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392Y1 - 다기능 충전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392Y1
KR200312392Y1 KR20-2003-0000769U KR20030000769U KR200312392Y1 KR 200312392 Y1 KR200312392 Y1 KR 200312392Y1 KR 20030000769 U KR20030000769 U KR 20030000769U KR 200312392 Y1 KR200312392 Y1 KR 200312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insertion groove
cover member
display uni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욱
Original Assignee
최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욱 filed Critical 최진욱
Priority to KR20-2003-0000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의 충전기능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충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0)상에 전화기삽입홈이 형성된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삽입홈(12)의 상면상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년, 월, 일, 요일, 시간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22)와, 이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문자 등을 수정하는 복수 개의 버튼(24) 및, 스피커(26)가 몸체상에 구성된 시계장치(10)와; 상기 전화기삽입홈(12)의 상면상에 위치된 상기 표시부(22)가 보호되도록 하는 동시에 사진 등이 설치되는 액자 기능이 부여되도록 설치되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30)가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충전기{A CHARGER HAVING MULTI FUNCTION}
본 고안은 다기능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은 전화기를 거취 보관시키거나 충전시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충전기에 거취 또는 충전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도록 한 다기능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전화기는 별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으므로 배터리를 전화기상에 장착하여 통화전원으로 사용하게 되고, 배터리가 방전되면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의 휴대폰 또는 배터리를 분리, 거취시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사용된다.
상기 충전기는 통상적으로 휴대폰 또는 배터리가 올려지는 전화기삽입홈이 요입되고 배터리 단자와 접촉되는 단자가 결합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전기는 배터리의 충전시에만 사용되므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고 미사용시에 불필요한 공간을 점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충전기로부터 휴대폰이나 배터리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전화기삽입홈이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터리의 충전기능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충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상에 전화기삽입홈이 형성된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삽입홈의 상면상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년, 월, 일, 요일, 시간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이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문자 등을 수정하는 복수 개의 버튼 및, 스피커가 몸체상에 구성된 시계장치와; 상기 전화기삽입홈의 상면상에 위치된 상기 표시부가 보호되도록 하는 동시에 사진 등이 설치되는 액자 기능이 부여되도록 설치되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는 단일의 판형부재 또는 내부에 사진삽입구가 형성된 판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의 모서리부에는 결합편이 형성되며 이 결합편과 대응되는 전화기삽입홈의 상면상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는 단일의 판형부재 또는 내부에 사진삽입구가 형성된 판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전화기삽입홈의 좌우측에 해당되는 측면상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부가 삽입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것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커버부재의 제1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커버부재의 제2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2:전화기삽입홈,
19:가이드홈, 20:시계장치,
22:표시부, 24:버튼,
26:스피커, 30,40:커버부재,
32:결합편, 34:충격방지부재,
36,42:사진삽입구, 44:가이드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커버부재의 제1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커버부재의 제2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10)에 요입 형성된 전화기삽입홈(12)의 상면상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년, 월, 일, 요일, 시간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22)와, 이 표시부(22)상에 표시되는 문자 등을 수정하는 복수 개의 버튼(24) 및, 스피커(26)가 몸체상(10)에 구성되는 시계장치 (20)가 구비되고, 상기 전화기삽입홈(12)의 상면상에 형성되는 표시부(22)가 보호되도록 하는 동시에 사진 등이 설치되는 액자 기능이 부여되도록 설치되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30)가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판형부재로 구성되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사진삽입구(36)가 형성된 판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 1에 도시된 판형부재(30)의 저면 가장자리부에는 결합편(32)이 형성되며 이 결합편(32)과 대응되는 전화기삽입홈(12)의 상면상에 결합홈(18)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게 구성된 것이지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편(32)이 없이 구성되어 직접 전화기삽입홈(12)의 상면에 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의 상면 각 모서리부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휴대폰 또는 배터리의 착탈과정에서 충격이나 소음이 감소되도록 얇은 두께의 충격방지부재(34)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되어 구성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5는 배터리 또는 휴대폰을 고정하기 위해 몸체(10)의 측면상에 설치되는 배터리고정편이며, 16은 충전상태가 표시되는 충전 및 방전 표시등(LED)이고, 그리고 상기 충전기의 전화기삽입홈(12)의 상면 높이는 커버부재(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종래 전화기삽입홈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되어 충전기측 단자(14)와 배터리측 단자(미도시)의 접촉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커버부재(30)의 두께에 해당되는 높이만큼 낮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충전기의 몸체(10) 형상이나, 시계장치(20)의 표시부(22) 형태 및 버튼의 위치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형상이나 위치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장치(20)가 충전기 몸체(10)상에 장착되고 상기 시계장치(20)의 표시부(22) 상측에 커버부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 즉 휴대폰이나 배터리가 전화기삽입홈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는 투명한 커버부재(30)를 통해 그 하측의 표시부(22)가 나타나므로 사용자가 년, 월, 일 및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버튼(24) 등을 조절하여 시간을 수정하거나 알람기능을 설정하는 등 시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상에 사진 등을 끼워넣거나 부착하게 되면 사진액자의 기능이 수행되므로 충전기능이나 전화기의 보관 용도 외에 불필요하게 공간만 차지하던 충전기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는 상술한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충전기 몸체(10)상에 시계장치(20)와, 이 시계장치(20)의 상측에 해당되는 전화기삽입홈(12)상에 커버부재(40)가 구성되는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화기삽입홈(12)의 좌우측에 해당되는 측면상에는 상기 커버부재(40)의 양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9)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는 가이드홈(19)상에 삽입 또는 탈거되는 구조이므로 일실시예에서와 같은 결합편이 형성되지 않는 단일의 판형부재 또는 내부에 사진삽입구(42)가 형성된 판형부재로 구성되고, 그 좌우측 단부에는 가이드홈(19)상에 미끄럼 이동되는 가이드부(4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상술한 일실시예의 작용과 유사하지만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40)가 충전기 몸체(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9)에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40)의 사진삽입구(42)에 사진(50) 등을 삽입하거나 탈거시킨 후 배터리가 제거된 상태에서 사진액자의 기능 또는 시계기능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들의 구조는 상술한 충전기 외에도 무선전화기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거취대 등에도 기술적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충전기에 의하면, 배터리를 거취시키거나 충전기능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또는 휴대폰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시계기능 및 액자기능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즉 용도의 다양성이 부여되어 불필요한 공간 점유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되고,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이에 따른 상품성이 향상되어 구매욕구가 증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몸체상에 전화기삽입홈이 형성된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삽입홈의 상면상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년, 월, 일, 요일, 시간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이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문자 등을 수정하는 복수 개의 버튼 및, 스피커가 몸체상에 구성된 시계장치와;
    상기 전화기삽입홈의 상면상에 위치된 상기 표시부가 보호되도록 하는 동시에 사진 등이 설치되는 액자 기능이 부여되도록 설치되는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단일의 판형부재 또는 내부에 사진삽입구가 형성된 판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판형부재의 모서리부에는 결합편이 형성되며 이 결합편과 대응되는 전화기삽입홈의 상면상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단일의 판형부재 또는 내부에 사진삽입구가 형성된 판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전화기삽입홈의 좌우측에 해당되는 측면상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부가 삽입 이동되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충전기.
KR20-2003-0000769U 2003-01-10 2003-01-10 다기능 충전기 KR200312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69U KR200312392Y1 (ko) 2003-01-10 2003-01-10 다기능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69U KR200312392Y1 (ko) 2003-01-10 2003-01-10 다기능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392Y1 true KR200312392Y1 (ko) 2003-05-13

Family

ID=4933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769U KR200312392Y1 (ko) 2003-01-10 2003-01-10 다기능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3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4291B2 (en) Protective mask of mobile phone
US7515401B2 (en) Compact display module
US758675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US8482697B2 (en) Protecting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GB2346759A (en) Radiotelephone with removable front and rear covers
JPWO2007037405A1 (ja) 携帯端末装置
JP2003241170A (ja) 電子機器の背面lcd固定構造
CN111049958B (zh) 接口组件及电子装置
US6625030B1 (en) Wireless terminal assembly
JP3220340U (ja) 携帯端末用ケース型充電モジュール
KR200312392Y1 (ko) 다기능 충전기
CN213213573U (zh) 保护壳
KR2002003529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조립구조
EP1909469B1 (en)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EP1585289A1 (en) Pen-type mobile telephone
JP2013106195A (ja) 携帯端末
KR10026482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플렉시블 피씨비 구조
CN219843812U (zh) 一种保护壳
JP2545865Y2 (ja) 表示器の保持構造
CN214675262U (zh) 一种不影响无线充电的手机保护壳
CN220553101U (zh) 保护壳及保护壳套件
CN210958417U (zh) 防水结构及移动终端
JP4643556B2 (ja) 小型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KR200166528Y1 (ko) 엘씨디모듈이분리가능한휴대용무선단말기
KR20150077201A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