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822B1 - 환풍기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환풍기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822B1
KR101145822B1 KR1020100073598A KR20100073598A KR101145822B1 KR 101145822 B1 KR101145822 B1 KR 101145822B1 KR 1020100073598 A KR1020100073598 A KR 1020100073598A KR 20100073598 A KR20100073598 A KR 20100073598A KR 101145822 B1 KR101145822 B1 KR 10114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witch
operation bar
stopp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629A (ko
Inventor
오금천
Original Assignee
오금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금천 filed Critical 오금천
Priority to KR102010007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8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2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part onl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witch casing for alternate pushing and pu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 일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와,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를 온 오프시키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바를 상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탄성스토퍼와, 상기 작동바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스토퍼의 절곡된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면이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걸이부와, 상기 스토퍼 걸이부의 상부에 스토퍼 걸이부의 요입된 부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환풍기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 영역에 형성되되, 작동바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작동바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풍기용 스위치의 케이스 내부에 이동제한유닛을 설치하여 환풍기용 스위치의 작동바가 좌우로 이동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풍기용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풍기용 스위치 {SWITCH OF VENTILATION FAN}
본 발명은 환풍기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풍기용 스위치의 케이스 내부에 이동제한유닛을 설치하여 환풍기용 스위치의 작동바가 좌우로 이동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는 환풍기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실내 등의 환풍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며, 환풍기용 스위치는 당김의 반복에 의해 환풍기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환풍기(100)에 환풍기용 스위치(2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환풍기용 스위치(200)는 환풍기(100)의 하부 측면 측에 비스듬히 설치된다.
환풍기용 스위치(200)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작동간(미도시)에 줄이 연결되어 있고, 이 줄을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당김에 의해 작동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 단자를 접속시키거나 떨어뜨려 환풍기를 온오프하게 된다.
그러나, 환풍기용 스위치(200)는 환풍기(100)의 하부 측면에 비스듬히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줄을 당기는 방향과 환풍기용 스위치(200)의 작동간이 이동되는 방향이 서로 달라 작동간이 환풍기용 스위치(200)의 좌우로 이동되거나 휘어지게 되어 환풍기용 스위치(200)가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풍기용 스위치의 케이스 내부에 이동제한유닛을 설치하여 환풍기용 스위치의 작동바가 좌우로 이동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는 환풍기용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의 내부 일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와,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를 온 오프시키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바를 상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탄성스토퍼와, 상기 작동바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스토퍼의 절곡된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면이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걸이부와, 상기 스토퍼 걸이부의 상부에 스토퍼 걸이부의 요입된 부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환풍기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 영역에 형성되되, 작동바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작동바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 중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가 설치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환풍기용 스위치의 케이스 내부에 이동제한유닛을 설치하여 환풍기용 스위치의 작동바가 좌우로 이동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풍기용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의 내부 일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단자(220) 및 가동단자(230)와, 케이스(210)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고정단자(220) 및 가동단자(230)를 온오프시키는 작동바(240)와, 작동바(24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바(240)를 상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탄성부재(250)와, 케이스(2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탄성스토퍼(260)와, 작동바(240)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스토퍼(260)의 절곡된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면이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걸이부(241)와, 스토퍼 걸이부(241)의 상부에 스토퍼 걸이부(241)의 요입된 부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42)과, 케이스(210)의 내부 일 영역에 형성되되 작동바(240)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작동바(24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유닛(270)으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형태의 구조체로, 상부 및 하부에 작동바(240)가 끼워지도록 가이드 홈이 천공된다.
또한, 고정단자(220)는 금속제로 형성된 박형 플레이트로, 케이스(210)의 내부 일 측면 하부 측에 설치되되 하단부가 가동단자(230)와의 접속을 위해 케이스(210)의 내부 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가동단자(230)는 고정단자(220)와 동일한 형태의 박형 플레이트로, 케이스(210)의 내부 일 측면 상부 측에 설치되되 상단부가 케이스(210)의 내부 측으로 절곡되고 그 단부가 고정단자(220)의 절곡된 하단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된다. 이때, 가동단자(230)의 단부는 일정한 탄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정단자(220)의 절곡된 하단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작동바(240)는 사각 형태의 바로, 케이스(210)의 상부 및 하부에 천공된 가이드 홈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가동단자(230)가 위치된 측의 측면에는 가동단자(230)를 고정단자(220) 측으로 누르기 위한 돌기가 돌출된다. 그리고, 작동바(24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연결공이 형성되는데, 상부 측 연결공에는 탄성부재(250)이 연결되고, 하부 측 연결공에는 사용자가 당기기 위한 줄(미도시)이 연결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5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프링으로서, 작동바(240)를 항상 상부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또한, 탄성스토퍼(260)는 일단이 원 형태로 감기도록 형성되어 감긴 일단이 케이스(2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케이스(210)의 내부 중앙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여 형상적인 변형이 발생될 경우 원위치로의 빠른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탄성스토퍼(260)의 타단은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이 절곡된 부분이 스토퍼 걸이부(241)에 걸리게 된다.
스토퍼 걸이부(241)는 작동바(240)의 중앙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탄성스토퍼(260)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도 3의 우측 방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부면은 내향 요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스토퍼 걸이부(241)의 하부 끝단은 적어도 탄성스토퍼(260)의 상부 끝단 위치에 비해 도 3의 좌측 방향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탄성스토퍼(260)의 상부로 연장된 부분은 케이스(210)의 내부 면에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211)에 의해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항상 경사지게 위치된다. 이는, 탄성스토퍼(260)의 상단이 스토퍼 걸이부(241)의 경사진 면상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스토퍼 걸이부(241)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입된 부분의 상측에는 요입된 부분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턱(242)이 형성된다.
한편, 이동제한유닛(270)은 케이스(210)의 내부 측면 중 고정단자(220) 및 가동단자(230)가 설치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돌출되는 반원 형상의 돌기로서, 다수로 구비되어 돌출된 상단이 작동바(240)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작동바(240)가 좌우로 이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제한유닛(270)이 반원 형상의 돌기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또는 사각 형상의 돌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바(240)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모든 형상의 돌기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최초 환풍기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는 도 4a와 같이 작동바(240)가 탄성부재(250)에 의해 상향 이동된 상태이다. 이 경우, 작동바(24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가동단자(230)를 누르지 않고 있어, 고정단자(220)와 가동단자(230)가 서로 떨어지게 되어 전원이 차단된다.
환풍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작동바(240)를 하향 이동시키면, 탄성스토퍼(260)의 상단이 스토퍼 걸이부(241)를 따라 이동되고, 작동바(240)가 완전히 하향 이동되면 탄성스토퍼(260)의 상단이 자체 탄성에 의해 도 4b의 좌측으로 이동되어 이탈방지턱(242)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도 4b 참조)
그 후, 작동바(240)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작동바(240)는 그 상단에 연결된 탄성부재(250)에 의해 상향 이동되고 이때, 이탈방지턱(242)에 걸려있던 탄성스토퍼(260)의 상단이 스토퍼 걸이부(241)의 상면 요입된 부분에 안착된다. 따라서, 작동바(240)는 더 이상 상향 이동되지 않고 해당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작동바(24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가동단자(230)를 고정단자(220) 측으로 밀어주어 가동단자(230)와 고정단자(220)를 접속시켜 환풍기를 동작시킨다.(도 4c 참조)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환풍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바(240)를 하향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탄성스토퍼(260)의 상단은 스토퍼 걸이부(241)의 상면 요입된 부분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함께, 작동바(240)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작동바(240)의 상부에 연결된 탄성부재(250)에 의해 작동바(240)는 상향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가동단자(230)의 누름이 해제되어 가동단자(230)와 고정단자(220)가 떨어짐으로써 환풍기의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 환풍기가 동작되거나 정지되는데, 작동바(240)의 상하 이동 방향과 사용자가 작동바(240)를 당기는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반복함에 따라 작동바(240)가 도면상의 좌우로 이동되거나 휘어지게 되어 고정단자(220)와 가동단자(230)의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환풍기용 스위치는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제한유닛(270)이 작동바(240)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작동바(240)의 좌우 이동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 환풍기용 스위치를 사용하더라도 고정단자(220)와 가동단자(230)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환풍기용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환풍기 200 : 환풍기용 스위치
210 : 케이스 211 : 가이드부
220 : 고정단자 230 : 가동단자
240 : 작동바 241 : 스토퍼 걸이부
242 : 이탈방지턱 250 : 탄성부재
260 : 탄성스토퍼 270 : 이동제한유닛

Claims (2)

  1. 케이스의 내부 일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와, 상기 케이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를 온 오프시키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상단에 연결되어 작동바를 상부 측으로 끌어당기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연장된 끝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탄성스토퍼와, 상기 작동바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스토퍼의 절곡된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부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면이 요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걸이부와, 상기 스토퍼 걸이부의 상부에 스토퍼 걸이부의 요입된 부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환풍기용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 영역에 형성되되, 작동바의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작동바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 중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가 설치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돌출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용 스위치.
KR1020100073598A 2010-07-29 2010-07-29 환풍기용 스위치 KR10114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98A KR101145822B1 (ko) 2010-07-29 2010-07-29 환풍기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598A KR101145822B1 (ko) 2010-07-29 2010-07-29 환풍기용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629A KR20120011629A (ko) 2012-02-08
KR101145822B1 true KR101145822B1 (ko) 2012-05-16

Family

ID=4583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598A KR101145822B1 (ko) 2010-07-29 2010-07-29 환풍기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8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59U (ko) * 1998-07-29 2000-02-25 권태완 환풍기용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759U (ko) * 1998-07-29 2000-02-25 권태완 환풍기용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629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7547A1 (zh) 一种具有良好手感的开关
JP2012055689A (ja) スライドレール装置
TWI602993B (zh) Drive
KR102085463B1 (ko) 스위치 장치 구조
KR101145822B1 (ko) 환풍기용 스위치
JP497330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105375338B (zh) 电气设备
EP2908325B1 (en) Electric switch with an actuator
CN105304369A (zh) 按钮开关
CN111095459A (zh) 按键开关
EP2889886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170043649A (ko) 포크-인(poke-in) 와이어 컨택트들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1174826B1 (ko) 파티션 연결구
JP2018041534A (ja) スイッチ装置
US6768069B1 (en) Micro switch
KR20110010056U (ko) 엘리베이터 스위치 장치
US3242281A (en) Switch mechanism for a snap-action switch
JP5608028B2 (ja) 取付枠および配線装置
US6617951B2 (en) Safety switch
KR100666036B1 (ko)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140006558A (ko) 커넥터
KR101891151B1 (ko) 키 버튼 장치
JP6004542B2 (ja) Dinレール取付構造
JP6442604B2 (ja) コンタクトばねおよびクレードルリレー
JP6146659B2 (ja) ペダル装置および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