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822B1 -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822B1
KR101936822B1 KR1020170139635A KR20170139635A KR101936822B1 KR 101936822 B1 KR101936822 B1 KR 101936822B1 KR 1020170139635 A KR1020170139635 A KR 1020170139635A KR 20170139635 A KR20170139635 A KR 20170139635A KR 101936822 B1 KR101936822 B1 KR 10193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eering
identifier
location identifi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만
은성배
윤영선
나인환
유승주
손태일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9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05B33/08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인원이 응원함에 있어 각각의 위치식별자를 중앙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응원정보를 LED전자스틱에서 출력하여 역동적이며 통일성 있는 응원이 가능한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Virtual display based support tools and support methods using smart phone interlock LED electronic stick}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인원이 응원함에 있어 각각의 위치식별자를 중앙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응원정보를 LED전자스틱에서 출력하여 역동적이며 통일성 있는 응원이 가능한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경기나 콘서트가 열리는 경기장에서 관중 또는 관객으로 입장한 사람들은 해당 경기 또는 콘서트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원한다. 이러한 능동적 참여는 플래카드, 카드섹션, 응원봉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플래카드의 경우 입장한 사람들이 미리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하며, 1회 사용 이후 대부분 폐기처분한다.
카드섹션의 경우 응원 도안을 준비해야 하고 도안에 맞추어 카드를 미리 제작해야 하며, 제대로 된 통일된 응원을 위해서는 미리 시간을 투자하여 연습을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응원을 위한 경제적, 시간적 비용이 발생하여 일반적으로 경기 당일 또는 콘서트 당일에 경기장을 찾는 관중 또는 관객이 응원에 참여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더불어, 이와 같은 응원 도구들은 대부분 일회성이므로, 사용 후 버려지게 되어 이에 따른 환경문제 및 처리비용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대부분 독립적으로 응원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아 공연자에게 잘 보이지 않거나 몰입감 감소를 유도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공연문화 및 한류고도화를 위한 ICT 기반 인프라 개선 요구와 공연 예술문화의 소비 욕구 다양화로 관람객들을 위한 새로운 맞춤형 서비스 요구에 맞는 발전된 응원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2422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정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효과정보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응원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내용에 따라 상기 효과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효과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효과정보에 따라 응원효과가 출력되도록 하는 효과출력부로 구성되어 모바일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효과를 이용하여 응원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모바일 단말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이어서 여전히 통일된 응원을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하며,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 글자를 띄울 경우에도 화면이 너무 작아 공연자가 인식할 수 없다.
또한 응원을 위한 색, 밝기 등의 통일은 사실상 어려워 제대로 된 응원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2422호 (2007.08.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은, 다수의 인원이 응원함에 있어 각각의 위치식별자를 중앙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응원정보를 LED전자스틱에서 출력하여 역동적이며 통일성 있는 응원이 가능한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200)의 이미지 획득장치(210) 또는 전자태그 획득장치(220)를 이용하여 응원 장소에 마련된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는 식별자스캔수단(111), 사용자가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단인 식별자입력수단(112), 스마트폰(200)의 데이터송수신장치(230)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자스캔수단(111) 또는 상기 식별자입력수단(112)에서 획득된 위치식별자를 중앙서버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중앙서버부(300)로부터 수신하는 서버통신수단(113), 전체 응원정보, 공연정보 및 안전정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4)으로 구성되는 스마트폰부(110);
LED광원(121a) 및 상기 LED광원(121a)을 제어하는 광원제어장치(121b)로 구성되는 LED광원제어수단(121), 상기 LED광원제어수단(1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22),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에 수신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LED광원제어수단(121)에 전송하는 스마트폰데이터수신부(123)로 구성되는 LED전자스틱부(120); 및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응원정보가 저장되는 응원정보저장수단(131), 상기 응원정보저장수단(131)의 응원정보를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픽셀정보생성수단(132),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수단(132)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는 픽셀정보매칭수단(133),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위치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매칭에 의해 생성된 출력정보를 서버통신수단(113)으로 송신하는 데이터통신수단(134)으로 구성되는 중앙서버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는 각 픽셀에 해당하고,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는 각 좌석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121a)은 RGB 또는 RGBW 색상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스마트폰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 또는 스마트폰의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상기 중앙서버부(130)와의 통신 없이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LED광원(121a)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오프라인제어정보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원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부(130)는 응원하는 공간의 형태, 기울기, 높이, 좌석간격 정보 및 현재 획득이 완료된 위치식별자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저장수단(1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획득장치로 이루어지는 응원확인수단(136), 상기 응원확인수단(136)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수단(137) 및 상기 이미지처리수단(137)에서 처리된 데이터와 상기 응원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판단수단(1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응원정보가 저장되는 응원정보저장수단의 응원정보를 픽셀정보생성수단을 통해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픽셀정보생성단계(S01);
스마트폰의 이미지 획득장치 또는 전자태그 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응원 장소에 마련된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거나 식별자입력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는 위치식별자획득단계(S02);
상기 위치식별자획득단계(S02)에서 획득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서버통신수단을 통하여 중앙서버부에 전송하는 위치식별자전송단계(S03);
중앙서버부에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는 픽셀정보확인단계(S04);
상기 픽셀정보확인단계(S04)에서 매칭된 출력정보를 서버통신수단으로 송신하는 픽셀정보전달단계(S05);
상기 서버통신수단에 수신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LED광원제어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LED광원제어수단은 LED광원을 제어하여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응원출력단계(S06);로 구성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원방법은 상기 응원출력단계(S06)에서 출력된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을 응원확인수단을 통해 획득하는 출력확인단계(S07);
상기 출력확인단계(S07)에서 획득된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을 이미지처리수단을 통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응원정보 재처리단계(S08); 및
상기 응원정보 재처리단계(S08)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응원정보와 비교하는 형태비교단계(S0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원방법은 상기 형태비교단계(S09)에서 변환된 데이터와 응원정보의 일치도가 미리 입력한 일치도 이상일 경우 출력이 종료되며, 일치도 이하일 경우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S01)부터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LED전자스틱을 이용하여 응원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통일성 있고 효율적인 응원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사람이 각각 응원을 위하여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인원이 응원함에 있어 각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자를 중앙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응원정보를 LED전자스틱에서 출력함으로써 역동적이고 통일성 있는 응원이 가능하다.
아울러 각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자를 획득하고 스마트폰이 중앙서버부에 연결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응원에 참여할 수 있어 응원참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응원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중앙서버부의 픽셀정보생성수단에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위치식별자 정보와 매칭시킴으로써, 참여 인원에 따른 맞춤형 응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LED광원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부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중앙서버부의 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의 일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의 일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LED광원의 일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부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중앙서버부의 일 실시예,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스마트폰부; 상기 스마트폰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LED전자스틱부; 및 각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자를 수신하고,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송신하는 중앙서버부를 포함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좌석에 구비된 각각의 LED전자스틱부를 하나의 픽셀로 하고, 다수의 LED전자스틱부를 조합하여 가상의 대형 LED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 각각의 LED전자스틱부의 색상과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응원 메시지, 이미지, 영상 등을 자유롭고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규모 공연장이나 경기장의 각 좌석에 부여된 QR 코드 또는 전자태그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위치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다.
획득된 각 좌석의 위치식별자는 중앙서버부로 송신되고, 상기 중앙서버부는 미리 입력된 응원정보로부터 생성된 픽셀정보와 상기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매칭하여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하는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출력정보는 각 좌석에 해당하는 스마트폰부로 송신되며, 상기 스마트폰부에서 수신된 각각의 출력정보는 자동적으로 각각의 LED전자스틱부로 전송되고, 각 LED전자스틱부는 출력정보에 맞는 색상과 밝기를 나타낸다.
각각의 LED전자스틱부에서 출력되는 색상과 밝기를 조합함으로써 관리자가 의도하는 응원 메시지, 이미지 또는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석의 배치가 달라지거나 사용자의 위치에 변동이 있더라도, 각 좌석에 해당하는 위치식별자를 획득하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인 상황에서도 효율적인 응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의 이미지 획득장치(210) 또는 전자태그 획득장치(220)를 이용하여 응원 장소에 마련된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는 식별자스캔수단(111), 사용자가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단인 식별자입력수단(112), 스마트폰(200)의 데이터송수신장치(230)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자스캔수단(111) 또는 상기 식별자입력수단(112)에서 획득된 위치식별자를 중앙서버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중앙서버부(300)로부터 수신하는 서버통신수단(113), 전체 응원정보, 공연정보 및 안전정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4)으로 구성되는 스마트폰부(1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식별자스캔수단(111)은 상기 스마트폰(200)의 이미지 획득장치(210) 또는 전자태그 획득장치(220)를 통하여 이미지 형태의 태그로 구성된 식별자 또는 NFC,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한 전자태그로 구성된 식별자에서 위치식별자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식별자입력수단(112)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좌석번호 또는 티켓에 기재되어 있는 위치식별자코드를 직접 입력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는 다양한 형태의 위치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오래전에 건설된 구형 경기장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입력수단(112)에 자신의 좌석번호 또는 티켓에 기재되어 있는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고, 최근에 리모델링 또는 건축된 경기장의 경우 이미지 형태의 태그 또는 전자태그를 각 좌석에 설치하여 이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은 상기 스마트폰(200)의 데이터송수신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14)은 사용자에게 전체 응원정보, 공연정보 및 안전정보를 제공하여 현재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는 응원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응원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광원(121a) 및 상기 LED광원(121a)을 제어하는 광원제어장치(121b)로 구성되는 LED광원제어수단(121), 상기 LED광원제어수단(1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22),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에 수신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LED광원제어수단(121)에 전송하는 스마트폰데이터수신부(123)로 구성되는 LED전자스틱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는 각 픽셀에 해당하고,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는 각 좌석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데이터수신부(123)는 상기 스마트폰부(110)와 통신을 위하여 블루투스 또는 NFC와 같이 저전력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부를 통하여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거나 직접 위치식별자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식별자가 중앙서버부로 전송되고, 상기 스마트폰부는 상기 중앙서버부로부터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각각의 LED전자스틱부(120)에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LED전자스틱부(120)는 수신된 출력정보에 맞는 색상과 밝기로 LED를 발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응원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응원정보가 저장되는 응원정보저장수단(131), 상기 응원정보저장수단(131)의 응원정보를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픽셀정보생성수단(132),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수단(132)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는 픽셀정보매칭수단(133),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위치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매칭에 의해 생성된 출력정보를 서버통신수단(113)으로 송신하는 데이터통신수단(134)으로 구성되는 중앙서버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픽셀정보생성수단(132)은 미리 입력한 응원정보를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픽셀정보매칭수단(133)은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수단(132)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여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픽셀정보매칭수단(133)은 상기 픽셀정보생성수단(132)에서 생성된 픽셀정보 및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반영한 픽셀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출력될 픽셀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연출자가 500×100 의 이미지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생성하였는데, 응원에 참가한 스마트폰이 5,000개, 즉 100×50 이라면, 상기 픽셀정보매칭수단(133)은 생성된 픽셀정보와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인 근사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종적으로 100×50 의 픽셀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연출자가 16×16의 폰트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생성하였는데, 응원에 참가한 스마트폰의 픽셀정보가 8×8 이라면, 상기 픽셀정보매칭수단(133)은 생성된 픽셀정보와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인 근사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종적으로 8×8 의 픽셀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연출자가 8×8 의 폰트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생성하였는데, 응원에 참가한 스마트폰의 픽셀정보가 16×16 이라면, 상기 픽셀정보매칭수단(133)은 생성된 픽셀정보와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인 근사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종적으로 16×16 의 픽셀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픽셀정보를 바탕으로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색상, 밝기 등)는 데이터변환기를 통해 데이터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는 각각의 스마트폰부로 전송되어 최종적으로 각각의 LED전자스틱부(120)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출력정보에 맞는 색상과 밝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LED광원(121a)은 RGB 또는 RGBW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는 RGB 또는 RGBW의 조합을 통하여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여 보다 화려한 응원을 구사할 수 있다. 또한 RGBW의 경우 W의 출력을 통하여 보다 선명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어, 공연자 또는 카메라에 담긴 영상을 스크린으로 확인하는 관중 또는 관객에게 보다 높은 명암비의 응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화려하고 효과적인 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스마트폰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 또는 스마트폰의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스마트폰(20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어 스마트폰의 사양과 관계없이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각종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는 관리자의 의도에 가깝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상기 중앙서버부(130)와의 통신 없이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LED광원(121a)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오프라인제어정보생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중앙서버부(130)와의 연결 없이 상기 LED광원(121a)을 제어하야 할 때, 상기 오프라인제어정보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ED광원(121a)을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장과 같은 대규모 시설이 아닌 소규모 장소에서의 응원이나 개인적인 행사에서 활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경기장 내에서 통신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도 간단한 응원을 상기 중앙서버부(130)와의 통신 없이 수행할 수 있어 사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응원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는 간단한 문자로 구성된 응원의 출력에서부터 역동적인 움직임의 응원까지 가능하여 관중 또는 관객들의 응원에 대한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서버부(130)는 응원하는 공간의 형태, 기울기, 높이, 좌석간격 정보 및 현재 획득이 완료된 위치식별자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저장수단(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수평적으로 경기장을 인식하여 픽셀정보를 생성할 때 발생될 수 있었던 이미지의 왜곡에서 오는 어색함을 최소화하고, 경기장 공간에 따라 다양한 외각선을 갖는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여 활용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한 픽셀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획득장치로 이루어지는 응원확인수단(136), 상기 응원확인수단(136)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수단(137) 및 상기 이미지처리수단(137)에서 처리된 데이터와 상기 응원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판단수단(1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응원확인수단(136)을 통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응원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이미지처리수단(137)을 통하여 처리한 후, 처리된 데이터와 응원정보의 유사도를 상기 유사도판단수단(138)을 통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일종의 가상 디스플레이 역할을 수행하는 응원에서 원본이 되는 응원정보와 실제 출력물인 응원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오차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픽셀정보를 수정하여 정확한 형태의 응원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응원정보가 저장되는 응원정보저장수단의 응원정보를 픽셀정보생성수단을 통해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픽셀정보생성단계(S01); 스마트폰의 이미지 획득장치 또는 전자태그 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응원 장소에 마련된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거나 식별자입력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는 위치식별자획득단계(S02); 상기 위치식별자획득단계(S02)에서 획득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서버통신수단을 통하여 중앙서버부에 전송하는 위치식별자전송단계(S03); 중앙서버부에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는 픽셀정보확인단계(S04); 상기 픽셀정보확인단계(S04)에서 매칭된 출력정보를 서버통신수단으로 송신하는 픽셀정보전달단계(S05); 상기 서버통신수단에 수신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LED광원제어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LED광원제어수단은 LED광원을 제어하여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응원출력단계(S0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은, 먼저,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S01)에서 미리 입력되어 있는 경기장의 도면에 제시되어 있는 좌석간의 높이, 경사도, 전체 넓이와 같은 정보를 반영하여 주어진 응원정보를 위치식별자 숫자에 맞게 나누어 픽셀정보를 생성한다. 즉, 경기장 도면에 제시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경기장을 가상디스플레이화 하고 위치식별자를 하나의 픽셀로 인지하여 이에 맞게 응원정보를 나누어 픽셀정보를 생성하므로 보다 정확한 픽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디스플레이는 2차원이 아닌 깊이를 인식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3차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응원의 경우 평면적인 이미지에 대응하고 이에 대한 픽셀정보를 생성하였던 것에 비하여 보다 동적인 연출이 가능하여 관중 또는 관객들의 응원 몰입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식별자획득단계(S02)에서 스마트폰의 이미지 획득장치, 전자태그 획득장치 및 식별자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응원 장소에 마련된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거나, 사용자가 좌석번호 또는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방법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위치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어 위치식별획득방법의 유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위치식별자 정보는 상기 위치식별자전송단계(S03)를 통하여 중앙서버부에 전송되며, 상기 픽셀정보확인단계(S04)를 통하여 획득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S01)에서 생성된 픽셀정보가 매칭 된다.
이렇게 매칭된 출력정보는 상기 픽셀정보전달단계(S05)를 통하여 서버통신수단으로 송신되고, 상기 응원출력단계(S06)에서는 상기 서버통신수단에 수신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LED광원제어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LED광원제어수단은 LED광원을 제어하여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하게 되며, 각각의 LED광원에서 출력된 응원이 합쳐져 전체 응원으로 보여 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은 상기 응원출력단계(S06)에서 출력된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을 응원확인수단을 통해 획득하는 출력확인단계(S07), 상기 출력확인단계(S07)에서 획득된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을 이미지처리수단을 통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응원정보 재처리단계(S08) 및 상기 응원정보 재처리단계(S08)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응원정보와 비교하는 형태비교단계(S0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확인단계(S07)를 통하여 실제로 출력된 응원을 확인하고 이를 상기 응원정보 재처리단계(S08)를 통하여 데이터화 하여 상기 형태비교단계(S09)를 통하여 응원정보와 실제 출력된 응원의 형태를 비교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응원정보와 실제 출력된 응원의 형태를 보다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석 또는 상기 픽셀정보생성수단의 오류로 발생될 수 있는 응원 이미지, 영상 또는 텍스트의 형태 이상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어, 기존에 관리자가 직접 확인하고 수정작업을 진행하여야 했을 때보다 빠른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태비교단계(S09)에서 변환된 데이터와 응원정보의 일치도가 미리 입력한 일치도 이상일 경우 출력이 종료되며, 일치도 이하일 경우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S01)부터 다시 실행할 수 있다.
즉, 출력되고 있는 응원이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일치도 이상으로 형태가 일치할 경우 응원을 동일하게 계속 출력하나, 미리 입력한 일치도 이하로 형태가 불일치할 경우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S01)를 다시 수행하여 픽셀정보를 보정하여 응원정보와 실제 출력된 응원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원이 보다 정확한 형태로 진행될 수 있어, 공연자 또는 카메라에 담긴 영상을 스크린으로 확인하는 관중 또는 관객에게 보다 정확한 형태의 이미지, 영상 및 텍스트의 형태로 구성된 전체 응원형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재설정을 통하여 보다 높은 명암비의 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장의 스크린 또는 중계방송으로 응원을 확인할 때 보다 화려하고 인지에 효과적인 응원을 제공할 수 있어 경기장에 입장해 있는 관중 또는 관객뿐만 아니라 중계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도 응원의 감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110: 스마트폰부
111: 식별자스캔수단 112: 식별자입력수단
113: 서버통신수단 114: 디스플레이수단
120: LED전자스틱부 121: LED광원제어수단
121a: LED광원 121b: 광원제어장치
122: 전원공급수단 123: 스마트폰데이터수신부
130: 중앙서버부
131: 응원정보저장수단 132: 픽셀정보생성수단
133: 픽셀정보매칭수단 134: 데이터통신수단
135: 공간정보저장수단 136: 응원확인수단
137: 이미지처리수단 138: 유사도판단수단
200: 스마트폰
210: 이미지 획득장치 220: 전자태그획득장치
230: 데이터송수신장치
S01: 픽셀정보생성단계
S02: 위치식별자획득단계
S03: 위치식별자전송단계
S04: 픽셀정보확인단계
S05: 픽셀정보전달단계
S06: 응원출력단계
S07: 출력확인단계
S08: 응원정보 재처리단계
S09: 형태비교단계

Claims (10)

  1. 스마트폰(200)의 이미지 획득장치(210) 또는 전자태그 획득장치(220)를 이용하여 응원 장소에 마련된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는 식별자스캔수단(111),
    사용자가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단인 식별자입력수단(112),
    스마트폰(200)의 데이터송수신장치(230)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자스캔수단(111) 또는 상기 식별자입력수단(112)에서 획득된 위치식별자를 중앙서버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중앙서버부(300)로부터 수신하는 서버통신수단(113),
    전체 응원정보, 공연정보 및 안전정보를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수단(114)으로 구성되는 스마트폰부(110);
    LED광원(121a) 및 상기 LED광원(121a)을 제어하는 광원제어장치(121b)로 구성되는 LED광원제어수단(121),
    상기 LED광원제어수단(1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22),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에 수신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LED광원제어수단(121)에 전송하는 스마트폰데이터수신부(123)로 구성되는 LED전자스틱부(120); 및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응원정보가 저장되는 응원정보저장수단(131),
    상기 응원정보저장수단(131)의 응원정보를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픽셀정보생성수단(132),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수단(132)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는 픽셀정보매칭수단(133),
    상기 서버통신수단(113)으로부터 위치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매칭에 의해 생성된 출력정보를 서버통신수단(113)으로 송신하는 데이터통신수단(134)으로 구성되는 중앙서버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는 각 픽셀에 해당하고,
    상기 LED전자스틱부(120)는 각 좌석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앙서버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획득장치로 이루어지는 응원확인수단(136),
    상기 응원확인수단(136)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수단(137) 및
    상기 이미지처리수단(137)에서 처리된 데이터와 상기 응원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판단수단(1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광원(121a)은
    RGB 또는 RGBW 색상의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스마트폰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 또는 스마트폰의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부(110)는
    상기 중앙서버부(130)와의 통신 없이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LED광원(121a)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오프라인제어정보생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원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부(130)는
    응원하는 공간의 형태, 기울기, 높이, 좌석간격 정보 및 현재 획득이 완료된 위치식별자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정보저장수단(13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7. 삭제
  8. 관리자가 미리 입력한 응원정보가 저장되는 응원정보저장수단의 응원정보를 픽셀정보생성수단을 통해 미리 정해진 픽셀수로 나누어 다수의 픽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픽셀정보생성단계(S01);
    스마트폰의 이미지 획득장치 또는 전자태그 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응원 장소에 마련된 각 좌석에 부착되는 QR 코드 또는 전자 태그를 스캔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거나 식별자입력수단에 의하여 사용자가 위치식별자를 직접 입력하여 위치식별자를 획득하는 위치식별자획득단계(S02);
    상기 위치식별자획득단계(S02)에서 획득된 위치식별자 정보를 서버통신수단을 통하여 중앙서버부에 전송하는 위치식별자전송단계(S03);
    중앙서버부에 수신된 위치식별자 정보와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픽셀정보를 매칭하는 픽셀정보확인단계(S04);
    상기 픽셀정보확인단계(S04)에서 매칭된 출력정보를 서버통신수단으로 송신하는 픽셀정보전달단계(S05);
    상기 서버통신수단에 수신된 상기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수신하여 LED광원제어수단에 전송하고, 상기 LED광원제어수단은 LED광원을 제어하여 위치식별자에 대응되는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응원출력단계(S06);
    상기 응원출력단계(S06)에서 출력된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을 응원확인수단을 통해 획득하는 출력확인단계(S07);
    상기 출력확인단계(S07)에서 획득된 응원 메시지, 이미지 및 영상을 이미지처리수단을 통해 데이터로 변환하는 응원정보 재처리단계(S08); 및
    상기 응원정보 재처리단계(S08)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응원정보와 비교하는 형태비교단계(S09);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비교단계(S09)에서 변환된 데이터와 응원정보의 일치도가 미리 입력한 일치도 이상일 경우 출력이 종료되며, 일치도 이하일 경우 상기 픽셀정보생성단계(S01)부터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방법.
KR1020170139635A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KR101936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635A KR101936822B1 (ko)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635A KR101936822B1 (ko)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822B1 true KR101936822B1 (ko) 2019-01-09

Family

ID=6501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635A KR101936822B1 (ko)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8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37A (ko) * 2019-11-01 2021-05-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KR20220136954A (ko) 2022-07-04 2022-10-11 주식회사 하이브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응원봉 제어 시스템 및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통한 응원봉 제어 방법
KR20220156358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크리모 응원봉모듈을 이용한 비대면 공연 연출 제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981A (ja) * 2001-07-24 2003-02-07 Komaden:Kk 携帯発光装置による演出用発光装置及び演出方法
JP2012146536A (ja) * 2011-01-12 2012-08-02 Kyoraku Sangyo Kk 発光制御装置および発光制御システム
KR101730301B1 (ko) * 2016-09-30 2017-04-25 (주)에스엠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 응원도구를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981A (ja) * 2001-07-24 2003-02-07 Komaden:Kk 携帯発光装置による演出用発光装置及び演出方法
JP2012146536A (ja) * 2011-01-12 2012-08-02 Kyoraku Sangyo Kk 発光制御装置および発光制御システム
KR101730301B1 (ko) * 2016-09-30 2017-04-25 (주)에스엠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 응원도구를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37A (ko) * 2019-11-01 2021-05-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KR102306004B1 (ko) * 2019-11-01 2021-09-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KR20220156358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크리모 응원봉모듈을 이용한 비대면 공연 연출 제어시스템
KR102556701B1 (ko) 2021-05-18 2023-07-18 주식회사 크리모 응원봉모듈을 이용한 비대면 공연 연출 제어시스템
KR20220136954A (ko) 2022-07-04 2022-10-11 주식회사 하이브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응원봉 제어 시스템 및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통한 응원봉 제어 방법
KR20240004122A (ko)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하이브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응원봉 제어 시스템 및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통한 응원봉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822B1 (ko) 스마트폰 연동 led전자스틱을 이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기반 응원도구 및 응원방법
US20230209674A1 (en) Group-performance control method using light-emitting devices
CN107135567B (zh) 发光控制系统
US11638338B2 (en) Group-performance control method using light-emitting devices
US20150084977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663330B1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US11647297B2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user terminals based on seat information of ticket of event venue
US201102490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text data
US11151747B2 (en) Creating video augmented reality using set-top box
JP2006042216A (ja) 画像印刷装置、コンピュータ及び画像配信システム
WO2017119191A1 (ja) 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CN109302625B (zh) 显示屏播放系统及播放控制方法
CN116740870A (zh) 应援棒控制信息发送装置、应援棒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089803B1 (ko) 모듈형 전자 led 스틱을 활용한 가상 디스플레이
KR20210028613A (ko)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제어하는 군중 제어 시스템
KR20200071711A (ko) 응원용 발광장치를 이용한 공연장에서의 공연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연연출 시스템
CN105392059A (zh) 一种互动电视系统的互动信息同步显示的方法及装置
KR102306004B1 (ko) 플렉시블 화면표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응원 시스템
KR20210010992A (ko) 이벤트와 관련된 결과를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7372000B1 (ja) 照明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装置制御方法
KR101811622B1 (ko)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20150006608A (ko) 위치 기반의 전광판 이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082049A (ja) 応援提供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358170B1 (ko) 플래카드 자판기
KR20170025343A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그림 제작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