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전원의 온 상태에서 상기 전원을 오프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케이스 본체 111. 노브
112. 축공 113. 가이드홈
120. 고정단자 130. 가동단자
140. 작동간 141. 누름부
142. 걸이부 143. 스토퍼걸이
144. 이탈방지턱 150. 탄성스토퍼
160.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케이스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작동간의 상.하 이동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와,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스토퍼 및 스토퍼걸이와, 작동간의 상향으로의 이동력을 제공하며, 더불어 작동간이 상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환풍기용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는 내부의 일측편 저부에 노브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노브의 형성 부위와 인접된 부위의 벽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그 상면 및 하면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탄성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노브를 감싸도록 권취된 상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축공에 관통 장착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햐여 길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내향 절곡되며,
작동간은 케이스 본체 내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길게 장착되고, 그 일측편인 노브가 위치되는 측편에는 걸이부를 가지고, 상기 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은 요입된 스토퍼걸이와, 상기 스토퍼걸이의 요입된 부위의 상측면에는 스토퍼걸이의 요입된 부위를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턱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환풍기용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방법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된 도 3 내지 도 8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고안의 환풍기용 스위치는 크게 케이스 본체(110)와, 탄성스토퍼(150)와, 고정단자(120) 및 가동단자(130)와, 작동간(140) 그리고, 스프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에 스토퍼걸이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작동간(140)에 스토퍼걸이(143)를 일체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해 각 구성부분의 형상 역시 종래와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은 케이스 본체(110)에 탄성스토퍼(150)를 미리 장착한 상태에서 단지 스토퍼걸이(143)를 가지는 작동간(140)을 장착함으로써 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시 상기 탄성스토퍼(150)의 이탈에 따른 문제점을 완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 본체(110)는 벽면 등지에 고정되며, 그 내부의 일측편 저부에는 노브(111)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축공(112)이 형성되며, 그 상면 및 하면에는 가이드홈(113)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축공(112)은 상기 노브(111)의 형성부위와 인접된 부위의 벽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토퍼(150)는 일단이 상기 노브(111)를 감싸도록 권취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권취된 부위의 끝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축공(112)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탄성스토퍼(150)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의 상부를 향하도록 길게 형성된 상태로 장착되며,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여 형상적인 변경이 발생될 경우 원위치로의 빠른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자(12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내 타측편 상부의 내측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가동단자(130)는 상기 케이스 본체(110)내 타측편 저부의 내측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장착됨과 더불어 그 상측 끝단은 상기 고정단자(120)의 일측 끝단에 인접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가동단자(130)의 끝단은 상기 작동간(1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단자(120)의 끝단과 접촉되도록 일정한 탄력을 가지면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단자(130)의 절곡된 부위는 도면상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후기하는 작동간(140)의 누름부(141)에 의해 눌리워지지 않게 되어 상기 가동단자(130)와 상기 고정단자(120)간이 접촉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140)은 상기 케이스 본체(110) 내의 상기 가이드홈(113)을 관통하여 길게 장착되고, 상기 가동단자(130)가 위치된 일측편의 면상에는 누름부(141)가 상기 가동단자(13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작동간(140)은 그 일측편인 노브(111)가 위치되는 측편에는 걸이부(142)를 가지며, 상기 걸이부(142)에는 상기 탄성스토퍼(150)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도면상 좌측)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은 내향 요입된 스토퍼걸이(1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작동간(140)이 가지는 스토퍼걸이(143)의 하부 끝단은 적어도 상기 탄성스토퍼(150)의 상측 끝단 위치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이는, 상기 탄성스토퍼(150)가 상기 스토퍼걸이(143)의 경사진 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작동간(140)이 가지는 스토퍼걸이(143)의 하부 끝단과 상기 작동간(140)의 내벽면 간은 상기 탄성스토퍼(150)가 충분히 지나갈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간(140)의 걸이부(142) 중 상기 스토퍼걸이(143)의 요입된 부위의 상측면에는 상기 스토퍼걸이(143)의 요입된 부위를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턱(144)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60)은 상기 작동간(14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간(140)이 상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본 고안 환풍기용 스위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최초 환풍기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는 도시한 도 4과 같이 작동간(140)이 상향 이동된 상태이다.
이의 경우, 상기 작동간(140)의 누름부(141)는 가동단자(130)의 상단을 누른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상기 작동간(140)의 상단에 연결된 스프링(160)에 의해 상기 작동간(140)이 상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단자(130)의 상부 끝단은 고정단자(120)와 이격되며, 전원은 오프(OFF)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환풍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작동간(140)을 하향 이동시킨다면 도시한 도 5와 같이 상기 작동간(140)의 걸이부(142)에 형성된 스토퍼걸이(143)의 끝단에 케이스 본체(110) 내에 장착된 탄성스토퍼(150)가 위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작동간(140)의 스토퍼걸이(143)는 상기 탄성스토퍼(150)를 외측으로 벌리면서 점차 하향 이동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작동간(140)이 완전히 하향 이동된다면 도시한 도 6과 같이 상기 스토퍼걸이(143)의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던 탄성스토퍼(150)의 끝단이 상기 스토퍼걸이(143)의 상면에 이르를 경우 자체 탄성에 의해 내측(도면상 우측)을 향하여 복귀되어 상기 작동간(140)에 일체로 형성된 걸이부(142)의 이탈방지턱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140)을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작동간(140)은 그 상단에 연결된 스프링(160)에 의해 상향 이동되지만, 이 경우 상기 작동간(140)의 이탈방지턱(144)에 걸려있던 탄성스토퍼(150)의 상단이 상기 작동간(140)에 형성된 스토퍼걸이(143)의 상면인 요입된 부위 내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간(140)은 더 이상의 상향 이동이 저지된 상태로써 해당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작동간(140)의 타측편에 형성된 누름부(141)는 가동단자(130)의 저부의 하향 경사진 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단자(13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동단자(130)는 상기 작동간(140)의 누름부(141)에 의한 누름 해제가 지속됨과 더불어 그 자체 탄성에 의해 끝단이 고정단자(120)와 접촉됨으로써 전원이 온(ON)되어 환풍기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환풍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재차적으로 작동간(140)을 하향 이동시키면 된다.
즉, 도시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작동간(140)이 하향 이동되면 탄성스토퍼(150)는 상기 스토퍼걸이(143)의 상면인 요입된 부위로부터 이탈되면서 케이스 본체(110) 내에 최초 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 상기 탄성스토퍼(150)는 스토퍼걸이(143)의 하부 끝단과 상기 작동간(140)의 내벽면 간에 형성된 틈새 간격을 통해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작동간(140)을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작동간(140)은 그 상단에 연결된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상향 이동되고, 이의 과정에서 상기 작동간(140)의 측면(도면상 우측면)에 형성된 누름부(141)가 가동단자(130)의 상단을 눌러 상기 가동단자(130)가 고정단자(12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환풍기용 스위치는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를 이루면서 환풍기의 작동이 중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구성에 의해 다음의 각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탄성스토퍼가 케이스 본체내에 장착되기 때문에 작동간을 상기 케이스 본체내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간으로부터 상기 탄성스토퍼가 탈거될 수 있다는 종래의 문제점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탄성스토퍼의 양단 형상이 확연히 틀리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탄성스토퍼의 상.하가 서로 바뀌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전술한 각 효과로 인해 전체적인 제품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케이스의 일측으로 설치되며 작동간의 상.하 이동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와,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스토퍼 및 스토퍼걸이와, 작동간의 상향으로의 이동력을 제공하며, 더불어 작동간이 상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환풍기용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는 내부의 일측편 저부에 노브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노브의 형성 부위와 인접된 부위의 벽면에는 축공이 형성되고, 그 상면 및 하면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탄성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노브를 감싸도록 권취된 상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축공에 관통 장착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햐여 길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내향 절곡되며,
    작동간은 케이스 본체 내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길게 장착되고, 그 일측편인 노브가 위치되는 측편에는 걸이부를 가지고, 상기 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면은 요입된 스토퍼걸이와, 상기 스토퍼걸이의 요입된 부위의 상측면에는 스토퍼걸이의 요입된 부위를 향해 돌출된 이탈방지턱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용 스위치.
KR20-2003-0007687U 2003-03-14 2003-03-14 환풍기용 스위치 KR200314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687U KR200314893Y1 (ko) 2003-03-14 2003-03-14 환풍기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687U KR200314893Y1 (ko) 2003-03-14 2003-03-14 환풍기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893Y1 true KR200314893Y1 (ko) 2003-05-28

Family

ID=4940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687U KR200314893Y1 (ko) 2003-03-14 2003-03-14 환풍기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8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03662A (en) Switch housing retaining means
US4553009A (en) Keyboard switch with pivotal actuator lever
US4354078A (en) Illuminating type push button switch
US3242298A (en) Mounting means for operator of electric switch
KR200314893Y1 (ko) 환풍기용 스위치
JP2008130531A (ja) 押釦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使用したトイレ用壁付けリモコン
US5566819A (en) Push button switch with over center bridge
WO2003005107A3 (de) Gehäuse für eine fernbedienung einer elektrischen anlage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JP5009872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JPH0526652Y2 (ko)
US6768069B1 (en) Micro switch
CA2364942C (en) Switch assembly incorporating contact wedge
US4816631A (en) Slide switch sideways operation adapter
US4361743A (en) Lost motion keyswitch
KR101145822B1 (ko) 환풍기용 스위치
KR200255196Y1 (ko) 안전 스위치
US2974919A (en) Auxiliary mounting means for use with electric switches
KR19990001691A (ko) 오븐버너 점화장치의 스위치 구조
JPH04502Y2 (ko)
JPH0128598Y2 (ko)
KR200439410Y1 (ko) 스프링을 적용한 택트 스위치
KR930005054Y1 (ko) Tv의 파워스위치 노브 고정장치
EP1478000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ical switches
JP2591879Y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