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58Y1 -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458Y1
KR200312458Y1 KR20-2003-0003492U KR20030003492U KR200312458Y1 KR 200312458 Y1 KR200312458 Y1 KR 200312458Y1 KR 20030003492 U KR20030003492 U KR 20030003492U KR 200312458 Y1 KR200312458 Y1 KR 200312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light emitting
conductive
cap
conducti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20-2003-0003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458Y1/ko
Priority to JP2003099673A priority patent/JP2003331601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conductors of the light source, i.e. providing simultaneous fastening of the light sources and their electric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means for 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램프로 사용한 손전등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손전등은 건전지를 수납하기 위한 도전성 수납통과, 도전성 수납통의 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과 도전성 수납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후미 캡과, 도전성 수납통의 선단이 삽입되는 후단부와, 후단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선단부를 가지고, 도전성 수납통의 선단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나사 결합시 도전성 수납통의 선단이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삽입되도록 도전성 수납통의 축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헤드통과, 헤드통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가진 헤드 캡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통 내에 삽입되어 걸림턱에 안착되어 수납되는 절연기판과, 절연기판의 전면에 광빔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절연기판 후면 중앙에 형성되고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애노우드 전극들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건전지의 플러스 전극과 접촉되는 중심단자와, 기판 후면의 중심단자 둘레에 형성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의 캐소우드 전극들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수납통의 선단과 접촉되는 링단자를 가진 램프모듈과, 절연기판 전방의 헤드통과 헤드 캡이 결합하여 이룬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손전등{Light Emitting Diode flashlight}
본 고안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들을 램프로 사용하는 LED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램프 모듈을 개선한 LED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고휘도 LED 소자들이 개발됨에 따라 고휘도 LED 소자를 램프로 사용한 손전등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는 일반 필라멘트 전구 또는 방전 램프에 비해 사용 수명이 장시간, 예컨대 100,000시간 정도로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매우 작아 필라멘트 전구에 비하여 건전지의 소모가 적어서 경제적이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219497호에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LED 손전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서는 램프 홀더에 LED의 리드선들을 삽입하고 후방으로 연장된 리드선을 절곡하여 건전지의 포지티브 전극 및 네가티브 전극들과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손전등은 하나의 LED를 사용하여 매우 소형인 손전등을 개시하고 있으나, 건전지의 전극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의 부품수가 많아서 조립공정이 복잡하다. 또한, 복수의 LED들을 사용한 기술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기존의 필라멘트 전구나 방전램프들을 발광다이오드로 대치할 경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에 전원 공급 스위칭을 얼마나 조립이 용이하고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설계할 것인가가 연구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237488호에서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을 헤드 플래시의 램프로 구성한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헤드 플래시는 적색, 황색, 청색의 발광다이오드들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내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접합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순방향 전압과 전류가 함께 감소되므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밝기가 떨어지게 된다. 최근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는 기존의 보통 발광 다이오드들에 비하여 보다 큰 전류를 흐르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열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열에 의해 주변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접합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점점 밝기가 어두어지게 된다.
더구나, 손전등의 램프로 사용시에 LED는 헤드부의 밀폐된 공간 내에 설치되어 외기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발광다이오드의 자체 열저항 특성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주변 온도가 보다 빠르게 상승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아니라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을 램프로 사용한 경우에는 복수배로 주변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장시간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게 되면 주변온도의 상승에 반비례하여 밝기는 점점 어두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를 램프로 사용한 손전등에서는 장시간 사용시에도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방열설계를 어떻게 할 것인가가 연구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하나의 절연기판에 조립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LED 손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LED 모듈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에도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LED 손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후미 푸쉬버튼 스위치를 가진 손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전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 도 1의 A -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원 온 상태에서 도 1의 A -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6 발광 다이오드 방식의 전면 인쇄회로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6 발광다이오드 방식의 후면 인쇄회로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6 발광다이오드 방식의 램프모듈의 측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6 발광다이오드 방식의 납땜 후 램프모듈의 배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4 발광다이오드 방식의 전면 인쇄회로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4 발광 다이오드 방식의 후면 인쇄회로패턴을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3 발광다이오드 방식의 전면 인쇄회로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고안의 절연기판의 3 발광 다이오드 방식의 후면 인쇄회로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인 후미 푸쉬버튼 방식 손전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후미 캡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후미 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고안의 후미 캡의 푸쉬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램프모듈의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고안의 반사경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4b는 본 고안의 반사경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40 : 손전등 20 : 건전지
100, 900 : 도전성 수납통 104 : 암나사
106 : 수나사 108 : 요홈
110 : 오링 112 : 선단
200 : 후미 캡 202 : 수나사
204 : 통공 208 : 스프링
300 : 헤드통 302 : 중앙부
304 : 후단부 306 : 선단부
308 : 암나사 310 : 수나사
312 : 걸림턱 314 : 오링
400 : 헤드 캡 402 : 암나사
408 : 투명렌즈
500 : 램프모듈 510 : 절연기판
520 : 발광다이오드 530 : 중심단자
540 : 링단자 550 : 저항소자
600,610, 620 : 반사경 700 : 방열링
800 : 후미캡 810 : 몸체
820 : 외통 830 : 중간통
840 : 이동체 또는 내통 850 : 도체편
860 : 도체봉 870 : 제1스프링
880 : 제2스프링 890 : 제2스프링
890 : 푸쉬버튼 910 : 헤드부
920 : 수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전성 수납통, 후미 캡, 헤드통, 헤드 캡, 램프모듈, 반사경을 포함한다.
도전성 수납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전지를 수납하고,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과 램프의 일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로로 제공하기 위하여 금속 원통형 파이프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수납통의 외부 표면은 후미에서 헤드로 갈수록 파장이 길어지는 사인파 형상의 부드러운 굴곡이 형성되어 인체공학적으로 손으로 잡을 때 손가락들이 벌어지는 정도와 매칭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미 캡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도전성 수납통의 일단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캡 전면에 설치된 스프링을 통하여 도전성 수납통 내에 수납되는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전성 수납통을 마이너스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헤드통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도전성 수납통의 타단이 삽입되는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선단부를 가지고, 도전성 수납통의 타탄의 외측면과 헤드 후단의 내측면이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도전성 수납통의 타단이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삽입되도록 회전시 도전성 수납통의 축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헤드 캡은 헤드통의 헤드 선단에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이 형성된다.
램프 모듈은 절연기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심단자, 링단자를 포함한다.
절연기판은 헤드통의 헤드 선단 직경 보다는 작고 헤드 후단 직경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진 원판형으로 헤드통 내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수납되고, 전면과 배면에는 도전성의 인쇄회로패턴이 각각 형성된다.
전면의 인쇄회로패턴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의 수만큼 등분할하는 경계선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된 방사라인패턴, 방사라인패턴으로 분할된 각 영역의 중앙으로부터 방사라인패턴의 각 라인 종단에 인접하여 확장된 복수의 애노우드 라인패턴들, 방사라인패턴으로 분할된 각 영역에서 애노우드 라인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복수의 캐소우드 패턴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캐소우드 패턴들은 주어진 공간에서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발광다이오드의 열방출을 돕는다. 복수의 캐소우드 패턴들은 라인 패턴들의 둘러싸서 하나의 일체로 된패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의 수가 3개이면 3등분되고, 4개이면 4등분되고, 6개이면 6등분된다.
후면의 인쇄회로기판은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된 플러스 패드, 플러스 패드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원형의 복수의 애노우드 패드들, 복수의 애노우드 패드들의 플러스 패드와 마주보는 바깥측 둘레를 에워싸는 링형 마이너스 패드를 포함한다. 링형 마이너스 패드는 최대한 넓은 면적에 형성되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 기판의 중심, 각 애노우드 패드의 중심, 링형 마이너스 패드에 통공들이 형성된다. 애노우드 패드에 형성된 통공과 대응하는 링형 마이너스 패드의 통공에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우드 리드선과 캐소우드 리드선이 전면으로부터 삽입되어 후면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백색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절연기판 전면에 광빔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중심단자는 절연 기판의 후면 중앙에 형성된 플러스 패드에 약간 돌기되게 납땜으로 덮어서 형성한다. 이 납땜의 일부가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전면으로 흘러 굳게 되면서 전면의 방사라인패턴의 중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링단자는 절연 기판 후면의 마이너스 패드의 복수의 통공을 통해 각각 돌출된 복수의 캐소우드 리드선들을 납땜으로 덮어서 후방으로 야간 돌기되게 형성한다. 이때, 통공을 통해 전면으로 흘러 굳은 납땜에 의해 마이너스 패드와 캐소우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애노우드 패드의 통공을 통해 각각 돌출된 발광다이오드의 애노우드 리드선이들을 각각 납땜으로 덮으면, 그 일부가 통공을 타고 전면으로 흘러 굳게 되면서전면의 애노우드 라인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방사라인패턴의 각 라인 종단과 각 애노우드 라인패턴의 종단 사이에 발광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저항소자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저항소자의 저항값은 주변 온도 조건의 변화에도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적정한 순방향 전류값을 설정한다.
반사경은 절연기판 전방의 상기 헤드통과 헤드 캡이 결합하여 이룬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전방으로 반사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반사경은 컵형태로 바닥면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다. 반사경의 내부면이 포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경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형 파이프형태로 그 내부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배치되고, 절연기판의 전면에 반사층을 코팅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헤드통의 걸림턱과 절연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절연기판과 헤드통을 열적으로 밀결합시켜서 상기 절연기판의 열을 상기 헤드통에 전달하는 금속재질의 방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헤드통과 도전성 수납통의 타단의 나사결합은 전원 온/전원 오프 동작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다줄, 예컨대 3줄 나사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도전성 수납통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AA 사이즈 건전지 3개를 직렬로 연결한 길이보다 긴 길이로 하고, 내경은 AA 사이즈 건전지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후미 캡은 스프링과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 사이의 간격을 온/오프하는 누름(푸쉬버튼)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푸쉬버튼 스위치는 상기 후미 캡 몸통의 후미 요홈에 삽입되어 압력을 가하면 전진하고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는 푸쉬버튼과, 몸통의 홈에 삽입되어 푸쉬버튼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눌러질 때마다 전진상태와 후진상태의 어느 한 상태로 토글되는 이동체와, 중앙에 통공을 가지며, 이동체가 상기 홈내에 한정되어 동작되도록 고정시키고, 몸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도체편과, 도체편의 통공을 통하여 이동체와 결합되고, 이동체와 연동하여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전진상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수납통 내에 수납되는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도체편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후진상태에서는 상기 마이너스 전극과 떨어져서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는 도전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손전등은 헤드부와,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와 수납부의 경계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전지를 수납하기 위한 도전성 수납통과, 도전성 수납통의 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도전성 수납통 내에 수납되는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도전성 수납통을 전기적으로 스위칭하는 푸쉬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후미 캡과, 헤드부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가진 헤드 캡과, 헤드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수납되는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 전면에는 광빔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기판 후면 중앙에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애노우드 전극들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건전지의 포지티브 전극과 접촉되는 중심단자와, 상기 기판 후면의 중심단자 둘레에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의 캐소우드 전극들이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걸림턱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링단자를 가진 램프모듈과, 절연기판 전방의 상기 헤드통과 헤드 캡이 결합하여 이룬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로부터 조사된 광빔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온/오프 회전방식 손전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손전등(10)은 도전성 수납통(100), 후미 캡(200), 헤드 통(300), 헤드 캡(400), 램프모듈(500), 반사경(600), 방열링(700)을 포함한다.
도전성 수납통(100)은 3개의 AA 사이즈 건전지(20)를 직렬구조로 수납할 정도의 길이와 직경을 가지며, 건전지(20)의 마이너스 전극(24)과 램프모듈(500)의 일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류통로로 제공하기 위하여 금속 원통형구조를 가진다.
도전성 수납통(100)의 외부 표면은 후미에서 선두로 갈수록 파장이 길어지는 사인파 형상의 부드러운 굴곡(102)이 형성되어 잇어서, 인체공학적으로 손으로 잡을 때 손가락들이 벌어지는 정도와 매칭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외부표면 굴곡구조는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시각적으로 미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전성 수납통(100)의 후단부 내측면에 암나사(104)가 형성되고, 선단부 외측면에 수나사(106)가 각각 형성된다.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106)는 3줄 나사로 형성된다. 선단부의 수나사(106)의 후방에는 원주방향으로 요홈(108)이 형성되고 이 요홈(108)에 실링을 위한 "O"링(110)이 삽입된다.
후미 캡(200)은 수나사(202)가 형성된 선단부와 통공(204)이 형성된 후단부로 구성된 금속 원통으로 구성한다. 후단부의 외경은 도전성 수납통(100)의 외경과 동일한다. 선단부의 전면 중앙에는 요홈(206)이 형성되고, 요홈(206)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스프링(208)이 장착된다.
스프링(208)의 일단은 요홈(206)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잘 접촉되도록 엄밀하게 밀착된다. 선단부의 수나사(202)는 도전성 수납통(100)의 후단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104)와 결합된다.
따라서, 후미 캡(200)은 도전성 수납통(100)의 후미에 결합되어 건전지(20)가 삽입되는 도전성 수납통(100)의 후방을 차단한다.
수나사(202) 후방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경계면에 "O " 링(210)이 설치되어후미 캡(200)이 완전히 닫쳐지면 도전성 수납통(100)의 내부 공간을 실링한다.
후미 캡(200) 전면에 설치된 스프링(208)을 통하여 도전성 수납통(100) 내에 수납되는 건전지(20)의 마이너스 전극(24)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전성 수납통(100)을 건전지(20)의 마이너스 전극(24)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헤드 통(200)은 중앙부(302), 후단부(304), 선단부(306)를 포함한 금속 원통으로 구성한다. 헤드통(200)의 중앙부(302)는 내경이 도전성 수납통(100)의 외경과 동일하고, 내측면에 암나사(308)가 형성된다. 암나사(308)는 3줄 나사로 형성된다. 후단부(304)는 후방으로 갈수록 중앙부(302)의 외경으로부터 내경으로 그 외경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 계단 형상을 한다. 선단부(306)는 중앙부(302)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직경을 가지며, 외측면에는 수나사(310)가 형성되고, 중앙부(302)의 내측면과 선단부(306)의 내측면 사이의 경계부에 걸림턱(312)이 형성된다. 중앙부(302)의 외측면과 선단부(306)의 외측면 사이의 경계부에 "O"링(314)이 설치된다.
따라서, 헤드 통(300)은 암나사(308)와 도전성 수납통(100)의 수나사(106)가 나사 결합되어 헤드통(300)이 축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게 된다. 암나사(308)와 수나사(106)는 3줄 나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헤드통(300)의 회전에 응답하여 전후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즉, 1회전시 나사산의 3피치만큼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헤드통(300)의 회전량이 작더라도 축방향의 길이변화를 크게 하여 온/오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헤드 통(300)의 후단부(304)와 도전성 수납통(100)의 선단부 사이는 "O"링(110)에 의해 실링된다.
헤드 캡(400)은 선두로 갈수록 약간 직경이 좁아지는 금속 원통형으로 내측면에 암나사(402)가 형성되어 헤드 통(300) 선단부(306)의 수나사(310)와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헤드 캡(400)의 전면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선두 에지에 걸림턱(404)이 형성되어 걸림턱(404)의 내측으로부터 후방으로 "O"링(406) 및 투명 렌즈(408)가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형성한다. 나사결합시 투명렌즈(408)는 걸림턱(404)과 헤드통(300)의 선단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따라서, "O"링(406)은 헤드 캡(400)과 투명렌즈(408) 사이를 외부로부터 실링한다.
램프 모듈(500)은 절연기판(510),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520), 중심단자(530), 링단자(540) 및 저항소자(550)를 포함한다.
절연기판(510)은 전후면에 각각 동박 패턴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을 원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절연기판(510)은 헤드통(300)의 선단부 직경 보다는 작고 후단부 직경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진 원판형으로 구성된다. 절연기판(510)은 에지가 방열링(700)에 의해 감싸여 헤드통(300) 내의 걸림턱(312)에 안착된다.
발광다이오드(520)는 6개로 절연기판(510)의 전면에 육각형의 각 꼭지점 위치에 하나씩 배치된 배열구조를 이룬다. 발광 다이오드(520)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800 내지 700,000 mcd의 고휘도를 가진다. 예컨대, 일본 니치아(Nichia)사의 모델명 NSPW500BS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백색발광다이오드는 청색발광다이오드의 발광면에 황색계열의 형광체층을 도포함으로써 백색 광빔을 형성한다.
방열링(700)은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로 링단자(54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외경은 헤드통(300)의 선단부 내경보다 약간 작아서 선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내측면과 밀결합되는 사이즈를 가진다. 방열링(700)은 그 단면이 "L" 자형으로 절연기판(510)의 측면과 후면 에지부위를 감싸도록 하여 최대한 접촉면적을 늘려서 열전도율을 높인다. 따라서, 절연기판(510)의 후면의 동박패턴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헤드통(300)에 전달하여 방출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520)의 주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사경(600)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컵모양으로 컵 입구 선단에는 테두리(602)가 형성되고, 테두리(602)가 헤드통(300)의 선단 에지에 걸린다. 반사경(600)의 컵 내부면(604)은 포물면을 이루고, 포물면(604)에는 발광 다이오드(520)의 배치 구조에 대응하여 6개의 통공(606)이 형성되고 이 통공(606)으로 발광 다이오드(520)가 삽입되어 포물면(604)보다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절연기판(510)의 전면의 인쇄회로패턴은 방사라인패턴(502), 애노우드 라인패턴(504), 캐소우드 패턴(506)을 포함한다.
방사라인패턴(502)은 중심(502a)으로부터 각각 6방향으로 확장된 라인(502b)과 각 라인(502b) 종단의 라인패드(502c)를 포함한다. 라인(502b)은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들(520)의 수만큼 6등분할하는 경계선을 따라 중심(502a)으로부터 에지로 방사상으로 확장된다.
애노우드 라인패턴(504)은 방사라인패턴(512)에 의해 분할된 각 영역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패드(504a)와, 원형패드(504a)로부터 인접하는 라인(502b)을 향하여달리다가 라인(502b)의 인접한 부근에서 에지를 향하여 라인(502b)과 나란하게 달리는 애노우드 라인(504b), 라인(504b)의 종단의 라인패드(504c)를 포함한다.
캐소우드 패턴(506)은 방사라인패턴(502) 및 애노우드 라인패턴(504)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사라인패턴(502)에 의해 분할된 각 영역에서 애노우드 라인패턴(504)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다. 즉, 복수의 캐소우드 패턴(506)들은 주어진 공간에서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발광다이오드의 열방출을 돕는다.
방사라인패턴(502)의 라인 패드(502c)와 애노우드 패턴(504)의 라인패드(504c)의 사이에 저항소자(550)가 납땜에 의해 부착된다. 저항소자(550)는 발광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류를 수십 mA, 예컨대 4.5V 순방향 구동전압에서 50 ~ 60 mA 정도로 제한한다.
발광다이오드로 일본 니치아(Nichia)사의 모델명 NSPW500BS를 사용할 경우에 최대 순방향전류가 30mA로 저항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초기에는 많은 순방향 전류가 흘러서 매우 밝게 비추게 되나 장시간 사용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접합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열저항에 의해 순방향전류가 점차 떨어지게 되므로 밝기가 초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점 어두워지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저항소자(1550)를 사용하여 순방향전류를 50 내지 60mA로 제한하여, 최대 정격치 보다 크게 하여 밝기를 최대로 하여도 본 고안의 방열구조에 의해 충분히 발광다이오드의 주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에도 항상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적화 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후면의 인쇄회로기판은 플러스 패드(512), 6개의 애노우드 패드(514), 마이너스 패드(516)를 포함한다.
플러스패드(512)는 후면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한가운데에 통공(512a)이 형성된다. 중심단자(530)는 플러스 패드(512)에 약간 돌기되게 납땜으로 덮어서 형성한다. 이 납땜의 일부가 중심에 형성된 통공(512a)을 통하여 전면으로 흘러 굳게 되면서 전면의 방사라인패턴(502)의 중심(50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6개의 애노우드 패드(514)들은 플러스 패드(512)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원형으로 전면의 애노우드 라인패턴(504)의 원형 패드(504a)와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다. 애노우드 패드들(514)의 각 중심에는 통공(514a)이 각각 형성된다.
링형 마이너스 패드(516)는 플러스 패드(512)와 마주보는 바깥측 둘레에서 6개의 애노우드 패드들(514)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발광다이오드(520)의 애노우드 리드선(522)과 캐소우드 리드선(524) 사이의 간격만큼 6개의 통공(514a)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6개의 통공(516a)이 형성된다. 링형 마이너스 패드(516)는 최대한 넓은 면적에 형성되어 발광 다이오드(52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애노우드 패드(514)에 형성된 통공(514a)과 대응하는 링형 마이너스 패드(516)의 통공(516a)에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우드 리드선(522)과 캐소우드 리드선(524)이 전면으로부터 삽입되어 후면으로 인출된다. 후면으로 인출된 리드선들은 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대략 1~2mm 정도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절단된다. 따라서, 백색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절연기판 전면에 광빔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링단자(530)는 절연 기판(510) 후면의 마이너스 패드(516)의 복수의 통공들(516a)을 통해 각각 돌출된 복수의 캐소우드 리드선(524)들을 납땜으로 덮어서 원주방향으로 확장되고, 후방으로 약간 돌기되게 형성한다. 납땜부위가 인접부위와 완전히 만나 원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고, 도 5c 및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중간이 끊긴 점선 링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통공(516a)을 통해 전면으로 흘러 굳은 납땜에 의해 마이너스 패드(516)와 캐소우드 패턴(506)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애노우드 패드(514)의 통공(514a)을 통해 각각 돌출된 발광다이오드(520)의 애노우드 리드선(522)들을 각각 납땜으로 덮으면, 그 일부가 통공(514a)을 타고 전면으로 흘러 굳게 되면서 전면의 애노우드 라인패턴(504)의 원형패드(50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원 온상태에서 전기적 연결상태는 도 4를 참조하면, 건전지 플러스전극 - 중심전극(530) -방사라인패턴(502) - 저항소자(550) - 애노우드 라인패턴(504) - 애노우드 리드선(522) - 발광다이오드(520) - 캐소우드 리드선(524) - 링단자(540) - 도전성 수납통(100) - 후미 캡(600) - 스프링(602) - 건전지 마이너스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온/오프 스위칭은 링단자(540)와 도전성 수납통(100)의 선단(112)사이의 접점 온/ 오프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헤드통(300)과 도전성 수납통(100) 사이의 회전에 의한 상대적 왕복운동에 의해 링단자(540)와 도전성 수납통(100)의 선단(112) 사이의 접촉이 떨어졌다 붙었다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램프모듈화한 경우의 절연기판의 인쇄회로패턴을 나타내고, 도 7a 및 도 7b는 3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램프모듈화한 경우의 절연기판의 인쇄회로패턴을 나타낸다.
발광 다이오드들의 수가 줄어들수록 이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발광다이오드들이 배열되는 동심원의 직경이 점점 좁아지며,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저항소자들의 배치 공간도 에지에서 중심으로 이동하여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면의 캐소우드 패턴이 각 등분할 영역으로 분리되지 않고 에지부위에서 하나로 통합되어 열방출을 위하여 패턴의 표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는 패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손전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후미 캡에 푸쉬버튼 스위치가 설치된 구조가 다르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은 동일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후미 푸쉬버튼 방식 손전등(30)의 후미 캡(800)은 몸체(810), 외통(820), 중간통(830), 내통(840), 도체편(850), 도체봉(860), 제1스프링(870), 제2스프링(880) 및 푸쉬버튼(890)을 포함한다.
몸체(810)는 금속 원통으로 중심에 홈(812)이 형성되고, 홈(812) 바닥에 홈(812)보다 직경이 작은 통공(814)이 형성된다. 몸체(810)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수나사(816)가 형성된다. 수나사(816)는 도전성 수납통(100)의 후단부 암나사(104)와 나사 결합된다. 몸체(810)의 후면에는 요홈(818)이 형성되고, 요홈(818)의 공간은 통공(814)을 통하여 홈(812)의 공간과 연통된다.
외통(82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내측벽에 가이드 홈(82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들 사이의 돌출부(824) 선단에는 제1경사면(826)과 제2경사면(828)을 가진 톱니가 형성된다.
중간통(830)은 외통(820)에 삽입되고, 후단(832)이 요홈(818)의 공간까지 연장되고, 선단(834)의 외측벽에는 외통(820)의 가이드 홈(822)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가이드 돌기(836)가 형성된다. 중간통(834)의 선단(834)에는 톱니(838)가 형성된다.
내통(840)은 중간통(830)에 삽입되고, 선단(842)에 테두리(844)가 형성되고, 테두리(834)의 후방 에지에 중간통(834)의 선단의 톱니(838)와 치합되는 톱니(846)가 형성된다. 또한, 테두리(844)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돌기(848)가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848)는 톱니(838)와 톱니(846)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836)에 대해 반피치 위상이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내통(840)은 중간통(830)과 마찬가지로 외통(820)의 가이드 홈(822)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된다.
도체편(850)은 스타형 금속편으로 중심에 통공(852)이 형성되고, 외통, 중간통, 내통 조립체를 몸체(810)의 홈(812)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기도체 역할을 수행한다. 도체편(850)은 홈(812)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몸체(81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도체봉(860)은 금속봉으로 후단(862)이 도체편(812)의 통공(852)을 통하여내통(840) 내에 꽉 끼게 결합되어 내통(840)과 같이 전후로 이동된다. 도체봉(860)의 선단(864)에는 제1스프링(870)의 후단이 엄밀하게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고정되는 환테(866)가 형성된다.
제1스프링(870)의 선단은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과 접촉되었다 떨어졌다 하게 된다.
제2스프링(880)은 요홈(818)의 공간으로 연장된 중간통(830)의 후단(832) 외측면에 삽입된다.
푸쉬버튼(890)은 원판으로 전면 중앙에 홈(892)이 형성되고 이 홈(892)에 중간통(832)의 후단(832)이 꼭 끼워져 고정된다. 푸쉬버튼(890)은 요홈(818) 내에서 전후로 중간통(830)과 함께 이동된다.
도 11a, 도11b 및 도12를 참조하여 전원 온.오프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푸쉬버튼(890)을 누르면, 중간통(830)이 외통(820)의 가이드 홈(822)을 따라 전진한다. 내통(840)도 같이 전진하여 외측면의 가이드 돌기(848)가 가이드 홈(822)을 벗어나게 되면 제1스프링(870)의 압력에 의해 외통(820)의 톱니의 제1경사면(826)을 따라 내통(840)은 반피치 우회전하면서 중간통(830)과 치합되게 된다. 중간통(83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제2스프링(880)의 복원력에 의해 중간통(830) 및 푸쉬버튼(890)은 후진하지만 내통(840)의 가이드 돌기(848)는 반피치 회전된 상태이므로 제1경사면(826)에 걸려서 반피치 더 우회전하여 전체적으로 1피치 우회전된 상태로 후진하지 못하고 안정된 전진 상태(전원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도체봉(860)이 제1스프링(870)의 압력에 의해 약간 편심되면서 도체편(850)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푸쉬버튼(890)을 다시 한 번 누르면, 중간통(830)이 전진하여 내통(840)을 제2경사면(828) 탑위치 이상으로 전진시키면 내통(840)은 반피치 우회전하면서 약간 후진하여 중간통(830)의 톱니와 치합되게 된다. 중간통(830)이 원위치로 복원되면 제2경사면(828))을 타고 반피치 우회전하여 가이드 홈(822)에 가이드 돌기(848)가 삽입되면서 제1스프링(870)의 복원력에 의해 후진하게 되므로 제1스프링(870)이 건전지(20)의 마이너스 전극(24)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내통(840)은 안정된 후진상태(전원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회전방식은 전원 온오프동작을 위하여 헤드통과 도전성 수납통을 회전시기키 위하여 두 손이 필요하지만 후미 푸쉬버튼 방식은 엄지손가락으로 푸쉬버튼을 조작하면 되므로 한 손으로 전원 온/오프 조작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의 손전등(30)은 일 실시예의 손전등(20)과 비교하여 헤드 통(300)과 도전성 수납통(100)이 완전히 결합되어 링단자(540)와 선단(112)이 항상 접촉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램프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모듈은 저항소자가 없는 타입으로 절연기판(560)의 전면에는 인쇄회로패턴이 없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만 배치된다. 후면에는 중앙부에 스타형 플러스 패드(562)와 링형 마이너스 패드(564)가 형성된다. 스타형 플러스 패드(562)의 방사형 가지들의 종단부에 통공(566)이 형성되고, 이 통공(566)에 대응하여 마이너스패드(564)에 통공(568)이 각각 형성된다.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우드 리드선은 통공(566)을 통하여 전면에서 후방으로 인출되고 캐소우드 리드선은 통공(568)을 통하여 전면에서 후방으로 인출된다.
인출된 애노우드 리드선 및 캐소우드 리드선들은 1~2mm 정도만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나머지 리드선이 절단된다. 돌출된 리드선 둘레를 납땜으로 덮어서 애노우드 리드선들은 플러스 패드(562)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고, 캐소우드 리드선들은 마이너스 패드(564)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플러스 패드(562)의 중심에는 별도의 납땜 돌기를 형성하여 중심단자(570)를 형성하고, 캐소우드 리드선들을 연결하는 동심원을 따라 납땜 링을 형성하여 링단자(572)를 형성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변형된 반사경 구조를 나타낸다.
도 14a의 반사경(610)은 바닥이 없는 통형으로 절연기판(560)의 전면에 반사층(574)을 형성하여 반사경(610)의 바닥을 겸하도록 한다. 반사경의 후단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룬다. 반사경(610)의 후단(612)은 6개의 발광다이오드들(520)들이 모두 내부에 수용할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도 14b의 반사경(620)은 반사경(610)고 비교하여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바닥(622)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이 삽입되는 6개의 통공(624)을 가진다. 반사경(620)은 반사경(600)과 비교하여 내측면이 포물면을 이루지 않는 점이 다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손전등(40)은 상술한 손전등(20, 30)과 비교하여 도전성 수납통의 구조가 헤드통과 도전선 수납통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미 푸쉬버튼형 후미 캡을 조립한 점이 다르고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로 처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전성 수납통(900)은 헤드부(910)와 수납부(920)로 구분되고, 헤드부(910)와 수납부(920)의 경계에 걸림턱(912)을 형성하고, 걸림턱에 램프모듈(500)의 링단자(540)가 직접 접촉된 상태로 조립된다. 전원 온오프는 후미 푸쉬버튼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램프 모듈로 구성하여 건전지와 램프 사이의 연결구조를 극단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 작업시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서 경제적이며 불량 및 고장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고휘도 복수 발광 다이오드 채택시 발열에 의해 발생되는 밝기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열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전등의 손잡이 구조를 인체공학적으로 형성함으로서 안락한 파지와 미끄러짐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전지를 수납하기 위한 도전성 수납통;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도전성 수납통 내에 수납되는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도전성 수납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후미 캡; 및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한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전면에 광빔이 발사되는 투명창을 가지며,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전성 헤드 캡;
    상기 헤드 캡의 후단에서 상기 투명창을 향하여 선단부가 삽입되고, 외측벽에 축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절연통;
    상기 절연통의 내측 후단에 조립되고, 전면 중앙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고, 그 둘레에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애노우드 전극단자와 캐소우드 전극단자가 각각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건전지의 포지티브 전극과 연결되는 방열금속층이 코팅된 절연기판으로 구성된 램프 모듈;
    상기 절연기판의 애노우드 전극단자와 상기 방열 금속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기판의 측면이 삽입되는 U자형 제1연결도체;
    일단은 상기 절연통의 홈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캡의 내측면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절연통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캐소우드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제2연결도체; 및
    상기 헤드 캡의 투명창과 상기 램프모듈의 절연기판 사이의 상기 절연통 내측에 조립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사된 광빔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절연기판의 후면의 방열 금속층에 열전도율이 좋고 전기적으로 절연특성을 가진 절연 접착제인 절연재를 개재하여 부착되고,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방열 금속층의 열을 상기 도전성 수납통에 전달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 금속캡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금속캡은 상기 건전지의 플러스 전극이 상기 방열 금속층과 연결되도록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건전지의 포지티브 전극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공에 절연링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금속캡은 상기 절연통의 후단부를 감싸고, 선단이 상기 헤드 캡의 후단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길이는 통상적인 성인 손바닥의 폭과 같거나 약간 더 긴 길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외부 표면은 복수의 지압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외부표면에는 복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된 탄성 표피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납통의 외부표면에는 널링(knurling)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도체의 일단은 상기 헤드 캡의 내측면과 전기적으로 긴밀한 접촉을 위하여 탄성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미 캡은 푸쉬버튼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는
    상기 후미 캡 몸통의 후미 요홈에 삽입되어 압력을 가하면 전진하고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는 푸쉬버튼;
    상기 몸통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눌러질 때마다 전진상태와 후진상태의 어느 한 상태로 토글되는 이동체;
    중앙에 통공을 가지며, 상기 이동체가 상기 홈내에 한정되어 동작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몸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도체편; 및
    상기 도체편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이동체와 결합되고, 이동체와 연동하여 전후로 이동되어 상기 전진상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수납통 내에 수납되는 건전지의 마이너스 전극과 상기 도체편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고, 후진상태에서는 상기 마이너스 전극과 떨어져서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는 도전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전등은 상기 도전성 수납통 내에 3개의 AAA형 건전지들을 병렬로 홀딩하고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한 건전지 홀더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홀더는
    복수의 건전지들이 착탈 가능하게 병렬로 홀딩하고 직렬로 연결하는 몸체;
    상기 몸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열금속층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플러스 도체; 및
    상기 몸체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미 캡의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마이너스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납통은
    선단부의 외측벽에 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푸쉬버튼 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의 노브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통공에상기 노브를 덮는 탄성 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 스위치는
    상기 도전성 수납통에 수납되고, 축방향으로 2분할되고 합치면 원통을 이루는 절연통;
    상기 절연통의 전면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램프 모듈의 방열금속층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스프링;
    상기 절연통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건전지의 플러스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플러스 도체; 및
    상기 절연통의 측면에 노브가 상기 통공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스프링의 후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플러스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수납통은
    3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수납한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KR20-2003-0003492U 2002-04-04 2003-02-06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KR200312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92U KR200312458Y1 (ko) 2003-02-06 2003-02-06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JP2003099673A JP2003331601A (ja) 2002-04-04 2003-04-02 発光ダイオードフラッシュライ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492U KR200312458Y1 (ko) 2003-02-06 2003-02-06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458Y1 true KR200312458Y1 (ko) 2003-05-12

Family

ID=4940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492U KR200312458Y1 (ko) 2002-04-04 2003-02-06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4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8213A1 (en) * 2009-09-02 2011-03-10 Mphase Technologies, Inc. Modular device
KR200456689Y1 (ko) * 2009-09-03 2011-11-11 (주) 코콤 착탈식 렌즈고정링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0459377Y1 (ko) 2010-03-31 2012-03-23 (주) 코콤 Led모듈 절연링을 가진 전구형 led램프
CN113775959A (zh) * 2021-08-20 2021-12-10 深圳市傲雷电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手电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8213A1 (en) * 2009-09-02 2011-03-10 Mphase Technologies, Inc. Modular device
KR200456689Y1 (ko) * 2009-09-03 2011-11-11 (주) 코콤 착탈식 렌즈고정링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0459377Y1 (ko) 2010-03-31 2012-03-23 (주) 코콤 Led모듈 절연링을 가진 전구형 led램프
CN113775959A (zh) * 2021-08-20 2021-12-10 深圳市傲雷电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散热手电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951B2 (en) Flashlight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as a lamp
KR101340256B1 (ko) Led 손전등
US6517215B2 (en) Flashlight with off set light source
US10041635B2 (en) Lighting and diffuser apparatus for a flashlight
EP1631769B1 (en) An improved led flashlight
US20070279910A1 (en) Illumination device
US20040012955A1 (en) Flashlight
KR20070120576A (ko) Led 유닛 및 이 led 유닛을 이용한 led 조명 램프
JP2003331601A (ja) 発光ダイオードフラッシュライト
US6840653B2 (en) Flashlight head with isolated lighting elements
KR200312458Y1 (ko)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JP5216111B2 (ja) Led基板押さ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ledランプ
KR200312459Y1 (ko)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JP2014192156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JP2010205579A (ja) Led式小型電球
KR101051980B1 (ko) 다수의 독립형 반사경이 구비된 엘이디 램프
KR200389296Y1 (ko) 손전등용 엘이디전구
KR200377600Y1 (ko) 손전등
KR200284166Y1 (ko) 손전등
KR101430020B1 (ko) 전구형 엘이디 램프
KR100454696B1 (ko) 손전등
US20120171904A1 (en) Burner assembly for a lamp
KR200242880Y1 (ko) 전구
KR200296234Y1 (ko) 휴대용 전등
GB2372879A (en) A side emission LED for use in reflector based ligh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821

Effective date: 20050315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