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088A -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088A
KR20200020088A KR1020180095366A KR20180095366A KR20200020088A KR 20200020088 A KR20200020088 A KR 20200020088A KR 1020180095366 A KR1020180095366 A KR 1020180095366A KR 20180095366 A KR20180095366 A KR 20180095366A KR 20200020088 A KR20200020088 A KR 2020002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inhalation
exhalation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473B1 (ko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18009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안면에 밀착되어 코를 복개하고, 외부와 단절된 호흡공간(11)을 구획하는 노우즈캡(10)과, 상기 노우즈캡(10)에 연통되고, 들숨공간(23a)과 날숨공간(23b)을 구획하는 본체(20)과, 상기 본체(20)의 상기 들숨공간(23a)에 내부에 장착되어 호흡기관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조립체(30)와, 상기 본체(20)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들숨공간(23a)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체크밸브(4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흡기체크밸브(40)는 들숨은 통과하고 날숨은 통과시키지 않으며, 상기 필터조립체(30)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이 상기 본체(2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Fine dusk blocking respirator}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 직결식 방진마스크는 마스크면체 양쪽에 형성한 필터 결합구에 흡기체크밸브가 구비되며, 마스크면체 중앙 한쪽에 배기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필터 직결식 방진마스크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마스크 착용자의 들숨 흡입력으로 흡기체크밸브가 열리고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들숨이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날숨 압력으로 상기 배기체크밸브를 밀어 열면서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날숨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필터 직결식 방진마스크는 장시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과정에서 마스크필터에 쌓인 여과분진이 마스크의 착·탈 과정이나 필터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의류나 피부의 오염은 물론, 고농도 여과분진의 재흡입, 마스크 휴대가방이나 보관장소를 오염시키는 것과 같은 2차 오염을 초래하곤 한다.
특히, 나노섬유를 이용한 필터는 여과분진이 주로 필터표면에 쌓이기 때문에, 충격이나 접촉으로 쉽게 떨어져 2차 오염이 다소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보고되고 있다.
또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할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 의한 필터 직결식 방진마스크는 구조 특성상 마스크면체에 구비된 배기체크밸브로 인하여 접어서 휴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의한 필터 직결식 방진마스크는 코와 입을 동시에 덮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방진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사용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 일상 활동시 사용이 쉽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를 덮는 노우즈캡에 맺히는 습기의 배출이 용이하고 냉각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호흡과 입호흡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구조변경이 용이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구조와 노우즈캡의 구조를 작고 단순하게 구성하여, 착용과 휴대에 편리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안면에 밀착되어 코를 복개하고, 외부와 단절된 호흡공간을 구획하는 노우즈캡; 상기 노우즈캡에 연통되고, 들숨공간과 날숨공간을 구획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들숨공간 내부에 장착되어 호흡기관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조립체; 및 상기 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들숨공간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체크밸브는 들숨은 통과하고 날숨은 통과시키지 않으며, 상기 필터조립체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이 상기 본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우즈캡의 내측면에는 날숨에 포함된 습기가 일시적으로 응결 및 증발이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돌출된 다수개의 냉각돌기가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호흡공간과 상기 들숨공간, 날숨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구간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구간과 사용자의 입을 연결하는 구강 연결관이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우즈캡에는 상기 본체가 연통될 수 있도록 두 개의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관통구에는 상기 본체, 마개, 생체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유닛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조립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커버에는 내부 공간을 이루는 연통구간과 상기 호흡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에는 내부 공간을 들숨공간과 날숨공간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들숨공간과 접하는 외부면에는 흡기구가 형성되고, 날숨공간와 접하는 외부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구의 내측면에는 흡기체크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커버에는 상기 연통구간과 상기 날숨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벽이 장착되고, 상기 분리벽에 형성된 관통구를 개폐하는 배기체크밸브가 상기 분리벽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들숨공간 내부에 필터조립체가 장착되고 흡기구에 흡기체크밸브가 장착된 구조로 구성되어, 흡기체크밸브가 평상시에는 닫힘을 유지하고 들숨 때만 열리기 때문에, 필터링된 오염물질인 여과분진이 본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배기구와 흡기구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시키고, 날숨이 다시 재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노이즈캡에 부착된 본체의 회전을 통한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착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여과분진누출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고 가벼워 착용과 휴대·보관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필터가 보호되므로 장시간 반복 착용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입이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착용 상태로 다양한 일상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얼굴 피부접촉을 줄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날숨 재흡입량이 줄어들며, 자신의 입냄새를 맡지 않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들숨과 날숨의 경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의 들숨과 날숨의 경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분해하여 일부 단면하여 도시한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이하에서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들숨과 날숨의 경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안면에 밀착되는 노우즈캡(10)과, 노우즈캡(10)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12)에 결합되는 본체(20)와, 착용자의 귀에 고정시키는 걸이(73)로 구성된다
노우즈캡(10)은 착용자의 코를 복개할 수 있도록 호흡공간(11)이 구비된 컵 형상을 이룬다. 노우즈캡(20)의 전면 방향에는 들숨 및 날숨이 이동되는 관통구(12)가 형성된다. 관통구(12)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2개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측에 하나의 관통구(12)가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노우즈캡(10)의 관통구(12)에는 본체(20)와 마개의 위치를 서로 바꿔 결합할 수 있다. 노우즈캡(10)은 실리콘 등의 인체에 무해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우즈캡(10)과 본체(20)의 외부면에는 입히는 커버(미도시)와 상기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노우즈캡(10)에 형성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관통구(12)에는 본체(20), 마개, 생체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유닛(70)이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다.
노우즈캡(10)의 내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냉각돌기(13)가 열을 이루어 형성된다. 냉각돌기(13)는 날숨에 포함된 습기가 일시적으로 부착되기 용이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돌기(13)는 날숨에 포함된 습기가 일시적으로 응결된 상태에서, 들숨에 의해 증발되며, 이때 증발열에 의해 냉각돌기(13)에 연결된 노우즈캡(10)이 냉각된다.
상기 본체(20)는 제1 커버(21)와 제2 커버(22)가 조립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커버(21)의 내부 공간은 연통구간(23c)을 형성한다. 제1 커버(21)의 일측에는 연통구간(23c)과 노우즈캡(10)의 호흡공간(11)을 연통시키는 연결관(21a)이 돌출된다. 연결관(21a)은 노우즈캡(10)의 관통구(12)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 연결관(21a)의 끝단은 관통구(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로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버(22)는 제1 커버(21)와 접촉되는 부위에 단턱이 구비되어 상호간에 견고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버(22)의 내부에는 격벽(23)이 형성된다. 격벽(23)은 제2 커버(22)의 내부 공간을 들숨공간(23a)과 날숨공간(23b)으로 구획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우즈캡(10)에 가까운 쪽을 날숨공간(23b)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위치는 설계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날숨공간(23b)이 노우즈캡(10)에서 먼 위치에 형성되는 구조도 포함된다. 들숨공간(23a)과 접하는 제2 커버(22)의 외부면에는 흡기구(24)가 관통 형성된다. 날숨공간(23b)와 접하는 제2 커버(22)의 외부면에는 배기구(25)가 관통 형성된다.
제2 커버(22)의 흡기구(24) 내측면에는 흡기체크밸브(40)가 장착된다. 흡기구(24) 외측면에는 원을 이루도록 다수개 형성된 흡기구(24)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기구 커버(24a)가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기구 커버(24a)는 흡기구(24)의 절반 정도를 덮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2 커버(22)에는 날숨공간(23b)을 다른 영역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벽(60)이 장착된다. 분리벽(60)은 날숨공간(23b)과 연통구간(23c)이 접하는 지점에 설치된다. 분리벽(60)에는 관통구(61)가 형성되어 날숨공간(23b)과 연통구간(23c)을 연결한다. 관통구(61)에는 배기체크밸브(50)가 장착된다.
흡기체크밸브(40)는 흡기구(24)를 복개하는 밸브판(41)과, 밸브판(41)의 중심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42)로 구성된다. 고정돌기(42)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흡기구(24) 형성위치 중심에는 고정돌기(42)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된다.
배기체크밸브(50)는 관통구(61)를 복개하는 밸브판(51)과 밸브판(51)의 중심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52)로 구성된다. 고정돌기(52) 끝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관통구(61) 형성 위치 중심에는 고정돌기(52)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된다.
본체(20)의 들숨공간(23a) 내부에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30)가 장착된다.
본체(20)를 귀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기(73)가 본체(20)의 끝단 부근에 형성된다. 다른 한쪽의 걸기(73)는 마개나 헬스케어유닛(70)이 장착되는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지지부재(71)에 연결된다. 지지부재(71)는 마개나 헬스케어유닛(7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 형상으로 절곡되고,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끝단부에 걸기(73)가 설치되는 고리(72)가 구비된다.
지지부재(71)은 착용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 복원력으로 상기 마개 윗쪽에 접촉되도록 접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우즈캡(20)의 결합구(21,22) 한쪽을 막아주는 마개(30)와 대체결합하여 생체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유닛(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기체크밸브(50)의 설치 위치를 마개에 형성되는 구조로 변경하면, 앞서 설명한 날숨공간(23b)에 배기체크밸브(50)의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즉, 노우즈캡(20)의 일측 관통구(12)에는 배기체크밸브(50)가 설치되지 않은 본체(20)를 설치하고, 타측 관통구(12)에는 배기체크밸브(50)가 설치되어 날숨을 통과시킬 수 있는 마개를 장착할 수 있다. 배기체크밸브(50)가 설치되는 마개는 배기체크밸브 부싱을 일컫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호흡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시면, 외부공기는 들숨경로(A)를 통해 호흡기관에 유입된다. 들숨경로(A)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들숨이 실시되면 그 압력에 의해 흡기구(24)를 닫고있던 흡기체크밸브(40)의 밸브판(41)이 들리면서 그 틈새로 외부공기가 들숨공간(23a)으로 유입된다. 들숨공간(23a)에 유입된 외부공기는 필터조립체(3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걸러진 이물질은 들숨공간(23a)에 쌓인다. 필터링된 외부공기는 연통구간(23a)을 거쳐 호흡공간(11)으로 유입되고, 코를 통해 흡입된다. 이때 배기체크밸브(50)는 호흡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어도 관통구(61)를 닫은 상태가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날숨경로(B)를 자세히 설명하면, 날숨이 실시되면 그 압력에 의해 관통구(61)를 닫고있던 배기체크밸브(50)의 밸브판(51)이 들리면서 그 틈새로 호흡공간(11)과 연통구간(23c)을 거친 날숨이 날숨공간(23b)으로 유입된다. 날숨공간(23b)으로 유입된 날숨은 배기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기체크밸브(40)는 날숨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어도 흡기구(24)를 닫은 상태가 유지된다.
흡기체크밸브(40)는 들숨은 통과하고 날숨은 통과시키지 않으며, 필터조립체(30)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들숨공간(23a)에 퇴적된다.
여과되는 분진을 들숨공간(23a)에 가둠으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 마스크면체에 구비되는 날숨 배기체크밸브를 본체(20) 내부에 형성하여 노우즈캡(10)을 작게 만들 수 있어, 착용시 얼굴 피부접촉면적이 좁아지며, 날숨 재흡입량이 줄어들고, 착용과 휴대가 간편하다.
또한, 입이 개방되어 입으로 배출된 날숨(냄새)을 코로 다시 흡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마개를 생체 헬스케어유닛(70)으로 대체 결합하여 각종 헬스케어 정보를 획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헬스케어유닛(70)은 실제 호흡량을 검출하여 정확한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20)가 노우즈캡(10)의 관통구(12) 한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착용자가 회전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호흡장치에 익스테리어용 커버를 입혀 다양한 디자인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우즈캡(10)의 관통구(12)에 조립되는 본체(20)와 마개 또는 헬스케어유닛(70)는 좌우를 서로 바꿔 결합할 수 있어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가 선택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구성과 작동과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우즈캡(10)의 관통구(12)에 본체(20)가 각각 장착된다.
일측에 장착된 본체(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의 구조 및 작동과 동일하다
타측에 장착된 본체(20)의 연통구간(23c)에는 사용자의 입을 연결하는 구강 연결관(80)이 설치된다. 본체(20)를 구성하는 제2 커버(22)에는 연통구간(23a)에 연통되고 날숨공간(23b)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연통관(82)이 돌출되고, 연통관(82)의 끝단에는 구간연결관(80)이 장착된다. 구강연결관(80)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이 편하도록 주름관 구조를 적용한다. 구간연결관(80)의 끝단은 입에 물고 있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호흡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통해 숨을 들이마시면, 외부공기는 구강들숨경로(C)를 통해 호흡기관에 유입된다. 구강들숨경로(C)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들숨이 실시되면 그 압력에 의해 흡기구(24)를 닫고있던 흡기체크밸브(40)의 밸브판(41)이 들리면서 그 틈새로 외부공기가 들숨공간(23a)으로 유입된다. 들숨공간(23a)에 유입된 외부공기는 필터조립체(3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걸러진 이물질은 들숨공간(23a)에 쌓인다. 필터링된 외부공기는 연통구간(23a)을 거쳐 구강연결관(80)으로 유입되고, 입을 통해 흡입된다. 이때 배기체크밸브(50)는 호흡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어도 관통구(61)를 닫은 상태가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구강날숨경로(D)를 자세히 설명하면, 날숨이 실시되면 그 압력에 의해 관통구(61)를 닫고있던 배기체크밸브(50)의 밸브판(51)이 들리면서 그 틈새로 구강연결관(80)과 연통구간(23c)을 거친 날숨이 날숨공간(23b)으로 유입된다. 날숨공간(23b)으로 유입된 날숨은 배기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흡기체크밸브(40)는 날숨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어도 흡기구(24)를 닫은 상태가 유지된다.
흡기체크밸브(40)는 들숨은 통과하고 날숨은 통과시키지 않으며, 필터조립체(30)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들숨공간(23a)에 퇴적된다.
또한 입과 코를 통해 선택적으로 들숨과 날숨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을 통해 들숨을 실시하고, 코를 통해 날숨을 실시하거나, 코를 통해서 들숨을 실시하고, 입을 통해서 날숨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노우즈캡
11: 호흡공간
20: 본체
23a: 들숨공간
23b: 날숨공간
30: 필터조립체
40: 흡기체크밸브
50: 배기체크밸브

Claims (6)

  1. 안면에 밀착되어 코를 복개하고, 외부와 단절된 호흡공간(11)을 구획하는 노우즈캡(10);
    상기 노우즈캡(10)에 연통되고, 들숨공간(23a)과 날숨공간(23b)을 구획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기 들숨공간(23a) 내부에 장착되어 호흡기관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조립체(30); 및
    상기 본체(20)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들숨공간(23a)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체크밸브(40);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체크밸브(40)는 들숨은 통과하고 날숨은 통과시키지 않으며, 상기 필터조립체(30)에 의해 걸러진 불순물이 상기 본체(20)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캡(10)의 내측면에는 날숨에 포함된 습기가 일시적으로 응결 및 증발이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돌출된 다수개의 냉각돌기(13)가 구비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호흡공간(11)과 상기 들숨공간(23a), 날숨공간(23b)을 연통시키는 연통구간(23c)이 구비되고,
    상기 연통구간(23c)과 사용자의 입을 연결하는 구강 연결관(80)이 더 포함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우즈캡(10)에는 상기 본체(20)가 연통될 수 있도록 두 개의 관통구(12)가 구비되고,
    상기 관통구(12)에는 상기 본체(20), 마개, 생체정보를 처리하는 헬스케어유닛(70)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제1 커버(21)와 제2 커버(22)가 조립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커버(21)에는 내부 공간을 이루는 연통구간(23c)과 상기 호흡공간(11)을 연결하는 연결관(21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22)에는 내부 공간을 들숨공간(23a)과 날숨공간(23b)로 구획하는 격벽(23)이 형성되고, 들숨공간(23a)과 접하는 외부면에는 흡기구(24)가 형성되고, 날숨공간(23b)와 접하는 외부면에는 배기구(25)가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24)의 내측면에는 흡기체크밸브(40)가 장착되고, 상기 제2 커버(22)에는 상기 연통구간(23c)과 상기 날숨공간(23b)을 분리하는 분리벽(60)이 장착되고, 상기 분리벽(60)에 형성된 관통구(61)를 개폐하는 배기체크밸브(50)가 상기 분리벽(60)에 장착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1020180095366A 2018-08-16 2018-08-16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10212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66A KR102120473B1 (ko) 2018-08-16 2018-08-16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66A KR102120473B1 (ko) 2018-08-16 2018-08-16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88A true KR20200020088A (ko) 2020-02-26
KR102120473B1 KR102120473B1 (ko) 2020-06-08

Family

ID=6963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366A KR102120473B1 (ko) 2018-08-16 2018-08-16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01A (ko) * 2020-06-25 2022-01-03 (주)메딕콘 공기 여과 장치
KR102408131B1 (ko) * 2021-01-30 2022-06-14 유한회사 에어하이진 필름형 흡배기 밸브 및 상기 필름형 흡배기 밸브가 장착되며, 들숨공간과 날숨공간이 분리된 호흡용 필터 카트리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047A (ja) * 1987-09-30 1989-06-20 Ulvac Corp 静電掃引型イオン注入機用平行掃引装置
KR890008035Y1 (ko) * 1986-01-24 1989-11-18 조정안 수중 호흡기
KR20110114243A (ko) * 2010-04-13 2011-10-19 오석원 조끼식 자가순환형 산소 마스크 장치
KR101767091B1 (ko) * 2016-04-14 2017-08-10 이영희 날숨을 이용한 안구 건조증 완화기
KR20180080088A (ko) * 2017-01-03 2018-07-11 박진수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035Y1 (ko) * 1986-01-24 1989-11-18 조정안 수중 호흡기
JPH01157047A (ja) * 1987-09-30 1989-06-20 Ulvac Corp 静電掃引型イオン注入機用平行掃引装置
KR20110114243A (ko) * 2010-04-13 2011-10-19 오석원 조끼식 자가순환형 산소 마스크 장치
KR101767091B1 (ko) * 2016-04-14 2017-08-10 이영희 날숨을 이용한 안구 건조증 완화기
KR20180080088A (ko) * 2017-01-03 2018-07-11 박진수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01A (ko) * 2020-06-25 2022-01-03 (주)메딕콘 공기 여과 장치
KR102408131B1 (ko) * 2021-01-30 2022-06-14 유한회사 에어하이진 필름형 흡배기 밸브 및 상기 필름형 흡배기 밸브가 장착되며, 들숨공간과 날숨공간이 분리된 호흡용 필터 카트리지
WO2022215844A1 (ko) * 2021-01-30 2022-10-13 유한회사 에어하이진 필름형 흡배기 밸브 및 상기 필름형 흡배기 밸브가 장착되며, 들숨공간과 날숨공간이 분리된 호흡용 필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473B1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5524B (zh) 具有清洁空气入口腔室的呼吸面罩
EP1859828B1 (en) Inhaler
KR102035719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2471392B1 (ko) 기능성 마스크
KR20160089185A (ko) 성애 방지형 마스크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US20220023674A1 (en) Serviceable respirator system with configurable components
KR20200020088A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CN208785629U (zh) 一种自吸式空气过滤器
KR10208613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마스크
CN209331224U (zh) 一种口鼻隔离分区口罩
KR200492269Y1 (ko)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KR20220025620A (ko) 통기량이 확대되는 투명 마스크 장치
KR20120102255A (ko) 김서림 방지 테라피 마스크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US11358010B1 (en) Mask clip assembly with a housing having an exhaust port and one-way valve
CN213077273U (zh) 一种呼吸分离型口罩
KR102280478B1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CN106512253A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KR102620332B1 (ko) 밴드형 코 호흡장치
CN111905288A (zh) 呼吸系统空气净化器
KR20210009832A (ko) 흡기와 호기 분리형 마스크
KR102418619B1 (ko) 호흡보조장치
KR102340657B1 (ko) 코에 착용하는 미세먼지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