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803B1 -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803B1
KR102089803B1 KR1020180066389A KR20180066389A KR102089803B1 KR 102089803 B1 KR102089803 B1 KR 102089803B1 KR 1020180066389 A KR1020180066389 A KR 1020180066389A KR 20180066389 A KR20180066389 A KR 20180066389A KR 102089803 B1 KR102089803 B1 KR 10208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unit
cheer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655A (ko
Inventor
정진만
나인환
김서연
박지수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80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가 참여할 수 있고, 지연시간이 짧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동작신뢰성이 높은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식별부 및 LED 제어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LED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응원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해 각각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단일의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상기 LED 스틱을 픽셀로 하는 가상의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응원정보를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중앙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Virtual display using module type LED electronic stick}
본 발명은 다수가 참여하여 공동으로 응원을 할 수 있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방식을 차용해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고 경제적이며,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고 휴대가 간편하며,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경기가 열리는 경기장이나, 콘서트가 열리는 공연장에서 관중/관객으로 입장한 사람들은 해당 경기 또는 콘서트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하며, 각종 도구를 활용한 응원은 이러한 참여 방법 중 하나이다.
관중/관객들은 일반적으로 플래카드, 카드섹션, 응원봉과 같은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응원을 하게 된다.
플래카드의 경우 입장한 사람들이 미리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하며, 1회 사용 이후 대부분 폐기처분된다.
카드섹션의 경우 응원 도안을 준비한 후, 도안에 맞춰 카드를 미리 제작해야 하며, 통일된 응원을 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이 미리 시간을 투자해 연습을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카드섹션은 경제적, 시간적 비용이 발생하여 경기 당일 또는 콘서트 당일에 경기장을 찾는 관중/관객이 응원에 참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응원봉은 관중/관객 개개인이 응원하는데 사용할 경우 별도의 연습이 필요하진 않지만 다수의 관중/관객이 통일된 응원을 위해서는 카드섹션과 같이 미리 연습이 필요하고, LED 및 배터리를 사용한 응원봉은 상대적으로 비싸며, 형광물질을 사용한 응원봉은 상대적으로 경제적이지만 일회용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의 개선과 공연문화의 고도화를 위한 ICT 기반 인프라 개선 요구와 공연 예술문화의 소비 욕구 다양화로 관람객들을 위한 새로운 맞춤형 서비스 요구에 맞는 발전된 응원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2422호(“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응원효과출력방법 및 그 시스템”, 공개일 2007.08.21., 이하 선행기술 1)와 같은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선행기술 1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소정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종류로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효과를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지만 모바일 단말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이어서 여전히 통일된 응원을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하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글자를 출력하더라도 화면이 너무 작아 원거리에 위치한 공연자가 인식할 수 없으며, 응원을 위한 색, 밝기 등의 통일이 사실상 용이하지 않아 제대로 된 응원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2422호(“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응원효과출력방법 및 그 시스템”, 공개일 2007.08.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의 목적은, 다수의 인원이 함께 참여하여 통일된 응원을 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모바일 단말기를 하나로 통일해, 개별적인 모바일 단말기가 하나의 픽셀로 동작하는 가상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가상 디스플레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고장이 적고 경제적이며, 데이터의 송/수신에 있어 지연시간이 짧아 보다 용이하게 가상 디스플레이의 구성이 가능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식별부(110) 및 LED 제어부(120)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LED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응원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2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해 각각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단일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된 상기 LED 스틱(200)을 픽셀로 하는 가상의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응원정보를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중앙서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ED 스틱(2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USB방식을 통해 연결되거나,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ED 스틱(2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10), 상기 통신부(310)로부터 복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를 전송받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단일의 휴대용 단말기를 픽셀로 하는 가상의 2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생성부(3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2차원 디스플레이에 따라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출력위치를 결정해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출력정보 전송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원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응원하는 공간의 형태, 기울기, 높이, 좌석간격 정보 및 현재 획득이 완료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 저장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획득장치로 이루어지는 응원확인수단(350), 상기 응원확인수단(35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수단(360) 및 상기 이미지처리수단(360)에서 처리된 데이터와 상기 응원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판단수단(3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중앙서버부(300)와의 통신 없이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상기 LED 스틱(200)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오프라인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LED 스틱과 휴대용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됨으로써, LED 스틱과 휴대용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지연시간이 짧아지는 효과가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인 가상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LED 스틱과 휴대용 단말기가 유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짐으로써, LED 스틱에 별도의 무선 통신모듈이 필요하지 않고, LED 스틱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해져 고장이 적고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고 휴대가 간편하며, 보다 경제적으로 LED 스틱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응원방법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위치 식별부(1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를 중앙서버부(300)로 송신하는 위치정보 송신단계, 중앙서버부(300)에서 다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정보를 통해,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를 픽셀로 하는 2차원 가상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구성 단계, 상기 2차원 가상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맞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별로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정보를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출력정보 전송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출력정보를 수신한 후,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와 결합된 LED 스틱(200)으로 출력정보를 전송하여 응원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의 휴대용 단말기와 전자스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의 중앙서버의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디스플레이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좌석이 밀집된 스포츠 경기장 또는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 LED 스틱(200) 및 중앙서버부(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스포츠경기/콘서트를 관람하는 관중/관객이 소유한 단말기로,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종류를 스마트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하되, 후술할 LED 스틱(20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서버부(300)와 통신 가능한 각종 스마트 기기가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다수개가 중앙서버부(3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LED 스틱(200)과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LED 스틱(200)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결합되는 일종의 모듈형 전자 장치로, 휴대용 단말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중앙서버부(30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응원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응원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스틱(200)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 스틱(2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단자(210)를 포함하여, USB단자(21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블(22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됨으로써 유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단,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LED 스틱(200)을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단말기(100)가 아닌 다른 전자기기/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고, 더 나아가 배터리가 내장된 LED 스틱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배터리가 내장된 LED 스틱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를 충전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 또한 LED를 포함하는 기종이 있고, 이와는 별개로 특정 응원문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LED 스틱(200)을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관중/관객이 소유한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서로 기종이 달라 디스플레이의 크기 또는 LED의 포함유무가 다르기 때문에 통일성을 중요하시는 단체 응원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LED 스틱(200)을 사용하여 응원의 통일성을 높일 수 있다.
LED 스틱(200)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각종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이유는 LED 스틱(200)과 휴대용 단말기(100)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지연시간이 무선 방식에 비해 유선 방식이 짧아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LED 스틱(200)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배제함으로써, LED 스틱(200)에 포함되어야 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없앨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배제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보다 단순한 구조의 LED 스틱을 제작/제공할 수 있어 동작 신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덧붙여, LED 스틱(200)은 응원의 주체(예를 들어 다양한 팬덤)별로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액세서리로 사용될 수 있고 실생활에 휴대 가능하며, LED 스틱(200)에는 별도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일반적인 USB로도 사용 가능하며, 도 2a와 같이 단자(210)가 형성된 실시예일 경우 단자(210)가 삽입되는 부분의 마개 역할을 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휴대용 단말기(10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LED 스틱(200)이 휴대용 단말기(100)와 USB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USB-A, USB-B, USB-C 타입과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LED 스틱(200)에 포함되는 LED는 단일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LED 스틱(200)이 휴대용 단말기(100)와 결합될 경우, LED 스틱(200)은 스틱에 포함되는 LED의 개수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부(3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각각의 위치정보를 전송받고, 단일의 휴대용 단말기(100) 별로 연결된 LED 스틱(200)을 픽셀로 하는 가상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한 후, 응원정보를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송신하여 다수의 관중/관객이 참여할 수 있는 응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00), LED 스틱(200) 및 중앙서버부(300)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위치 식별부(110), LED 제어부(120) 및 통신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식별부(110)는 단일의 관중 또는 관객이 소유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인 좌석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위치 식별부(110)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될 수 있다.
위치 식별부(110)는 좌석에 설치된 QR코드, NFC태그 또는 기타 위치 인식수단을 인식함으로써 현재 관중 또는 관객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휴대용 단말기(100)를 소유한 관중 또는 관객이 수동으로 현재의 좌석 정보를 위치 식별부(110)에 입력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위치 식별부(110)를 통해 확인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내장된 통신모듈(130)을 통해 중앙서버부(300)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중앙서버부(300)에서는 기입력된 응원정보를 통해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출력정보를 송신하는데, LED 제어부(120)는 중앙서버부(300)에서 전송한 출력정보를 수신해 해당 출력정보를 후술할 LED 스틱(200)으로 전송하여, LED 스틱(200)에서 발광할 LED의 색상/시간/밝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LED 제어부(120)는 위치 식별부(110)와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될 수 있다.
통신모듈(130)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응원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중앙서버부(300) 또는 기타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모듈(130)은 이동통신망, 무선인터넷(Wi-fi),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개인용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서버부(300)는 통신부(310), 디스플레이 생성부(320), 출력정보 전송부(330) 및 공간정보 저장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부분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통신부(310)를 통해 중앙서버부(300)로 수신되는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정보, 즉 위치 식별부(110)에서 파악한 정보이며, 통신부(3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송신되는 정보는 LED 스틱(200)에서 출력하는 응원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생성부(320)는 통신부(31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를 전송받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개수/위치에 따라 단일의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된 LED 스틱(200)을 픽셀로 하는 가상의 2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데, 디스플레이 생성부(320)에서 LED 스틱(200)을 가상의 2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콘서트/공연장에서 관중/관객들이 2차원의 좌석에 착석하기 때문이다.
출력정보 전송부(330)는 디스플레이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2차원 디스플레이에 따라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출력위치를 결정하여, 통신부(3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 전송하는 응원정보는 개별 LED 스틱부(200)에서 발광하는 색상/시간/밝기와 같은 정보일 수 있으며,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 전송하는 응원정보를 변경하여 다양한 응원 메시지, 이미지, 영상 등을 자유롭고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부(300)는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 사용되는 응원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응원정보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서버부(300)에 기입력된 응원정보는 소정의 픽셀값을 가질 수 있다. 출력정보 전송부(330)는 기입력된 응원정보를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100)별 위치정보와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여,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 결합된 LED 스틱(200) 별로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전송한다.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는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픽셀값과 디스플레이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2차원 디스플레이의 픽셀 크기가 다를 경우,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픽셀값과 디스플레이 생성부에서 생성된 2차원 디스플레이의 픽셀 크기를 상호 비교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픽셀정보를 확정한 후, 획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출자가 500×100 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생성하였는데, 응원에 참가한 스마트폰이 5,000개, 즉 100×50 이라면, 상기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는 생성된 픽셀정보와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인 근사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종적으로 100×50 의 픽셀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연출자가 100×40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생성하였는데, 응원에 참가한 스마트폰이 총 16,000개, 즉 200×80 이라면, 상기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는 생성된 픽셀정보와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인 근사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종적으로 200×80의 픽셀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스틱(200)은 중앙서버부(3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고,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LED 스틱(200)으로 전송하는 응원정보에 따라 LED 스틱(200)에 포함되는 LED를 발광하며, 상술한 동작을 위해 플래시 메모리(201), 컨트롤러(202) 및 RGB LED(20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201)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LED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응원의 출력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컨트롤러(202)는 직접적으로 발광하는 부분인 RGB LED(203)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LED 스틱(200)에서 플래시 메모리(201)와 같이 일종의 저장공간을 두는 이유는, 모든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응원정보의 동기화를 위해서이다. 즉, 중앙서버부(300)는 모든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플래시 메모리(201) 각각에 응원의 출력정보를 전송한 후, 일종의 트리거 신호를 모든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동일한 시간에 플래시 메모리(201)에 저장된 응원이 동기화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RGB LED(203)에서는 RGB 뿐 아니라 RGBW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부(300)의 공간정보저장부(340)는 응원하는 공간의 형태, 기울기, 높이, 좌석간격 정보 및 현재 획득이 완료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공간정보저장부(340)는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로 응원의 출력정보가 전송되기 전, 기저장된 공간의 형태, 기울기, 높이, 좌석간격 정보를 통해 출력정보를 보정함으로써,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수평적으로 경기장을 인식하여 픽셀정보를 생성할 때 발생될 수 있었던 이미지의 왜곡에서 오는 어색함을 최소화하고, 경기장 공간에 따라 다양한 외곽선을 갖는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여 활용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한 픽셀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중앙서버부(300)의 구성들은 응원정보가 출력되기까지의 구성들이며, 중앙서버부(300)는 이와는 별개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응원정보를 확인하고 보정할 수 있도록, 응원확인수단(350), 이미지 처리수단(360), 유사도 판단수단(370) 및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응원확인수단(350)은 카메라와 같은 영상입력장치를 통해 현재 관객/관중석에서 진행되고 있는(LED 스틱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응원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를 획득하고, 이를 이미지 처리 수단(360)을 통하여 처리한 후, 처리된 데이터와 중앙서버부(300)에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유사도를 유사도 판단수단(370)을 통하여 비교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일종의 가상 디스플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응원에서 원본이 되는 응원정보와 실제 출력물인 응원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오차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픽셀정보를 수정하여 정확한 형태의 응원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380)는 디스플레이 생성부(320)에서 2차원 가상 디스플레이를 생성할 때, 생성된 2차원 가상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38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13개의 행(A~M)과 16개의 열을 가지는 관중석/관객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3×16의 관중석/관객석 중 검은색으로 칠해진 부분은 관중/관객이 있는 부분이고, 흰 색은 관중/관객이 없는 빈자리이다.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380)는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총 개수를 파악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총 개수로 구성 가능한 2차원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연산한다. 단, 이때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380)에서 연산하는 2차원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관중석/관객석의 총 크기(도 4를 예로 들면 가로 픽셀 13, 세로 픽셀 16)를 초과할 수 없다.
이후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380)는 단일의 행 또는 열이 최대크기 또는 다른 행 또는 열의 크기와 동일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100)(도 4에서 F1, G1, H1)로 메시지를 보내, 해당 부분의 관중/관객들을 빈 좌석(도 4에서 M4, M5, M6)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현재 휴대용 단말기(100)의 총 개수로 구성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2차원 가상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단,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380)에서 요청하는 좌석의 이동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등급의 좌석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중앙서버부(300) 간의 통신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중앙서버부(300) 간의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LED 스틱(200)에서 발광하는 색상/시간/밝기를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오프라인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응원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응원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것으로서, 이하 설명되는 구성 중 기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명칭 또는 도번일 경우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응원방법은 위치정보 송신단계, 디스플레이 구성단계, 출력정보 전송단계 및 출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송신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위치 식별부(1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정보, 즉 휴대용 단말기(100)를 소유한 관중/관객의 좌석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정보를 중앙서버부(3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위치 식별부(110)는 좌석에 형성된 QR코드 또는 NFC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좌석에 별도의 QR코드 또는 NFC 태그와 같은 위치정보 인식수단이 없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의 소유자가 위치 식별부(110)를 통해 직접 위치정보(좌석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획득된 위치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통신모듈(130)을 통해 중앙서버부(3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성단계는 중앙서버부(300)에서 다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정보를 통해,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를 픽셀로 하는 2차원 가상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단계이다.
출력정보 전송단계는 디스플레이 구성단계에서 구성된 상기 2차원 가상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맞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별로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력정보를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출력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출력정보를 수신한 후,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와 결합된 LED 스틱(200)으로 출력정보를 전송하여 응원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110 : 위치 식별부
120 : LED 제어부 130 : 통신모듈
200 : LED 스틱 201 : 플래시 메모리
202 : 컨트롤러 203 : RGB LED
210 : 단자 220 : 케이블
300 : 중앙서버부 310 : 통신부
320 : 디스플레이 생성부 330 : 출력정보 전송부
340 : 공간정보 전송부 350 : 응원확인수단
360 : 이미지 처리수단 370 : 유사도 판단수단
380 : 디스플레이 보정 요청부

Claims (8)

  1.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식별부(110) 및 중앙서버부(300)로부터 응원정보를 수신하여 모듈형 전자 LED 스틱(200)으로 전송하는 LED 제어부(120)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100);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LED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응원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2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해 각각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단일의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된 상기 LED 스틱(200)을 픽셀로 하는 가상의 디스플레이로 구성하고, 응원정보를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중앙서버부(300);를 포함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중앙서버부(300)와의 통신 없이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상기 LED 스틱(200)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오프라인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부(3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10),
    상기 통신부(310)로부터 복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각각의 위치를 전송받고, 단일의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된 LED 스틱(200)을 픽셀로 하는 가상의 2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생성부(320),
    상기 디스플레이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2차원 디스플레이에 따라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출력위치를 결정해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출력정보 전송부(330),
    응원하는 공간의 형태, 기울기, 높이, 좌석간격 정보 및 현재 획득이 완료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저장부(3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획득장치로 이루어지는 응원확인수단(350),
    상기 응원확인수단(35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수단(360) 및
    상기 이미지처리수단(360)에서 처리된 데이터와 상기 응원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판단수단(370)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정보 전송부(330)는 기입력된 응원정보를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100)별 위치정보와 출력정보 전송부(330)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여, 각 휴대용 단말기(100)에 결합된 LED 스틱(200)별로 대응되는 응원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출력정보 전송부(330)는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픽셀값과 디스플레이 생성부(320)에서 생성된 2차원 디스플레이의 픽셀 크기가 다를 경우, 기입력된 응원정보의 픽셀값과 디스플레이 생성부에서 생성된 2차원 디스플레이의 픽셀 크기를 상호 비교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픽셀정보를 확정한 후, 확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스틱(2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USB방식을 통해 연결되거나,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 스틱(2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6389A 2018-06-08 2018-06-08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KR10208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389A KR102089803B1 (ko) 2018-06-08 2018-06-08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389A KR102089803B1 (ko) 2018-06-08 2018-06-08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55A KR20190139655A (ko) 2019-12-18
KR102089803B1 true KR102089803B1 (ko) 2020-03-16

Family

ID=6905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389A KR102089803B1 (ko) 2018-06-08 2018-06-08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8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068Y1 (ko) * 2002-01-02 2002-05-18 한보림 광원일체형 접속구
KR20070082422A (ko) 2006-02-16 2007-08-21 주식회사 와이어투와이어커뮤니케이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응원효과출력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16619A (ko) * 2016-04-11 2017-10-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및 서버를 이용한 가상 led 전광판
KR101730301B1 (ko) * 2016-09-30 2017-04-25 (주)에스엠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 응원도구를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KR101822968B1 (ko) *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6068호(2002.5.18. 공고)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730301호(2017.4.25. 공고)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1822968호(2018.1.29.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655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6822B2 (ja) 応援用発光装置を用いた公演会場における画像演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演出システム
US10893597B2 (en) Group-performance control method using light-emitting devices
JP7448611B2 (ja) クラウド制御システム
KR102663330B1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KR101936822B1 (ko)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KR20200000794A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JP2024097050A (ja) 公演場面演出のためのビットマップ制御システム
KR102089803B1 (ko)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KR20200071711A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CN116740870A (zh) 应援棒控制信息发送装置、应援棒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200050448A (ko) 공연연출시스템
KR102220750B1 (ko)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KR20210028613A (ko)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KR20130117186A (ko) 모션 인식을 통한 자동 분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06004B1 (ko)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KR20200000793A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