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504Y1 -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504Y1
KR200314504Y1 KR20-2003-0006947U KR20030006947U KR200314504Y1 KR 200314504 Y1 KR200314504 Y1 KR 200314504Y1 KR 20030006947 U KR20030006947 U KR 20030006947U KR 200314504 Y1 KR200314504 Y1 KR 200314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back plate
fixing devic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20-2003-0006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5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등판과 프레임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30)과 프레임(10)의 연결부는 등판의 젖힘에 따라 변형 및 복원하는 변형복원부재(42)를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4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틸팅장치가 없이 강의용 의자 등에 적용하여 간단히 등판을 젖힐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사용자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a back plate and a frame for chair}
본 고안은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판과 프레임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의용 의자 등은 다리를 이루는 프레임에 수평으로 좌판을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을 후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프레임에 등판을 직접 고정하거나 프레임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이 커넥터에 등판을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1은 종래 의자의 등판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등판(2)은 프레임 또는 프레임에 연결된 커넥터(4)에 직접 접촉하여 고정볼트(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등판 연결부를 가진 종래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등판에 기대더라도 프레임이 등판을 구속하여 변형되지 않게 하므로 등판을 틸팅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등판을 틸팅하기 위해서는 좌판의 하측에 별도의 틸팅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하므로 강의용 의자 등의 간단한 의자에는 틸팅장치를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틸팅장치가 없이 강의용 의자 등에 적용하여 간단히 등판을 젖힐 수 있는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의자의 등판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강의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의 결합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의 작용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의 결합도,
도9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8 : 커넥터
20 : 좌판 30 : 등판
42 : 변형복원부재 44 : 체결부재
46 : 스페이서 48 : 커버
52 : 걸림부재 54 : 베이스부재
56 : 와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는, 의자의 등판과 프레임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과 프레임의 연결부는 등판의 젖힘에 따라 변형 및 복원하는 변형복원부재를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판과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변형복원부재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에는 스페이서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의 내부를 통하여 끼워져 그 머리부가 걸리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등판에는 수용구멍이 형성되고, 변형복원부재는 상기 수용구멍에 내삽되어 등판에 고정된 걸림부재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걸리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강의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강의용 의자는 앞 다리(12)와 뒷 다리(14) 및 수평프레임부(16)로 이루어진 프레임(10)과, 상기 수평프레임부에 고정된 좌판(20)과, 상기 뒷다리(14)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부분에는 등판(30)이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뒷다리(14)의 연장부에는 커넥터(18)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18)의 단부에는 상기 등판(30)이 후술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없이 뒷다리가 더욱 연장되어 이 연장부의 단부에 등판(30)이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및 결합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등판(30)과 커넥터(18)는 등판의 젖힘에 따라 변형 및 복원되는 변형복원부재(42)를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4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등판(30)의 뒷면에는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2)에는 상기 변형복원부재(42)의 일단부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홈(32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2a)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44)가 체결되는 나사구멍(32b)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8)의 일단부는 상기 뒷다리(14)의 상단 연장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18)의 타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변형복원부재(42)의 타단부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홈(18a)이 형성되고 커넥터(18)의 타단부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재(44)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8b)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8b)에는 고무와셔 등을 삽입하여 체결부재(44)가 끼워지게 하여 소음 및 유동성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복원부재(42)는 그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44)가 끼워지는 구멍(42a)을 가진 원통형의 고무부재이다. 상기 변형복원부재(42)는 실리콘이나 유연한 플라스틱재로 이루어 질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재(44)는 접시머리로 된 머리부를 가진 나사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에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판(30)을 뒤로 젖히게 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복원부재(42)가 변형하면서 등판(30)이 기울어지게 되고 체결부재(44)는 그 머리부가 삽입부(18b)내에서 유동하여 변형복원부재(42)의 변형이 방해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등판(30)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변형복원부재(42)의 복원력에 의해 등판(30) 및 변형복원부재(4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7 및 도8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단면도 및 결합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118)의 타단부의 일측에는 스페이서(46)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구멍(118a)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46)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44)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삽입부(46a)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44)는 스페이서(46)의 내부를 통해 끼워져 그 머리부가 걸리며, 상기 체결부재(44)의 머리부를 커버(48)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걸림구멍(118a)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커버(48)가 끼워져 걸리는 턱부(118b)가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 구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장기간 의자를 틸팅할 시에 체결부재(44)가 끼워지는 부분이 마모되면, 스페이서(46)만 갈아 끼우면 되므로 수리가 용이하다.
도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판(230)에는 수용구멍(230a)이 형성되고, 변형복원부재(242)가 상기 수용구멍(230a)에 내삽되어 등판(230)에 고정된 걸림부재(52)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변형복원부재(242)는 돌출된 보스부(54a)를 가진 베이스부재(54)에 끼워져 있으며, 체결부재(244)는 커넥터(218)과 와셔(56) 및 상기 걸림부재(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상기 변형복원부재(242)에 끼워져 상기 보스부(54a)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된다. 등판(230)의 틸팅시 상기 체결부재(244)가 유동하도록 상기 체결부재(244)는 상기 커넥터(218) 및 와셔(56)와 충분히 헐겁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244)는 사각머리이나 육각머리 등으로 된 볼트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52)는 작은나사(58) 등에 의해 상기 등판(230)에 고정된 판재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에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판(230)을 뒤로 젖히게 되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52)와 와셔(56)사이에 이격이 생기면서 체결부재(244)가 유동하여 기울어지는 한편 변형복원부재(242)가 변형하게 된다.
사용자가 등판(230)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변형복원부재(242)의 복원력에 의해 등판(230) 및 변형복원부재(242)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틸팅장치가 없이 강의용 의자 등에 적용하여 간단히 등판을 젖힐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 사용자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의자의 등판과 프레임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과 프레임의 연결부는 등판의 젖힘에 따라 변형 및 복원하는 변형복원부재를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과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변형복원부재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연결부에는 스페이서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의 내부를 통하여 끼워져 그 머리부가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수용구멍이 형성되고,
    변형복원부재는 상기 수용구멍에 내삽되어 등판에 고정된 걸림부재에 의해이탈되지 않게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KR20-2003-0006947U 2003-03-08 2003-03-08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KR200314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947U KR200314504Y1 (ko) 2003-03-08 2003-03-08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947U KR200314504Y1 (ko) 2003-03-08 2003-03-08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504Y1 true KR200314504Y1 (ko) 2003-05-27

Family

ID=4940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947U KR200314504Y1 (ko) 2003-03-08 2003-03-08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5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725B1 (ko) * 2009-12-30 2012-02-16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연결부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725B1 (ko) * 2009-12-30 2012-02-16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등판 연결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673B1 (en) Seat device for a bicycle
US6709060B1 (en) Chair backrest
JP4316748B2 (ja) 椅子
JP2008514285A (ja) 迅速に解放する便座のヒンジ組立体
JP2007289705A (ja) 背もたれ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5803818A (en) Swing
WO2005055769A3 (en) Quaternary spring with tunable suspension
KR101052217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0602635B1 (ko) 전면개폐식 액자 및 전면개폐식 액자용 탄성부재
JP2007301339A (ja) 傾斜角度を変更できる背もたれ付きの椅子
KR200314504Y1 (ko) 의자의 등판 연결부의 고정장치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US6648768B1 (en) Swing assembly with a seat back adjustable between a horizontal position and an inclined position
JP5138251B2 (ja) 椅子への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
KR200404407Y1 (ko) 의자용 등받이 패널 및 등받이 패드의 결합구조
JPH0523101Y2 (ko)
KR101112725B1 (ko) 의자의 등판 연결부 고정장치
JP2007002569A (ja) 洗浄便座一体型便器
KR20030030188A (ko) 데스크에 결합된 절첩의자의 프레임
JPH0523100Y2 (ko)
JPH11206501A (ja) 椅子の座の起立回転装置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KR100499792B1 (ko) 의자
KR20090052434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용 팔 받침대.
KR200252699Y1 (ko) 좌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