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844Y1 -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 Google Patents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2844Y1 KR200312844Y1 KR20-2003-0005227U KR20030005227U KR200312844Y1 KR 200312844 Y1 KR200312844 Y1 KR 200312844Y1 KR 20030005227 U KR20030005227 U KR 20030005227U KR 200312844 Y1 KR200312844 Y1 KR 20031284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n
- chain
- coupled
- shaft
- pulle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05—Non electric hybrid systems, e.g. comprising mechanical and/or hydraulic and/or pneumatic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운기로부터 동력을 안정되게 전달받아 땅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으로, 경운기 축(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210)와, 상기 구동기어(210)와 체인(220)을 통하여 결합되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어(230)와, 상기 체인(220)의 외측에 맞물려 결합되어 체인(220)의 이동에 따라 체인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동기어(240)와, 상기 피동기어(240)가 결합된 축(250)의 타단에 결합되어 피동기어(240)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구동풀리(260)와, 상기 구동풀리(260)와 벨트(270)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25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동풀리(290)와, 상기 피동풀리(29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체인컨베이어(320)를 구동시키는 피동풀리 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경운기로부터 동력을 안정되게 전달받아 땅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에 관한 것이다.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땅속작물을 수확하는 수확기는 통상 경운기의 후미에 연결되어, 경운기의 이동에 따라 같이 이동하며 땅속작물을 파내고 경운기의 동력에 따라 구동되는 체인컨베이어를 통하여 땅속작물을 후미로 이동시켜 한곳에 모아수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땅속작물 수확기(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7395호)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전면에는 채취판(2)이 연결되고 후면에는 바퀴(7)가 유착된 양 기판(1)에 지지판(3)과 각도조절판(4)이 고정되며 양 지지판(3)은 연결대(6)가 고정된 지지대(5)와 연결되고, 지지대(5)에 고정된 축받이(8)에는 풀리(10)가 축(11)으로 유착되며, 풀리(10)와 축(14)의 풀리(12)는 벨트(17)를 통하여 연결되고, 기판(1)에 유착된 축(13)과 풀리(12)의 축(14)에는 롤러(15)(16)가 고정되고, 이 롤러(15)(16)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간이 고정된 체인컨베이어(18)가 구비되고, 풀리(10)의 축(11)과 경운기(20)의 축(21)에는 프랜지(22)(22')가 죄임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프랜지(22)(22')에는 체인기어(9)(9')가 볼트(24)(24')로 고정되어 체인(25)을 통하여 연결되며, 경운기(20)에는 체인(2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스프링(26)이 볼트(27)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확기는 연결대(6)를 경운기(20)의 후미에 연결하고, 풀리(10)의 축(11)을 경운기(20)의 축(21)과 체인기어(9)(9') 및 체인(25)을 통하여 연동시켜 회전시키면 축(11)에 고정된 풀리(10)와 벨트(17)로 연결된 풀리(12)의 회전에 의하여 풀리(12)의 축(14)은 회전하게 되고, 축(14)의 회전에 의하여 롤러(15)(16)에 감긴 체인컨베이어(18)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경운기(20)의 이동에 의해 채취판(2)에 의하여 채취되는 농작물은 상기 체인컨베이어(18)의 이송간에 의하여 후미로 이동됨으로써 농작물이 수확되었다.
이러한 종래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경운기 축(21) -> 체인기어(9') -> 체인(25) -> 체인기어(9) -> 풀리 축(11) -> 풀리(10) -> 벨트(17) -> 풀리(12) -> 풀리 축(14) -> 롤러(16)(15) -> 체인컨베이어(18)
상기의 동력전달과정 중 풀리(10)(12) 사이에 연결된 벨트(17)는 중간이 교차되어 풀리(10)와 풀리(12)의 회전력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체인컨베이어(18)의 회전방향이 경운기 축(21)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이 되어야 채취판(2)으로부터 채취되는 농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경운기 축(2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은 풀리(10)까지 일정방향으로 전달되다가 벨트(12)에 의해 회전력이 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 이후 체인컨베이어(18)에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동력전달구조는 동력전달과정 중 회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변환되기 위하여 풀리(10)(12)에 결합되는 벨트(17)를 교차되게 걸어주어야 했기 때문에, 벨트(17)의 교차점이 분리되어 회전되기 위하여 벨트(17)의 교차점을 분리시키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였으며, 동력전달과정에 있어 벨트(17)의 꼬임이 발생되어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운기의 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벨트의 꼬임 없이 원활하게 수확기의 체인컨베이어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는 경운기의 후미에 결합되고 경운기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땅속작물을 채취하고 수집하여 수확하는 땅속 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에 있어서, 경운기 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체인을 통하여 결합되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어와, 상기 체인의 외측에 맞물려 결합되어 체인의 이동에 따라 체인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가 결합된 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피동기어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동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체인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피동풀리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력조절기어는 체인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수확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의 장공을 따라 위치가 가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가 경운기에 결합된 전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배면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운기 110 : 경운기 축
200 : 수확기 본체 210 : 구동기어
220 : 체인 230 : 장력조절기어
231 : 장력조절기어 축 232 : 조절나사
235 : 브라켓 236 : 장공
240 : 피동기어 250 : 구동풀리 축
255 : 지지부재 260 : 구동풀리
270 : 벨트 280 : 장력조절롤러
281 : 조절나사 285 : 브라켓
290 : 피동풀리 300 : 피동풀리 축
310 : 롤러 320 : 체인컨베이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적용된 땅속작물 수확기는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수확기와 마찬가지로 경운기에 연결대를 통하여 결합되며, 경운기의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상기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종래 기술 등과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가 경운기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정면 및 배면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는 경운기 축(110)에 결합되는 구동기어(210)와, 상기 구동기어(210)와 체인(220)을 통하여 연결되는 장력조절기어(230)와, 상기 구동기어(210)와 장력조절기어(230)에 결합된 체인(220)의 이동에 의해 구동되는 피동기어(240)와, 상기 피동기어(240)의 동력을 전달받는 축(250)의 타단에 결합된 구동풀리(260)와, 상기 구동풀리(260)와 벨트(270)를 통하여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풀리(290)와, 상기 피동풀리(290)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체인컨베이어(320)에 전달하는 피동풀리 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기어(210)는 경운기 축(110)과 일체로 결합되어 경운기 축(110)의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구동기어(210)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경운기 축(1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프랜지 등의 수단을 통하여 경운기 축(110)에 결합될 수도 있는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경운기 축(110)과 결합된다.
상기 장력조절기어(230)는 체인(220)을 통하여 구동기어(21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이 장력조절기어(230)는 구동기어(210)와 결합되는 체인(220)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력조절기어(230)는 체인(220)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수확기 본체(200)의 브라켓(235)에 위치가 가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장력조절기어(230)는 축(231)에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231)과 베어링을 통하여 결합되고, 이 장력조절기어 축(231)은 브라켓(235)에 양측에 형성된 장공(236)을 통과하여 브라켓(235)의 상하를 관통하는 조절나사(232)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232)의 조임과 풀림에 따른 이동에 따라 축(231)과 장력조절기어(230)가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장력조절기어(230)가 상하로 이동되면 장력조절기어(230)에 연결된 체인(220)도 상하로 이동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된 피동기어(240)에 맞물리는 체인(220)의 장력이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235)의 장공(236) 및 조절나사(232)는 상하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소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장력조절기어(230)가 체인(220)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동기어(240)는 체인(2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외측 상부에서체인(220)과 결합되어 체인(220)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피동기어(240)는 상기 체인(220)의 홈과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맞물리는 바퀴에 의해 회전되게 되는데, 이 피동기어(240)의 회전방향은 체인(2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구동기어(2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장력조절기어(230) 및 체인(220)이 회전하게 되지만 이 체인(220)에 맞물리는 피동기어(240)는 상기 체인(2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력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풀리(260)는 피동기어(240)가 일단에 결합된 축(25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피동기어(240)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축(250)을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되게 된다. 상기 피동기어(240)와 구동풀리(260)가 양단에 결합되는 축(250)은 수확기 본체(200)의 지지부재(25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260)는 벨트(270)를 통하여 피동풀리(29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피동풀리(290)에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풀리(260)와 피동풀리(290)에 결합되는 벨트(270)는 교차점이 형성되지 않아 구동풀리(260)의 회전방향이 피동풀리(290)에 동일하게 전달되며, 이에 따라 벨트(270)의 꼬임이 발생되지 않아 원활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벨트(270)는 장력조절롤러(280)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데, 이 장력조절롤러(280)는 벨트(270)를 압박하며 벨트(27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벨트(270)의 장력 및 이동(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장력조절롤러(280)는 수확기 본체(200)의 브라켓(285)에 형성된 장공(286)을 따라조절나사(286)에 의해 가변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동풀리(290)의 회전력은 피동풀리(290)가 일단에 결합된 피동풀리 축(300)에 전달되고, 피동풀리 축(300)은 롤러(310)를 통하여 회전력을 체인컨베이어(320)에 전달함으로써 체인컨베이어(320)가 회전 구동되게 된다.
상기의 구조와 동작을 수행하는 본 고안의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경운기 축(110) -> 구동기어(210) -> 체인(220) -> 피동기어(240) -> 구동풀리 축(250) -> 구동풀리(260) -> 벨트(270) -> 피동풀리(290) -> 피동풀리
축(300) -> 롤러(310) -> 체인컨베이어(320)
상기의 동력전달과정 중 체인(220)과 피동기어(240)가 서로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피동기어(240)의 회전방향이 체인(22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형성된다. 즉, 경운기 축(1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은 구동기어(210)와 체인(220) 및 장력조절기어(230)에 동일한 방향으로 전달되다가, 피동기어(240)에 의해 회전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후 체인컨베이어(320)까지 그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체인컨베이어(320)의 회전방향이 경운기 축(110)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이 되어 채취판으로부터 채취되는 농작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는 경운기 축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체인기어, 체인, 피동기어, 축, 구동풀리, 벨트, 피동풀리, 피동풀리 축을 거쳐 체인컨베이어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경로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 중 벨트의 교차점이 발생되지 않아 벨트의 꼬임을 방지하여 동력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경운기의 후미에 결합되고 경운기 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땅속작물을 채취하고 수집하여 수확하는 땅속 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에 있어서,경운기 축(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축(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210)와, 상기 구동기어(210)와 체인(220)을 통하여 결합되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어(230)와, 상기 체인(220)의 외측에 맞물려 결합되어 체인(220)의 이동에 따라 체인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동기어(240)와, 상기 피동기어(240)가 결합된 축(250)의 타단에 결합되어 피동기어(240)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구동풀리(260)와, 상기 구동풀리(260)와 벨트(270)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25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동풀리(290)와, 상기 피동풀리(29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체인컨베이어(320)를 구동시키는 피동풀리 축(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기어(230)는체인(220)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수확기 본체(200)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235)의 장공(236)을 따라 조절나사(232)에 의해 위치가 가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5227U KR200312844Y1 (ko) | 2003-02-21 | 2003-02-21 |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5227U KR200312844Y1 (ko) | 2003-02-21 | 2003-02-21 |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2844Y1 true KR200312844Y1 (ko) | 2003-05-16 |
Family
ID=4940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5227U KR200312844Y1 (ko) | 2003-02-21 | 2003-02-21 |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284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55352A (zh) * | 2020-12-17 | 2021-04-16 | 孙和慧 | 一种手持式湿土地用辅助花生秧拔取装置 |
KR102309475B1 (ko) * | 2021-06-16 | 2021-10-07 | 윤태욱 | 수확기용 장력 조절장치 |
-
2003
- 2003-02-21 KR KR20-2003-0005227U patent/KR20031284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55352A (zh) * | 2020-12-17 | 2021-04-16 | 孙和慧 | 一种手持式湿土地用辅助花生秧拔取装置 |
KR102309475B1 (ko) * | 2021-06-16 | 2021-10-07 | 윤태욱 | 수확기용 장력 조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67686B1 (en) | Tensioner for header of a harvester | |
US6666007B2 (en) | Hydro-mechanical variable speed feeder/header drive for an agricultural combine | |
US20080283364A1 (en) | Extendable conveyor system | |
EP1849349A1 (en) | Dual belt drive for an agricultural header | |
US20040231309A1 (en) | Crop lifter auger for a crop intake assembly | |
CN104541751B (zh) | 水稻小麦联合收割机 | |
KR200312844Y1 (ko) | 땅속작물 수확기의 동력전달구조 | |
KR200200092Y1 (ko) | 농산물 채취기 | |
KR200200096Y1 (ko) | 농산물 채취기 | |
US9554515B1 (en) | Belt pickup with drive system | |
JP3105184B2 (ja) | 根茎収穫機 | |
CN108432440A (zh) | 一种自走式中间收获四驱大蒜收获机 | |
JP2000152713A (ja) | 自脱型コンバインの豆類収穫装置 | |
KR200237395Y1 (ko) | 농산물 채취기의 전동장치 | |
KR101185158B1 (ko) | 경운기 부착용 작물 채굴기 | |
JPH0728826Y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 |
US20040244353A1 (en) | Beet Harvester apparatus | |
KR200207007Y1 (ko) | 농산물 채취기 | |
JP3386741B2 (ja) | 根菜類の掘り取り機における根菜類搬送機 | |
JP3071741B2 (ja) | 球葱収穫機 | |
JP3547331B2 (ja) | 作物収穫機 | |
KR0131851Y1 (ko) | 농산물 채취기 | |
KR200421285Y1 (ko) | 경운기 부착용 작물 채굴기 | |
JP2914913B2 (ja) | 収穫機 | |
JP2914912B2 (ja) | 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