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366Y1 -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366Y1
KR200312366Y1 KR20-2003-0005145U KR20030005145U KR200312366Y1 KR 200312366 Y1 KR200312366 Y1 KR 200312366Y1 KR 20030005145 U KR20030005145 U KR 20030005145U KR 200312366 Y1 KR200312366 Y1 KR 200312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fixing
plate
pie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광기
Original Assignee
민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광기 filed Critical 민광기
Priority to KR20-2003-0005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3/00Apparatus or processes adapted to the manufacture, installing, removal, or maintenance of incandescent lamp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구 소켓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켓 본체에 구비된 고정브라켓을 플레이트 상에 피스로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통상의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고정공을 형성시킨 것이며, 체결시 상기 돌기를 고정공에 삽입시킴으로써 소켓 본체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전구 소켓을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 fixing structure of socket }
본 고안은 백열전구 등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구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구 소켓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구 소켓은 전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인 동시에 그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전구를 소켓에 장치하는 방법에 따라 나사모양으로 틀어서 넣는 에디슨형과 꽂아 넣는 스완형이 있다.
일반 가정의 옥내배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에디슨형으로서, 보통 소켓이라고 부르는 것이 이것이다. 이와 같은 전구 소켓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결합하고, 전등기구 등의 플레이트에 나사결합으로 고정시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전등기구의 플레이트(500)에 부착되어지는 종래의 전구 소켓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본체(300)의 상면 일측에는 전선이 연결된 커넥터(40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단일의 체결공(220)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00)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전구 소켓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체결공(220)에 대응하는 나사공(520)을 플레이트(500) 상에 형성시킨 후 상기 체결공(220)과 나사공(52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피스(600)를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 전구 소켓은 1개의 피스로 고정하기 때문에, 체결과정에서 피스(600)를 조이다 보면 상기 고정브라켓(200)이 회전하게 되어 체결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띠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한손으로는 고정브라켓을 붙잡고 다른손으로 피스를 조여주어야 하므로 체결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중에도 전구 소켓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도 쉽게 움직이거나 하여 피스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지고 전구 소켓이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켓 본체를 전등기구에 체결고정시킬 때 소켓 본체의 유동이 방지되게 하여 체결작업이 신속하고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결후에는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구소켓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대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고정브라켓 3 : 소켓 본체
4 : 커넥터 5 : 플레이트
6 : 피스 22 : 체결공
23 : 끼움홈 24 : 돌기
52 : 나사공 54 : 고정공
55 : 돌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도록 'ㄱ'자로 절곡되고, 수평면의 일단이 소켓 본체(3)에 고정되며, 수직면이 플레이트(5) 상에 접해진 후 피스(6)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을 포함하는 통상의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의 수직면의 외면 일측에 돌기(24)를 형성시키고, 상기플레이트(5)에는 상기 돌기(24)와 대응하는 고정공(54)을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돌기(24)를 고정공(54)에 끼움결합시켜 소켓 본체(3)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도록 'ㄱ'자로 절곡되어, 수평면의 일단이 소켓 본체(3)에 고정되고, 수직면이 플레이트(5) 상에 접해진 후 피스(6)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을 포함하는 통상의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의 수직면의 일측에 끼움홈(23)을 형성시키고, 상기 플레이트(5) 상에는 상기 끼움홈(23)과 대응하는 돌편(55)을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돌편(55)을 끼움홈(23)에 끼움결합시켜 소켓 본체(3)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정브라켓(2)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시켜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하며, 수평면의 일단은 소켓 본체(3)에 고정되고, 수직면에는 플레이트(5) 상에 형성된 나사공(52)과 대응하는 체결공(22)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직면의 일측면에는 돌기(24)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게 형성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5)에는 상기 돌기(24)를 수용하는 고정공(54)을 대응되게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브라켓(2)의 체결공(22)과 상기 플레이트(5)의 나사공(52)을 일치시키고, 상기 돌기(24)를 고정공(54)에 끼움결합시킨 후 상기 나사공(54)에 피스(6)를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24)와 고정공(54)의 결합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피스(6) 체결시 소켓 본체(3)가 고정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단시간에 체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또 체결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정브라켓(2)은,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고정브라켓(2)과 비교하여, 고정브라켓의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나,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브라켓(2)의 수직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대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23)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5)에도 고정공을 형성시키는 대신에 상기 끼움홈(23)에 대응하는 위치를 펀칭하고, 펀칭된 절개면을 외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돌편(5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브라켓(2)의 체결공(22)과 상기 플레이트(5)의 나사공(52)을 일치시키고, 상기 돌편(55)을 끼움홈(23)에 끼움결합시킨 후 상기 나사공(52)에 피스(6)를 체결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돌편(55)과 끼움홈(23)의 결합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피스 체결시 소켓 본체(3)가 고정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단시간에 체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또 체결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구소켓의 고정구조는 소켓 본체에 구비된 고정브라켓과 플레이트 간에 돌기에 의한 끼움결합이 되도록 한 후 피스를 체결시킴으로써, 체결작업이 간편하고, 단시간에 완료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체결된 후에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전구 소켓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체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도록 'ㄱ'자로 절곡되고, 수평면의 일단이 소켓 본체(3)에 고정되며, 수직면이 플레이트(5) 상에 피스(6)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을 포함하는 통상의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의 수직면의 일측에 돌기(24)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5)에는 상기 돌기(24)와 대응하는 고정공(54)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24)를 고정공(54)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2.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도록 'ㄱ'자로 절곡되어, 수평면의 일단이 소켓 본체(3)에 고정되고, 수직면이 플레이트(5) 상에 피스(6)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을 포함하는 통상의 전구소켓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2)의 수직면의 일측에 끼움홈(23)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플레이트(5) 상에는 상기 끼움홈(23)과 대응하는 돌편(55)을 형성하여, 상기 돌편(55)을 끼움홈(23)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KR20-2003-0005145U 2003-02-21 2003-02-21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KR200312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145U KR200312366Y1 (ko) 2003-02-21 2003-02-21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145U KR200312366Y1 (ko) 2003-02-21 2003-02-21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366Y1 true KR200312366Y1 (ko) 2003-05-09

Family

ID=4940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145U KR200312366Y1 (ko) 2003-02-21 2003-02-21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3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2936A1 (en) Light assembly for a vehicle
JP6915854B2 (ja) ダクトレール用の電気プラグ
KR100486671B1 (ko) 차량용 등기구
KR200312366Y1 (ko) 전구소켓의 고정구조
KR200330066Y1 (ko)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JP4803364B2 (ja) 端子台および照明器具
KR200251797Y1 (ko) 갓 부착용 소켓
JPH0587732U (ja) 照明器具
KR200236556Y1 (ko) 조명기구의 반사갓 결합구조
JPS5917046Y2 (ja) 照明器具
KR200376372Y1 (ko)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KR200288695Y1 (ko) 부착이 용이한 전구 소켓
KR101325019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200362104Y1 (ko) 조명등 장착구조
CN214948585U (zh) 一种方便安装的吸顶灯具连接件及吸顶灯具
KR20190035200A (ko) 조명유닛
KR20180050459A (ko) 천장등 고정구
JP3255356B2 (ja) 照明器具
KR200398842Y1 (ko) 매입등의 소켓 고정 구조
CN107461636B (zh) 灯具
JP3148816B2 (ja) 照明器具
KR200237582Y1 (ko) 전구 소켓
KR200302416Y1 (ko) 형광등 소켓과 스타트램프 소켓 결합구조
JPS6240487Y2 (ko)
JP4061447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