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346Y1 -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 Google Patents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346Y1
KR200314346Y1 KR20-2003-0004980U KR20030004980U KR200314346Y1 KR 200314346 Y1 KR200314346 Y1 KR 200314346Y1 KR 20030004980 U KR20030004980 U KR 20030004980U KR 200314346 Y1 KR200314346 Y1 KR 200314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ing
light
cover
interior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곤
Original Assignee
김선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곤 filed Critical 김선곤
Priority to KR20-2003-0004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천정에 부착되는 방등이나 행거등의 조명커버(10)를 빛이 잘 투과되는 투과부(12)와 잘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부(14)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이 투과부(12)를 별이나 달 또는 해를 비롯한 각종 사물이나 심벌의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평면 또는 입체적인 윤곽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램프(20)가 점등된 경우 조명등의 역할을 하면서 조명커버(10)의 투과부(12)와 비투과부(14)의 빛 투과량 차이로 인하여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12)의 윤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실내장식용으로도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일 실시예에서는 조명커버(10)가 동일한 형태의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조명커버(1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결속구(16, 17)가 설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행거등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A Decorative Room lamp}
본 고안은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에 부착되는 방등이나 공중에 매다는 행거등의 조명커버를 빛이 잘 투과되는 투과부와 잘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부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이 투과부를 별이나 달 또는 해를 비롯한 각종 사물이나 심벌의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평면 또는 입체적인 윤곽으로 형성함으로써 내부의 램프가 점등된 경우 조명등의 역할을 하면서 조명커버의 투과부와 비투과부의 빛 투과량 차이로 인하여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의 윤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도록 하여 실내장식용으로도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 주택이나 기타 건물의 실내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조명등, 예를 들면 천정부착형 방등인 천정등, 공중에 매다는 행거등, 벽에 부착하는 벽부등은 그 내부에 설치된 램프의 빛이 그대로 외부로 조사되지 않도록 유리나 아크릴 또는 기타 다양한 재질로 된 반투명 조명커버가 씌워져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조명커버는 통상 구형, 반구형 또는 컵형 또는 원반형태의 단순한 외형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어서 조명을 은은하게 해주는 고유한 기능 외에는 그 외형적인 형태에 의한 단순한 장식기능밖에 발휘할 수 없었다.
또, 기존의 조명등 커버는 내부에 설치된 램프(형광등, PL등 또는 백열전구)가 점등된 경우, 조명커버의 외부에서 볼 때 램프부분은 밝게 보이고 다른 부분은 약간 어둡게 음영이 형성되어 시각적으로도 그리 보기 좋은 상태는 아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기존의 조명커버에 음영이 형성되어 시각적으로 보기 좋지 않았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천정에 부착되는 방등이나 행거등의 조명커버가 빛을 은은하게 하고 확산시켜주는 단순한 조명커버의 기능 외에도 점등시는 물론 비점등시에도 독특한 장식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천정에 부착되는 방등이나 행거등의 조명커버를 빛이 잘 투과되는 투과부와 잘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부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이 투과부를 별을 비롯한 각종 사물의 형상과 모양을 갖도록 평면 또는 입체적인 윤곽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램프가 점등된 경우 조명등의 역할을 하면서 조명커버의 투과부와 비투과부의 빛 투과량 차이로 인하여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의 윤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실내장식용으로도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명등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등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명등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명등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례를 도시한 천정용 조명등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명커버 12 : 투과부
14 : 비투과부 14' : 시트
15 : 클립 16 : 결속구
17 : 결속구 18 : 소켓
19 : 지지구 20 : 램프
22 : 전선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행거식 조명등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등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A - A선및 B - B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조명등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좌,우 한 쌍의 조명커버(10)와, 이 한 쌍의 조명커버(10)내부에 설치되어 램프(20)가 끼워지는 소켓(18)과, 상기 양측 조명커버(10)외곽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스냅단추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결속구(16,17)와, 상기 결속구 (16,17)에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소켓(18)을 조명등 내부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매다는 지지구(1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조명커버(10)는 빛이 상대적으로 잘 투과되는 별모양의 투과부(12)와, 이 투과부(12)의 외측으로 빛이 상기 투과부(12)보다 상대적으로 잘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부(14)의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조명커버(10)내부의 램프(20)가 점등되면 상기 투과부(12)와 비투과부(14)의 빛 투과량 차이로 인하여 외부에서 볼 때 비투과부(14)는 약간 어둡게 보이는 대신 상기 투과부(12)는 밝게 보여 그 윤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도록 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투과부(12)는 비투과부(14)에 대해 입체감을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비투과부(14)의 내면에는 빛이 잘 투과되지 않도록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시트(1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조명커버(10)의 상부측에 위치한 결속구(16,17)의 외측에는 고리형태의 클립(15)이 끼워져 외부로 전선(22)이 배선되더라도 결속구(16,17)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 18'는 소켓너트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행거식 조명등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조명등은 상기 첫 번째 실시 예에서와는 별의 모양 즉, 투과부(12)의 윤곽과 형태만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는 내부구조는 전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 예에 의한 행거식 조명등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 예에 의한 행거식 조명등 또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다만 투과부(12)의 윤곽과 형태 즉, 별의 모양만이 다를 뿐이다.
상기 실시 예들에서는 조명커버(10)에 형성되는 투과부(12)의 형상이 별의 형상으로만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과부(12)를 달(초승달), 해 또는 기타 다양한 사물의 형태나 심벌을 이루도록 하거나 회사의 엠블렘 또는 로고나 캐릭터 등을 입체감 있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례를 도시한 천정등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조명등은 천정에 부착하는 천정등에 적용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통상 아크릴이나 유리재로 이루어지는 천정등의 조명커버(10)에 투과부(12)와 비투과부(14)를 구분하여 형성함으로써 위에서 열거한 실시 예에서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실시 예에 의한 조명커버(10)는 그 제작시 투과부(12)와 비투과부(14)의 두께를 달리하여 빛 투과율이 상호 다르게 되도록 하거나 또는 비투과부 (14)의 내면에 빛이 잘 투과되지 않는 반투명의 시트지를 부착하거나 또는 도색에 의한 방법으로 투과부(12)와 비투과부(14)를 구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조명등 역할을 하면서도 조명등의 조명커버에 투과부와 비투과부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램프가 점등되면 빛 투과량의 차이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된 투과부가 비투과부에 비해 두드러지게 표현되므로 시각적으로 호기심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정에서는 조명등이 실내장식품으로서의 기능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본 고안을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할 경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조명커버에 각종 회사의 엠블렘이나 로고 또는 캐릭터 등을 입체감 있는 윤곽으로 형성하여 이를 매장에 설치할 경우 국부조명등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시선을 끌게 됨으로써 상업적인 홍보효과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천정에 부착되는 방등이나 행거등의 조명커버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10)는 빛이 잘 투과되는 투과부(12)와 잘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부(14)의 이중구조로 형성되어지되, 이 투과부(12)는 각종 사물이나 심벌의 형상과 모양으로 된 윤곽으로 이루어져 조명커버(10)내부의 램프(20)가 점등되면 상기 투과부 (12)와 비투과부(14)의 빛 투과량 차이로 인하여 외부에서 상기 투과부(12)의 윤곽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10)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조명커버(1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결속구(16,17)가 설치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명커버(10)내부에는 램프(20)가 끼워지는 소켓(18)이 상기 결속구(16,17)에 상단이 고정된 지지구(19)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12)는 비투과부(14)에 대해 입체감을 갖도록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6,17)의 외측에는 클립(15)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12)와 비투과부(14)는 반투명체인 조명커버(10)의 그 두께를 달리하는 것에 의해 구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부(14)의 내면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시트(1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KR20-2003-0004980U 2003-02-20 2003-02-20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KR200314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80U KR200314346Y1 (ko) 2003-02-20 2003-02-20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980U KR200314346Y1 (ko) 2003-02-20 2003-02-20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346Y1 true KR200314346Y1 (ko) 2003-05-23

Family

ID=4933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980U KR200314346Y1 (ko) 2003-02-20 2003-02-20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02B1 (ko) * 2010-12-16 2013-02-13 에스엘 주식회사 챠량용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02B1 (ko) * 2010-12-16 2013-02-13 에스엘 주식회사 챠량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CN85203803U (zh) 彩虹灯具
KR200413753Y1 (ko) 천정등
KR200314346Y1 (ko) 실내장식기능을 갖는 조명등
US20050237741A1 (en) Curtain decorated with light ornaments
KR200398985Y1 (ko) 다양한 모양과 색상이 표출되는 전등갓
US20040027827A1 (en) Illuminated fans & light fixtures
KR101642288B1 (ko)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KR100715258B1 (ko) 천정등
KR200281712Y1 (ko) 간접조명용 할로겐조명등
CN215248951U (zh) 一种新型装饰顶
JP3010181U (ja) 取り付け容易なルームランプ用装飾具
JP3138593U (ja) 発光装飾品
US6799866B2 (en) Patterned frame of a lighting string
KR200282540Y1 (ko) 전등갓
KR200333230Y1 (ko) 조명등
US5934785A (en) Structure of a light
CN206929658U (zh) 一种新型智能装饰筒灯
JP2005129426A (ja) 装飾照明装置
KR200285725Y1 (ko) 조명등
KR900010822Y1 (ko) 벽걸이용 조명 지구의
KR200358942Y1 (ko) 크리스탈 돌기가 구비된 조명등 커버
KR200280596Y1 (ko) 다단식 조명등
KR200438366Y1 (ko) 조명장치
KR200291631Y1 (ko) 장식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