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952Y1 - 광원일체형 접속구 - Google Patents

광원일체형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952Y1
KR200311952Y1 KR20-2003-0003872U KR20030003872U KR200311952Y1 KR 200311952 Y1 KR200311952 Y1 KR 200311952Y1 KR 20030003872 U KR20030003872 U KR 20030003872U KR 200311952 Y1 KR200311952 Y1 KR 200311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mobile phone
source integrated
connector
addition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보림
Original Assignee
한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림 filed Critical 한보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시 휴대폰에 접속하여 휴대폰을 발광기구로 사용하기 위해 광원을 내장하여 일체화시킨 휴대폰용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휴대폰에 단순히 삽입 장착함으로써, 휴대폰을 이용하여 손전등, 조명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와 같은 여러 가지 발광기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상생활이나 레저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구를 상기 발광기구와 함께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편리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고 방치된 중고 휴대폰을 일상 생활에 유용한 발광기구로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원일체형 접속구{Connector integrated with light source}
본 고안은 휴대폰용 접속구(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휴대폰을 발광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광원(light source)을 내장하여 일체화한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전자공학 및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portable telephone 또는 cellular telephone; 이하 휴대폰이라 함)는 점점 소형화되고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현재 휴대폰은 가장 편리한 문명의 이기 중의 하나로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용 통신기기로 이용하고 있으며 점점 그 사용자의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정보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부가기능은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오늘날 대부분의 성인들은 물론 독자적인 경제력이 없는 청소년 계층까지 휴대폰을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고안의 출원시점에 휴대폰 등록 가입자수가 국내에서만도 이미 2,900만 명을 초과하였으니 전세계적으로 볼 때 휴대폰의 사용자는 향후에도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휴대폰의 부가 기능에는 대표적으로 알람기능, 음성인식기능, 단축다이얼 기능,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 벨소리변환 기능, 게임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문자메시지 전송, 이메일 전송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기능뿐만 아니라, 전자결제기능, 신용카드내장기능 등이 부가된 첨단 통신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휴대폰은 일반적으로 일자형, 플립형, 및 폴더형 등으로 구분되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일자형 휴대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체(10)에는 이어폰(11), 마이크로폰(12), LCD패널(13), 키패드(14) 및 배터리(15) 등이 구비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길이방향에서 대체로 하단의 중앙부에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위해 삽입형 접속구(plug-in connector)를 끼우기 위한 접속홈(18)이 구비되어 있다. 접속홈(18)은 핸즈프리(hands-free)장치, 충전기, 및 컴퓨터 등과 연결하거나 상기 배터리(15)를 충전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단자, 즉 통신용 단자와 전원단자 및 기타 특수 기능용 단자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들 접속단자(19)와 접속홈(18)을 포함하여 전체 부품들로 구성된 부분이 접속부(17)를 이루고 있다. 도 2b에 예시되어 있는 접속부는 공지된 다중핀 형태의 접속구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DC 플러그(plug)와 잭(jack)의 형태와 같은 또 다른 공지 기술의 접속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이러한 접속구의 기술적인 구성과 사양은 제조회사에 따라 다양하게 출시되고 본 고안에 도시되거나 예시되지 않은 다른 여러 가지 접속구들도 상기 접속구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등에 장착되는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차량 운전 중에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하기 위해, 이들 접속부(17)는 대체로 모든 휴대폰에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또는 예를 들어 사무실 내에서도 휴대폰을 손으로 들지 않고, 다른 업무를 보면서 유선전화용 스피커폰과 유사하게 휴대폰으로 통화하기 위해서 상기 접속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컴퓨터의 USB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와 같은 고속 직렬 통신포트에 접속하여 충전과 동시에 컴퓨터와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하기도 하고, 데스크탑형 컴퓨터, 노트북형 컴퓨터, 및 PDA에 연결하면 무선 통신의 기능을 부여하는 이동단말기로도 이용되고 있다.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가정용 충전기가 휴대폰을 제조하는 회사들마다 모델에 따라 상이한 종류를 제조하여 출하하는 것과 비슷하게 휴대폰의 접속부도각 제조회사마다 모델에 따라 18핀형, 24핀형 등 다양한 접속단자핀형이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접속단자는 점차로 표준규격으로 통일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급속한 전자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새로운 기능이 부가된 신모델의 휴대폰이나 더욱 소형화된 휴대폰이 각 제조사별로 매우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해상도 컬러 액정화면이나 다중 채널 음원칩을 채택하여 폴리사운드 기능을 구현한 고급기종이 선보이며, 소형카메라까지 장착되어 촬영한 화상이나 동영상 등을 휴대폰을 통해 즉시 송신할 수 있는 제품까지 출시되어 있다. 많은 휴대폰 사용자들이 아직 상당한 기간동안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정상적인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행에 따라 또는 기능의 필요에 따라 신제품이 출시되는 즉시 신모델의 휴대폰으로 교체하는 경향으로 인해 값비싼 원재료, 부품 및 기술사용료가 투입된 고급통신기기를 고스란히 폐기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결국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는 물론, 중금속이 포함된 폐기물이 계속 발생하여 환경오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이의 재활용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손전등(flashlight) 또는 회중전등(懷中電燈)과 같은 발광기구도 일상 생활에 매우 필요한 필수품이므로, 야간에 사용하기 위한 비상용으로 일반 가정에 보통 한가지 이상 비치되어 있고, 사려 깊은 운전자라면 차량 내부에도 통상적으로 손전등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야간이 아니라도 가정, 사무실, 건물, 차량, 및 기계전기설비의 내부 등을 점검하거나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에도 손전등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이 손전등의 사용처가 많고 비상시 사용이필요한 경우가 많은 반면 손전등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것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손전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전지를 손전등의 내부에 넣어 둔 상태로 보관하는데,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관리하지 않고 방치하면 건전지의 내부로부터 화학적 물질로 이루어진 누액이 흘러나와 손전등 내부의 금속재 단자는 물론이고, 건전지 자체의 전극과 전기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적인 회로부분을 부식 및 손상시키고 건전지가 손전등 내부에 달라붙어 못쓰게 만드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손전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로 인해 손전등을 미리 준비해 놓았다 하더라도, 정작 손전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하게 되어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별로 사용해 보지도 못한 손전등이나 건전지를 그냥 버림으로 인해 자원의 낭비는 물론이고, 중금속 등의 폐기물로 인해 상당한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발표회나 설명회에서 빔프로젝터(beam projector)나 오버헤드 프로젝터(overhead projector)를 이용하여 발표자료를 스크린에 투영하고 이를 설명할 때 발표자나 설명자가 발표자료의 특정 부분을 지정하기 위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이러한 필요에 의하여 발표자나 설명자가 별도의 레이저포인터를 휴대하거나 주최측에서 준비해 놓는 경우가 많이 있다. 레이저 포인터는 대체로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모듈과 레이저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예를 들면, 소형 건전지나 버튼형 배터리를 많이 사용함)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케이스 내에 이들 모두가 내장되어 있다. 필요시 케이스 표면에 부착된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모듈에서 고광도의 적색광, 녹색광 등의 레이저빔이 목표 대상에 조사된다는 점에서 손전등의 사용과 그 목적이 유사하다. 레이저 포인터 역시 대체로 수은 전지나 건전지를 사용하므로 중금속 등의 폐기물이 방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불편과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용자들이 항상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을 손전등이나 레이저 포인터와 같은 발광기구와 겸용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여러 건 있다. 휴대폰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여 손전등으로 이용하려는 발명과 고안이 국내외에 여러 건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중 일부를 설명하면, 실용신안 출원번호 1998-021481(출원일 1998년 11월 6일, 공개번호 실1999-007915)의 "후레쉬를 부착한 휴대폰"에 의하면 휴대폰의 본체 또는 배터리팩에 온오프 스위치와 전구를 내장한 채로 제조한 후레쉬 부착 휴대폰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64910(출원일 1999년 07월 27일, 출원번호 20-1999-0015158)의 "전구를 구비한 휴대용전화기"에 의하면 휴대폰 본체의 상단에 전구를 내장한 채로 제조하여 휴대폰의 배터리전원을 발광에너지로 이용하는 휴대폰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9-0000158(출원일 1999년 1월 11일, 공개번호 실2000-0015595)의 "휴대폰 밧데리를 이용한 손전등"에 의하면 휴대폰에서 배터리팩만 분리한 후에 별도의 장착대에 부착함으로써 손전등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하는 방식 등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밖에 미국특허출원공개번호 US2001/0024500 A1(Sep. 27, 2001)의 "Battery with Integrated Light"에 의하면 역시 휴대폰의 배터리팩 자체에 온오프 스위치와 전구를 내장시킨 휴대폰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과 레이저포인터를 연계한 특허를 살펴보면, 특허 출원번호 10-2000-001482(출원일 2000년 3월 23일, 공개번호 특2000-0030880)의 "레이저 포인터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무선기"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레이저 포인터의 기능을 내장시켜 강의, 세미나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휴대폰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밖에, 미국특허등록번호 US6,327,484 B1(Dec. 4, 2001)의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Integral Laser Pointer"에 의하면 휴대폰과 같은 무선통신기기에 레이저 포인터 서키트리(laser pointer circuitry)를 내장하여 사용하는 휴대폰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 개시된 모든 종류의 발명이나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을 제조할 때 전구와 온오프 스위치 및 제어회로를 휴대폰 내에 추가로 내장하여 일체로 제작하도록 구성되었거나, 배터리팩의 제작시 적어도 전구와 온오프 스위치를 배터리팩 내에 추가로 내장하여 제조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의 제조원가가 상승된다. 또한 휴대폰의 내부에 상기 부품을 위한 설치공간을 별도로 부여하여야 하므로 휴대폰의 부피가 커지며, 이는 휴대폰이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등 몇 가지 단점이 있어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거의 없다. 또한 상기 방식의 휴대폰이 상업화되더라도 상기 방식을 채택하지 않는 일반형 휴대폰에서는 손전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손전등 기능이 필요한 사용자들은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별도로 그러한 기능을 갖는 휴대폰을 구입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갖게 된다. 이러한 불편과 문제점은 레이저 포인터인 경우에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에 언급된 손전등이나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하는 모든 발광기구가 유사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카드 내에 IC칩을 내장하여 개발된 스마트카드는 전자화폐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차세대 지불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근래에는 RF형 IC칩과 이 칩과 연결되는 루프식 RF형 안테나를 함께 플라스틱 카드의 사이에 고정하여 내장한 스마트카드 형식의 선불식 교통카드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RF형 IC칩과 이 칩과 연결되는 루프식 RF형 안테나를 함께 플라스틱 카드의 사이에 고정하여 내장하여 신용카드와 겸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후불식 교통카드도 개발되어 있다. 즉 접촉식 카드와 비접촉식 카드가 하나의 카드 안에 물리적으로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Hybrid) 또는 콤비(Combi) 카드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마다 카드를 판독기에 비접촉식으로 접근시켜 RF방식의 무선통신에 의해 해당 교통요금이 지불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각종 다양한 사용방법을 가진 교통카드들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지갑이나 보관케이스 내에 교통카드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필요한 곳에서 꺼내어 편리하게 교통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교통카드들은 어느 것이나 별도로 카드를 구입(선불제) 또는 신청(후불제)하여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다. 즉 상기 교통카드와 같은 스마트카드는 매우 다양하게 발행되고 있으나, 사용자들이 대체로 지갑 또는 핸드백 내에 소지하고 있다가 지하철 및 버스 등의 승하차시에 꺼내서 판독기에 근접시켜 사용해야만 하므로 번거롭고 매우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유럽의 GSM 휴대폰에 흔히 내장되어 있는 SIM(SIM카드-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나 국내의 통신회사에서 보급하는 RF형 IC칩 내장형 휴대폰과 같이, 휴대하며 꺼내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휴대폰에 스마트카드를내장 또는 부착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휴대폰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므로 휴대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더욱이 기존에 구입하여 이러한 스마트카드 내장기능이 없는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은 스마트카드를 사용하려면 스마트카드가 내장된 휴대폰을 신규로 구입해야만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추가될 수 밖에 없다.
이외에도 전자 기술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나날이 기능이 부가된 새로운 시스템들이 휴대폰 단말기에 추가되고 있는데, 기존에 구입하여 사용하던 휴대폰에 이러한 새로운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새로운 기능이 필요한 환경이 대두될 때마다 새로운 휴대폰을 추가로 구입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용이하고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인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인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일지라도 손전등이나 레이저 포인터와 같은 발광기구의 기능이 필요시, 편리하고 값싸게 즉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는 휴대폰을 손전등과 같은 생활에 유용한 발광기구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 및 폐기물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가 휴대폰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접속구의 광원과 함께 조합되는 기타 구성요소에도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광기능을 포함하는 다른 용도의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제공하여, 신규로 휴대폰을 구입하지 않아도 기존의 휴대전화를 사용하면서 기존의 휴대폰에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다른 용도의 기능에 포함되는 것들을 예시하면, 교통요금을 지불하거나 출입자 관리를 위한 스마트카드 기능, 신용카드와 같이 금융결제처리를 위한 IrDA 통신기능,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인식기능, 야간에 사물과 주변환경을 관측하기 위한 야간투시 기능, 심신을 안정된 상태로 유도하는 스트레스 해소기능, 풍선 내부로부터 빛이 나오게 하는 발광풍선 기능, 음주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기능, 인체에 용이하게 침시술을 하기 위한 전자침구 기능, 환자의 혈압과 심장박동을 측정하고 혈액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 컴퓨터 및 주변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기능, 컴퓨터나 PDA로부터 전원을 휴대폰으로 공급하며 통신을 하는 USB 인터페이스 기능, 사물의 온도나 인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측정 기능, 등산 또는 조깅시 걸음수나 거리를 기록하기 위한 만보계 기능, 토목 건축현장이나 골프장 등에서 측정대상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는 거리측정 기능, 원격지 진료 기능,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TV/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 카메라/레코더와 같이 화상이나 음성을 기록하는 기능, 화장용 소형 거울 기능,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충전기능, 염주나 목걸이의 모주 내에 영상을 담아서 부처상이나 예수상을 보여주는 기능 등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휴대폰의 접속부에 삽입 장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휴대폰을 발광기구로 사용하도록 광원과 접속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속구의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에 집광용 렌즈 또는 반사경이 구비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의 조명방향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의 발광기능과 함께, 상기 접속구에 내장된 기타 구성요소의 기능을 조합하여 제공한다.
또한 휴대폰의 접속부에 삽입 장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기능이 추가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접속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와 휴대폰의 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전구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의 접속구홈을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접속구의 덮개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6a는 집광렌즈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6b는 반사경을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광원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광원을 온오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a는 확대경을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b는 확대경을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에서 확대경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컬러필터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12는 적외선 조명기와 야간투시경을 구비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13a는 풍선부착부를 구비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13b는 도 13a의 풍선부착부에 대한 세부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 내에 내장된 RF형 IC칩 및 RF형 안테나가 RF형 판독기를 통하여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실시예, IrDA 송수신기가 IrDA형 판독기를 통하여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실시예, 또한 지문인식센서와 관리서버(인증서버)와 통신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블루투스 칩셋 및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C 및 주변 기기류와 통신하는 실시예를 종합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15는 거울을 구비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16은 충전용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예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15 : 배터리
17 : 접속부 18 : 접속홈
20 : 광원일체형 접속구 22 : 광원
24 : 단자접속구 26 : 접속돌기
28 : 접속구홈 30 : 하우징
34 : 스위치 36 : 집광렌즈
38 : 반사경 46 : 고정핀
48 : 고정핀 착탈버튼 50 : 탄성부재
54 : 연장도전부재 60 : 확대경
70 : 컬러필터
100 : 야간투시경 122 : 적외선 조명기
230 : 풍선부착부
330 : RF형 IC칩 335 : RF형 안테나
340 : IrDA 송수신기 350 : 지문인식센서
360 : 블루투스 칩셋 370 ; USB 인터페이스
390 : 관리서버
500 : 거울 부착형 광원일체형 접속구
600 : 태양전지 부착형 광원일체형 접속구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10)의 외관을 예시하는 도면으로, 대체로 저면이 되는 휴대폰의 일단에 접속홈(18)이 형성되고, 이 접속홈(18)의 내부에 접속단자(19)를 구비함으로써 이들 전체를 포함하여 접속부(17)라고 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되는 단자접속구(24)의 말단부에 있는 접속돌기(26)를 휴대폰 접속부(17)의 접속홈(18)에 삽입하면, 접속돌기(26) 내의 접속구홈(28) 내부로 상기 접속단자(19)가 삽입되어 휴대폰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연결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핸즈프리장치와 연결하거나, 데이터통신용 모듈 및 컴퓨터와 접속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19)에는 다수의 단자편(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접속구홈(28)의 내부에는 다수의 단자핀(29)이 장착되어 해당되는 단자편과 단자핀의 대응결합에 의하여 물리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도 2b 참조). 통상적으로 상기 복합 기능 중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접속부(17) 내의 접속단자에 충전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전원공급단자는 배터리의 충전 시 전원으로부터 소정의 범위로 제어된 전압의 전류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대체로 휴대폰용 리튬이온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는 엄격히 제한된 정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한편 이 전원공급단자는 배터리의 음극과 양극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배터리로부터 휴대폰 외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도 2a 및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전구 또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광원(22)과 단자접속구(24)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제공하여, 휴대폰의 접속홈(18)에 삽입함으로써 휴대폰의 배터리(15)로부터 광원(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광원(22)이 빛을 내는 발광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폰 배터리(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발광에너지원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 내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구성요소의 기능과 작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4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원(22)과 단자접속구(24)의 사이에 소형 온오프 스위치(34)를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에 배터리(15)로부터 광원(2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그밖에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타인에게 소정의 주기로 점멸하는 간헐적 비상 신호를 보내거나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비상신호기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온오프 스위치(34) 대신에 자동 점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고, 온오프 스위치(34)와 상기 자동 점멸 스위치를 함께 내장한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바이메탈에 의해 소정 주기로 점멸하는 바이메탈 점멸식 전구와 같은 광원을 이용하면 간헐 점멸 스위치가 필요없으므로 용이하게 점멸용 광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수은접점방식(水銀接點方式)을 이용한 수은 스위치, 또는 금속볼을 내장한 볼접점식 스위치와 같은 관성감지형 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접속구(20)를 흔드는 주기에 따라 광원을 점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 손가락 등으로 스위치를 눌러서 온오프하지 않고 단지 손으로 접촉하면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제어회로를 내장한 접촉작동식 무접점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스위치들을 포함하여, 공지된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온오프 기능의 스위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원(22)은 종래의 손전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형 전구를 이용할 수있고, 광도가 높고 전력소비가 적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발광파장은 가시광선(대략 400nm~750nm) 영역, 적외선(대략 750nm 이상) 영역, 및 자외선(대략 400nm 이하) 영역에 해당하는 빛을 발광시킬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충격에 강하며, 고유수명이 길고,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소모되고 효율이 좋다. 또한 고속응답이므로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소자, 광통신용 광원 등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표시 장치나 계산기의 카드 판독기 등에 많이 쓰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 때문에, 최근에는 백열전구나 형광등을 대신하여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조립전구제품들이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를 대체하고 있고, 다색광의 발광다이오드를 다수개로 내장하여 인테리어 조명등 또는 장식용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있어서도, 광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함께 내장되도록 구성하여 광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여러 가지 광색의 발광다이오드가 다수로 조합되어 일시에 발광되는 것은 물론,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PCB 등의 제어회로에 의하여 소정 주기의 순차적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의 발광칩이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내에 내장된 풀컬러 발광다이오드(full color LED)를 사용하면 발광 색의 변환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광원의 구성 요소를 집적함으로써 전체 부품을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구나 발광다이오드가 아닌 공지 기술에 의한 전기전자적 소재로이루어진 제품을 적절한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레이저 포인터용 레이저광 발생기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적외선광 발생기로 사용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IR LED), 및 자외선광 발생기로 사용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 네온관, 및 스트로보(strobo)라고 하는 크세논 방전관과 같은 일렉트로닉플래시(electronic flash), 스피드플래시(speed flash) 등이 있다. 본 고안의 발광다이오드는 일반적인 가시광선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뿐만 아니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등 발광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광원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광원 외에도, 차세대 표시장치로 개발되고 있는 유기 EL과 무기 EL을 포함한 전계 발광(電界 發光, Electro Luminiscence; 이하 EL이라 함)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EL소자는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이 매우 낮아 전기를 인가하면 하나의 면 전체가 균일하게 발광하는 평면광원이다. EL은 LCD 백라이트용으로 사용되며 핸드폰, MP3플레이어, 전자수첩, 백라이트시계, CD플레이어, 카세트플레이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에 다양한 형태의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EL 와이어(wire)는 전계방식사용하여, EL 소자를 전선제조 기술에 접목시킨 소재로서, 전선모양의 EL 화이버(wire)에 교류를 가하면, 전자이동에 따른 에너지가 빛으로 나타나는 발광선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지된 기술의 EL 소자를 필요한 용도에 따라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의 면광원이나 선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면에는 전구와 발광다이오드가 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것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고 그러한 실시예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되는 도면들은 설명 목적만을 위한 것이므로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축척(scale)과 구성요소의 위치가 본 고안의 개념과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20)의 단자가 외부환경에 노출되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전기적 접촉성이 불량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도 5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일체형 접속구(20)의 접속돌기(26)에 보호용 덮개(39)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원일체형 접속구(20)의 접속돌기(26)에 덮개(39)를 끼워 단자핀(29)을 보호하고, 사용 시에는 덮개(39)를 개방한 후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휴대폰의 접속홈(18)에 삽입장착하여 발광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덮개(39)가 광원일체형 접속구(20)로부터 분실되지 않도록 덮개(39)와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연결하는 연결끈(41)이나 고리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고리나 연결끈을 덮개(39)측에 구비하여 덮개부분을 휴대폰에 걸어 놓고 필요시 덮개로부터 접속구(20)만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39)를 구비함으로써 광원일체형 접속구(20)의 단자부분을 덮어줌으로써 단자부분이 외부에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청소년들이나 성인들이 선호하는 로고나 캐릭터를 부여한 액세서리 형태로 만들어 휴대폰의 휴대용 걸이(또는 휴대용 목걸이)에 걸어 놓고 함께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광원일체형접속구(20)를 휴대폰의 접속홈(18)에 끼워 넣으면 즉시 필요한 발광기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덮개(39)는 플라스틱재료와 같은 단단한 재료 또는 실리콘 고무재료와 같은 유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기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원(22)에 집광렌즈(36)나 반사경(38)을 구비하면 광원의 빛을 집중시킬 수 있고 조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36)와 반사경(38)은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광원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속구 보호용 덮개 뿐만 아니라 광원의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광원의 전방에 인접하여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덮개를 구비하여 광원의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광원의 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집광렌즈와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20)가 접속홈(18)에 삽입 장착된 후 외력에 의해 휴대폰(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빠져 나오지 못할 만큼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상용의 접속구에 적용되는 고정핀(46)과 고정핀 착탈버튼(48)으로 구성된 고정구를 광원일체형 접속구(20)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구(20)가 접속홈(18) 안으로 삽입되면 고정핀(46)이 휴대폰의 접속홈(18) 내부의 협면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핀 장착홈(도시하지 않음)에 걸려서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고정핀 착탈버튼(48)을 눌러서 상기 고정핀 장착홈으로부터 상기 고정핀(46)을 이탈시키지 않는 한 접속구(20)가 휴대폰으로부터분리되기 어렵다. 상기 접속구(20)를 휴대폰에 끼울 경우에, 접속구(20)와 접속부(17)의 사이에 예를 들면, 고무재료나 합성수지재료와 같은 탄성부재(50)가 위치되도록 구성 되며, 탄성부재(50)는 대체로 접속구(20) 쪽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접속구(20)를 휴대폰에 삽입 장착할 때 휴대폰(10)과 상기 접속구(20)의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메워주고, 접속구가 체결된 후 휴대폰의 접속부 내에 발생되는 유격(clearance)에 의해 접속구(20)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삽입 장착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접속구(20)를 고정핀(46)에 의해 덮개(39)에 확실히 체결시킨 후 접속구 덮개(39) 측을 휴대폰에 걸어 놓고 다니다가 필요시 고정핀 착탈버튼(48)을 사용해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간단히 분리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20)의 광원(22)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프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사용시에는 화살표로 표시된 온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져 발광하도록 구성하여 스위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는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 기능이 없이 전기적으로 상시 접속하는 광원 방향 변경방식만으로도 광원의 조명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휴대폰에 끼운 후에 필요한 장소에 놓아두고 원하는 방향으로 광원의 빛이 향하도록 조명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일체형 접속구(20)는 단자접속구(24)와 광원이 도 7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30)에 내장된 것 뿐만 아니라, 도 9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전선에 의해 단자접속구(24)와 광원이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연장도전부재(54)방식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일체형 접속구가 통과하기에는 너무 크거나 길이가 짧아서, 예를 들면, 구멍 속과 같이 직접 들어가기 어려운 장소인 경우에도, 상기 접속구의 광원이 연장도전부재(54)에 매달린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면 광원부를 원하는 장소에 넣어서 내부를 밝게 조명할 수도 있다. 연장도전부재(54)는 도전성 구리전선을 일반적인 절연소재로 피복시킨 통상적인 유연성 전선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장도전부재(54)에 굽힘 소성(bendable plasticity)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선 내부에 예를 들면, 철선이나 알루미늄 파이프 등과 같이 원하는 형태로 구부리면 구부러진 임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소재를 상기 도전성 구리 전선과 함께 포함하여 절연소재로 피복시킨 굽힘 소성 전선재를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폰은 폴더형이 많은데, 종래의 플립형이나 일자형 휴대폰과 달리, 이들 폴더형 휴대폰의 접속부는 대체로 휴대폰 본체가 구조적으로 얇아서 접속부를 감싸고 있는 주변부위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장도전부재 방식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광원부가 외력에 의한 충격을 받더라도 광원과 접속부가 하나의 구조체 내에 들어있지 않으므로, 외부로부터 휴대폰의 접속부에 미치는 물리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폰의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도전부재 방식의 접속구에 있어서, 다른 장점은 굽힘소성전선을 연장도전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휴대폰을 특정 장소에 놓아둔 상태에서 굽힘소성전선을 임의의 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가 삽입장착된 휴대폰으로 특정 대상물을 조명할 때 손으로 들고 있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20)를 휴대폰(10)의 하단면에 위치한 접속부(17)에 장착하여 손전등 기능의 발광기구로 사용하는 경우에 열거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은, 휴대폰을 잡고 통화하면서 자연스럽게 광원의 조명방향이 대체로 휴대폰의 하방으로 향하기 때문에 책, 메모, 및 기타 대상 가독물(可讀物)에 빛을 비출 수 있으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필요한 내용을 읽으면서 동시에 통화하기가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레이저 포인터 외에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는 광원으로써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채택하여 야간 투시경(Night Vision)에 필요한 적외선 빔 발생기의 광원이나 통상적인 통신용 적외선 포트에 이용하기 위한 발광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응용된 야간투시경을 예시한다.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광원의 적외선 조명기(Infra Red Illuminator)(122)를 부착하고, 광증폭관(Image Intensifying Tube)(130)을 사용하는 전자 광증폭시스템 및 접속단자(124)로 구성된 야간투시경(100)을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 즉 접속부(17)에 삽입장착하여 실내외에서 자연광이 전혀 없는 완전암흑상태시 또는 악조건의 야간 기상하에서도 사물과 주변환경을 관측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효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가 상기 적외선 통신 포트용 발광부로 사용되는 경우에, 동 접속구에 수광부(도시하지 않음)를 함께 포함하면포토커플러(photocoupler)의 기능이 확보된다. 따라서 양방향 광통신이 가능하도록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20)에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함께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다중핀형 접속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단자와 함께 음성 송수신을 포함한 통신기능용 단자, 및 특수기능용 단자들이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함께 구비하면, 노트북 컴퓨터와 PDA 등에 유선 접속구로 연결하지 않고 무선으로 연결시켜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상기 적외선 수발광 방식을 적용하고, 이어폰 마이크 일체형 핸즈프리 헤드세트(headset)나 마이크 일체형 핸즈프리 이어폰에 상기 적외선 수발광 방식을 적용하여 휴대폰과 헤드세트(또는 이어폰)간에 통신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장치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의 핸즈프리에 항상 부착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연결선 등이 완전히 제거되고 장치가 간단하여 소형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외선 수발광 방식을 적용한 적외선통신(IrDA ; Ifrared Data Association)용 송수신기를 내장하여,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의 출력데이터를 적외선 무선통신 데이터를 변환하는 엔코더, 상기 적외선 무선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며 휴대폰 단말기의 외부 기기로부터 적외선 무선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IrDA 포트, 및 상기 수신한 적외선 무선통신 데이터를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입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IrDA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컴퓨터, PDA 등과 무선통신을 하며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관리서버와 무선통신을 하며 금융결제 및 출입자 관리 등의 기능을 추가할 수있다.
또한 위조지폐를 판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나 자외선에 근접한 빛을 내는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채택하여 휴대용 위폐판별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지폐나 수표는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형광물질이 함유된 섬유나 도형을 지폐나 수표에 삽입하여 제작하고, 이러한 형광물질이 함유된 부분에 자외선광이나 자외선 파장에 가까운 광을 쏘이면 형광을 발하기 때문에 쉽게 위폐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지폐의 특정한 방향으로 마그네틱 선을 넣어 마그네틱 패턴을 부여하는 지폐도 있으므로, 위폐판별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구에 마그네틱 센서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작은 콘택트렌즈를 자외선광으로 살균하거나, 비교적 작은 상처부위를 국부적으로 살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광원과 함께 확대경(60)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필요한 기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즉, 사물을 더욱 정밀하게 검사하거나 관찰하는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발광기구로 사물을 조명하고, 사물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보석 감정용 루페(loupe)처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확대경(60)은 도 10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20)의 측면에 평행하게 힌지방식으로 설치해 놓고, 필요시 광원의 조명방향과 적절한 각도 θ만큼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플래시라이트의 렌즈캡과 같이 광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서 필요시 적절한 각도로 개방시키는 힌지식 구조 또한 가능하다. 더욱 미세한 대상물을 검사하고 관찰하는 작업이 필요한 경우를위하여,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단일 볼록렌즈의 확대경 뿐만 아니라,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 루페 혹은 소형 현미경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볼펜심이나 연필심과 같은 간단한 필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여 제조함으로써, 휴대폰에 고정시킨 채로 발광기구로 대상 필기부분을 비추며 야간용 필기구로 활용될 수 있다.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필기구는 슬라이드방식으로 접속구 하우징(30) 내에 집어 넣도록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비상시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필요시 특정한 소리(예를 들면, 모기나 쥐를 쫓아 내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음파발생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음파발생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입출력 포트용 접속구를 통하여 휴대폰 배터리로부터 얻는 것임이 자명하다. 소리발생기는 예를 들면, 부저(buzzer), 압전소자, 제어회로를 포함한 스피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파발생기의 음파발생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집중력 향상 및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뇌파 유도신호를 제공하는 뇌파 유도신호 발생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흔히 수험생, 운동선수, 및 경연대회 참가자 등은 행사 전에 극도의 긴장감으로 인해 평소에 본인이 갖고 있는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실수를 하거나, 능력에 훨씬 미달하는 성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상기 음파발생기가 내장된 광원일체형 접속구는 예를 들면, 수험생과 같이 이러한 긴장빈도가 높은 환경에 놓이는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사전에 이완시켜 주는 휴대용 스트레스 이완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이완기는 두뇌활동에 도움이 되는 특정 주파수(예를 들면,알파파 또는 세타파 등)를 포함하는 음파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된 상태로 유도하는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스트레스 이완기를 통하여 스트레스 이완용 음파를 청취함으로써 스트레스 이완은 물론이고, 집중력 강화, 뇌호흡훈련 및 불면증 완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임산부는 태교에 이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에는 일반적인 충전용 배터리보다 상당히 효율이 높고 저장 용량이 큰 고성능 배터리를 응용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상기와 같은 고성능의 배터리가 휴대폰의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매우 크다. 비록 중고 휴대폰에 부착되어 있는 배터리일지라도, 일반적인 충전용 배터리에 비하면 상당기간 추가로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사용하는 경우, 기능이 부족하거나 유행이 지나서 사용하지 않고 방치되는 구형 휴대폰을 재충전형 고성능 배터리가 탑재된 손전등처럼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을 대폭 줄이고, 고가의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제품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몇 가지 예를 들면, 휴대폰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들이 휴대폰 패키지 내에 휴대폰용 걸이나 목걸이 등과 같은 서비스 품목과 함께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포함시켜 판매함으로써, 휴대폰의 판매를 제고할 수 있다. 이밖에 공연, 콘서트, 및 파티 등과 같은 대중의 모임 장소에서 행사의 흥을 돋구는 목적으로 라이트스틱(lightstick) 또는 촛불이나 일회용 전등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학 폐기물을 없애며, 화재의 위험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내기 위하여 도 11에 예시되는컬러필터(70)(color filter)를 광원의 발광부에 부착함으로써 발광색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형광색도 포함). 도 7에 예시된 광원일체형 접속구의 반사경(38) 부분을 연장하여 원추형 컬러필터(70)를 접속구(20)에 부착하는 하나의 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컬러필터(7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플라스틱 소재, 합성수지 소재, 종이소재, 유리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70)는 카메라 렌즈에 탈착하는 것과 같은 평면형, 교통 경찰이 교통 정리시 사용하는 유도등과 같은 봉형, 또는 원추형 등으로, 단면형상(사각형, 삼각형, 원형, 및 타원형 등)과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필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색상의 풍선은 반투명한 고무제품이나 합성수지 제품이 많으므로, 이러한 풍선을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부착함으로써, 풍선 내부로 광원의 광을 비추어 풍선 전체가 빛이 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풍선에 대한 시각적인 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로부터 발하는 빛을 풍선의 외부에서 내부로 비추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풍선에 가스(또는 공기)를 넣어 팽창시킨 다음에 풍선의 내부에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넣어 고정시킨 후 내부에서 빛을 비추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a에 풍선부착부(230)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b에 도시되는 풍선부착부(230)는 광이 잘 투과하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풍선부착부(230)의 일단부(주로 가스주입구가 됨)에 근접한 외주면 상에 링형 걸림턱(233)이 형성되어 있어서, 풍선(250)을 풍선주입구의 말단에 있는 풍선의 보강테(255)가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풍선부착부(230)외 외주면에 씌운 후 가스를 불어 넣으면 풍선부착부(230)의 측벽에 형성된 가스주입구(235)를 통하여 가스가 주입되면서 풍선이 팽창되고 풍선 소재의 탄력성으로 인해 가스주입구(235)를 풍선막이 막아주어서 주입가스의 누출이 방지된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가스 주입구의 단순한 실시예를 예시하였지만, 가스 주입구에는 체크밸브 형태 등의 종래 구성을 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팽창된 풍선이 달린 풍선부착구(230)를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220)와 체결시킨 후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에 삽입장착하여 풍선 내부에 광을 비추어 풍선 전체가 발광체와 같이 빛이 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풍선부착구(230)와 접속구(220)의 체결방식은 단순히 미끄럼 삽입에 의한 체결도 가능하나, 부착구의 내면과 접속구의 광원주변 하우징부분에 나사부(237)를 형성하여 보다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가 휴대폰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접속구의 광원과 함께 조합되는 기타 구성요소에도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광기능을 포함하는 다른 용도의 기능을 갖는 구성도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음주측정기능을 포함하거나, 침술용 전자침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알코올 성분을 감지하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알코올 센서를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운전자가 상기 알코올 센서가 내장된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휴대폰과 같이 소지하고 다니다가, 음주후 자신의 음주량을 측정하면 디지털 표시부에 혈중 알코올 농도 수치를 보여줌으로써, 운전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즉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간이형 음주측정기가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한방 치료법에서는 인체의 경혈점을 찾아내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이에 의해 진정작용과 신체 내부의 조절 작용을 행함으로써 인체의 자연 치유능력을 증강시키고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침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혈도에 침(鍼)을 꽂아 주는 것이 일반적이나, 시술 상의 전문성과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전자적으로 인체의 경혈점을 자극하여 침 시술의 효능이 발휘되게 한 전자침 시술기가 상업화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침구는 인체의 타부위에 비해서 경혈부의 저항이 비교적 낮은 특징을 이용하여 경혈부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게 하고, 전기전자회로를 통하여 발생된 미세한 전류를 신체 경혈부위의 피부 표면에 밀착 접촉하여 경혈에 전도하여 자극을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는 이러한 공지 기술의 전자침구를 함께 내장하여 건강 관리에 필요한 치료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기존의 교통카드나 스마트카드에 내장되어 있는 RF형 IC칩(330)과 RF형 안테나(335)를 내장시킴으로써, 별도의 교통카드나 교통카드형 신용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교통카드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IrDA 송수신기(340)와, RF형 IC칩(330)과 RF형 안테나(335)로 구성되는 스마트카드 시스템을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320)에 모두 내장하여 IrDA형 판독기(345) 및 RF형 판독기(337)와 무선통신을 통한 판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신용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금융결제기능을 갖춘 신형 휴대폰을 구입하지 않아도 기존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교통요금, 상품 구매, 서비스 구매 등에 필요한 금융결제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간편성과 도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교통요금과 같은 소액의 결제 시는 본인확인이나 비밀번호 입력과 같은 금융정보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으나, 상품 구매, 서비스요금 지불 등과 같은 고액 결제의 경우에는 본인확인 또는 비밀번호 입력과 같은 금융정보 확인절차나 인증절차를 거치므로 이는 휴대폰(10)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입력하거나, 후술하는 지문인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본인확인이나 필요한 인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320)는 휴대폰의 통신포트를 통하여 IrDA 및 스마트카드 시스템에 필요한 통신방식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에 상기 IrDA 및 스마트카드 시스템이 내장된 광원일체형 접속구(320)를 적용함으로써 휴대폰(10)의 표시부에서 정보를 읽고 휴대폰(10)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리서버(39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금융결제 행위뿐만 아니라, 통제된 장소에 적용되는 ID확인 및 출입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4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결제 및 출입관리 기능 등에서 필요한 인증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구(320)에 지문인식센서(350)를 내장하여,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여 상기 지문인식센서(350)로부터 지문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증모드에서 입력된 지문데이터를 등록된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자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320)에 내장된 상기 지문인식센서(350)로부터 입력받은 지문데이터를 상기 IrDA 통신, 또는 RF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또는 USB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판독기를 거치거나 직접 관리서버(또는 인증서버)(390)로 보내서 관리서버(또는 인증서버)에 등록된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에 내장된 상기 지문인식센서(350)로부터 입력받은 지문데이터를 휴대폰(10)의 입출력 포트를 거쳐 휴대폰(10)을 통해 원격지의 관리서버 또는 인증서버(395) 측으로 무선전송한 후 상기 관리서버 또는 인증서버(395) 측으로부터 인증결과를 휴대폰(10)으로 수신하여 입출력 포트를 통해 접속구(320) 내로 수신하여 원격 인증을 처리하며 상기 표시부가 처리과정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인식용 단말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절차를 휴대폰(10)의 LCD 패널 상에 표시하며 직접 휴대폰으로 제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식의 추가적인 응용으로, 노상이나 야외에서 상품 판매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용카드나 스마트카드 기타 휴대폰 결제방식에 의해 인증 및 조회처리를 해야할 노점상들 또는 택시 운전사들이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된 카드리더(종래의 마그네틱 카드 판독용), 또는 IrDA, 또는 접촉식/비접촉식 카드 판독기 등을 조합한 단말기나 일체형 단말기로 구성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구매자나 사용자의 개인 ID 및 금융정보를 읽어 들이면 휴대폰을 이용한 휴대용 금융결제수단을 단일 단말기에 갖추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비용을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IrDA 통신 방식은 전파를 이용하지 않고 광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어서 전파방해와 같은 문제점이 없는 반면에, 고체와 같은 장애물을 통과할 수 없고, 이동하면서 통신을 할 때 제약이 많고, 한 장치가 다른 한 장치만 상대해야 하는 일대일 방식(point to point)의 통신만 가능하며, 방향성이 필요하다는 점등의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란 무선으로 행할 수 있는 단거리 데이터 송수신용 주파수규격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주파수는 2.4GHz ISM(Industrial-Scientific-Medical) 대역 및 그 대역 부근이 되며, 이 범위는 일본, 프랑스, 스페인 등 몇몇 나라를 제외하고는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이다. 그 송수신 거리는 통상 10cm 내지 10m 정도의 범위이지만 그 출력을 증대시킬 경우 수십미터 이상까지도 통신이 가능하다. 불루투스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는 예로는 PDA, 휴대용 컴퓨터, 셀룰러(cellular)타입 또는 PCS타입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주변기기(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네트워크 사용을 위해 모뎀에 연결되는 전화 등) 간의 무선 통신을 들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그 특성상 비금속고체를 투과할 수 있고, 고정된 통신환경뿐만 아니라 가동성있는 통신환경에서도 무선접속이 가능하며, IrDA와 같은 일대일 방식이 아니라 한 장치가 다수의 다른 장치를 상대할 수 있는 방식(point to multipoint)이 가능하고, 어떠한 방향으로도 전파발사가 가능하며, 블루투스회로(즉 블루투스 주파수를 이용하여 장치간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회로, 주로 칩으로 되어 있어서 칩셋이라고 하기도 함)의 비용이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에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14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320)에 블루투스칩셋(또는 블루투스회로)(360)를 내장함으로써, 블루투스칩셋(360)이 직접 휴대폰(10) 내부의 전자장치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광원일체형 접속구(320) 내에 설치되므로 블루투스회로와 휴대폰 전자장치의 메인회로기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계와 유도전자계의 간섭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자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회로(360)를 휴대폰(10) 외부에 장착하므로 휴대폰 내부의 전자장치의 회로기판에 대한 설계 및 장착공간을 고려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전자산업의 발전추세와 그 블루투스의 용도변화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응용장치의 주회로기판의 설계변경 및 본체의 생산공정의 변경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블루투스회로(360)를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320) 내에 내장하면 휴대폰과 PDA, 컴퓨터, 및 주변기기 간에 번거로운 커넥터류나 케이블류가 없어도 무선통신으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고, IrDA통신 방식보다 개선된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범용직렬버스 즉,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갖는 장치를 응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USB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통합하기 위한 간단한 방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주변 버스규격이므로, USB는 호스트 개인컴퓨터에 다중의 주변장치를 쉽게 통합시키기 위한 개념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기 USB는 마스터(master)/슬이브(slave) 개념과 호스트와 각 주변장치간의 직접적인 연결이나 허브를 통한 연결하에서 작용한다. 또한, USB는 시리얼버스 형태이며 플러그 앤 플래이(Plug & Play)개념을 사용하는 호스트 컴퓨터에 주변장치를 쉽게 연결하거나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컴퓨터 시리얼 포트인 RS-232 시리얼 포트에서는 전원단자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아 무선데이터 통신기능과 휴대폰의 전원 충전기능을 분리해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무선데이터 통신 시 급격히 소모되는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별도의 외부전원(차량의 시가잭 전원 또는 가정의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구성되는 충전기들을 이용하여 별도의 충전용 연결잭과 결합시켜 충전해야 하므로 설치상의 번거로움과 복잡성 및 휴대상의 문제점이 많이 있다. 그러나 컴퓨터와 주변기기 간의 통신속도가 대폭 향상된 USB 2.0을 포함한 USB 방식의 개발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되었고,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320)에 USB 포트와의 연결이 가능하게 USB 인터페이스(370)를 내장하여 구성함으로써 컴퓨터 등과의 통신은 물론이고 컴퓨터(375)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서 용이하게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에 예시되는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USB 방식을 응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USB 포트를 이용한 통신기능을 갖는 장치용 통신용 케이블은, 컴퓨터의 USB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USB 데이터 버스신호를 휴대폰에 입력하기 위한 시리얼 로직 데이터 버스신호로 변환하거나 휴대폰에서 출력되는 시리얼 로직 데이터 버스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컴퓨터의 USB 포트로 입력되는 USB 데이터 버스신호로 변환하는 통신변환부 회로와, 상기 컴퓨터의 USB 포트에서 출력되는 전원을휴대폰의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충전부 회로를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320) 내에 내장시키고(본 고안에서는 상기 USB용 통신변환부 회로와 충전부 회로를 모두 포함하여 "USB 인터페이스"라 함), 그리고 본 고안의 접속구 내에 있는 연결용 커넥터가 상기 통신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 내의 통신 단자에 연결하고, 충전부에서 출력되는 충전용 전원을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 내의 충전 단자에 연결시켜 주도록 USB 인터페이스(370)를 구성함으로써, 컴퓨터 및 PDA 등과 상호 통신 및 휴대폰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접속구(320)를 통하여 휴대폰(10)의 입출력 포트의 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전류, 및 통신라인으로부터 통신신호를 제어부(380)를 거쳐 각 구성요소로 전송되거나 각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되는 전원전류 및 통신신호가 제어부(380)를 거쳐 휴대폰(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시된 도면에는 각 구성요소들이 모두 내장된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설명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들은 예시된 도면의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온도측정용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면, 대상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는 접촉식 온도계의 측정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해 주면서 간편하게, 그리고 보다 빠르게 대상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과 같이 체온을 측정하기 어려운 측정대상에도 신속하고 정확히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의구성을 설명하면, 대상물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집광체와, 이 집광체를 통해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그 광량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만드는 적외선 센서와, 상기 적외선 센서에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아날로그 회로부와, 이 아날로그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면서 변환된 데이터 값으로 실제온도를 계산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및 연산부(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결과를 디스플레이시켜 주는 메뉴 및 온도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비접촉식 온도계는 온도 측정 대상물체의 방향으로 정확히 적외선 센서를 지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센서 지향용 레이저 포인트를 상기 온도계 내에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레이저 포인터는 전술한 설명과 같이 발표회나 설명회에서 지시봉처럼 활용되면서, 온도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센서가 대상물체를 지향하도록 도와주는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계와 유사하게 레이저나 초음파를 이용한 전자식 거리측정기가 건축 토목공사의 현장이나 골프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상기 거리측정기를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인체의 혈압이나 심장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식 혈압계와 심장박동계도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근래에는 생화학적 분석기술과 유전공학적 분석기술이 발달하여 단지 소량의 혈액만을 채취하여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건강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진단하는 혈액분석기술이 개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을 응용한 혈액분석기를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혈압계와 심장박동계와 아울러 혈액분석기를 적절히 조합하여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하도록 구성하면, 전술한 휴대폰을 통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의사가 원격지에서 환자를 진단하고 진료할 수 있는 원격진료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위성을 이용하여 GPS 좌표를 측정하는 GPS(위성위치측정시스템)를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하거나, 단지 기지국 좌표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GPS 좌표와 기지국 좌표의 혼합 측정에 의해(하이브리드 방식)의 정확히 지리적 위치를 측정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칩셋이나 모듈을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휴대폰 배터리의 전압 또는 충전량을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부를 구비하거나, 일상생활이나 레저활동에 필요한 스톱워치, 온도계, 습도계, 기압계, 자(scale), 칼, 나침반, 만보계(걸음수 측정기), 및 호각(whistle)과 같은 편의 기구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한 다양한 기능의 구성요소들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해외여행을 다니면서 제품을 소개하고 영업활동을 하는 사용자를 위해, 손전등(고휘도 백색 발광다이오드 이용), 위폐판별기(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이용), 및 레이저 포인터(레이저 모듈 이용)가 함께 내장된 접속구를 휴대폰과 같이 휴대하고 여행하면서 필요시 각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요즘에는 자국 내에서 사용하는 휴대폰을 해외에서도 편리하게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로우밍(roaming) 서비스의 제공이 전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조합된 기능을 갖는 접속구를 휴대폰과 같이 휴대하고 다니다가 상기 기술한 본 고안의 편리한 기능을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AM/FM 라디오를 내장한 제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흔히 청소년계층의 학생들이나 젊은 계층의 사람들은 대중교통 내에서도 카세트 겸용 라디오를 통해서 FM 음악 방송을 즐겨 청취하고 있으므로, 이들이 항상 휴대하는 휴대폰에 간단히 부착하여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AM/FM 라디오를 내장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폰과 마이크가 함께 달린 휴대폰용 이어폰을 이러한 라디오의 청취와 통화에 공동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AM/FM 라디오와 TV수상기를 함께 내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테이프나 디스크의 정보와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이들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전기기계적 작동부를 없애고 이를 대체하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칩과 같은 정보저장용 메모리장치를 내장한 소형 디지털 레코더나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많이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 있는데,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이러한 메모리 칩이 내장된 디지털 레코더나 디지털 카메라를 추가로 구비하여 소리정보와 화상정보를 저장하고, 휴대폰을 통해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휴대폰에 끼워쓰는 디지털 카메라나 화상 채팅용 카메라로 사용할 때,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는 피사체가 상대적으로 어두워서 조명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내장된 광원은 어두운 피사체를 밝혀주는 조명등으로 사용되어 접속구에 내장된 카메라의 촬영을 도와줄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전술한 야간투시경과 기능이 유사한 구성부분을 겸용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500)를 도 15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조명부(광원)(522)를 구비하는 화장용 손거울(550)로 사용할 수도 있다. 얼굴의 화장을 고치거나 입안의 치아를 살펴보는 용도로 휴대폰에 걸어 놓은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520)에 조명부를 구비하는 화장용 거울(550)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편리할 수 있다. 부피를 줄이기 위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고휘도 칩형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손거울의 주변부에 고휘도 칩형 LED를 배치하여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라운드형 LED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투명한 LED의 조명이 눈에 강한 자극을 주므로 LED에 의한 조명이 반투명한 우유빛 조명으로 이루어져 강한 자극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거울을 힌지부(570)를 구비하여 접는 방식으로 구성하면 부피가 줄어서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필요 시에는 넓게 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절첩방식(폴더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 시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에 꽂고 절첩된 거울을 펴놓으면 자동적으로 조명이 켜질 수 있도록 개방-온(open-on) 방식으로 전원의 온오프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6은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예시한다.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600)에 충전용 태양전지(solar cell)(650)를 구비하여 자연광이나, 실내 조명 등의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접속구(620)로부터 휴대폰의 입출력 포트에 있는 충전단자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휴대폰의 배터리를 직접 충전시킬 수도 있다. 도 16의 정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상기 태양전지는 평판형이 바람직하고, 도 16의 측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부(670)를 구비한 절첩방식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부피와 면적을 축소시켜 휴대하고 사용 시에는 넓게 펼쳐서 태양전지판(650)의 광에너지 흡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혀진 상태에서의 표면에 구비되는 고휘도 LED와 같은 광원(622)은 역시 손전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불교신자들이 흔히 염불을 할 때 손에 들고 사용하는 법구의 일종인 염주(念珠) 중에 끼워 있는 모주(母珠)에 구멍을 뚫고 내부에 부처상 등을 넣고 확대하여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영상형 모주로 만들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주는 밝은 곳을 향하여 구멍 안을 들여다 보아야 내부의 상을 확실히 볼 수 있으나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응용하여 조명용 LED를 영상형 모주의 내부에 내장해 놓으면 밝은 곳을 향하지 않아도 항상 밝게 들여다 볼 수 있다. 가톨릭에서 사용하는 묵주(默珠)도 역시 같은 기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의 응용으로 좋아하는 가수나 배우와 같은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등의 사진상을 상기 영상형 모주에 넣어두고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들여다 볼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상기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십자가상으로 만들어 몸체의 전부 또는 몸체의 일부분이 발광이 되거나, 전체발광과 함께 소정 단부가 플래시 라이트의 기능이 겸하게 구성하면 휴대폰에 휴대하고 다니다가, 신앙생활을 하는 종교인들이 기도나 염불을 할 때 또는 새벽기도를 나갈 때 오가는 길이나 계단을 살피고, 어두운 조명 아래서 성경이나, 경전을 읽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전원공급부를 내장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해 기기내에 별도의 공간이나 부가적인 액세서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사용상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에 기술된 AM/FM 라디오, TV 수상기, 태양전지, 야간투시경, 디지털카메라, 디지털레코더, 스마트카드, IrDA 송수신기, 지문인식센서, 블루투스 칩셋, 침술용 전자침구, 온도계(체온계를 포함함), 혈압계, 심박계, 혈액분석기, 음파발생기, 음주측정기, 지리정보시스템, 전자식 거리측정기 등은 거의 모두 휴대폰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광원을 제외하고 단지 접속구(휴대폰의 전원단자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요소)와 상기 전자기기를 적절히 조합하여, 기기 자체 내에는 전원공급장치를 내장할 필요가 없는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러한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에 있어서, 광원이나 단자접속구가 손상되는 경우, 광원이나 단자 접속구만을 별도로 용이하게 교체 또는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환가능한 구조의 접속구(구성부재 교환형 접속구)가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예를 들면, 흔히 어린이들이 즐기는 조립식 완구제품인 레고사의 "레고 블럭(LEGO block)"이 다수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자유자재로 필요에 따라 변화무쌍한 조립체를 만들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가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갖춘 다수의 하우징과 하나 이상의 광원을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조립한 후 사용하고 재조립을 위해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접속구용 커넥터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것 또는 휴대폰에 따라 접속구용 커넥터의 사양이 상이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투명한 무색 하우징과 유색광의 LED, 투명한 유색 하우징과 무색광의 LED, 또는 불투명한 색상의 하우징과 무색광의 LED를 조합하여 광원의 색상과 하우징의 색상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한가지만 사용하면 쉽게 싫증이 나므로 필요에 따라 하우징, 광원, 커넥터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조립하고, 또한 분해한 후 재조립하기 위해 해체가 가능한 조립식 광원일체형 접속구 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예시되었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및 유사한 구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단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광원일체형 접속구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에 상기 접속구를 부착하여 용이하게 손전등이나 비상용 신호기구와 같은 발광기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고 방치된 중고 휴대폰을 손전등과 같은 발광기구로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기구와 함께 일상생활이나 레저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구와 전기전자기기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편리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휴대폰의 접속부에 삽입 장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휴대폰을 발광기구로 사용하도록 광원과 접속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추가구성요소를 구비하는 광원일체형 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야간투시경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카메라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거울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태양전지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RF형 IC칩과 RF형 안테나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지문인식용 센서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USB 인터페이스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블루투스 칩셋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영상형 모주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풍선부착부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거리측정기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혈압계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심장박동계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혈액분석기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지리정보시스템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만보계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라디오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구성요소가 TV 수상기인 광원일체형 접속구.
KR20-2003-0003872U 2002-01-02 2003-02-10 광원일체형 접속구 KR2003119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078 2002-01-02
KR2020020000078 2002-01-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326U Division KR200311517Y1 (ko) 2002-01-02 2002-08-26 광원일체형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952Y1 true KR200311952Y1 (ko) 2003-05-01

Family

ID=4940548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54U KR200276068Y1 (ko) 2002-01-02 2002-02-28 광원일체형 접속구
KR20-2002-0025326U KR200311517Y1 (ko) 2002-01-02 2002-08-26 광원일체형 접속구
KR20-2003-0003872U KR200311952Y1 (ko) 2002-01-02 2003-02-10 광원일체형 접속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54U KR200276068Y1 (ko) 2002-01-02 2002-02-28 광원일체형 접속구
KR20-2002-0025326U KR200311517Y1 (ko) 2002-01-02 2002-08-26 광원일체형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2760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51U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아이뷰 스마트 신장 측정기
US10263395B2 (en) 2014-11-12 2019-04-16 Tae Jin Kim Airport runway approach ligh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838A (ko) * 2002-09-02 2002-10-07 권대웅 일렉트릭 라이트 캡 스타일 레이저램프와 센서 모듈
KR20040070887A (ko) * 2003-02-05 2004-08-11 박희주 휴대폰 액세서리
KR20040090577A (ko) 2003-04-17 2004-10-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트로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243693B1 (ko) * 2011-04-29 2013-03-19 박제환 휴대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711963B1 (ko) * 2016-08-29 2017-03-06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089803B1 (ko) * 2018-06-08 2020-03-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US20220409103A1 (en) * 2019-12-02 2022-12-29 Intin Inc. Body fluid observation device
KR102404890B1 (ko) * 2020-09-07 2022-06-07 강신학 음주 측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3395B2 (en) 2014-11-12 2019-04-16 Tae Jin Kim Airport runway approach lighting apparatus
KR20170002151U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아이뷰 스마트 신장 측정기
KR200483849Y1 (ko) 2015-12-09 2017-07-04 주식회사 아이뷰 스마트 신장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517Y1 (ko) 2003-05-09
KR200276068Y1 (ko) 200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966B2 (en) Hyper-spectral image measurement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photographing module and device for skin diagnosis, skin diagnosis method, and skin image processing method
US8588032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watch
KR200311952Y1 (ko) 광원일체형 접속구
US9658651B2 (en) Expanding capabilitie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US9886058B2 (en) Links
CN205757640U (zh) 一种具有发光功能的智能手环
CN104157116A (zh) 智能戒指及可佩戴智能显示系统
CN208658075U (zh) 一种智能一卡通腕带
CN204069148U (zh) 双向寻找以及无线自拍的装置
CN206150622U (zh) 一种智能胸牌
US20170180921A1 (en) Device equipped with magnetic field sensor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129315B2 (en) Bill folder with visual device and dynamic information content updating system
CN212066690U (zh) 一种肌肤检测仪
CN210642827U (zh) 一种带有温度检测和计时的运动手环
CN109257665A (zh) 一种多功能蓝牙音响
CN108209893A (zh) 一种具有摄像功能的可穿戴式智能设备
CN106878539A (zh) 摄拍与自动识别双镜头手机的制作与使用方法
CN210329629U (zh) 一种智能发光镂空饰品
CN209252853U (zh) 一种老人用智能心率手环
CN105959023A (zh) 一种老年人专用迷你广播机
CN212938367U (zh) 一种语言识别手环
CN209153642U (zh) 一种智能头环
CN205793583U (zh) 一种具有静电防护功能的可穿戴设备
CN207039813U (zh) 一种多功能蓝牙音响
CN113133741A (zh) 一种肌肤检测方法、装置及肌肤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