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744Y1 -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744Y1
KR200312744Y1 KR20-2003-0002696U KR20030002696U KR200312744Y1 KR 200312744 Y1 KR200312744 Y1 KR 200312744Y1 KR 20030002696 U KR20030002696 U KR 20030002696U KR 200312744 Y1 KR200312744 Y1 KR 200312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reathing
pad
contain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열
정대연
Original Assignee
정광열
정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열, 정대연 filed Critical 정광열
Priority to KR20-2003-0002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7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 공기와의 상대적인 밀도차에 의해 승온시킬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복수의 필터를 가진 공기 정화부재;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라인에 의해 상기 용기의 유출구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를 가진 호흡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Portable respiratory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 온도로 승온시킴과 동시에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 물질을 필터링한 상태에서 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호흡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자동차의 매연이나 공장 지역의 매연 등으로 인한 대기 오염이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기 오염은 노약자나 어린이 심지어 건강한 성인에게까지 호흡기 질환 등을 발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오염 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무실 또는 가정에는 공기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여 깨끗한 공기로 정화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가 비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공기 정화장치는 공간이 제한된 실내에서만 그 효능을 발휘할 뿐,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임의의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노인이나 고혈압 환자들은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겨울철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노인들은 인체의 저항력이 떨어져 실내,외 온도차가 심한 겨울철에 뇌졸증이나 협심증과 같은 심혈 관계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 이는 갑자기 찬 공기를 호흡하게 되면 뇌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상승하면서 심하면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높은 혈압이 찬 공기에 노출됨으로써 심장이 쥐어 짜듯이 아프다가 갑자기 의식을 잃는 심근 경색증이나 가슴이 답답하고 다리가 붓는 울혈성 심부전증, 신장이 제 기능을 상실하는 신부전증, 뚜렷한 원인 없이 손발이 저리는 말초신경염 등이 발병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외부 활동 중 대기 중에 함유된 오염 물질에 의해 발병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노인 또는 고혈압 환자들의 경우 찬 공기에 의해 발병될 수 있는 심혈 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 온도로 승온시킴과 동시에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 물질 및 수분을 필터링한 상태에서 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호흡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410... 공기 정화부재 111,211,411... 용기
112,412... 필터 130,330,430,530... 호흡부재
131,331... 본체 132,332,432... 호흡구
133,333... 공기 흡입라인 134,334... 흡기구
135,335... 배기구 136... 흡입밸브
137... 배기밸브 140,240... 거치부재
141... 걸이구 241... 연결구
242... 벨트 360... 마스크부재
361... 마스크 패드 570... 산소 탱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는, 소정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 공기와의 상대적인 밀도차에 의해 승온시킬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복수의 필터를 가진 공기 정화부재;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라인에 의해 용기의 유출구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를 가진 호흡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는, 소정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소정 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해 공기의 유동 경로를 지그재그 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다수의 유도 플레이트가 서로 교호되게 배치된 용기와, 상기 유동 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된 복수의 필터를 가진 공기 정화부재;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라인에 의해 용기의 유출구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를 가진 호흡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을 함습하고 있는 필터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살균하기 위한 카본층으로 이루어진 필터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근접되게 설치된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이 함습되며, 상기 제1패드에 근접되게 설치된 제2패드; 및 상기 제2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살균시키기 위해, 상기 유출구에 근접되게 설치된 제3패드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근접되게 배치된 한 쌍의 유도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이함습되며, 상기 용기의 중간 지점에 설치된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제2패드; 및 상기 제2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살균시키기 위해, 상기 유출구에 근접되게 배치된 한 쌍의 유도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3패드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제2패드에 함습된 수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흡부재는: 상기 호흡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코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 정화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는 흡기구와, 상기 호흡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 흡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호흡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흡기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기구에 설치된 흡입 밸브;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 배기구를 폐쇄시키고, 상기 호흡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배기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 밸브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는, 상기 공기 정화부재를 신체의 일부분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는, 상기 호흡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스크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는, 소정 압력으로 압축된 산소가 저장되며, 유출구를 통해 소정량의 산소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에 개폐밸브가 설치된 산소 탱크; 및 상기 산소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산소를 코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라인에 의해 상기 산소 탱크의 유출구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를 가진 호흡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라인은 일단이 상기 호흡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상기 산소 탱크의 유출구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산소 탱크의 유출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상기 타단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에 따르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 온도로 승온시킴과 동시에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 물질을 필터링한 상태에서 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호흡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 활동 중 대기 오염으로 인해 발병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노인 또는 고혈압 환자들의 경우 찬 공기에 의해 발병될 수 있는 심혈 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100)는 소정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소정 온도로 승온시킴과 동시에 공기에 함유된 오염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공기 정화부재(110)와, 공기 정화부재(110)에 대해 소정 흡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공기 정화부재(110)에 의해 필터링되고 승온된 공기를 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호흡할 수 있는 호흡부재(130)와, 공기 정화부재(110)를 신체의 일부분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재(140)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 정화부재(110)는, 외부 공기가 소정 흡입력에 의해 유출입될 수 있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마련된 용기(111)와, 용기(1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시키기 위해 용기(111) 내에 설치된 복수의 필터(112)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111)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케이스(113)와, 케이스(113)의 상단을 폐쇄시키기 위해 케이스(1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18)와, 도어(118)에 의해 케이스(113)의 상단이 폐쇄된 상태에서케이스(113)의 상단을 완전 밀폐시킬 수 있는 패킹부재(115)와, 도어(118)를 케이스(113)에 대해 로킹 또는 언로킹시킬 수 있는 도어록(114)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용기(111)는 외부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적이 제한된 내부 공간을 가지므로, 용기(1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 공기와의 상대적인 밀도 차에 의해 소정 온도로 승온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케이스(113)는 소정 폭, 높이, 및 길이를 가진 사각 케이스의 구조로서, 소정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19)와, 유입구(11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호흡부재(130)로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116)가 형성된다. 케이스(113)에는 필터(112)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홈(117)이 내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유입구(119)와 유출구(116)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케이스(113)는 투명 또는 반 투명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P.E.T소재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상기 케이스(113)는 사각 형상의 케이스 외에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케이스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118)는 케이스(113)의 상단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13)의 길이 방향측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어(118)의 하단에는 케이스(113)에 설치된 필터(1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고정홈(117)이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13)에 도어(118)를 설치한 이유는 케이스(113)의 상단을 자유자재로 개폐시킴으로써, 케이스(113)에 고정된 필터(112)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록(114)은 걸림 돌기(121)를 가지고 도어(118)의 가장자리 부분에일체로 형성된 결착구(122)와, 결착구(122)의 걸림 돌기(121)가 선택적으로 결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113)에 마련된 결착홈(123)을 구비한다.
상기 패킹부재(115)는 도어(118)에 의해 케이스(113)의 상단이 폐쇄될 때, 케이스(113)의 상단과 도어(118)의 접촉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패킹부재(115)는 케이스(113)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패킹홈(124)과, 케이스(113)의 상단 테두리에 상응하는 도어(118)의 하단 테두리에 설치되며, 패킹홈(124)에 선택적으로 형합될 수 있는 고무 패킹(125)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112)는 소정 흡입력에 의해 용기(1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112)는 케이스(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117)에 서랍식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된다. 필터(112)는 용기(111)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 공간 바람직하게는, 4개의 독립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용기(111)의 내부 공간에 대해 유입구(119)와 유출구(116) 사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1,2,3패드(126-128)를 구비한다.
상기 제1패드(126)는 공기와 함께 용기(1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구성되며, 유입구(119)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패드(127)는 제1패드(126)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이 함습된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구성되며, 제1패드(126)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3패드(128)는 제2패드(127)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살균시킬 수 있는 다층의 카본층으로 구성되며, 유출구(116)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상기 호흡부재(130)는 외부 공기를 용기(111)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용기(111)의 내부 공간에서 소정 온도로 승온되고 필터(112)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인체의 코를 통해 호흡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호흡부재(130)는 공기 정화부재(110)를 거친 공기를 코를 통해 흡입하고, 코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본체(131)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31)는 용기(111)의 내부 공간과 상호 연통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바람직하게 코와 윗 입술 사이의 인중에 위치될 수 있도록 코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다. 본체(131)는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132)와, 공기 흡입라인(133)에 의해 용기(111)의 유출구(116)에 연결되는 흡기구(134)와, 호흡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는 배기구(135)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호흡구(132)는 상측 종단부가 굽어져 코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본체(13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34)에는 공기 흡입라인(133)을 통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그 흡기구(134)를 개방시키고, 호흡구(132)를 통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그 흡기구(134)를 폐쇄시킬 수 있는 흡입밸브(136)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밸브(136)는 코의 흡입력에 의해본체(131)의 내부 공간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반 구조의 게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배기구(135)에는 공기 흡입라인(133)을 통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그 배기구(135)를 폐쇄시키고, 호흡구(132)를 통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그 배기구(135)를 개방시킬 수 있는 배기밸브(137)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기밸브(137)는 호흡구(13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원반 구조의 게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재(140)는 공기 정화부재(110)의 용기(111)를 신체의 일부분 예컨대, 허리 띠 또는 상,하의의 포켓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그 용기(11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걸이구(141)를 구비한다.
상기 걸이구(141)는 용기(111)의 케이스(113)에 일체로 형성되며, 허리 띠 등의 피착용물에 걸릴 때,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바이어스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조립 순서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10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케이스(113)에 대해 도어(118)가 개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1,2,3필터(112)는 케이스(113)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117)에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면,용기(111)의 내부 공간은 각각의 필터(112)에 의해 4개의 독립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어서, 도어(118)는 케이스(113)의 상단을 폐쇄시키게 되고, 결착구(122)의 걸림 돌기(121)가 결착홈(123)에 결착되면서 케이스(113)에 로킹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고무 패킹(125)은 케이스(113)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패킹홈(124)에 패킹된다. 따라서, 케이스(113)의 상단과 도어(118)의 접촉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는 고무 패킹(125)에 의해 완전히 제거된다.
다음, 공기 흡입라인(133)은 그 선단이 용기(111)의 유출구(116)에 연결되고, 끝단은 호흡부재(130)의 흡기구(134)에 연결된다.
이어서, 거치부재(140)의 걸이구(141)는 사용자의 허리 띠 또는 상,하의의 포켓에 탄성 변형되면서 걸쳐진다. 그러면, 공기 정화부재(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가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본 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흡부재(130)의 호흡구(132)는 코 구멍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각각의 호흡구(132)는 본체(131)에 대해 상측 종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져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코 구멍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코를 통해 숨을 들이 마시게 되면, 호흡구(132)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는 용기(111)의 유입구(119)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다음, 공기는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이루어진 제1패드(126)를 통과하게 되고,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1패드(126)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 된다.
이어서, 제1패드(126)를 통과한 공기는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이루어진 제2패드(127)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제2패드(127)에 함습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습기 형태로 분산된다.
다음, 제2패드(127)에 의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다층의 카본층으로 이루어진 제3패드(128)를 통과하게 되고, 공기 및 수분에 함유된 유해 성분이 제3패드(128)에 의해 살균 처리된다. 상기 제3패드(128)는 주 미디어가 활성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활성탄에 의해 공기 및 수분에 함유된 유기 화학 성분, 냄새, 유해균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용기(111)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용기(111)가 외부 공간에 비해 그 용적이 제한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출구(116) 측으로 유동되는 도중 외부 공기와의 상대적인 밀도 차에 의해 소정 온도로 승온된다.
이어서, 제3패드(128)에 의해 최종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는 코의 흡입력에 의해 유출구(116)로 유출됨과 동시에, 공기 흡입라인(133)을 따라 흡입되고, 호흡부재(130)의 흡기구(134)를 통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때, 흡입밸브(136)는 코의 흡입력에 의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 측으로 회동되어 흡기구(134)를 개방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기밸브(137)는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배기구(135)를 폐쇄시키게 된다.
다음,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호흡구(132)를 통해 코 속으로 흡입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코를 통해 숨을 내쉬게 되면, 공기는 호흡구(132)를 통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 때, 흡입밸브(136)는 본체(13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공기압에 의해 흡기구(134)를 폐쇄시키고, 배기밸브(137)는 본체(131)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본체(131)의 내부 공간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배기구(135)를 개방시게 된다. 따라서, 코 구멍으로부터 호흡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구(135)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200)는 벨트(242)를 이용하여 공기 정화부재(210)를 신체의 허리 부분에 착용할 수 있는 거치부재(24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한 거치부재(240)는 벨트(242)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241)가 용기(211)에 설치된다. 연결구(241)는 용기(211)에 일체로 형성되며, 벨트(242)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241a)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 있는 벨트(242)는 고무 밴드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한 통상적인 벨트를 구비한다. 또한, 벨트(242)의 양단에는 벨크로 테이프(243)가 각각 부착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벨트(242)는 고무 밴드에 의해 신축되고 벨크로 테이프(243)에 의해 양단이 서로 부착될 수 있는 벨트 외에 일반적인 허리 띠와 같은 벨트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벨트(242)는 연결구(241)의 통과공(241a)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공기 정화부재(210)는 벨트(242)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벨트(242)를 사용자의 허리에 감고, 그 양단을 벨크로 테이프(243)에 의해 부착시킨다. 그러면, 공기 정화부재(210)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착용된 상태가 된다.
나머지 동작은 전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300)는 호흡부재(3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스크부재(360)가 구비된다.
상기 마스크부재(360)는 호흡부재(330)의 본체(331)가 고정될 수 있는 마스크 패드(361)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 있는 호흡부재(330)는 본체(331)가 마스크 패드(361)의 대략 중앙 부분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호흡부재(330)의 본체(331)는 마스크 패드(361)에 내재되어 그 패드와 함께 박음질 될 수 있는 날개부(338)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호흡부재(330)의 공기 흡입라인(333)은 그 끝단이 본체(331)의 흡기구(334)에 연결되고, 선단은 마스크 패드(361)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인출된다. 또한, 본체(331)의 배기구(335)에는 배기라인(339)이 연결된다. 배기라인(339)은 그 선단이 본체(331)의 배기구(335)에 연결되고, 끝단은 마스크 패드(361)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마스크 패드(361)는 일반적인 마스크 구조와 같이 두 겹 또는 그 이상의 위생 패드로 이루어지며, 공기 흡입라인(333)의 선단이 그 내부에서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제1인출구(362)와, 배기라인(339)의 끝단이 그 내부에서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제2인출구(363)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인출구(362,363)은 각각의 공기 흡입라인(333) 및 배기라인(339)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부쉬(bush) 구조를 가진다. 또한, 마스크 패드(361)는 그 패드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한 귀걸이(364)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기 흡입라인(333)은 그 끝단이 본체(331)의 흡기구(334)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이 마스크 패드(361)의 내부에서 제1인출구(36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배기라인(339)은 그 선단이 본체(331)의 배기구(335)에 연결된 상태에서 끝단이 마스크 패드(361)의 내부에서 제2인출구(363)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호흡부재(330)의 호흡구(332)가 코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귀걸이(364)를 귀에 걸게 되면, 호흡부재(330)는 마스크 패드(36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과격한 활동을 하더라도 코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나머지 동작은 전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400)는 전기 제1실시예와 달리, 용기(411)의 유입구(419)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지그재그 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다수의 필터(412)가 설치된 공기 정화부재(410)가 구비된다.
상기 용기(411)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개방된 케이스(413)와, 케이스(413)의 상단을 폐쇄시키기 위한 도어(418)와, 케이스(413)의 상단을 완전 밀폐시킬 수 있는 패킹부재(415)와, 도어(418)를 케이스(413)에 대해 로킹 또는 언로킹시킬 수 있는 도어록(41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418), 패킹부재(415), 및 도어록(414)의 구조는 전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413)에는 유입구(419)와 유출구(416)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유입구(419) 및 유출구(416) 측에 각각 근접되게 설치되고, 서로 교호되게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유도플레이트(417a-417d)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유도플레이트(417a-417d)는 케이스(413)의 유입구(419)와 유출구(416)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유입구(419)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유도플레이트(417a,417b)와, 유출구(416)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3 및 제4유도플레이트(417c,417d)를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유도플레이트(417a)는 유입구(419)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단이 케이스(413)의 일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케이스(413)의 타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된다. 제2유도플레이트(417b)는 제1유도플레이트(417a)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단이 케이스(413)의 타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케이스(413)의 일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된다. 제3유도플레이트(417c)는 유출구(416)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단이케이스(413)의 일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케이스(413)의 타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된다. 제4유도플레이트(417d)는 제3유도플레이트(417c)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단이 케이스(413)의 타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케이스(413)의 일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연장된다. 따라서, 용기(411)의 유입구(419)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각각의 유도플레이트(417a-417d)에 의해 유도되어 지그재그 상으로 유동된다. 또한, 용기(411)의 내부 공간이 외부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적이 제한되고, 각각의 유도플레이트(417a-417d)에 의해 공기의 유동 시간이 다욱 연장되므로, 용기(411)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외부 공기와의 상대적인 밀도 차에 의해 소정 온도로 승온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필터(412)는 제1 및 제2유도플레이트(417a,417b) 사이에 개재되는 제1패드(426)와, 케이스(413)의 유입구(419)와 유출부(416) 사이의 중앙 지점에 설치된 수용부(421)에 개재될 수 있는 제2패드(427)와, 제3 및 제4유도플레이트(417c,417d) 사이에 개재되는 제3패드(428)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421)는 제2패드(427)를 수용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케이스(413)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바닥면에 대해 "U"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421)에는 제1패드(426)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4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패드(426)는 공기와 함께 용기(41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패드(427)는 제1패드(426)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이 함습된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구성된다. 제2패드(427)에 함습된 수분은 제1패드(426)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수용부(421)의 구멍(422)을 통과할 때, 공기와 함께 분산된다.
상기 제3패드(428)는 제2패드(427)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와 수분 중에 함유된 유해 성분을 살균시킬 수 있는 다층의 카본층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호흡부재(430)의 호흡구(432)가 코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코를 통해 숨을 들이 마시게 되면, 외부 공기는 호흡구(432)의 흡입력에 의해 용기(411)의 유입구(419)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다음, 공기는 제1 및 제2유도플레이트(417a,417b) 사이로 유동되면서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이루어진 제1패드(426)를 통과하게 되고,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이 제1패드(426)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 된다.
이어서, 제1패드(426)를 통과한 공기는 제1 및 제2유도플레이트(417a,417b) 사이를 지나 수용부(421)의 구멍(422)을 통해 다층 지질의 펄프층으로 이루어진 제2패드(427)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제2패드(427)에 함습된 수분은 공기와 함께 습기 형태로 분산된다.
다음, 제2패드(427)에 의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제3 및 제4유도플레이트(417c,417d) 사이로 유동되면서 다층의 카본층으로 이루어진 제3패드(428)를 통과하게 되고, 공기 및 수분에 함유된 유해 성분이 제3패드(428)에 의해 살균 처리된다. 상기 제3패드(428)는 주 미디어가 활성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활성탄에 의해 공기 및 수분에 함유된 유기 화학 성분, 냄새, 유해균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용기(411)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각각의 유도플레이트(417a-417d)에 의해 유도되어 지그재그 상으로 유동되면서 유동 시간이 더욱 연장됨은 물론, 용기(411)가 외부 공간에 비해 그 용적이 제한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 공기와의 상대적인 밀도 차에 의해 소정 온도로 승온된다.
이어서, 제3패드(428)에 의해 최종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는 제3 및 제4유도플레이트(417c,417d) 사이를 지나 유출구(416)를 통해 유출된다.
나머지 동작은 전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500)는 소정 압력 분위기의 산소가 저장된 산소 탱크(570)와, 산소 탱크(570)로부터 유출되는 산소를 코를 통해 호흡할 수 있는 호흡부재(530)를 구비한다.
상기 산소 탱크(570)는 산소가 수용될 수 있는 밀폐 공간을 가지며, 산소가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571)가 마련되고,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될 수 있는 착용구(573)가 설치된다. 상기 유출구(571)에는 사용자의 수조작에 의해 밀폐 공간에 수용된 산소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면서 유출시킬 수 있는 통상적인 개폐밸브(572)가 설치된다.
상기 호흡부재(530)는 공기 흡입라인(533)에 의해 산소 탱크(570)의 유출구(571)에 연결된다. 공기 흡입라인(533)은 일단이 호흡부재(530)에 연결되며, 그 타단에는 산소 탱크(570)의 유출구(571)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58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한 상기 연결구(571)는 공기 흡입라인(533)의 타단에 설치된 결합 부쉬(581)와, 결합 부쉬(58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유출구(571)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너트(58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공기 흡입라인(533)의 타단에 연결구(580)를 설치한 이유는 공기 흡입라인(533)을 산소 탱크(570)의 유출구(571)는 물론 전기 실시예들에서 제시한 용기의 유출구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구(580)의 너트(583)는 산소 탱크(570)의 유출구(571)에 나사 결합된다. 그러면, 공기 흡입라인(533)은 일단이 호흡부재(53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은 너트(583)에 의해 산소 탱크(570)의 유출구(57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밸브(572)의 조작에 의해 산소 탱크(570)의 유출구(571)가 개방되면, 산소 탱크(570) 내부의 산소는 유출구(571)를 통해 호흡부재(530)로 공급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유출구(571)를 통해 유출되는 산소의 량은 개폐밸브(572)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 물질을 필터링한 상태에서 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호흡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 활동 중 대기 오염으로 인해 발병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 온도로 승온시킨 상태에서 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호흡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찬 공기에 의해 특히 노인 또는 고혈압 환자들에게 발병될 수 있는 심혈 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3)

  1. 소정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 공기와의 상대적인 밀도차에 의해 승온시킬 수 있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복수의 필터를 가진 공기 정화부재;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라인에 의해 용기의 유출구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를 가진 호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2. 소정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소정 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해 공기의 유동 경로를 지그재그 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다수의 유도 플레이트가 서로 교호되게 배치된 용기와, 상기 유동 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된 복수의 필터를 가진 공기 정화부재;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라인에 의해 용기의 유출구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를 가진 호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을 함습하고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살균하기 위한 카본층으로 이루어진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근접되게 설치된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이 함습되며, 상기 제1패드에 근접되게 설치된 제2패드; 및
    상기 제2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살균시키기 위해, 상기 유출구에 근접되게 설치된 제3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근접되게 배치된 한 쌍의 유도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소정량의 수분이 함습되며, 상기 용기의 중간 지점에 설치된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제2패드; 및
    상기 제2패드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 중의 유해 성분을 살균시키기 위해, 상기 유출구에 근접되게 배치된 한 쌍의 유도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3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제2패드에 함습된 수분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부재는:
    상기 호흡구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코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 정화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흡입될 수 있는 흡기구와, 상기 호흡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를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 흡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호흡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흡기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기구에 설치된 흡입 밸브;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 배기구를 폐쇄시키고, 상기 호흡구를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배기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기구에 설치된 배기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재를 신체의 일부분에 선택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마스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12. 소정 압력으로 압축된 산소가 저장되며, 유출구를 통해 소정량의 산소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출구에 개폐밸브가 설치된 산소 탱크; 및
    상기 산소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산소를 코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라인에 의해 상기 산소 탱크의 유출구에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호흡구를 가진 호흡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라인은 일단이 상기 호흡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상기 산소 탱크의 유출구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산소 탱크의 유출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가 상기 타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KR20-2003-0002696U 2003-01-28 2003-01-28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KR200312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96U KR200312744Y1 (ko) 2003-01-28 2003-01-28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696U KR200312744Y1 (ko) 2003-01-28 2003-01-28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19A Division KR20040069084A (ko) 2003-01-28 2003-01-28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744Y1 true KR200312744Y1 (ko) 2003-05-16

Family

ID=4940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696U KR200312744Y1 (ko) 2003-01-28 2003-01-28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74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838B1 (ko) * 2008-04-02 2009-12-21 윤길홍 화재용 공기 정화 호흡 장치
KR200453810Y1 (ko) 2008-07-11 2011-05-27 김원철 다기능 마스크장치
KR101777464B1 (ko) * 2015-08-28 2017-09-11 오두환 휴대용 마스크
KR101785931B1 (ko) * 2017-04-17 2017-11-15 이승민 구강 호흡 보조기구
KR101927315B1 (ko) 2017-02-06 2018-12-10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여과 물질 선택형 정화통
WO2020184993A1 (ko) * 2019-03-12 2020-09-17 이명진 개인용 공기청정기
KR20210048880A (ko) * 2019-10-24 2021-05-04 (주)그로빅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838B1 (ko) * 2008-04-02 2009-12-21 윤길홍 화재용 공기 정화 호흡 장치
KR200453810Y1 (ko) 2008-07-11 2011-05-27 김원철 다기능 마스크장치
KR101777464B1 (ko) * 2015-08-28 2017-09-11 오두환 휴대용 마스크
KR101927315B1 (ko) 2017-02-06 2018-12-10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여과 물질 선택형 정화통
KR101785931B1 (ko) * 2017-04-17 2017-11-15 이승민 구강 호흡 보조기구
KR20200109202A (ko) * 2019-03-12 2020-09-22 이명진 개인용 공기청정기
WO2020184993A1 (ko) * 2019-03-12 2020-09-17 이명진 개인용 공기청정기
KR102173944B1 (ko) * 2019-03-12 2020-11-04 이명진 개인용 공기청정기
CN113423474A (zh) * 2019-03-12 2021-09-21 李明珍 个人用空气净化器
US20220143431A1 (en) * 2019-03-12 2022-05-12 Myung Jin Lee Personal air purifier
JP7542547B2 (ja) 2019-03-12 2024-08-30 ジン リ,ミョン 個人用エアクリーナー
KR20210048880A (ko) * 2019-10-24 2021-05-04 (주)그로빅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KR102266725B1 (ko) 2019-10-24 2021-06-21 (주)그로빅 목걸이형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248B1 (ko) 마스크
US20180133524A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US4764346A (en) Disposable rebreathing canister
CN1933875B (zh) 呼吸器
CN209500486U (zh) 一种呼吸过滤器
KR200312744Y1 (ko)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TW202039310A (zh) 具有壓力平衡裝置之潛水面罩
CN107427662A (zh) 过滤器组件和利用过滤器组件的气道压力支持系统
KR20040069084A (ko) 휴대용 공기 호흡장치
KR100519464B1 (ko)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KR20200020088A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KR200149401Y1 (ko) 콧구멍에 삽입하는 마스크대용 공기여과기
CN211536258U (zh) 一种呼吸疾病护理防感染隔离装置
CN105105369B (zh) 液体过滤式口罩
CN205005981U (zh) 可替换液体过滤式口罩
US11771930B1 (en) Hybrid face mask assembly
CN206252749U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KR102280478B1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CN212941057U (zh) 呼吸面罩
CN213077273U (zh) 一种呼吸分离型口罩
KR102453515B1 (ko) 마스크
CN106512253A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CN102240426A (zh) 鼻滤器
CN106621106A (zh) 穿戴式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