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133Y1 - 앨범 대지 - Google Patents

앨범 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133Y1
KR200313133Y1 KR20-2003-0002299U KR20030002299U KR200313133Y1 KR 200313133 Y1 KR200313133 Y1 KR 200313133Y1 KR 20030002299 U KR20030002299 U KR 20030002299U KR 200313133 Y1 KR200313133 Y1 KR 200313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adhesiv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
Original Assignee
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 filed Critical 김동
Priority to KR20-2003-0002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앨범 대지 본체에 사진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점착제층을 형성시킨 대지 본체의 표면에 사진을 부착하고 그 외부를 간지로 보호하도록 하여서 된 앨범대지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형성시키는 점착제층을 점착력이 큰 점착제로 형성시키어 점착제층이 대지의 표면적을 점유하는 비율을 감소시키어, 사진을 부착한 앨범 대지의 여백에 설명 등의 메모를 할 수 있게 하며, 앨범 대지 본체의 표면부에 설치하는 간지는 그 표면에 이형제층을 형성시키되, 이형제층을 형성시킨 간지의 표면을 망상의 돌조가 형성된 로울러로 압착하여 간지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간지의 돌출 표면적을 감소시켜 간지가 앨범 대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하여 간지를 포함한 앨범 대지가 환경친화적인 종이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앨범 대지{Pasteboard for Album}
본 고안은, 앨범 대지 본체의 표면에 간지를 설치하여서 된 앨범 대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앨범 대지 본체에 사진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점착제층을 형성시킨 대지의 표면에 사진 등의 기록물을 부착하고 그 외부를 간지로 덮도록 하여서 된 이른 바, 자착식 앨범대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착식 앨범에 있어서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앨범의 표면에 사진을 붙이고 그 외부를 투명의 커버로 덮으면, 투명한 커버를 통하여 사진을 감상할 수 있어, 사진의 탈부착과 사진의 감상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착식 앨범은 그 대지에 점착제가 조밀하게 도포되어 있어 사진을 부착하고 나서 그 주위에 여백이 있다 하더라도 이에 글씨를 쓰는 일을 생각할 수 없었으며 또한 커버가 투명한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서 커버에 글씨를 쓰는 일 또한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자착식 앨범은 커버가 앨범대지의 각면에 설치됨으로 앨범의 제조원가가 높고, 그 재질이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서 이를 폐기하는 경우 환경을 훼손하는 결점도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앨범 대지 본체에 사진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점착제층을 형성시킨 대지 본체의 표면에 사진을 부착하고 그 외부를 간지로 덮도록 하여서 된 소위 자착식 앨범대지를 형성시키되, 본체에 형성시키는 점착제층이 대지의 표면적을 점유하는 비율을 감소시키어, 사진을 부착한 앨범 대지의 여백에 설명 등의 메모를 할 수 있게 하며, 앨범 대지 본체의 표면부에 설치하는 간지는 그 표면에 이형제층을 형성시키되, 이형제층을 형성시킨 간지의 표면을 망상의 돌조가 형성된 로울러로 압착하여 간지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간지의 돌출 표면적을 감소시켜 간지가 앨범 대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하여 간지를 종이로도 형성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앨범 대지가 환경친화적인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하고, 각각의 앨범대지 사이에 하나의 간지만을 설치시킴으로써 앨범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앨범 대지를 분리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간지를 발췌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앨범대지본체 2. 간지
11. 점착제층 21. 이형제층
22. 요홈부
본 고안은, 앨범 대지 본체(1)에 사진, 복사지, 신문, 잡지 기타 기록물(가)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11)을 형성시키고 점착제층(11)을 형성시킨 대지 본체(1)의 표면에 사진 등의 기록물(가)을 부착하고 그 외부를 간지(2)로 덮도록 하여서 된 소위 자착식 앨범대지를 형성시키되, 본체(1)에 형성시키는 점착제층(11)이 대지의 표면적을 점유하는 비율을 감소시키게 하는 것을 제1의 요소로 한다.
본체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점착제층(11)은 첫째, 이에 부착하는 사진 등의 기록물(가)을 견고히 잡아주어야 하며, 둘째, 그 위에 덮는 간지(2) 또한 이를 굳건히 부착시켜야 하고, 셋째로, 사진을 교체하기 위하여는 사진이나 간지가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지 본체(1) 표면에 형성시키는 점착제층(11)을 평행한 선의 모양으로 비교적 촘촘히 인쇄하여 형성시켜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앨범 대지 본체는 점착제의 도포 부위가 조밀하여 사진을 부착하고 난 여백에 글씨를 쓰기가 불편하였고, 그리하여 아예 종래의 자착식 앨범에 있어서는 사진 첩부 여백에 글씨를 쓰는 일이 예상되지 아니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사진 등의 기록물이나 간지를 점착하기 위한 점착제를 도포하되 그 도포 면적을 감소시켜 사진 첩부 여백에 글씨를 쓰는 일이 가능하게 하였는 바, 이러한 일은 비교적 강력한 점착력을 가진 점착제의 선택으로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본 고안의 대지 본체를 구성시키기 위한 점착제로서 EZ-7022(상품명; 주식회사 내쇼날 스타치, 충남 천안시 성남면 용원리 258-6)을 선택하고, 이를 대지 표면적의 2∼7% 면적에 도포하여 대지를 형성시킴으로써 사진 등을 첩부한 여백에 메모를 할 수 있게 됨을 알았다. 점착제의 점착 강도가 큰 경우 점착제의 도포 면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점착제를 대지 본체에 도포하는 형태는, 선형의 점착제층 인쇄 또는 점이나 원반모양의 점착제층 인쇄 중 어느 것이나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점착제층(11)은 사진을 첩부하는 외에 간지(2) 또한 이를 부착하여야 함으로 사진 첩부 위치 외의 위치에도 도포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종래의 자착식 앨범과 동일하다.
종래에 있어서는, 자착식 앨범의 경우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비교적 미약하여 사진을 첨착하여 부착하는 능력이 부족함으로, 사진을 부착하고 난 후 그 위를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커버를 설치하지 않으면 첩부한 사진이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와 같이, 그 점착제의 점착력이 강하게 되면 사진 등의 첩부물이 이탈되지 아니하여 투명한 커버의 부착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단지 점착제층(11)의 보호를 위한 간지(2)를 필요로 하게 될 뿐이다.
그리고, 앨범 대지 본체(1)의 표면부에 설치하는 간지(2)는 그 표면에 이형제층(21)을 형성시키되, 이형제층(21)을 형성시킨 간지(2)의 표면은 이를 망상의 돌조가 형성된 로울러로 압착하여 간지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부(22)를 형성시킴으로써 간지(2)의 돌출 표면적을 감소시켜 간지(2)가 앨범 대지 본체(1)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지(2)가 점착제층(11)에 부착되어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오직 용이한 박리가 더욱 바람직한 일이다. 종이에 이형제층(21)을 형성시키는 기술은 이미 공지의 것이므로 여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된 본 고안의 앨범용 대지는 본체(1)로부터 간지(2)를 이탈시키고, 사진 등의 기록물(가)을 부착시킨 후, 사진 첩부 여백에 설명문 등 임의의 내용을 메모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체(1)의 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11)의 표면적이 적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점착제층(11)을 피하여 글씨를 쓰는 일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점착제층(11)의 표면적이 적어 점착제층(11)에 걸쳐서도 글씨를 쓸 수 있게 된다.
사진을 부착하고 난 여백의 점착제층(11)은 간지(2)에 의하여 보호된다. 이러한 간지(2)는 비록 그것을 반투명의 종이로 형성시키더라도 사진 등의 기록물(가)을 감상하는 경우, 간지(2)를 제키고 감상하게된다. 이는 투명한 필름으로 된 커버를 씌운 종래의 자착식 앨범과 구별되는 중요한 차이이다. 본 고안의 경우에 있어서는, 간지(2)를 제키더라도 사진이 이탈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간지(2)를 종이로 형성시켜 앨범을 폐기할 경우 재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생분해가 용이하여 자연을 훼손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지의 설치매수를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앨범 대지 본체(1)에 사진(가)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층(11)을 형성시키고 점착제층(11)을 형성시킨 대지 본체(1)의 표면에 사진(가)을 부착하고 그 외부를 간지(2)로 덮도록 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본체(1)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점착제층(11)을 대지 본체(1) 표면적의 2∼7%에 도포하여 형성시키고, 앨범 대지 본체(1)의 표면부에 설치하는 간지(2)는 그 표면에 이형제층(21)을 형성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대지.
  2. 제1항에 있어서, 이형제층(21)을 형성시킨 간지(2)는 그 표면을 망상의 돌조가 형성된 로울러로 압착하여 간지(2)의 표면에 다수의 요홈부(22)를 형성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대지.
KR20-2003-0002299U 2003-01-24 2003-01-24 앨범 대지 KR200313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99U KR200313133Y1 (ko) 2003-01-24 2003-01-24 앨범 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99U KR200313133Y1 (ko) 2003-01-24 2003-01-24 앨범 대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56A Division KR100565149B1 (ko) 2002-07-18 2003-01-23 앨범 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133Y1 true KR200313133Y1 (ko) 2003-05-16

Family

ID=4940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299U KR200313133Y1 (ko) 2003-01-24 2003-01-24 앨범 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1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9624B1 (en) Card with removable stickers
KR100565149B1 (ko) 앨범 대지
JP2007182483A (ja) 鑑識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痕跡採取方法
JP2007168388A (ja) スタンプ印、スタンプ用台木およびスタンプ印セット
US20030077413A1 (en) Transparent adhesive note sheet
KR200313133Y1 (ko) 앨범 대지
JP2003122258A (ja) 粘着ラベル類
JP2007008095A (ja) 隠蔽ラベル付き申込ハガキ
US20140212615A1 (en) Multi-layered multiple-label printable composite form
US20020159816A1 (en) Document protection and display assembly
US20060003131A1 (en) Printed self-adhesive photo sheet
JP4629516B2 (ja) 配送伝票
JP4417425B1 (ja) 伝票用シート
KR200393079Y1 (ko) 사진 앨범
JP2010043285A (ja)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テープ
JP3147095U (ja) 写真書類等の掲示固定具
AU667814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hod of manufacture and apparatus for re-writable devices
CN217651139U (zh) 一种强化型复合不干胶条结构
CN214984317U (zh) 一种可活页保存的拓印纸
JP3131206U (ja)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テープ
JP3121848U (ja) メモ帳
KR200168176Y1 (ko) 앨범대지
US20140145424A1 (en) Form for Duplex Card
JP5245387B2 (ja) 配送伝票
US20100119758A1 (en) Personalizable removable self-adhesive film product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utiliz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8

Year of fee payment: 4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