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678Y1 -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 Google Patents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678Y1
KR200313678Y1 KR20-2003-0005520U KR20030005520U KR200313678Y1 KR 200313678 Y1 KR200313678 Y1 KR 200313678Y1 KR 20030005520 U KR20030005520 U KR 20030005520U KR 200313678 Y1 KR200313678 Y1 KR 200313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timer
alarm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이
Original Assignee
오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이 filed Critical 오병이
Priority to KR20-2003-0005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4Means for time se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18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introducing delay in the operation of the relay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에 부착되어 조명기구 혹은 각종 전열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텀블러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내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된 실내 조명등용 스위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텀블러스위치의 측면에 텀블러스위치와는 병렬로 타이머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회로를 추가로 구성하고 상기 타이머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세팅한 시각이 되면 자동으로 스위칭회로가 동작하여 실내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스위치 겸용 텀블러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 차단함으로서 조명등을 점멸하는 텀블러스위치부와; 상기 텀블러스위치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미리 예약한 시간을 상시 점검하고 있다가 지정된 시간이 되면 부하스위칭부(트라이액스위치)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차단함으로서, 자동으로 조명등을 점소등하는 타이머스위치부와;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예약된 시간이 되어 조명등이 점등되면 이와 함께 알람(멜로디)을 울리는 알람부와; 상기 타이머부 및 알람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 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 Tumbler switch with timer switch and alarm }
본 고안은 실내의 벽면에 부착되어 조명기구 혹은 각종 전열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텀블러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된 실내 조명등용 스위치를 제작함에 있어서, 텀블러스위치의 측면에 텀블러스위치와는 병렬로 타이머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칭회로를 추가로 구성하고 상기 타이머스위치에 의해 사용자가 세팅한 시각이 되면 자동으로 스위칭회로가 동작하여 실내 조명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스위치 겸용 텀블러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스위치라 하면, 벽면 등에 부착되어 실내의 조명등 등을 점등·소등하는 스위치로서 일명 똑딱이 스위치라고도 불리우는 스위치를 일컫는다. 이 텀블러스위치는 현재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스위치로서 우리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직접 조작하고 있는 가장 친숙하고 흔한 스위치 중의 하나이다. 도1a는 종래의 텀블러 스위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1b는 텀블러스위치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벽면 스위치박스가 개방된 상태도이다.
이러한 텀블러스위치의 기능은 도2의 회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지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서 실내 조명등 혹은 전열기구를 동작시키는 극히 단순한 동작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도2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텀블러스위치의 스위칭회로도이다.
따라서 텀블러스위치는 가장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편리한 스위치이기는 하지만 그 기능이 단순하기 때문에 전원의 공급·차단 외에 별도의 부가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텀블러스위치와는 별도의 장치를 추가로 구성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아울러 주변의 환경이 복잡해지고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도3은 종래의 텀블러스위치의 하단에 별도로 타이머를 부착하고 타이머를 콘센트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도4는 타이머 및 알람기능이 부가된 실내 조명용 스탠드의 구성도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에 설치된 실내 조명등은 주로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된 것이 대부분이며, 이를 점소등하기 위한 스위치는 주로 텀블러스위치로서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 텀블러스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눌러 조작을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까지 이동하여 스위치의 버튼을 온 오프시켜 주어야만 비로소 조명등이 점등 혹은 소등된다. 따라서 이 텀블러스위치는 기능이 간단하여 취급이 편리한 반면 반드시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있어야만 동작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에서 텀블러스위치를 직접 조작하기에는 불편한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취침을 할 때는 보통 텀블러스위치를 조작하여 불을 끄고 잠을 자게 되며 이때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아침에 잠이 덜 깬 상태에서 스위치로 이동하여 불을 켜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따라서 아침 기상시간에 맞추어 불을 켤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지만 텀블러스위치로는 그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알람용 탁상용 시계를 구비해 놓고 있으며, 보통 시계에 부착되어 있는 타이머를 아침 기상시간에 맞추어 놓고 기상시간이 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한 후 취침을 한다. 그리고 아침에 알람이 울리면 이를 듣고 기상을 한다. 시계의 경우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머리맡 등에 가까이 놓고 자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아침 기상시간에 맞추어 시계가 알람을 울리게 되면 이를 정지시키고 더 자는 것이 보통이다. 이때 시계의 알람기능은 일단 알람을 정지시키면 계속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더 이상의 추가 알람은 없게 되어 알람이 울리는 순간에 기상하지 않으면 계속 잠이 들어 늦잠을 자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텀블러스위치의 조작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리모콘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텀블러스위치 혹은 조명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리모콘이 반드시 옆에 있어야만 조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리모콘이 항상 옆에 있는 것이 아니며 어떤 경우는 리모콘을 찾아 조작하는 것 보다 직접 스위치로 조작을 하는 것이 더 편리한 경우가 많다. 또한 설사 리모콘이 옆에 있다고하더라도 어떤 형태로든 리모콘을 조작하여야만 불을 켤 수 있으므로 불편한 점이 많다.
또한 상기와 같은 텀블러스위치의 기능상의 단점(단순한 점멸기능만을 가지고 있음)을 보강하기 위해 알람 및 타이머 기능이 부착된 실내 조명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실내등과는 별도로 상품화되어 판매되는 것으로서 실내에 이미 고정 부착되어 있는 조명장치 외에 조명장치를 추가로 중복해서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추가 부담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으며, 설사 상기 조명장치를 추가로 구입하여 비치한다고 하더라도 아파트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조명장치를 비치할만한 공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공간적인 부담이 가중된다.
본원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벽면에 설치된 스위치박스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텀블러스위치에 타이머 기능이 부가된 타이머스위치를 추가로 형성하는 한편, 동 스위치에 알람(멜로디)기능을 추가함으로서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시간이 되면 타이머스위치가 작동하여 알람을 울림과 동시에 조명등을 자동으로 점등함으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미리 입력된 아침 기상시간에 맞추어 알람과 함께 조명등을 점등할 수 있도록 된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 기능이 부가된 텀블러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점등시간은 가변저항과 콘덴서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기상에 필요한 시간동안만 한시적으로 점등되도록 함으로서 지속적인 점등에 의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필요할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도 전자접점에 의해 강제 소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킴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 텀블러스위치의 사시도
도 1b는 텀블러스위치가 부착되는 벽면 스위치박스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텀블러스위치의 스위칭회로도
도 3은 종래의 텀블러스위치와 타이머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예시도
도 4는 타이머 및 알람기능이 부가된 실내 조명용 스탠드의 구성도
도 5는 본원고안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스위치의 블록도
도 6은 본원고안의 상세회로도
도 7은 본원고안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스위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텀블러스위치 2 : 스위치박스
3 : 상용전원 4 : 조명등
5 : 전원코드삽입홀 6 : 전원선
7 : 볼트구멍 8 : 너트
9 : 배관 10 : PCB
100 : 텀블러스위치 200 : 타이머스위치부
210 : 타이머부 211 : 설정부
211a : 리셋버튼 211b : 설정버튼
211c : 절환버튼 212 : 클럭발생부
213 : 표시부 213a :일시분표시부
213b : 설정시각표시부 220 : 증폭부
230 : 제1스위칭부 240 : 중앙제어부
245 : 강제소등부 246 : LED
250 : 점등시간설정부
260 : 역전압방지부 270 : 콘트롤부
280 : 포토커플러부 285 : 수동스위치부
295 : 잡음제거부 290 : 부하스위칭부
300 : 알람부 310 : 제2스위칭부
320 : 알람발생부 330 : 스피커
400 : 전원부(batt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키 위한 본원고안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 차단함으로서 조명등을 점멸하는 텀블러스위치부(100)와; 상기 텀블러스위치부(100)와 병렬로 연결되며, 미리 예약된 시간을 상시 점검하고 있다가 지정된 시간이 되면 부하스위치부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 차단함으로서 자동으로 조명등을 점등 혹은 소등하는 타이머스위치부(200)와;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예약된 시간이 되어 조명등이 점등되면 이와 함께 알람(멜로디)을 울리는 알람부(300)와; 상기 타이머부 및 알람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스위치부(200)는 다시 사용자가 필요한 시각을 세팅하면 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상시 체크하고 미리 정해진 시각이 되면 클럭을 발생시키는 타이머부(210)와; 상기 타이머부에서 클럭이 발생되면 이를 증폭하는 증폭부(220)와; 상기 증폭부의 증폭신호를 받아 타이머부에 동작 신호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스위칭부(230)와; 상기 제1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신호전원인 DC 9V가 공급되면 점등시간설정부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동작신호전원을 역전압방지부로 전송하는 중앙제어부(240)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동작신호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자동 점등된 조명등을 강제로 소등하는 강제소등부(245)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가변저항 및 콘덴서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중앙제어부를 동작시켜 동작신호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조명등을 소등하는 점등시간설정부(250)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동작신호전원을 콘트롤부로 중계하고 역전압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전압방지부(260)와; 상기 역전압방지부를 거쳐 전달된 신호를 받아 포토커플러를 동작시키는 콘트롤부(270)와; 상기 콘트롤부의 동작에 따라 부하신호스위칭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커플러(280)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스위칭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도통시키는) 트라이액스위치로 구성된 부하스위칭부(290)와; 상용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제거부(29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람부(300)는 다시 중앙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알람신호를 스위칭하는제2스위칭부(310)와; 상기 제2스위칭부가 스위칭되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320)와; 상기 알람발생부의 동작에 따라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3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400)는 DC 9V의 건전지를 동작전원으로 하여 설계되었으나 이는 고정불변은 아니며, 수은전지 등을 활용할 경우 표시부의 사용전원을 저압(1.5V)로 변경함으로서 동작전원을 4.5V까지 낮출 수 있다. 또 이 동작 전원은 타이머스위치부와 알람부의 동작전원으로도 활용된다.
상기 타이머부(210)는 다시 시각을 설정하는 설정부(211)와; 설정된 시각에 맞추어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212)와; 설정된 시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부(211)는 다시 세팅된 시각을 지우거나 입력하는 리셋버튼(211a)과;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시와 분을 up-down 시키는 설정버튼(211b)과; 설정하기 위한 시와 분을 절환하기 위한 절환버튼(211c)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213)는 다시 현재의 일시분을 표시하는 일시분표시부(213a)와; 설정된 시각을 표시하는 설정시각표시부(213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토커플러(280)에는 병렬로 수동스위치부(285)를 형성하여 필요할 경우 텀블러스위치를 대신하여 전자접점에 의해 조명등을 점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원고안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7은 본원고안이 실시된 타이머스위칭 기능이 부가된 텀블러스위치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설정부(211)의 리셋버튼(211a)을 누르면 표시부(213)의 설정표시부(213b)의 동작이 중지되면서 초기화를 위한 대기상태로 된다. 다음 사용자가 절환버튼(211c)을 누르면 설정표시부(213b)의 시설정표시부(미도시)가 초기화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설정버튼(211b)를 누르면 숫자가 업다운되면서 설정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시가 설정되면 사용자는 리셋버튼(211a)를 눌러 시의 세팅을 완료한다. 다음 절환버튼(211c)를 누르면 설정표시부(213b)의 분표시설정부(미도시)가 초기화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설정버튼(211b)를 눌러 숫자를 업다운시키면서 원하는 분을 설정한다. 다음 원하는 분이 설정되면 리셋버튼(211a)를 눌러 분의 세팅을 완료한다. 상기 분의 세팅이 완료됨과 동시에 시각설정이 모두 종료되면서 설정표시부(213b)가 점멸을 개시한다.
한편 상기 시각설정의 종료와 함께 클럭발생부(212)는 현재시각을 나타내는 시각표시부(213a)와 설정시각을 비교하여 설정시각이 완성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상기 체크의 결과 설정시각이 완성(도달)되면 클럭발생부(212)는 일정한 간격의 클럭을 발생하며, 동 클럭신호를 증폭부(220)로 출력한다. 상기 증폭부(212)는 타이머부로부터 수신된 클럭신호를 증폭하여 제1스위칭부(230)로 보내고 상기 증폭된 클럭신호를 수신한 제1스위칭부(230)는 즉시 전원부(400)에서 공급되는 동작신호전원(9V)을 스위칭하여 중앙제어부(240)로 공급한다. 상기 동작신호전원을 받은 중앙제어부(240)는 수신한 신호를 역전압방지부(260)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동 신호를 점등시간설정부(250) 및 알람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역전압방지부(260)로 수신된 동작신호전원은 콘트롤부(270)로 출력되며, 다이오드로 구성된 역전압방지부(260)는 상기 수동스위치부(285)를 통해 역전압이 중앙제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콘트롤부(270)의 동작에 의해 동작신호전원(9V)이 포토커플러(280)의 약전단으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부하스위칭부(290)의 회로를 폐회로로 구성하면서 상용전원을 스위칭하여 부하등(조명등)을 점등시킨다. 한편 부하스위칭부(290)와 병렬로 잡음제거부(295)를 형성하여 부하전원(상용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에 의해 타이머회로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240)는 역전압방지부(260)로 동작신호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점등시간설정부(250)로 동 신호를 출력하여 점등시간설정부(250)를 동작시킨다. 상기 점등시간설정부(25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변저항과 콘덴서로 구성된다. 점등시간은 상기 저항 및 콘덴서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설정되며 사용자는 상기 가변저항을 증감시켜 점등설정시간을 조정한다. 점등시간설정부(250)는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조명등이 점등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중앙제어부(240)는 역전압방지부(260)로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조명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킴으로서 불필요하게 장시간 조명등이 점등됨으로 인해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강제소등부(245)와 병렬로 강제소등부의 역접점을 활용하여 LED(246)를 부설함으로서 강제소등부(245)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LED가 점등(혹은 소등)되도록 하여 강제소등부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제어부(240)는 역전압방지부(260)로 동작신호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알람부(300)로도 동작신호전원을 출력하며, 알람부((300)의 제2스위칭부(310)는 알람발생부(320)로 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알람발생부(320)에 동작전원(9V)를 공급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받은 알람부(320)는 스피커(330)를 통해서 알람(멜로디)을 발생하여 조명등의 점등과 함께 청각적으로 기상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중앙제어부(240)는 IC555를 일실시예로 사용한 모델로서 타이머의 설정기능을 겸하고 있으며, 동 제어부의 8번 및 4번 접점(미도시) 사이에 스위치를 결합하고 동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이머스위칭 동작에 의해 점등된 조명등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강제 소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한다.
상기 전원부에 사용되는 바테리는 고정된 것은 아니나, 9V 단일의 건전지, 혹은 수은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형 변압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는 스위치박스의 크기에 따라 외형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되면 충분하다. 즉 본원고안에서 사용되는 타이머스위치부의 전력소모는 극히 미약하므로 전기적으로는 상기 전원부의 내용을 결정할 필요는 없고 다만 외형적인 요소만을 고려하면 중분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원고안에 의하면,
실내의 벽면에 형성된 기존의 텀블러스위치 박스에 텀블러스위치와 함께 타이머 및 알람장치를 함께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이머 혹은 알람기능이 부가된 별도의 조명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기존의 실내 조명등 및 조명용 배선회로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등을 간단히 점소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필요한 실내 조명등 및 제어장치의 중복설치에 따른 경제적 지출을 최소화할 수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실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아침 기상시간에 맞추어 점등되고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동안만 점등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명등에 의해 철저한 시간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생활을 보다 짜임새 있게 하는 효가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 차단함으로서 조명등을 점멸하는 텀블러스위치부(100)와; 상기 텀블러스위치부(100)와 병렬로 연결되며, 미리 예약된 시간을 상시 점검하고 있다가 지정된 시간이 되면 부하스위치부를 동작시켜 전원을 공급 차단함으로서 자동으로 조명등을 점등 혹은 소등하는 타이머스위치부(200)와;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예약된 시간이 되어 조명등이 점등되면 이와 함께 알람(멜로디)을 울리는 알람부(300)와; 상기 타이머부 및 알람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 기능이 부가된 텀블러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타이머스위치부(200)는 다시 사용자가 필요한 시각을 세팅하면 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상시 체크하고 미리 정해진 시각이 되면 클럭을 발생시키는 타이머부(210)와; 상기 타이머부에서 클럭이 발생되면 이를 증폭하는 증폭부(220)와; 상기 증폭부의 증폭신호를 받아 타이머부에 동작 신호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하는 제1스위칭부(230)와; 상기 제1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동작신호전원인 DC 9V가 공급되면 점등시간설정부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동작신호전원을 역전압방지부로 전송하는 중앙제어부(240)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동작신호 전원을 차단함으로서자동 점등된 조명등을 강제로 소등하는 강제소등부(245)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가변저항 및 콘덴서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중앙제어부를 동작시켜 동작신호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조명등을 소등하는 점등시간설정부(250)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동작신호전원을 콘트롤부로 중계하고 역전압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전압방지부(260)와; 상기 역전압방지부를 거쳐 전달된 신호를 받아 포토커플러를 동작시키는 콘트롤부(270)와; 상기 콘트롤부의 동작에 따라 부하신호스위칭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포토커플러(280)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스위칭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도통시키는) 트라이액스위치로 구성된 부하스위칭부(290)와; 상용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잡음제거부(29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 기능이 부가된 텀블러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300)는 중앙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알람신호를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310)와; 상기 제2스위칭부가 스위칭되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320)와; 상기 알람발생부의 동작에 따라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3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 기능이 부가된 텀블러스위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커플러(280)에는 병렬로 수동스위치부(285)를 형성하여 필요할 경우 텀블러스위치를 대신하여 전자접점에 의해 조명등을 점등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 기능이 부가된 텀블러스위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부(210)는 다시 시각을 설정하는 설정부(211)와; 설정된 시각에 맞추어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212)와; 설정된 시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13)로 구성되고,
    상기 설정부(211)는 다시 세팅된 시각을 지우거나 입력하는 리셋버튼(211a)과;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시와 분을 up-down 시키는 설정버튼(211b)과; 설정하기 위한 시와 분을 절환하기 위한 절환버튼(211c)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213)는 다시 현재의 일시분을 표시하는 일시분표시부(213a)와; 설정된 시각을 표시하는 설정시각표시부(213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 기능이 부가된 텀블러스위치.
KR20-2003-0005520U 2003-02-25 2003-02-25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KR200313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20U KR200313678Y1 (ko) 2003-02-25 2003-02-25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520U KR200313678Y1 (ko) 2003-02-25 2003-02-25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678Y1 true KR200313678Y1 (ko) 2003-05-22

Family

ID=4933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520U KR200313678Y1 (ko) 2003-02-25 2003-02-25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6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352B1 (ko) * 2013-11-18 2015-03-13 조경군 음성안내장치를 갖춘 전기 배선기구
KR101502353B1 (ko) * 2013-11-19 2015-03-13 조경군 음성안내장치를 갖춘 전기 배선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352B1 (ko) * 2013-11-18 2015-03-13 조경군 음성안내장치를 갖춘 전기 배선기구
KR101502353B1 (ko) * 2013-11-19 2015-03-13 조경군 음성안내장치를 갖춘 전기 배선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9931C (zh) 具有光控制功能的开关
WO2009138021A1 (zh) 一种新型太阳能无线音响系统
KR200313678Y1 (ko) 타이머스위치 및 알람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스위치
WO2007136213A1 (en) Electric outlet device
JP2001210479A (ja) 赤外線式電力供給スイッチ
JP2002177165A (ja) 手乾燥装置
KR20080001016U (ko) 타이머스위치 겸용 텀블러스위치
CN105307347A (zh) 一种基于gps的灯具控制系统
CN206076646U (zh) 一种智能定时电源控制器
KR100762476B1 (ko) 조도에 따라서 동작하는 절전형 콘센트
KR920006642Y1 (ko) 취침 음향 실내조명등
KR100354704B1 (ko) 시계와 스피커가 부착된 에너지 절약형 실내등
JP2002078035A (ja) 照明器具とテレビの電源制御装置付目覚まし時計
KR100312794B1 (ko)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KR200342252Y1 (ko) 알람기능과 음악 기타 소리방송기능을 갖는 베개
KR20050111475A (ko) 인체 감지를 통한 에너지 절약방법 및 그 장치
CN217500446U (zh) 一种智慧公厕及其管理系统
CN220556641U (zh) 倒计时自动断电安全插座
JP2695181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20006643Y1 (ko) 침실의 조명장치용 음향 발생유니트
KR200423226Y1 (ko) 조명 장치
KR0126943Y1 (ko) 시간예약기능을 갖는 조명스탠드
KR200368737Y1 (ko) 외부 조도에 따라 전원 출력이 단락되는 콘센트
JP2008014952A (ja) 赤外線式電力供給スイッチ
KR200217927Y1 (ko)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