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100Y1 -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100Y1
KR200312100Y1 KR20-2003-0000652U KR20030000652U KR200312100Y1 KR 200312100 Y1 KR200312100 Y1 KR 200312100Y1 KR 20030000652 U KR20030000652 U KR 20030000652U KR 200312100 Y1 KR200312100 Y1 KR 200312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revolving door
pillar
roller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호
Original Assignee
한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호 filed Critical 한현호
Priority to KR20-2003-0000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1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revolv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출입구 측에 설치되는 회전문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출입구 측에 기둥이 시공되어 있는 경우 그 건물 기둥의 외주연에 다수의 내부도어가 장착된 회전드럼을 직접 형성하고, 그 회전드럼의 외주에 투명벽체를 형성함으로서,
건물 출입구에 건물기둥이 설치되어 있어도 건물기둥의 노출없이 자연스러운 회전문의 조화로운 설치가 가능하므로 건물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한 출입이 가능하면서도,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문의 자동회전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고 편리한 출입을 가능케 하며, 회전문의 내부 도어가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절첩되게 함으므로서 화물의 출입을 용이케 하면서도 안전사고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Installment system of automatic revolving door using pillar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 출입구 측에 설치되는 회전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출입구 측에 건물기둥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건물기둥을 이용하여 자동 회전문을 설치하므로, 건물과 출입문의 조화로운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내부 도어의 자동회전 및 각각의 도어가 개별적으로 절첩되게 함으로서, 용이한 출입을 가능케 함은 물론 화물의 출입 및 안전사고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문은 회전축에 수개의 내부 도어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어는 축의 회전에 따라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실내에 들어가는 사람과 실내에서 나오는 사람이 동시에 출입할 수 있는 출입의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난방 또는 냉방시 실외기온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활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회전문은 건물의 조형상 건물 출입구 측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회전문의 양측에 여분의 여닫이문을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문은 건물의 출입구 측에 아무런 장애물이 없을 경우에는 조화로운 설치가 가능하나, 건물 출입구 측에 장애물 즉, 건물 기둥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회전문을 건물 기둥을 피해 일측으로 편심되게 설치하여야 하고, 타측에 소수 혹은 다수의 여닫이문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건물과의 조화로운 설치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통상의 건물 출입구는 외벽과 수직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인접도로와의 이격거리가 매우 근접되어 있거나 별도로 그 출입구 측에 여분의 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그 출입구를 건물 외벽으로부터 수직된 지점에 설치되지 못하고 일정 거리 건물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시공되는 경우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건축물의 하중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그 출입구 측에 다수의 지지기둥을 형성하여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지지기둥은 건물 출입구 측에 설치되는 회전문의 설치공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건축물에는 그 회전문을 건물기둥을 피하여 출입구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회전문의 이용이 불편할 뿐더러 건물과의 조화롭지 못한 설치에 의해 건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건물의 출입구 측에 기둥이 시공되어 있는 경우 그 건물 기둥의 외주연에 다수의 내부도어가 장착된 회전드럼을 직접 형성하고, 그 회전드럼의 외주에 투명벽체를 형성함으로서,
건물 출입구에 지지기둥이 설치되어 있어도 건물과의 조화로운 회전문의 설치가 가능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회전문의 자동회전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고 자유로운 출입을 가능케 하며, 회전문의 내부 도어가 용이하게 절첩되게 함으므로서 화물의 출입을 용이케 하면서도 안전사고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회전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회전문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회전문의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회전문의 도어 절첩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롤러 2,2' : 롤러브라켓
3 : 회전드럼 4,4' : 내부도어
5 : 출입구 6 : 투명벽체
7,7' : 지지리브 8 : 천정체
9 : 상부드럼 10,10' : 연결대
11 : 스프로킷 12 : 구동모터
13 : 체인
20 : 회전축 21 : 안치홈
22 : 곡선부 23 : 걸림턱
24 : 캠판 25 : 고정브라켓
26 : 회전롤러 27 : 작동로드
28 : 스프링
100 : 건물기둥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회전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회전문의 작동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건물기둥(100)의 상부 주면에 롤러(1)를 갖는 롤러브라켓(2)(2')을 방사상으로 다수 장착하고, 상기한 롤러(1)가 내주면에 당접되게 한 관체상의 회전드럼(3)을 건물기둥(100)의 외주연에 수직 형성하되,
전기한 회전드럼(3)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내부도어(4)(4')를 방사상으로 장착하고, 그 내부도어(4)(4')의 외주연에는 양측에 출입구(5)를 갖는 투명벽체(6)를 수직 입설하며,
전기한 투명벽체(6)의 상부에는 상,하로 이격 지지된 다수의 방사상 지지리브(7)(7')에 의해 천정체(8)를 형성하고, 그 천정체(8)의 상부에는 건물기둥(100)과 결합되는 상부드럼(9)을 형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건물기둥(100)을 마감하면서도 외관상 보다 미려하게 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회전드럼(3)의 상부 선단에는 다수의 연결대(10)(10')에 의해 링상의 스프로킷(11)을 건물기둥(100)의 둘레에 이격 고정하고, 그 스프로킷(11)을 전기한 천정체(8)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12)와 체인(13) 연결하여, 구동모터(12)의 작동에 의해 스프로킷(11)은 물론, 다수의 내부도어(4)(4')를 갖는 회전드럼(3)이 자동으로 회전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내부도어(4)(4')의 선단에 회전축(20)을 돌출 형성하여, 일측의 안치홈(21)과 그 안치홈(21)의 일측에는 곡선부(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된 캠판(24)을 전기한 회전축(20)의 선단에 축설하고,
상기한 내부도어(4)(4')의 회전축(20)이 돌출된 회전드럼(3)의 상부에는 고정브라켓(25)을 고정 형성하되, 그 고정브라켓(25)의 상부면에는 단부에 회전롤러(26)가 결합된 작동로드(27)를 스프링(28) 탄지하여, 그 회전롤러(26)가 전기한 캠판(24)의 안치홈(21)에 삽입되게 구성함으로서,
내부도어(4)(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한 캠판(24)의 회전을 제어하여 내부도어(4)(4')의 일방향 절첩을 가능케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회전문의 시공공정에 따른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건축물의 출입구 측 중앙에 형성된 건물기둥(100)의 상측에 롤러브라켓(2)(2')을 방사상으로 고정하되, 상기한 롤러브라켓(2)(2')의 단부에 위치한 롤러(1)가 건물기둥(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균일한 높이로 고정한다.
이렇게 롤러브라켓(2)(2')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수의 내부도어(4)(4')가 방사상으로 결합된 원통체상의 회전드럼(3)을 건물기둥(100)의 외주면에 수직 입설하되, 그 회전드럼(3)의 내주면과 전기한 다수의 롤러(1)가 서로 당접되게 하여 그 회전드럼(3)이 상기한 롤러(1)에 의해 안내 계지되어 원활한 회전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드럼(3)의 설치가 완료되면 그 회전드럼(3)에 형성된 내부도어(4)(4')의 최대 회전반경에 알맞게 제작된 투명벽체(6)를 설치하게 되는 것인데, 투명벽체(6)는 회전문의 지지프레임체로서 그 양측에는 개방된 출입구(5)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일측의 출입구(5)는 건물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의 출입구(5)는 건물외측에 위치하여 건물 내,외부를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의 내,외부로 출입하기 위해서는 일측의 출입구(5)로 진입한 후내부도어(4)(4')를 진행방향으로 밀게 되면 그 회전드럼(3)이 롤러(1)의 안내계지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며 출입자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투명벽체(6)의 상부에는 다수의 지지리브(7)(7')가 서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천정체(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문의 상측을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그 천정체(8)의 상부로 노출되는 건물기둥(100)은 또다른 관체상의 상부드럼(9)에 의해 마감되므로 건물기둥(100)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러운 회전문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회전드럼(3)은 출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 회전되게 할 수도 있지만, 도 3의 일측 단면도와 같이 회전드럼(3)의 상부 선단에 다수의 연결대(10)(10')에 의해 이격 고정된 스프로킷(11)과 전기한 천정체(8)에 고정된 구동모터(12)를 체인(13) 연결하여 그 구동모터(12)의 작동에 의해 전기한 스프로킷(11)과 회전드럼(3)이 동시에 회전되게 함으로서 출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 회전속도로 그 회전문이 자동으로 회전되게 하여 보다 용이하면서도 편리한 출입을 가능케 한 것이다.
상기한 스프로킷(11)은 건물기둥(100)의 둘레에 이격되어 회전드럼(3)의 상단에 연결대(10)(10')에 의해 고정된 것이므로, 스프로킷(11)이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되면 하부의 회전드럼(3) 및 다수의 내부도어(4)(4') 만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동모터(12)와 스프로킷(11) 간에는 별도의 감속기(도면에는 미도시함)를 장착하거나, 투명벽체(6)의 출입구(5) 측에 감지센서(도면에는 미도시함)를 장착하여 출입자의 출입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한 구동모터(12)가 작동되게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회전문의 운용을 가능케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감속기 또는 감지센서는 공지의 기술을 회전문에 부가적으로 채용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작용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회전문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도어(4)(4')는 화물의 출입시 또는 사고나 고장 발생시 부분적으로 절첩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인데, 이러한 내부도어(4)(4')의 절첩구조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내부도어(4)(4')를 회전드럼(3)과 분리형성하고, 그 내부도어(4)(4')의 상부 선단에 회전축(20)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각각의 내부도어(4)(4')가 회전축(20)을 축점으로 개별 회전되게 하되, 그 회전축(20)을 천정체(8)의 상부로 노출되게 하여 그 회전축(20)에는 안치홈(21)과 곡선부(22) 및 걸림턱(23)이 형성된 캠판(24)을 고정하여 장착한다.
또한, 상기한 캠판(24)의 저면에는 그 회전드럼(3)의 상부면에 고정브라켓(25)을 장착하되, 고정브라켓(25)의 상부에는 단부에 회전롤러(26)가 장착된 작동로드(27)를 스프링(28) 탄지하여, 그 회전롤러(26)가 캠판(24)의 안치홈(21)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위적인 힘에 의해 각각의 내부도어(4)(4')를 출입자의 진행방향으로 밀게 되면, 그 내부도어(4)(4')의 회전축(20)이 회전되면서 캠판(24)이 동시에 회전되려 하는 것인데,
이때, 회전축(20)의 캠판(24)이 출입자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캠판(24)의 걸림턱(23)에 의해 작동로드(27) 및 고정브라켓(25)을 동시에 회전시키므로 회전드럼(3) 및 모든 내부도어(4)(4')가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의 진행방향이 아닌 반대방향으로 내부도어(4)(4')를 밀면 그 캠판(2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캠판(24)의 안치홈(21)에 삽입되어 있던 회전롤러(26)가 곡선부(22)를 따라 작동로드(27)를 후퇴시키므로 캠판(24)의 단독 회전이 가능케 되어 회전드럼(3)은 회전하지 아니하고 그 하나의 내부도어(4)(4') 만이 절첩되는 것이다.
따라서, 출입시 진행방향방향으로 밀리는 내부도어(4)(4')는 회전드럼(3)의 회전력으로 작동되어 동시에 모든 내부도어(4)(4')를 회전시키므로 통상의 회전문과 같은 작용이 발생하는 것이며, 출입자의 진행방향 반대방향으로 내부도어(4)(4')를 밀게 되면 힘을 받은 하나의 내부도어만이 절첩되므로 화물의 출입시 또는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필요한 내부도어만을 절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절첩된 내부도어(4)(4')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절첩된 내부도어(4)(4') 만을 원상태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축(20) 상의 캠판(24)이 회전되면서 캠판(24)의 안치홈(21)에 작동로드(27)의 회전롤러(26)가 안치되고, 캠판(24)의 걸림턱(23)에 의해 회전롤러(26)를 갖는 작동로드(27)가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더이상 캠판(24)이 회전할 수 없게 되어 내부도어(4)(4')가 원상태로 복귀됨은 물론 이때부터 다시 회전드럼(3) 및 내부도어(4)(4') 전체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건물기둥때문에 편심되게 설치되어야 했던 기존의 회전문을 그 건물기둥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건물 미관이나 구조적인 강도에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건물 중앙으로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자동 회전에 따른 이용의 편리함과, 개별적인 절첩이 가능한 내부도어에 의해 보다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는, 건물 출입구에 지지기둥이 시공되어 있어도 건물기둥을 이용하여 회전문을 설치하므로 건물과의 조화로운 회전문의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내부도어의 자동회전을 가능케 하므로 보다 용이하고 자유로운 출입을 가능케 하며, 회전문의 내부 도어가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절첩되므로 화물의 출입을 용이케 하면서도 안전사고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건물기둥(100)의 상부 주면에 롤러(1)를 갖는 롤러브라켓(2)(2')을 방사상으로 장착하고, 상기한 롤러(1)가 내주면에 당접되게 한 관체상의 회전드럼(3)을 건물기둥(100)의 외주면에 수직 형성하되,
    전기한 회전드럼(3)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내부도어(4)(4')를 방사상으로 장착하고, 그 내부도어(4)(4')의 외주연에는 양측에 출입구(5)를 갖는 투명벽체(6)를 수직 입설하며,
    전기한 투명벽체(6)의 상부에는 상,하로 이격 지지된 다수의 방사상 지지리브(7)(7')에 의해 천정체(8)를 형성하고,
    그 천정체(8)의 상부에는 관체상의 상부드럼(9)을 건물기둥(100)에 고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드럼(3)의 상부 선단에는, 다수의 연결대(10)(10')에 의해 링상의 스프로킷(11)을 건물기둥(100)의 둘레에 이격 고정하고, 그 스프로킷(11)을 전기한 천정체(8)에 고정 설치된 구동모터(12)와 체인(13) 연결하여, 구동모터(12)의 작동에 의해 스프로킷(11)은 물론, 다수의 내부도어(4)(4')를 갖는 회전드럼(3)이 자동으로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내부도어(4)(4')의 상부 선단에 회전축(20)을 돌출 형성하고, 이를 천정체(8)의 상부로 노출되게 하여 내부도어(4)(4')가 회전드럼(3)과 분리되게 하고, 그 회전축(20)의 선단에는 일측의 안치홈(21)과 그 안치홈(21)의 일측에는 곡선부(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된 캠판(24)을 축설하며,
    상기한 내부도어(4)(4')의 회전축(20)이 돌출된 회전드럼(3)의 상부에는 고정브라켓(25)을 고정 형성하되, 그 고정브라켓(25)의 상부면에는 단부에 회전롤러(26)가 결합된 작동로드(27)를 스프링(28) 탄지하고, 그 회전롤러(26)가 전기한 캠판(24)의 안치홈(21)에 삽입되게 하여, 캠판(24)의 회전방향에 따라 내부도어(4)(4')의 일방향 절첩을 가능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KR20-2003-0000652U 2003-01-09 2003-01-09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KR200312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52U KR200312100Y1 (ko) 2003-01-09 2003-01-09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52U KR200312100Y1 (ko) 2003-01-09 2003-01-09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337A Division KR100514987B1 (ko) 2003-01-09 2003-01-09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100Y1 true KR200312100Y1 (ko) 2003-05-09

Family

ID=4940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652U KR200312100Y1 (ko) 2003-01-09 2003-01-09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1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363B1 (ko) 확장이 가능한 이동식 경비초소
KR100638281B1 (ko) 회전날개의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
KR100514987B1 (ko)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KR200312100Y1 (ko) 건물 기둥을 이용한 자동 회전문 설치구조
EP0423103A2 (en) Retractable elevator door
KR100641269B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회전동력구조
KR200332271Y1 (ko) 자동 회전문의 구동장치 설치구조
JP3350185B2 (ja) 航空機格納庫の開閉扉
KR19980028245U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장치
KR100815616B1 (ko) 회전도어의 개폐장치
KR200399722Y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회전동력구조
CN218507338U (zh) 一种轴驱式平开门
KR100612434B1 (ko) 자동 개폐수단이 구비된 도어
JP2009132228A (ja) 伸縮長さ調整用搭乗橋
JP2000213194A (ja) 立体駐輪場
JPH0510147Y2 (ko)
KR0179471B1 (ko) 트럭적재함용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JP2553058Y2 (ja) 自動回転扉
JPH0616081Y2 (ja) シヤツタ−装置
JP3594539B2 (ja) 2枚扉回転ドア
JP2003301577A (ja)
JP2538777Y2 (ja) コーナー開閉用パネルシヤツタ装置
KR940007958B1 (ko) 주차장치
JPH0735112Y2 (ja) パネルシヤツターのパネル懸架装置
JPH0616079Y2 (ja) シヤツタ−開閉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